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역사] ㄱㅇㄷ) 브루실로프 공세 직전 오헝군 분석 요약해봄

동대굴라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0 14:59:22
조회 558 추천 14 댓글 5
														

20bcd928a8c331ab69f281ed4584773c9e3bdb4ca7e8cc743c300d504c06c96756693cc1e0079821add5ad634092b68200ab845830fc15a4d92b19b4



마침 쿠데타도 한창 브루실로프 공세 시점 다루니 같이 읽으면 재미있을듯



출처는 쌍두독수리의 몰락 집필한 존 쉰들러의 <희망 없는 저항 : 오헝군과 총력전 1914-18>




1. 브루실로프 이전 동맹군이 러시아군 쳐바르고 약 반년 간 소강 상태가 되면서 16년 중순까지 오헝군은 군을 정비할 시간을 가짐




2. 16년 1월 기준으로 오헝군은 이미 약 280만의 대군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중 144만이 동부에 있었음. 근데 군이 너무 비대해지다보니 점점 인력이 부족해지는 제국 전시 민간 산업이랑 경쟁이 좀 붙음.




3. 군이 전시 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통제권을 갖추고 있긴 했지만 인력 관련해서 타협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산업의 인력 문제 증가로 추가 징집한 30만 중 11만이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해 민간으로 복귀.




4. 대신 오헝 최고 사령부는 후방 근무만 하던 18세들을 전선으로 보내고, 3선급 보충군인 란트슈튜름에 17세를 징병하기 시작함. 아마 숙련공들은 놔두고 더 어린 애들까지 징병 연령을 낮춘 느낌?




5. 덕분에 16년 첫 분기 동안 오헝군은 전선 부대들을 완편 편제 혹은 보강 편제를 유지하기 위한 March 대대들 (일종의 특수 편제 보충대)을 연대 당 5개씩 보내 줄 수 있었음.





독일군 젝트 장군의 평가?




6. 14년 갈리치아 전역과 15년 카르파티아, 고를리체를 겪으면서 살아남은 오헝군 부대들은 유능한 전투 기계들로 여전히 남아있었음.




7. 합스부르크 병사들 대다수가 농민 농노 출신으로 체력 좋고 노동과 복종에 익숙해 뛰어난 병사들로 평가.




8. 또한 합스부르크군 무기나 장비에 대해서는 일선급이라고 평가함.




9. 하지만 전반적으로 훈련 상태가 좋지 못해 전쟁 기준에는 불충분했고, 장교진은 어설프거나 지나치게 도식적이라서 독립적인 사고가 부족했음.




10. 특히 군 행정이 열악하여 장비 유지나 지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있다고 지적함.




(역주 : 다만 헝가리 즈리니 국방대 발칸 전역 연구에선 오헝 보급을 강점으로 꼽아서 후대 연구 관련해선 관점 차가 있거나 지역마다 편차가 있었던 듯?)





11. 합스부르크군은 15~16년 동안 전훈을 반영하여 조직, 무기, 전술적인 부분에서 개선됨.




12. 다만 기존에 유지한 60개 사단과 11개 기병사단에서 사단급 부대가 크게 늘어나진 않고, 각 사단이 배치된 전역 환경에 대응하여 이것저것 편제 변화가 많이 이루어진 듯.




13. 보병대의 경우엔 신규 연대 창설보다는 본래 3개 대대 - 1개 연대 편제에 2개 대대가 추가되어 1개 연대 당 5개 대대 규모로 증설됨. 또한 개전 초기 1,000명 규모에 기관총 2정 뿐이던 보병대대는 16년 중반쯤 되면 다양한 직사화기와 간접화기로 무장한 복합적인 형태로 진화함.




14. 중대급에선 수류탄과 총류탄이 대량 보급되었고, 대대급에는 기관총이 4정씩 배치되며 2배로 화력이 증강됨. 연대급에선 9cm 박격포 2문과 경박격포 2문, 37mm 보병포 2문이 추가됨. 사단급에선 공병대가 운용하는 12cm 및 22cm 박격포가 각 4문씩 추가.



(역주 : 특히 37mm 보병포는 오헝 스톰트루퍼들도 적극적으로 굴리는 등 꽤 호평 받은 거로 앎.)




15.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역시 사단포병. (모든 사단에 포병대를)이라는 슬로건에 따라 14년 이후로 오헝 사단포병은 질적으로 양적으로 큰 개선이 이루어짐.




16. 16년 보병사단 예하 포병여단에는 Field gun 4개 포대, 곡사포 6개 포대, 중포 4개 포대 (각 1개 연대 구성) 가 배치됨. 모두 같은 건 아니고 대대 수는 사단마다 조금씩 달라졌지만 사단 당 평균 60문의 야포와 곡사포를 보유함.




17. 14년 483개 포대, 2,610문에 비해 16년 5월에는 804개 포대, 4,018문을 보유한 수준으로 약 2배 증강됨.




18. 특히 이중 1,358문은 질적으로 개선된 신형 화포로, 240mm, 380mm, 420mm 같은 중포들도 도입됨. 또 일부 포병대에는 대공포가 배치되기도 함.




19. 반면 기병대는 기존 전훈에 따라 축소되었음.




20. 기동작전에 투입되기는 했지만 생각만큼 적절하지 않았고, 특히 (이손초, 카르파티아 같은) 산악 지형에서 기병대는 별로 쓸모가 없었음. 그래서 이름만 용기병, 후사르, 창기병을 붙인 (기병사단이었던) 보병대들 역시 운용됨.




21. 또한 전투지원부대들 역시 크게 확장됨. 특히 공병은 각 보병사단마다 최소 1개의 보강된 Sapper 중대가 배속됨.




22. 필요시 Pioneer나 건설 중대가 배속되기도 하였고, 추가적으로 중대규모의 축성 부대가 야전 축성을 보조하기 위해 사단에 배속됨.




23. 통신 분야는 전례없이 확장된 영역. 그 규모는 소대에서 소 대대까지 다양했고, 모든 사단에 이런 통신부대가 배치됨.




24. 또한 복잡해진 포병대를 지원하기 위해 탄약, 보급, 정비 부대도 함께 확대되었고, 사단급 애전의무대대와 군단급 의무부대 역시 확대됨. 전후방의 보급을 유지하기 위한 기지와 보급 창고들을 운영하는데도 막대한 인력이 투입.




25. 이런 모든게 16년 이전과 이후의 합스부르크군을 구분지음. 또한 16년이 되면 이전의 청회색이 아닌 슈탈헬름과 회색 전투복을 갖춘 현대적인 군대의 모습을 갖춤.





하고 싶은 말 3줄)


1. 14년 전역과 15, 16년 전역의 오헝군은 완전히 다른 존재


2. 대전쟁 내내 오헝군이 여러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졌던 것은 맞음. 다만 소부대 전투력이나 사단급 제대보단 전시 체제와 총참모부의 찐빠에 더 무게를 실는게 맞지 않나? 싶음.


3. 러시아를 상병신 취급하는 것도 웃기지만 "세르비아, 동부전선 유기, 카포레토" 이 세 개 밖에 못 읊는 건 개개 전훈이나 전역 분석 없이 걍 나무위키만 보고 떠든다는 증거 밖에 안됨. 애초에 브루실로프 이후로도 우크라이나랑 루마니아에서 오헝 야전군이 독일 야전군보다 수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없었음.



대전 전 독일이랑 오헝 외교 관계는 모르겠고, 사실상 대전쟁이 확실해진 이래 독일이랑 오헝은 서로 동상이몽으로 작계 말아먹거나 독일이 오헝에 목줄 걸고 끌고다니는 양상인데 뭐 ㅋㅋ


오하이오 주립대에 나온 <The Austro-Hungarian Divisions on the Western Front, 1918> 보면 애초에 독일이 일방적으로 오헝에게 군사 원조 퍼준 것도 아니고,


17-18쯤 가면 오헝은 사실상 모든 전략 목표 (세르비아, 루마니아, 러시아 정복, 자국영토에서의 이탈리아 격퇴) 달성, 그러나 여러 외교적 요인과 물자부족 문제 등으로 독일의 '승리를 위한 평화'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면서 사실상 독일 외교에 종속되어버림 ㅇㅇ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4

고정닉 1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026191 역사 무라비툰 제국은 가나를 '정복'했는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3 71 1
1026099 역사 펌)한국인들은 잘 모르는 아프리카 흑인 왕국들 [15]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166 20
1025590 역사 맘루크 훈련 교본 (3) 검술과 궁술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67 3
1025516 역사 맘루크 훈련 교본 (2) 창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35 9
1025403 역사 촐라 제국의 관리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75 0
1025338 역사 ㄱㅇㄷ)원나라 때 만들어진 수력 방적기 복원품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37 6
1025282 역사 맘루크 훈련 교본 (1) 승마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20 7
1025194 역사 소국이 대국에 대항하자 분노한 무굴 장군의 일갈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41 3
1024847 역사 촐라 제국의 영토 구성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228 2
1024732 역사 ㄱㅇㄷ)조선후기 무과 실화인가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374 1
1024397 역사 엔리코 단돌로의 도제 취임 선서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287 8
1024268 역사 대역인듯 , 대역아닌 만화 일독중 (한중일 세계사) 프라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189 0
1024128 역사 1905~1918년 사이 해군 무연화약의 사고사례와 그 분석 [1] 순양전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131 2
1024073 역사 송나라에 촐라가 우리 속국이라고 사기 친 스리비자야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265 3
1024054 역사 중세인들은 목욕을 안 하고 썩은 고기를 먹었을까?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1434 25
1023823 역사 백성에 대한 중세 국왕의 의무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213 3
1023810 역사 ㄱㅇㄷ) 사실 기독교가 지동설을 반대했던건 맞음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351 0
1023800 역사 ㄱㅇㄷ)2머전 당시 파일럿으로 뛴 MLB 선수들 순양전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171 5
1023736 역사 ㄱㅇㄷ)아프리카사 쪽도 찾아 보면 신기한거 많더라 [15] 무신론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1468 33
1023638 역사 중세 교회는 과학을 탄압했을까? [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1190 19
1023568 역사 중세인들은 마녀를 불태웠을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983 21
1023378 역사 ㄱㅇㄷ)대역작가를 위한 유럽 귀족 설정(근세 이후 영국기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35 6
1023341 역사 ㄱㅇㄷ)어느 건물을 급습한 스코틀랜드 야드 일화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659 17
1023320 역사 ㄱㅇㄷ)실제 유목민에게 사람의 가치는 얼마인가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369 17
1023068 역사 미 독립전쟁 해전사 책 올림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25 3
1022860 역사 ㄱㅇㄷ)중국이 원 때에 개발한 수력 방적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42 8
1022440 역사 ㄱㅇㄷ)조선시대 책값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083 21
1022342 역사 띵군)유럽에서도 비슷한 사례 있었는데? [4] 무명사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50 7
1021434 역사 중세 갑옷의 방어력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16 3
1021270 역사 19세기 조선정도면 근대화에 완전 불리하건 아니지 않음?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62 4
1021232 역사 선조 업고 튀어.jpg [3] 남하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504 5
1020984 역사 십자군 대전략 분석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352 8
1020651 역사 '바다 너머의 역사' (4-3) 안티오키아 포위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34 1
1020127 역사 7세기 부하라의 여왕 토미리스 Graf_Mistrae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00 2
1019521 역사 송나라 초기의 문치주의와 군사력 약화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58 0
1019406 역사 도보 갑주검술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217 2
1019367 역사 근대 전장식에 조준기 없다는건 진짜 알못이다 [4] i핀i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684 11
1019349 역사 화약무기는 근본적으로 저격용이다. [44] i핀i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487 2
1019328 역사 머스킷으로 저격도 조준사격도 다 가능하다 [26] i핀i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500 24
1018588 역사 금산군 이치대첩 유튭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13 0
1017757 역사 ㄱㅇㄷ) 잔 다르크 환시 내용이 교회에서 공인받는 건 아님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923 20
1017581 역사 삼국지에서 촉멸망전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312 0
1017206 역사 ㄱㅇㄷ) 생각보다 가톨릭-아즈텍 유사성이 더 컸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296 4
1017002 역사 '마라타'의 의미 변화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80 0
1016406 역사 바누 힐랄이 북아프리카의 번영을 파괴했는가?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01 6
1016033 역사 중세 유럽의 자선 '의무'.txt [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942 41
1015745 역사 탐태창?)오늘 언급된 조선의 수사보고서를 알아보자 [7] 이엠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070 28
1015652 역사 중세 인도사=페르시아와 산스크리트 세계의 만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28 2
1015564 역사 1머전~적백내전 당시 러시아 태평양 함대 편제 [1] 순양전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25 0
1015453 역사 전장식 강선 원추형탄들의 고려할 오류점 [22] 뜌뜌따뜌따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58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