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역사] (ai번역) 연병실기 1권 (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6 21:57:09
조회 83 추천 0 댓글 0
														

## 차병(車兵) 편성 및 장비


**제일(第一) 선차병(選車兵)**


* 선발 하루 전에 패(牌), 탁자, 번호표, 허리패, 명부를 준비하는 것은 기병 선발과 동일하다.

* 선발 당일, 천총(千總), 파총(把總), 백총(百總), 차정(車正), 대장(隊長)을 선발하는 것도 기병 선발과 같은 방식으로 한다. 다만, 기병은 인원수에 제한이 없지만, 차병은 차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대영(大營)과 소영(小營)의 규모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 여기서는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 영(營)마다 128명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바깥 방어선의 참호와 진영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에 너무 빽빽하지도, 너무 헐겁지도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차량 구성 (총 16량)**


* 망간차(望竿車, 깃발을 세운 관측용 수레): 1량 (진영 내에서만 사용하고, 출정 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장대차(將臺車, 지휘관이 탑승하는 수레): 1량

* 고차(鼓車, 북을 실은 수레): 2량

* 좌차(座車, 병사들이 탑승하는 수레): 1량

* 대장군차(大將軍車, 대장군포를 실은 수레): 4량

* 화약수송차(子藥什物車): 4량

* 화전차(火箭車): 4량


* 망간차(望竿車)를 제외한 나머지 15량은 모두 출정 시 사용한다.

* 각 차량에 탑승하는 병사는 24명으로, 정병대(正兵隊)와 기병대(奇兵隊)로 나뉜다.


**정병대(正兵隊) 선발 (10명)**


먼저 해당 백총(百總)이 차정(車正)과 대장(隊長) 2명을 선발하여 앉힌다. (앉아 있어야 위엄이 서기 때문) 차정(車正)은 기민하고 일처리가 능숙하며 주장(主將)이 있는 자를, 대장(隊長)은 용감한 자 중에서 선발한다.


* 첫 번째 차정(車正)을 불러 군사들 중에서 20명을 선발하게 한다.

* 힘이 세고 약간 기민한 자 1명: 도공(舵工, 수레 조종수)

* 힘이 세고 기민한 자 6명: 불랑기(佛狼機, 회전식 총) 조작수. 1, 3, 5번은 왼쪽에 1대를, 2, 4, 6번은 오른쪽에 1대를 담당한다.

* 힘은 약하지만 기민한 자 2명: 화전(火箭) 담당.

* 도공(舵工), 차정(車正), 화전 담당 2명을 합쳐 총 10명으로 정병대(正兵隊)를 구성한다.

* 불랑기 조작수에게는 날이 달린 큰 몽둥이(大棒) 1개를 지급하고, 화전 담당에게는 화전 발사에 편리하도록 창파(鈀) 1자루를 지급한다.


**기병대(奇兵隊) 선발 (10명)**


* 앞서 선발된 20명 중에서 기병대(奇兵隊) 10명을 선발한다.

* 대장(隊長)에게는 긴 창(長桿鎗) 1자루와 해당 부대 색깔의 깃발을 지급하고, 나머지 9명은 스스로 선발하게 한다.

* 나이가 어리고 기민하며 힘이 센 자 4명: 조총수(鳥銃手). 긴 일본도(倭刀) 1자루씩 지급. 차 안에서 조총을 발사하고, 차에서 내리면 먼저 조총을 쏘고, 적이 가까이 오면 긴 칼을 사용한다.

* 나이가 어리고 민첩하며 유연한 자 2명: 등패수(藤牌手). 차 안에서 화전을 발사하고, 차에서 내리면 돌멩이를 던지고, 적이 가까이 오면 등패를 사용한다.

* 살기가 있는 자 2명: 창파수(鎲鈀手). 차 안과 밖에서 화전을 발사하고, 적이 가까이 오면 창파를 사용한다.

* 화병(火兵) 1명: 각 대(隊)의 식사를 담당한다.


**경차(輕車) 운용**


* 새로 제작한 경차(輕車)는 멀리 출정하거나 험난한 지형을 지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각 영(營)마다 216량을 갖추고, 16량씩 한 부대로 운용한다.

* 각 면(面)마다 54량씩 배치하고, 각 차량에 차정(車正) 1명(곧 대장[隊長]이다), 도공(舵工) 1명(곧 화병[火兵]이다), 조총수(銃手) 6명, 창파수(鈀箭手) 2명, 불랑기 조작수(狼機手) 2명으로 총 11명을 배치한다.


**차병(車兵) 선발 및 훈련**


* 차정(車正)은 기민하고 일처리가 능숙하며 주장(主將)이 있는 자를 선발한다.

* 먼저 첫 번째 차정(車正)을 불러 군사들 중에서 힘이 세고 기민한 자 6명을 선발하여 화기수(火器手)로 임명한다. 화기(火器)는 조총(鳥銃)이나 쾌창(快槍) 등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 9번째, 12번째에는 불랑기 조작수(狼機手)를 배치한다.

* 사람들을 잘 따르는 자 1명을 선발하여 화병(火兵)으로 임명한다.

* 경차(輕車)는 가볍기 때문에 도공(舵工)이 필요하지 않다.

* 한 대(隊)가 구성되면, 규격에 맞게 깃발을 지급하고, 차량 배치 그림을 주어 빈터에 그림과 같이 배치하게 한다.

* 두 대(隊)를 한 조로 하여 차정(車正)과 대장(隊長)이 각각 한 대(隊)씩 이끌고, 파총(把總)은 모든 차량이 준비되면 출발시킨다.

* 각 차정(車正)은 차량 배치 그림을 나무판에 붙여 차량에 걸어 두어, 이를 보고 지휘하고 관리하게 한다.

* 한 장관(將官) 아래 모든 차병(車兵)이 준비되면, 정해진 날에 훈련장에 집합하여 차량과 무기를 지급하고, 훈련을 통해 요새 방어와 신호 체계를 숙지하게 한다.




**제이(第二) 차기고(車旗鼓)**


각 영(營)마다 다음과 같이 기(旗)와 고(鼓)를 담당하는 병사들을 둔다.


* 기패(旗牌): 2반(班), 각 3명

* 호총수(號銃手): 3명

* 문기(門旗): 2명

* 금고기(金鼓旗): 2명

* 오방기(五方旗): 5명

* 오방호대(五方號帶): 5명

* 각기(角旗): 4명

* 인기(認旗): 2명

* 순시기(巡視旗): 8명

* 취고수(吹鼓手): 16명

* 화약장(火藥匠): 2명

* 목수(木匠): 5명

* 철장(鐵匠): 5명

* 의사(醫生): 1명, 가정(家丁) 1명

* 의수(醫獸): 1명, 가정(家丁) 1명




**제삼(第三) 차잡류(車雜流)**


각 영(營)에는 장관(將官) 아래 다음과 같은 사람들을 둔다.


* 서기(書記): 3명

* 가정(家丁): 수는 정해져 있지 않으나 기병(騎兵)과 같은 방식으로 한다.

* 군반(軍伴): 18명

* 군뢰(軍牢): 24명

* 반당(伴當): 8명

* 양마(養馬): 3명

* 신수(薪水): 2명

* 주역(廚役): 2명


**중군관(中軍官) 아래:**


* 글을 아는 자: 2명

* 군뢰(軍牢): 8명

* 군반(軍伴): 4명


**각 천총(千總) 아래:**


* 글을 아는 자: 2명

* 군뢰(軍牢): 8명

* 군반(軍伴): 4명


**각 파총(把總) 아래:**


* 글을 아는 자: 1명

* 군뢰(軍牢): 4명

* 군반(軍伴): 4명


**각 백총(百總) 아래:**


* 기정(旗丁): 1명




**경차(輕車) 운용:**


* 경차(輕車)는 대전차(大戰車)와 동일하게 운용하지만, 각 차량에는 한 대(隊)만 배치한다. 즉, 대전차(大戰車) 1대에 필요한 병력을 절반으로 나누어 경차(輕車) 2대에 나누어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경차(輕車) 2대가 대전차(大戰車) 1대와 같다.




**제오(第五) 차기호(車旗號)**


**차병(車兵)은 투구(盔)와 갑옷(甲)을 착용하지 않는다.**


* 차정(車正): 투구(盔)와 갑옷(甲)을 착용하고, 길이 2척(尺)의 사각형 깃발 사용.

* 백총(百總): 길이 3척(尺)의 깃발 사용.

* 파총(把總): 길이 4척(尺)의 깃발 사용

* 천총(千總): 윗변 길이 3척(尺), 아랫변 길이 5척(尺), 끈 길이 5척(尺)의 삼각 깃발 사용.

* 영장(營將): 윗변 길이 4척(尺), 아랫변 길이 6척(尺), 끈 길이 7척(尺)의 삼각 깃발 사용. 깃발에 쓰는 글자는 기병(騎兵)과 동일.


**각 영(營) 깃발 색상:**


* 전영(前營) 장관(將官): 붉은색 바탕 파란색 가장자리 노란색 끈. 깃털 장식은 붉은색.

* 좌천총(左千總): 파란색 바탕 붉은색 가장자리 노란색 끈.

* 1사(司) 파총(把總): 붉은색 바탕 파란색 가장자리.

* 2사(司) 파총(把總): 파란색 바탕 파란색 가장자리.

* 3사(司) 파총(把總): 흰색 바탕 파란색 가장자리.

* 4사(司) 파총(把總): 검은색 바탕 파란색 가장자리.

* 우천총(右千總): 흰색 바탕 붉은색 가장자리 노란색 끈.

* 1사(司) 파총(把總): 붉은색 바탕 흰색 가장자리.

* 2사(司) 파총(把總): 파란색 바탕 흰색 가장자리.

* 3사(司) 파총(把總): 흰색 바탕 흰색 가장자리.

* 4사(司) 파총(把總): 검은색 바탕 흰색 가장자리.

* 백총(百總): 소속 사(司)의 파총(把總) 깃발과 같은 색.

* 차정(車正): 소속 백총(百總) 깃발과 같은 색.


* 후영(後營): 전영(前營)과 동일한 방식으로 깃발 색상을 정하되, 가장자리 색상을 검은색으로 바꾼다. 깃털 장식은 검은색.


* 좌영(左營): 전영(前營)과 동일한 방식으로 깃발 색상을 정하되, 가장자리 색상을 파란색으로 바꾼다. 깃털 장식은 파란색.


* 우영(右營): 전영(前營)과 동일한 방식으로 깃발 색상을 정하되, 가장자리 색상을 흰색으로 바꾼다. 깃털 장식은 흰색.


* 중영(中營): 전영(前營)과 동일한 방식으로 깃발 색상을 정한다. 깃털 장식은 노란색.




**제육(第六) 차십기(車什器)**


**차정(車正) 장비 (1인 기준)**


* 깃발(旗): 1개

* 깃대(槍桿): 1개

* 명盔(明盔): 1개

* 갑옷(甲): 1벌

* 가죽 허리띠(鞓帶): 1개

* 날카로운 허리칼(鋒利腰刀): 1자루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불랑기 조작수(狼機手) 장비 (불랑기 1대 기준)**


* 불랑기(佛狼機): 1대 (조총 9문 장착)

* 쇠闩(鐵閂): 3개

* 쇠망치(鐵錘), 가위(剪), 송곳(錐), 국자(匙), 총알 넣는 기구(凹心送子): 각 1개

* 큰 탄환(大鉛子): 100개

* 화약(火藥): 30근(斤)

* 화승(火繩): 5개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조총수(鳥銃手) 장비 (1인 기준)**


* 조총(鳥銃): 1정

* 총대(杖): 1개

* 화약통(錫鱉): 1개

* 약관(藥管): 30개

* 탄환 주머니(鉛子袋): 1개

* 총집(銃套): 1개

* 화약(火藥): 3돈(三錢)씩 한 번 발사할 양으로 300번 발사할 분량을 준비하고, 여분으로 6냥(六兩)을 준비하여, 총 6근(斤)을 휴대한다.

* 탄환(鉛子): 300개

* 화승(火繩): 5개

* 탄환 주형(鉛子模): 각 국(局)마다 1벌씩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 탄환과 화약의 적합한 비율은 기병(騎兵)의 조총과 같다.


**화전수(火箭手) 장비 (1인 기준)**


* 화전(火箭): 60개, 30개는 직접 휴대하고, 예비로 30개를 더 휴대한다.

* 화승(火繩): 3개

* 화살통(箭): 1개

* 기름 덮개(油): 1개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대곤수(大棍手) 장비 (1인 기준)**


* 큰 곤봉(大棍): 1개. 곤봉 머리에 날이 달려 있다. (규격 있음)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도공(舵工), 화병(火兵) 공용 장비**


* 구리 솥(銅鍋): 1개

* 물통(水桶): 1개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전차(戰車) 1량 장비**


* 불랑기(佛狼機): 2대

* 조총(子銃): 18정

* 쇠꼬챙이(鐵閂): 4개

* 쇠망치(鐵錘), 가위(剪), 송곳(錐), 총알 넣는 기구(送): 각 2개

* 화약: 60근(斤)

* 탄환(鉛子): 200개

* 화승(火繩): 10개

* 조총(鳥銃): 4정

* 총대(杖): 4개

* 화약통(錫鱉): 4개

* 약관(藥管): 120개

* 탄환 주머니(鉛子袋): 4개

* 총집(銃套): 4개

* 세화약(細火藥): 24근(斤)

* 탄환(鉛子): 1,200개

* 화승(火繩): 20개

* 화전(火箭): 120개

* 화승(火繩): 6개

* 화살통(火箭): 2개

* 기름 덮개(油): 2개

* 큰 몽둥이(大棒): 6개

* 구리 솥(銅鍋): 1개

* 물통(水桶): 1개

* 휘장(圍幔): 1개

* 큰 기름 방수포(大油單): 1장




**제칠(第七) 차신기(車神器)**


* 대장군포(大將軍) 1문당: 자총(子銃) 3문

* 자총(子銃) 1문당: 탄환과 화약 10회 발사 분량 준비, 총 30회 발사 분량 준비

* 1회 발사 시: 화약 4근(斤), 총 120근(斤)

* 탄환(鉛子): 365개, 총 1,950개

* 나무 받침목(木馬): 30개

* 돌멩이(石子): 30개




**제팔(第八) 계차승(計車乘)**


차량의 수는 앞서 ‘차병 선발’에서 설명하였다. 차량 제작 초기에는 진영의 규모가 일정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일반적인 덮개 있는 수레를 사용하다가, 나중에는 옆쪽에 난간을 추가하여 사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천으로 덮어 연결 부위가 끊어지거나 어긋나지 않도록 하였다. 음(陰)과 양(陽) 두 수레를 하나로 연결하여 모퉁이를 만들었는데, 필요에 따라 문이나 벽처럼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무겁고 운반하기 어려우며, 높이도 제각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지금은 행진과 진영 설치가 편리하도록 개량하여, 앞뒤 두 개의 문을 만들고, 문이 있는 수레에는 접이식 난간을 설치하였다. 문이 있는 수레는 8량, 폭이 좁은 수레는 10량 또는 12량을 연결하고, 나머지는 좌우 옆쪽에 난간을 설치하여 모퉁이를 만들어, 성벽처럼 이어지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면 틈이 없이 연결된다.




**제구(第九) 차분수(車分數)**


* 24명을 한 대(隊)로 편성하고, 한 대(隊)가 한 수레(一宗)를 담당한다.

* 수레 1대당 차정(車正) 1명을 배치한다.

* 수레 4대를 1조로 하여 백총(百總) 1명이 지휘한다. 이를 1국(局)이라 한다.

* 4국(局)을 1조로 하여 파총(把總) 1명이 지휘한다. 이를 1사(司)라 한다.

* 4사(司)를 1조로 하여 천총(千總) 1명이 지휘한다. 이를 1부(部)라 한다.

* 2부(部)를 1조로 하여 장관(將官) 1명이 지휘한다. 이를 1영(營)이라 한다.

*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 늘려나갈 수 있다.




**제십(第十) 차책성(車責成)**


* 각 차정(車正)은 한 수레(一車)를 총괄하여, 정병대(正兵隊), 기병대(奇兵隊), 도공(舵工) 등 모든 병사를 지휘하고, 특히 정병대(正兵隊)의 불랑기 조작수, 도공, 화전수를 직접 관리한다.

* 기병대(奇兵隊)의 대장(隊長)은 자신의 대(隊)만 관리하고, 다른 차량의 병사들은 간섭하지 않는다.

* 차정(車正)과 도공(舵工)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차 안에서 차량 관리에 전념한다. (차가 전복될 것을 대비하여)

* 불랑기 조작수(佛狼機手) 6명은 불랑기 운용을 전담한다.

* 창파수(鎲鈀手)와 등패수(藤牌手)는 화전(火箭) 발사를 전담한다.

* 조총수(鳥銃手)는 조총 사격을 전담한다.

* 화병(火兵)은 취사와 화기 관리를 전담한다.




**제십일(第十一) 차전대(車戰隊)**


* 적과 마주쳤을 때, 정병대(正兵隊)와 기병대(奇兵隊)는 먼저 차 안에서 각자 임무를 수행한다.

* 기병대(奇兵隊)는 조총수(鳥銃手) 4명, 등패수(藤牌手) 2명, 장창수(狼筅手) 2명, 창파수(鎲鈀手) 2명으로 ‘원앙진(鴛鴦陣)’을 구성하여 전투에 대비한다. 자 자세한 내용은 '영진(營陣)' 조항에 있다.




**제십이(第十二) 차행영(車行營)**


* 정병대(正兵隊)와 기병대(奇兵隊)는 두 개 조로 나누어, 한 조씩 번갈아가며 수레를 끈다.

* 홀수 날에는 기병대(奇兵隊)가, 짝수 날에는 정병대(正兵隊)가 수레를 끈다.

* 5리(里)마다 교대하고, 진흙탕이나 오르막길에서는 조를 나누지 않고 전원이 힘을 합쳐 수레를 끈다.




**제십삼(第十三) 소라력(蘇騾力)**


* 수레마다 노새 두 마리가 배정되어 있지만, 수레가 무겁고 노새가 적어 끌기 힘들기 때문에, 최소 네 마리가 있어야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 최근에는 노새 수레를 운용하면서, 병사들이 노새에만 의존하여 노새가 지쳐서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지금은 노새를 줄이고 있으므로, 부득이하게 노새를 사용하더라도 장거리를 이동할 때 잠시 힘을 빌리는 정도로 해야 한다. 병사들이 교대로 노새와 함께 수레를 밀어야 한다. 노새가 끌고 병사들도 함께 미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십사(第十四) 명전법(明戰法)**


* 전투 시에는 원래 수레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장거리 이동 시 병사들의 피로를 덜기 위해 노새를 사용하고 있다.

* 그러나 적과 10리(里) 이내로 접근하면, 아무리 훈련된 군사라도 당황하여 허둥지둥하고 명령을 제대로 따르지 못하는데, 하물며 길들여지지 않은 노새가 전쟁터에서 제대로 움직이겠는가?

* 적과 가까워지면 반드시 노새를 제거하고, 짐은 병사들이 직접 운반해야 한다.

* 병사들은 두 조로 나누어 교대로 수레를 끌어, 앞뒤 수레가 너무 멀어져 끊어지거나 너무 가까워 혼잡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제십오(第十五) 엄순차(嚴巡車)**


* 수레를 제작하여 각 영(營)에 배치한 후, 천총(千總), 파총(把總), 백총(百總), 차정(車正) 등 각 담당자에게 잘 관리하고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관리 및 보고를 철저하게 하도록 한다.

* 매일 각 수레의 병사들 중에서 1명씩 수레를 지키도록 하고, 매일 파총(把總) 1명, 차정(車正) 1명, 각 총(總)에서 1명씩 순찰하게 한다.

* 밤새 순찰하고, 다음 날 아침 교대 시간에 새로 순찰하는 사람과 교대하고 주장(主將)에게 "순찰 중 아무 이상 없었습니다."라고 보고한다.

* 만약 수레의 부품이나 못, 쇠붙이 등이 하나라도 없어지면, 그날 순찰을 담당했던 파총(把總)의 책임이다. 태형(棍打)에 처하고, 순찰 책임자(巡風)와 차정(車正)에게 수리 비용을 물린다.

* 교대할 때, 새로 순찰을 맡은 장교와 병사는 반드시 수레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앞서 말한 손상되거나 없어진 부품이 있으면 이전 순찰 담당자를 잡아 영(營)에 보고하여 조사하도록 한다. 만약 숨기거나 보고하지 않고, 교대 후에 발견되면, 교대 시간에 확인하지 않은 죄를 물어 처벌한다.

* 이러한 내용을 각 총(總)에 전달하고, 순찰 교대 시간과 담당자를 적은 표를 두 개 만들어 병사들에게 나누어 주고 잘 지키도록 한다. 표를 받고도 늦거나 잘못된 곳에 배치되면 군법에 따라 엄중히 처벌한다. 이 조항은 무기 관리 규정과 함께 표에 적어 잘 보이는 곳에 붙여 둔다.





## 치중병(輜重兵) 편성 및 장비


**제일(第一) 선치중병(選輜重兵)**


* 선발 하루 전에 패(牌), 번호표, 탁자, 허리패, 명부를 준비하는 것은 기병(騎兵) 선발과 같다.

* 선발 당일 천총(千總), 파총(把總), 백총(百總), 차정(車正), 대장(隊長)을 선발하는 것도 기병 선발과 같은 방식으로 한다.

* 치중 수레는 8,000량으로, 수레 1대당 노새 10마리를 배정한다. 북 수레(鼓車)는 2량으로, 각각 노새 4마리를 배정하고, 원수가 탑승하는 수레(元戎車)는 1량으로 노새 4마리를 배정한다.


**정병대(正兵隊) 선발 (9명)**


* 먼저, 정병대(正兵隊) 1대를 선발한다.

* 차정(車正) 1명을 옆으로 서게 하고, 해당 차정(車正)은 미리 지정된 노새 담당 병사 8명을 데리고 나와 서로 알아보게 한다.

* 차정(車正)을 선두로, 노새 담당 병사 8명을 차례로 1번부터 8번까지 정렬시킨다.

* 도공(舵工) 1명을 9번째로 배치한다.

* 1, 2, 3, 4, 5, 6번은 불랑기(佛狼機) 2대를 담당하고, 7, 8번은 노새를 전담한다.

* 도공(舵工)과 차정(車正)은 수레 관리를 맡는다.


**기병대(奇兵隊) 선발 (10명)**


* 기병대(奇兵隊) 1대를 선발한다.

* 먼저, 대장(隊長) 1명을 선발하고, 각 부(部)에서 9명을 선발하도록 지시한다.

* 8명에게는 화총(火銃)을 지급한다. 1, 2, 3, 4번은 긴 칼(長刀)를 겸용하고, 5, 6번은 창파(鎲鈀)와 화전(火箭)을 겸용한다. 7, 8번에게는 등패(藤牌)를 지급한다.

* 성실하고 부릴 만한 자 1명을 화병(火兵)으로 임명한다.



**차병(車兵) 훈련 및 배치**


* 수레 1대의 병력 구성이 완료되면, 규정에 따라 깃발을 지급하고, 차량 배치 그림을 보여주며 빈터에 그림과 같이 배치하도록 지시한다.

* 차정(車正)과 대장(隊長)은 각각 한 대(隊)씩 이끌고, 두 대(隊)를 한 조로 하여, 모든 수레가 준비되면 파총(把總)이 출발시킨다.

* 각 차정(車正)은 차량 배치 그림을 나무판에 붙여 수레에 걸어 두어, 이를 보고 지휘하고 관리하게 한다.

* 장관(將官) 아래 모든 차병(車兵)이 준비되면, 정해진 날에 훈련장에 집합하여, 요새 방어와 신호 체계를 숙지하도록 훈련시킨 후, 수레와 무기를 지급한다.


**수레 운용**


* 이 수레는 일반적인 덮개가 없고, 문도 없으며, 좌우 양쪽에 난간이 있다.

* 진영을 설치할 때에는 두 줄로 배치하고, 적을 만나면 사각형 진영을 이루어 전투 태세를 갖춘다. 전투 중에는 이동하지 않는다.




**제이(第二) 치기고(輜旗鼓)**


차영(車營)과 같다.




**제삼(第三) 치잡류(輜雜流)**


차영(車營)과 같다.




**제사(第四) 치병패(輜兵牌)**


차영(車營)과 같다.




**제오(第五) 치기호(輜旗號)**


차병(車兵)과 같지만, 각 천총(千總)은 2개 파총(把總)만 지휘한다.


* 좌부(左部) 1사(司)는 곧 전사(前司), 2사(司)는 곧 좌사(左司)이다.

* 우부(右部) 1사(司)는 곧 우사(右司), 2사(司)는 곧 후사(後司)이다.




**제육(第六) 치십기(輜什器)**


**차정(車正) 장비 (1인 기준)**


* 깃발: 1개 (창 머리 부분을 깃대로 사용)

* 깃대(槍頭旗桿): 1개

* 명盔(明盔): 1개

* 갑옷(甲): 1벌

* 가죽 허리띠(鞓帶): 1개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불랑기(佛狼機) 장비 (1대 기준)**


* 불랑기(佛狼機): 수레 1대당 2대, 조작 병사는 3명

* 자총(子銃): 9문

* 쇠闩(鐵閂): 2개

* 쇠망치(鐵錘), 송곳(錐), 가위(剪), 국자(匙), 총알 넣는 기구(凹心送子): 각 1개

* 화약(火藥): 3냥(三兩)씩 한 번 발사할 양으로 300번 발사할 분량을 준비하여 총 20근(斤)을 준비한다.

* 큰 탄환(大鉛子): 100개

* 화승(火繩): 5개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조총수(鳥銃手) 장비 (1인 기준)**


* 조총(鳥銃): 1정

* 총대(杖): 1개

* 화약통(錫鱉): 1개

* 약관(藥管): 30개

* 탄환 주머니(鉛子袋): 1개

* 총집(銃套): 1개

* 화약(火藥): 3돈(三錢)씩 한 번 발사할 양으로 300번 발사할 분량을 준비하고, 여분으로 6냥(六兩)을 준비하여 총 6근(斤)을 휴대한다.

* 탄환(鉛子): 300개

* 화승(火繩): 5개

* 탄환 주형(鉛子模): 각 국(局)마다 1벌씩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 탄환과 화약의 비율은 기병(騎兵)의 조총과 같다.


**대봉수(大棒手) 장비 (1인 기준)**


* 큰 몽둥이(大棒): 1개 (몽둥이 머리에 날이 달려 있다. 규격 있음)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화병(火兵) 장비 (1인 기준)**


* 철편담(鐵尖扁擔): 1개

* 구리 솥(銅鍋): 2개

* 물통(水桶): 2개

* 야표(椰瓢, 코코넛 바가지): 1개


**수레(車) 1대 장비**


* 휘장(圍幔): 1개

* 차축 뽑는 밧줄(拔軸繩): 2개

* 언덕 오르는 밧줄(稍坡繩): 1개

* 꺼내는 밧줄(出索繩): 6개

* 뿌리는 밧줄(撒繩): 2개

* 맞이하는 밧줄(迎撒繩): 2개

* 큰 쇠고리(大鐵環): 2개

* 작은 쇠고리(小鐵環): 2개

* 쇠사슬(鐵索): 2개

* 가죽 배띠(皮肚帶): 1개

* 가죽 뒷걸이(皮後鞦): 1개

* 삼베 뭉치(麻擁子): 10개

* 삼베 깔개(麻搭子): 20개

* 나무 안장(木鞍): 1개

* 서랍(屉子): 1개

* 여물통(草): 1개

* 버드나무 바구니(柳筐): 1개

* 물통(水桶): 2개

* 물 싣는 큰 바구니(載水大): 1개


**수레 1대 적재량**


* 좁쌀(🌑): 2석(石) 5두(斗)

* 쌀(米): 3석(石) 7두(斗) 5승(升)

* 콩(豆): 6석(石) 2두(斗) 5승(升)




**제칠(第七) 계치승(計輜乘)**


* 앞서 ‘차병 선발’에서 설명했듯이, 새로 삼둔(三屯)에 3개 영(營)을 설치했다. 중영(中營)은 삼둔(三屯), 전영(前營)은 밀운(密雲), 후영(後營)은 준화(遵化)에 주둔한다. 민간에서 사용하는 큰 수레에 판자를 깔아 좌우 칸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제팔(第八) 치분수(輜分數)**


* 20명을 한 대(隊)로 편성하고, 한 대(隊)가 한 수레(一宗)를 담당한다.

* 수레 1대당 차정(車正) 1명을 배치한다.

* 수레 5대를 1조로 하여 백총(百總) 1명이 지휘한다. 이를 1국(局)이라 한다.

* 4국(局)을 1조로 하여 파총(把總) 1명이 지휘한다. 이를 1사(司)라 한다.

* 2사(司)를 1조로 하여 천총(千總) 1명이 지휘한다. 이를 1부(部)라 한다.

* 2부(部)를 1조로 하여 장관(將官) 1명이 지휘한다. 이를 1영(營)이라 한다.




**제구(第九) 치책성(輜責成)**


* 각 차정(車正)은 한 수레(一車)를 총괄하여, 정병대(正兵隊), 기병대(奇兵隊), 도공(舵工) 등 모든 병사를 지휘한다. 특히 정병대(正兵隊)의 노새 담당 병사, 불랑기 조작수, 도공을 직접 관리한다.

* 기병대(奇兵隊)의 대장(隊長)은 자신의 대(隊)만 관리하고, 다른 차량의 병사들은 간섭하지 않는다.

* 차정(車正)과 도공(舵工)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차 안에서 전복되지 않도록 차량 관리에 전념한다. 노새 담당 병사들은 노새가 뛰어오르거나 날뛰지 않도록 관리한다.

* 노새 담당 병사 중 6명은 불랑기(佛狼機)를 전담한다.

* 기병대(奇兵隊) 1대는 조총수(鳥銃手)와 쾌창수(快鎗手) 6명으로 구성된다.

* 1, 2, 3, 4번은 조총(鳥銃)과 장도(長刀)를 사용하고, 5, 6번은 조총과 등패(藤牌), 허리칼(腰刀)을 사용하며, 7, 8번은 창파(鎲鈀)와 화전(火箭)을 사용한다.

* 차 안에서는 등패(藤牌)를 수레에 넣어두고 모두 조총을 발사한다.

* 적과 가까워지면 4명은 멀리서 조총을 쏘고, 적이 가까이 오면 장도(長刀)를 사용한다.

* 5, 6번은 조총을 수레에 넣어두고, 등패(藤牌)와 칼을 사용한다. 각자 물에 젖은 돌멩이(水光石) 3개를 가지고 다니며, 적이 가까이 오면 돌멩이를 던지고, 백병전에서는 등패를 사용한다.

* 7, 8번은 멀리서 화전(火箭)을 쏘고, 적이 가까이 오면 창파(鎲鈀)를 사용한다. 모두 원앙진(鴛鴦陣)을 구성한다.





**제십(第十) 치전대(輜戰隊)**


차영(車營)과 같다.




**제십일(第十一) 치행영(輜行營)**


행군할 때 모든 병사는 각자 맡은 무기를 휴대한다.

웅덩이나 진흙탕, 물길을 만나면 모두 힘을 합쳐 수레를 밀어 노새를 돕고, 빠르게 위험한 곳을 빠져나간다.




**제십이(第十二) 호령(號令)**


차영(車營)과 같으며, 화재 예방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제십삼(第十三) 치휴량(辎餱糧)**


각 영(營)마다 다음과 같이 곡식을 비축한다.


* 좁쌀(🌑炒): 200석(石)

* 쌀(米): 300석(石)

* 검은콩(黒豆): 500석(石)


평상시에는 주둔지에 창고(倉厫)를 마련하고, 좁쌀, 쌀, 콩을 새로 정한 규정에 따라 관청 창고에서 가져다가 모두 천 주머니(布袋)에 담아 보관한다. 혹시 급하게 운반해야 할 때 대비하기 위함이다.


매년 여름에 한 번씩 햇볕에 말리고, 3년이 지나면 군량미(軍支用)로 사용한다.


각 군사에게 지급할 행군 식량(行糧)은 해당 창고에서 일괄 수령하여, 담당 관리가 준비하거나, 돈으로 바꿔서 식량을 구매하여 치중 식량(輜糧)으로 사용한다. 깨끗한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 차기병(車騎兵) 연합 부대


**제일(第一) 차기병영(車騎倂營)**


* 보병(步兵) 1지(枝)와 기병(騎兵) 1지(枝)를 합쳐 1영(營)으로 편성한다.

* 기병영(騎兵營)과 차병영(車兵營)을 각각 미리 선발하고, 행군 훈련을 통해 익숙해지도록 한 후 합친다.

* 수레는 두 줄로 배치하고, 모든 덮개는 바깥쪽을 향하게 한다. 앞뒤 문이 있는 수레는 모두 합쳐, 앞문 수레 8량, 뒷문 수레 8량, 좌우 보조 수레 각 2량으로 배치한다.

* 좌우 덮개 있는 수레는 두 대씩 연결하여 기병(騎兵) 1기(旗)를 배치한다.

* 기병(騎兵)은 3국(局)이 1사(司)인 경우 이와 같이 배치하고, 4국(局)이 1사(司)인 경우에는 문 수레에 모두 배치한다.

* 기병(騎兵)의 기총(旗總)과 두 수레의 차정(車正) 3명은 서로 알아보게 하고, 어떤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회전하고, 열고 닫고, 전진하고 멈추더라도 3명이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 수레 덮개는 항상 바깥쪽을 향하게 하고, 차정(車正)은 기총(旗總)을 확인한다. 만약 서로 떨어지면, 반드시 기총(旗總)을 불러 가까이 있도록 한다. 기총(旗總)은 두 대의 수레를 잘 살피고, 서로 떨어지면 반드시 가까이 돌아와 합류해야 한다. 기병(騎兵)이 수레에 따라가고, 수레가 기병(騎兵)에 따라가서는 안 된다. 만약 떨어지면, 기총(旗總)에게 책임을 묻는다.

*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영 안팎을 이동할 때, 기병(騎兵)은 두 수레 사이에 머무르고, 첫 번째 기총(旗總)은 첫 번째 수레 맨 앞을 벗어나지 않고, 세 번째 대(隊)의 화병(火兵)은 두 번째 수레 맨 뒤를 벗어나지 않으며, 서로 바짝 따라다닌다. 수레가 가는 방향으로 기병(騎兵)도 따라간다.

* 이와 같이 정해진 대로 1영(營)을 구성하면, 10영(營), 1만 명, 10만 명으로 늘어나도 혼란스럽지 않고, 앞으로 쏠리거나 뒤로 끊어지지 않으며, 수레가 앞서고 말이 뒤따르거나 말이 앞서고 수레가 뒤따르는 실수도 없다.




**제이(第二) 차기책성(車騎責成)**


* 전차(戰車)가 먼 거리를 이동할 때, 노새를 추가하거나 병사들을 동원하여 수레를 끌게 할 수 있다.

* 치중영(輜重營)의 수레는 노새 8마리씩 배정되어 있으므로, 수레가 빠졌을 때 각각 구조하기 어렵다. 기병(騎兵) 1기(旗)는 진흙탕이나 물길을 만나면 말에서 내려 힘을 합쳐 수레를 끌어 통과한다.

* 이는 험한 지형에 따라 임기응변으로 처리하는 것이지, 명령에 따르는 것이 아니다.

* 만약 지형이 매우 험난하여 인력이 부족할 경우, 각 군사의 말을 이용하여 고삐를 연결하여 수레에 묶고, 힘을 합쳐 끌어낸다. 수레마다 도착할 때마다 정비하면 행군 속도가 느려지므로, 앞쪽 길이 험난하면 한 수레가 정비를 마치면 바로 돌아와 다른 수레들을 함께 정비하게 한다. 험한 곳을 지나면 평지처럼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 차보기(車步騎) 상호 보증 서약


**제일(第一) 상급자의 하급자에 대한 보증 서약**


상급자가 하급자에 대해 "결코 나약하지 않다"는 것을 보증하는 서약서를 받는다.


* 참유(參遊) 🌕🌕🌕는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천총(千總)이 결코 나약하지 않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사실이 아니면 기꺼이 죄를 받겠습니다. 이 서약서는 사실입니다.

* 천총(千總) 🌕🌕🌕는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파총(把總)이 결코 나약하지 않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사실이 아니면 기꺼이 죄를 받겠습니다. 이 서약서는 사실입니다.

* 🌕사(司) 파총(把總) 🌕🌕🌕는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백총(百總)이 결코 나약하지 않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사실이 아니면 기꺼이 죄를 받겠습니다. 이 서약서는 사실입니다.

* 백총(百總) 🌕🌕🌕는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기총(旗總)이 결코 나약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이름을 도용하지 않았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사실이 아니거나 도망치는 자가 있으면 기꺼이 죄를 받겠습니다. 이 서약서는 사실입니다.

* 기총(旗總) 🌕🌕🌕는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대총(隊總)이 결코 나약하거나 노쇠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이름을 도용하지 않았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사실이 아니거나 도망치는 자가 있으면 기꺼이 죄를 받겠습니다. 이 서약서는 사실입니다.

* 대총(隊總) 🌕🌕🌕는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병사들이 노쇠하거나 나약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이름을 도용하지 않았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사실이 아니거나 도망치는 자가 있으면 기꺼이 죄를 받겠습니다. 이 서약서는 사실입니다.




**제이(第二) 하급자의 상급자에 대한 보증 서약**


하급자가 상급자에 대해 전투에서 "결코 실수하지 않을 것"을 보증하는 서약서를 받는다.


* 천총(千總) 🌕🌕🌕 등은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장관(將官) 🌕🌕🌕를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여 결코 실수하지 않겠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실수하면 기꺼이 목숨으로 책임지겠습니다.

* 파총(把總) 🌕🌕🌕 등은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천총(千總)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여 결코 실수하지 않겠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실수하면 기꺼이 목숨으로 책임지겠습니다.

* 기총(旗總) 🌕🌕🌕 등은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백총(百總)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여 결코 실수하지 않겠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실수하면 기꺼이 목숨으로 책임지겠습니다.

* 대총(隊總) 🌕🌕🌕 등은 현재 🌕🌕에 있으면서, 소속 기총(旗總)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하여 결코 실수하지 않겠음을 보증합니다. 만약 실수하면 기꺼이 목숨으로 책임지겠습니다.




**중군기고(中軍旗鼓)**


* 청도부(清道夫, 길을 청소하는 병사)들이 장수의 깃발과 북을 앞세우는 것은 단순히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 아니다.

* 요즘 장수들은 전투에 깃발과 북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 의미를 잊고 단순히 위엄을 보여주는 장식으로 생각하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생각이다.

* 평상시에는 군대가 행군할 때 장수의 중군(中軍) 역할을 하고, 장수는 그 아래에서 행군 대열의 중앙에 위치한다.

* 적의 공격 징후가 있으면 진영을 나누어 벽처럼 방어하는 역할을 하고, 깃발을 세워 위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 즉, 행군할 때는 진(陣)을 이루고, 멈출 때는 영(營)을 이루는 것이다.

* 사람들은 병사들이 길에서 어지럽게 움직이는 것을 보고 구군팔진(九軍八陣), 오행육화(五行六花) 진법이 그 안에 담겨 있는 것을 알지 못한다.

* 호령(號令) 소리에 따라 순식간에 진영을 설치하는데, 사람들은 각자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면서도 깃발과 북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알지 못한다.

* 진영을 해체할 때도 호령(號令)과 그림에 따라 행군 대형을 갖춘다. 전쟁에 능통한 자가 아니면 이러한 오묘한 이치를 알지 못하고, 단순히 거추장스러운 것으로 여길 뿐이다. (그림은 왼쪽에 있음)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9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021892 공지 신문고 [21]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1 3117 25
1022066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공지 [3]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1 711 6
101725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갱신차단 목록 [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1 1613 16
67532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정보 모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8681 17
728432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시트(23.08.04) [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0 16986 31
1027523 일반 1588)당신들은 잘 모르겠지만 저는 천사가 아닙니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51 94 1
1027522 일반 남북조시대 황제 혈통 비율 [3] qq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64 0
1027521 일반 그러고보니 단편소설로 39선 설정해야 한단 소설 있지않았냐 武蔵改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3 61 0
1027520 창작 군밤/편살/ㄴㄷㅆ)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6] 삽질공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297 10
1027519 일반 ㄱㅇㄷ) 한반도에서도 염초밭 만들 수 있음? [1] 대붕이(1.240) 01:29 133 0
1027518 일반 경제연산) 조선 조선 그 무엇보다 조선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200 1
1027517 일반 경제연산 조선판 융커가 갑사 되는거 아님? [5] ㄱㄴㄷㅂㅈ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4 188 0
1027516 일반 화약대공 올만에 다시 스타트할까 하는데 [1] ㅇㅇ(211.205) 01:18 74 0
1027515 일반 삼반도 창작 모음 hunch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60 5
1027514 일반 경제연산) 식민지는 너무 잔인하다 생각해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201 2
1027513 일반 1588) 네모는 인간 맞지 않을까 ㅇㅇ(58.122) 01:16 96 0
1027512 창작 삼반도) 아시아도 내전중! [22] hunch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208 8
1027511 일반 경제연산) 10년뒤 마시에 등장하는 여진족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191 0
1027510 일반 ㄱㅇㄷ)쿠데타서 영프가 러샤에게 공세요청한 이유를 겜으로 알음 [15] 이펜시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6 154 0
1027508 일반 ㄱㅇㄷ)일제가 아카기,카가를 폐함처분 대신 대개장한 이유가 뭘까? [4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9 153 1
1027507 일반 화약대공) 히틀러도 당황시킨 풀로늄쌍화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3 130 0
1027506 창작 ㄱㅁㅁ) 니코틴, 플리즈! [4] 럭키-스트라이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1 146 7
1027504 일반 진짜 천사였던 네모가 키보토스 가는 창작 '써줘'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4 107 0
1027502 일반 오늘은 좀 열심히 잡아야겠다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0 136 3
1027146 공의회 완장 깡계제 부활에 관한 1차 투표 [6]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578 12
1026957 공의회 말머리 탭 투표 개시 [18]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066 17
1016225 대회 트립대전, 버섯재벌, 트립사학도 대회를 개최합니다 [23]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3082 35
1027500 일반 경제연산) 이쯤되면 만주는 조선의 [8] SL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2 228 9
1027499 일반 안녕하세요, 앙금고라니입니다. (우선 내일 4연참입니다.) [12] 앙금고라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617 31
1027498 일반 1588) "저는 천사가 아닙니다." [2] 리스RIS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378 11
1027497 일반 동롬황녀 판도 이거 맞나? 도움 좀 [3] 크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88 1
1027496 일반 경제연산) 청나라 삭제는 확정이네. [5] 심심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506 11
1027495 일반 [편살] 100화까지 다 읽었음 지옥참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82 0
1027494 일반 짐승조선)덕구와 뭉자에게 금수는 부모나 다름없기에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03 1
1027493 창작 판도 색칠 해봄 [2] 대붕이(182.221) 06.24 173 0
1027492 일반 조선 석유왕 이거 뭐임? 오이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59 0
1027491 일반 을미고종+쿠데타+???) 이러면 어찌 됨? [4] 대붕이(121.132) 06.24 227 2
1027490 일반 1588)근대 네모가 진짜 일개 하급천사여도 [5] ㅇㅇ(221.158) 06.24 420 8
1027489 일반 ㄱㅇㄷ)본인 오늘 필력 대폭발의 날인가 대붕이(220.89) 06.24 133 1
1027488 일반 흑태자 후속작 문피아 등록 연기합니다. [8] 안티고노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575 24
1027487 일반 조선엑소) 정몽주 ㅋㅋㅋㅋㅋㅋ [4] 눈꽃과이야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05 1
1027486 일반 경제연산) 사실 동아망개가 아이신기오로 칭하는건 [4] SL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498 12
1027485 일반 하급귀족) 얼마전부터 보기 시작한건데 풀로늄쌍화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19 1
1027484 일반 군밤) 귀남옹의 차 사랑으로 조선이 모터스포츠 강국이 된다면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77 3
1027483 일반 1588) 저기 네모님 뒤에 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06 2
1027482 창작 삼반도) 유럽은 내전중! [32] hunch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511 12
1027481 일반 경제연산) 그러고보니 일본도 컷 당할 후보가... [5] SL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358 10
1027480 창작 군밤)의경 지원을 하다니 자네 제정신인가!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679 19
1027479 일반 경제연산)오늘 나온 아이신기오로가 된 동아망개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480 18
1027478 일반 1588) 미카엘: 쟤는 어느 부서 애인데 저기서 인간코스프레하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317 4
1027477 일반 1588) 제가 저들의 죄를 대속하겠습니다. [3] 중소기업가지마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346 8
1027475 일반 경제연산) 아니 이게 무슨 미친전개얔ㅋㅋㅋㅋㅋㅋㅋ [3] SL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812 22
1027474 일반 슬램덩크처럼 엔딩나는 대역은 못나오려나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22 3
1027473 일반 1588)공동체라는 말을 교회로 치환해도 될듯? [1] 대붕이(175.196) 06.24 279 11
1027472 일반 띵군이 본격 로맨스로 못 가는 이유 [3] 대붕이(211.114) 06.24 214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