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역사] (ai번역) '바다 너머에서 행해진 일들의 역사' 서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7 06:06:23
조회 223 추천 0 댓글 1
														

7cee8274abc236a14e81d2b628f1716cff0b4c




WILLELMUS, Dei patientia sanctae Tyrensis Ecclesiae minister indignus, venerabilibus in Christo fratribus, ad quos praesens opus pervenerit, aeternam in Domino salutem.

하느님의 자비로 거룩한 티레 교회의 무가치한 종 기욤은, 그리스도 안에서 경건한 형제들, 곧 이 글을 읽는 형제들에게 주님 안에서 영원한 구원을 기원합니다.


Periculosum esse et grandi plenum alea regum gesta describere, virorum prudentium nemo est qui dubitet. Nam, ut laborem, juge studium, perennes vigilias, quibus hujusmodi solent indigere negotia, penitus omittamus, duplex historiographis certum est imminere praecipitium: quorum vix est, ut alterutrum declinare valeant. Effugientes enim Charybdim, Scyllam incurrunt, quae succincta canibus, non minus novit procurare naufragia. Aut enim rerum gestarum veritatem prosequentes, multorum in se conflabunt invidiam; aut indignationis gratia leniendae, rerum occultabunt seriem in quo certum est non deesse delictum. Nam rerum veritatem studiose praeterire, et occultare de industria, contra eorum officium esse dignoscitur. Ab officio autem cadere, procul omni dubio, culpa est; si tamen vere dicitur officium, congruus actus uniuscujusque personae, secundum mores et instituta patriae. Rerum autem incontaminatam prosequi gestarum seriem, et veritatis regulam non deserere, res est quae indignationem solet saepius excitare, juxta illud quod vetere proverbio dici solet: Obsequium amicos, veritas odium parit. Aut igitur a suae professionis cadent officio, obsequium praestantes indebitum; aut rei veritatem prosequentes, odium, cujus ipsa mater est, eos oportebit sustinere. Haec nimirum frequentius ita sibi solent adversari, et se mutua importunitate reddere molesta. Nam juxta Ciceronis nostri sententiam: Molesta est veritas, siquidem ex ea nascitur odium, quod est amicitiae venenum; molestius tamen obsequium, quod vitiis indulgens, amicum sinit ire praecipitem: quod in se videtur implere, qui obsequii gratia, contra officii debitum supprimit veritatem. Nam eorum qui adulationis studio rerum gestarum articulis involvunt impudenter mendacia, tam detestabile factum creditur, ut nec scriptorum numero debeant sociari. Si enim rerum veritatem gestarum occultare secus est, et deficiens a scriptoris officio, multo fortius peccatum reputabitur, mendacii naevum veris immiscere; et quod a vero deficit, credulae pro vero posteritati contradere. Ad haec, nihilominus aeque vel amplius formidabile historiarum scriptoribus solet discrimen occurrere, totis viribus fugiendum; videlicet, ne rerum gestarum dignitas, sermonis ariditate et oratione jejuna sui dispendium patiatur. Verba enim rebus, de quibus agitur, decet esse cognata; nec a materiae nobilioris elegantia, scriptoris linguam degenerare. Unde magnopere cavendum ne amplitudo materiae tractatus debilitate succumbat, et vitio narrationis exeat macilentum vel debile, quod in sui natura pingue solidumque subsistit.

왕들의 행적을 기록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하고 큰 모험으로 가득 차 있는지 현명한 사람이라면 누구도 의심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런 종류의 일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노고, 끊임없는 노력, 끊임없는 밤샘 연구는 완전히 논외로 하더라도, 역사가들에게는 피할 수 없는 두 가지 함정이 도사리고 있으며, 그들은 그중 어느 것 하나도 피해 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카리브디스를 피하려다가 스킬라에게 걸려드는 것처럼 말입니다. 스킬라는 개들로 둘러싸여 배를 난파시키는 데 조금도 뒤지지 않습니다.

역사가들은 사건의 진실을 추구하면 많은 사람들의 시기와 미움을 받게 되고, 반대로 분노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사실을 숨기면 거짓을 저지르는 것을 피할 수 없습니다. 사건의 진실을 의도적으로 외면하고 숨기는 것은 역사가의 의무에 어긋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의무에서 벗어나는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잘못된 일입니다. 만약 의무라는 것이 각 개인의 사회적 관습과 제도에 따른 적절한 행동을 의미한다면 말입니다.

그러나 사건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추구하고 진실의 규칙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은 종종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일입니다. 옛 속담에도 있듯이, "아첨은 친구를 만들고, 진실은 미움을 낳는다"는 말처럼 말입니다. 따라서 역사가들은 자신의 직업적 의무에서 벗어나 부당한 아첨을 하거나, 진실을 추구함으로써 증오, 곧 진실의 어머니 격인 증오를 견뎌내야 합니다.

이러한 어려움은 서로 끊임없이 대립하며 상호적인 불쾌함으로 역사가를 괴롭힙니다. 키케로의 말처럼 "진실은 괴롭다. 진실로부터 미움이 생겨나고, 미움은 우정의 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악에 동조하여 친구를 파멸로 이끄는 아첨은 더욱 괴롭다." 아첨하기 위해 의무에 반하여 진실을 숨기는 자는 스스로에게 이러한 말을 되새기는 것처럼 보입니다. 아첨하기 위해 역사적 사건을 뻔뻔스럽게 날조하는 행위는 너무나 비열한 짓이라서 작가의 반열에 끼워서는 안 됩니다. 사건의 진실을 숨기는 것이 역사가의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라면, 사실에 거짓의 얼룩을 묻히고 진실과 다른 것을 순진한 후세에 진실인 것처럼 전하는 것은 훨씬 더 큰 죄악입니다.

게다가 역사가들에게는 이와 같거나 더욱 두려운 어려움이 끊임없이 나타나는데, 그것은 온 힘을 다해 피해야 하는 것입니다. 즉, 역사적 사건의 위엄이 건조한 문체와 단조로운 표현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역사가가 다루는 사건에 걸맞은 수준 높은 표현을 사용해야 하며, 고귀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저속한 언어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므로 주제의 방대함이 서술의 부실함으로 인해 빛을 잃지 않도록, 그리고 본질적으로 풍부하고 견고한 내용이 서술의 결함으로 인해 메마르고 빈약해지지 않도록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Nam, ut ait orator eximius in Tusculanarum primo: Mandare quemquam litteris cogitationes suas, qui eas nec disponere nec illustrare possit, nec delectatione aliqua lectorem allicere, hominis est intemperanter abutentis et litteris et otio. Hoc igitur dilemma et multiplicitatem periculi, in praesenti nobis videmur incidisse. Nam in opere quod gestamus prae manibus, multa de regum moribus, et vita, et corporum habitudine, sive commendabilia, sive notae sub.jacentia, prout rerum gestarum series videbatur deposcere, interseruimus; quae eorum posteri relegentes, impatienter fortasse portabunt, et adversus chronographum praeter meritum incandescent; aut invidum aut mendacem reputabunt, quorum utrumque (vivit Dominus) tanquam rem fugimus agere pestilentem. Nam de reliquo jam non licet ambigere; quod ad impar opus impudenter enitimur, et quod ad rerum dignitatem nostra non satis accedit oratio. Nonnihil est tamen quod egimus. Nam et in picturis rudes, et ad artis arcana nondum admissi, luteos primum solent colores substernere, et prima lineamenta designare quibus manus prudentior, fucis nobilioribus decorem consuevit addere consummatum. Primo enim, summo labore jecimus fundamenta, quibus sapientior arch.itectus, observata veritatis regula, quam in nullo deseruimus, egregio tractatu, artificiosa magis poterit superaedificare triclinia. Inter tot igitur periculorum insidias et anceps discrimen, tutius fuerat quievisse, silendumque erat, et otium calamis indicendum; sed urgentissimus instat amor patriae, pro qua vir bene dispositus etiam (si id necessitatis articulus exigat) vitam tenetur impendere. Instat, inquam, et auctoritate qua praeeminet, imperiose praecipit, ut quae apud se centum pene annorum gesta sunt curriculis, silentio sepulta, non patiamur sentire posse oblivionis incommodum; sed styli exarata diligenter officio, posteritatis memoriae conserventur. Paruimus igitur, et manus dedimus ei, cui nostram non satis honeste negare poteramus operam; non multum attendentes quid de nobis censura sit posteritas; et quid in tam excellente materia exsanguis nostra mereatur oratio. Paruimus sane, utinam tam efficaciter quam libenter; utinam tam commendabiliter quam devote: natalis soli magis tracti dulcedine, quam vires cum assumpto labore compensantes; non ingenii ope freti, sed pii fervore affectus, et charitatis sinceritate.

뛰어난 연설가 키케로가 《투스쿨라눔 논박》 첫 권에서 말했듯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명료하게 표현할 줄도 모르고, 독자에게 어떤 즐거움도 줄 수 없는 자가 글을 쓰는 것은 분별없이 글과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바로 이러한 딜레마와 다층적인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우리가 집필 중인 이 책에는 왕들의 성품, 삶, 습관에 대한 많은 내용이 담겨 있으며, 사건의 전개에 따라 칭찬할 만한 내용과 비난받을 만한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들의 후손이 이를 읽고는 불쾌하게 여겨 공평한 평가도 내리지 않은 채 기록자를 비난할 수도 있습니다. 시기심에 차 있거나 거짓말.쟁이라고 매도할 수도 있는데, 우리는 주님의 이름으로 그 어느 것도 마치 역병과도 같이 피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우리는 감히 우리의 능력을 넘어서는 작업에 착수했고, 우리의 문체는 주제의 위엄에 걸맞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룬 것도 있습니다. 그림을 그릴 때 미술의 비법을 아직 깨우치지 못한 초보자도 먼저 황토색으로 바탕을 칠하고 기본적인 윤곽을 그립니다. 그런 다음 숙련된 화가가 더욱 고급스러운 색상으로 완벽한 아름다움을 더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 토대를 쌓았습니다. 이제 더 현명한 건축가가 우리가 결코 벗어나지 않은 진실의 규칙을 준수하면서 더욱 훌륭하고 예술적인 건축물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온갖 위험과 어려움 속에서 침묵을 지키고, 펜을 꺾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더 안전한 길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조국의 사랑이 우리를 재촉합니다. 올바른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필요하다면 기꺼이 목숨을 바쳐야 합니다. 조국의 사랑이, 우리에게 명령하고, 거의 백 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일어났던 일들이 침묵 속에 묻혀 잊히지 않도록 기록하고, 후세에 전하라고 명령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비록 부족한 능력이지만 조국의 부름에 응했습니다. 후세의 평가나 이 훌륭한 주제에 우리의 문체가 얼마나 부족할지는 크게 개의치 않고 말입니다. 우리는 기꺼이, 진심을 다해 이 일에 착수했습니다. 능력이 부족한 만큼 열정을 다했고, 화려한 미사여구보다는 진실한 마음으로 조국에 대한 사랑을 표현했습니다.



Accessit praeterea domini Almarici regis (cujus anima sancta requie perfruatur) illustris memoriae, et inclytae in Domino recordationis jussio, non facile negligenda, et instantia multiplex, quae ad id ipsum nos maxime impulit, cujus etiam rogatu, ipso Arabica exemplaria ministrante, aliam Historiam a tempore seductoris Mahumeth, usque in hunc annum, qui est nobis ab Incarnatione Domini 1184, per annos quingentos septuaginta decurrentem conscripsimus: auctorem maxime secuti virum venerabilem Seith, filium Patricii, Alexandrinum patriarcham. In hac vero, nullam aut Graecam, aut Arabicam habentes praeducem scripturam, solis traditionibus instructi, exceptis paucis quae ipsi oculata fide conspeximus, narrationis seriem ordinavimus, exordium sumentes ab exitu virorum fortium, et Deo amabilium principum, qui a regnis Occidentalibus, vocante Domino, egressi, terram promissionis, et pene universam Syriam in manu forti sibi vindicaverunt: et inde usque ad regnum domini Balduini IV, qui in ordine regum, computato domino duce Godefrido, qui primus regnum obtinuit, locum habuit septimum; per annos LXXXIV cum multa diligentia protraximus historiam. Et, ut ad pleniorem status Orientalium regionis, lectori nihil deesse possit intelligentiam studioso, paucis et succincte praemisimus, quo tempore et quanto, servitutis jugum passa fuerit; quae fuit hoc medio tempore fidelibus in ea degentibus inter infideles conditio, et quae fuerit occasio, ut post tam longa continuae servitutis tempora, Occidentalium principes regnorum ad eorum liberationem exciti, tantum sibi peregrinationis onus assumpserint. Quod si quis ad nostras occupationes respiciat, quorum multiplicitate fatigamur plurimum; tum circa egregiam et a Deo custoditam Tyrorum metropolim, cui non de meriti electione, sed sola Domini patientia praesidemus; tum circa domini regis negotia, in cujus sacro palatio cancellarii fungimur dignitate; et circa necessitates alias, quae solito majores emergunt: ad indulgendum erit proclivior, si forte in opere praesenti occurrerit, unde justius offendatur. Occupatus enim circa plurima animi motus interior, ad discutienda diligentius singula solet debilior consurgere; et partitus, tantam singulis non potest impendere diligentiam, quantam totus apud se residens, uniformis, consuevit unicis et singularibus aptare studiis.

더욱이 거룩한 기억을 남기고 주님 안에서 잠드신 (그의 영혼에 자비가 있기를) 위대한 알마릭 왕께서 이 일을 명하셨으니, 감히 거절하기 어려운 명령이었고, 그분의 거듭된 간청은 우리를 더욱 이끌었습니다. 그분께서는 친히 아랍어 사본을 제공하시며, 거짓 예언자 무함마드의 시대부터 주님의 탄생 1184년인 올해까지 570년의 역사를 다른 관점에서 서술해 달라고 부탁하셨습니다. 저는 존경하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인 세이스의 아들인 유세비우스의 글을 주로 참고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작업에서는 그리스어나 아랍어로 쓰인 선행 연구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우리가 직접 목격한 몇몇 사건을 제외하고는 오로지 구전에 의존하여 이야기를 재구성해야 했습니다.

우리는 서방 세계에서 주님의 부름을 받고 일어나 용맹하게 싸워 약속의 땅과 거의 모든 시리아 지역을 되찾은, 경건하고 용감한 군주들의 업적부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왕국을 건설한 고드프루아 공작을 포함하여 일곱 번째 통치자인 현재의 왕 보두앵 4세에 이르기까지 84년의 역사를 매우 세심하게 기록했습니다. 동방 지역의 상황을 독자들이 온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몇 가지 간략한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우리는 동방 지역이 언제, 얼마나 오랫동안 고통의 멍에를 짊어져야 했는지, 그 기간 동안 이교도들 사이에서 살아남은 신실한 사람들의 삶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그토록 오랜 세월의 노예 생활 끝에 서방 세계의 군주들이 어떤 계기로 그들을 해방하기 위해 목숨을 건 여정에 나서게 되었는지를 간략하게 서술했습니다.

만약 누군가 우리의 고된 삶과, 주님의 은총으로 우리가 감독하는 티레의 위대한 교구, 왕궁 서기관으로서의 의무, 그리고 종종 더 중요한 다른 책무들로 인해 우리가 얼마나 지쳐 있는지 헤아려 본다면, 이 책에서 어떤 오류를 발견하더라도 너그럽게 이해해 줄 것입니다.

여러 가지 생각으로 마음이 어지러울 때는 하나하나 꼼꼼하게 논의하기가 어렵고, 여러 가지 일에 신경을 분산하다 보면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할 때만큼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Unde et facilius meretur veniam. Distinximus autem volumen universum in libros XXIII eorumque singulos certis designavimus capitulis, quo lectori facilius quidquid de articulis historiae sibi viderit necessarium, occurrat: propositum habentes, vita comite, quae deinceps nostris temporibus rerum futurarum depromet varietas, his quae praemisimus addere; et numerum augere librorum, pro quantitate occurrentis materiae. Certum porro tenemus, nec nos haec fallit opinio, quod nostrae imperitiae testem producimus opus praesens. Et qui latere possumus silentes, nostrum scribendo prodimus defectum, dum officium, charitatis amplectimur; magis tamen volumus absque ea quae inflat inveniri, quam ea quae aedificat carere. Nam sine illa plures ingressi ad nuptias, mensa regis inventi sunt digni; qui autem sine hac inventus est inter convivas, audire meruit: Quomodo hoc intrasti non habens vestem nuptialem? (Matth. XXII, 12) quod ne nobis accidat, avertat qui solus potest, miserator et misericors Dominus. Scientes tamen, quoniam multiloquio non solet deesse peccatum (Prov. X, 20) ; et miseri hominis lingua in lubrico posita, poenam facile meretur, invitamus fraterne, et exhortamur in Domino nostrum lectorem, ut cum justum reprehensionis locum invenerit, charitate media, utatur ea licenter, et de nostra correctione, sibi acquirat aeternae vitae praemium: memorque nostri in suis orationibus impetret apud Dominum, ut quidquid in opere praesenti deliquimus, nobis non imputet ad mortem, sed de gratuita bonitate et inolita pietate clementer indulgeat Salvator mundi, cujus tribunal nos miseri et inutiles in domo ejus servi, accusantem supra modum verentes conscientiam, non immerito formidamus.

그러니 부디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전체 내용을 23권으로 나누고 각 권마다 장을 구분하여 독자들이 필요한 부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우리 시대에 일어날 다양한 사건들을 기록하여 이 책에 추가하고, 새로운 사건들이 생겨나는 만큼 책의 권수도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우리의 부족한 실력으로 쓴 이 책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침묵을 지키면 드러나지 않을 부족함을 사랑의 마음으로 이 책을 쓰면서 드러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교만하여 책망받는 것보다 부족하더라도 사랑을 실천하는 편을 택했습니다. 교만하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이 혼인 잔치에 초대받았지만, 왕의 식탁에 앉을 자격을 얻은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혼인 예복을 갖추지 않고 잔치에 참석한 사람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어떻게 예복을 입지 않고 여기 들어왔느냐?” (마태복음 22:12). 우리가 그런 사람이 되지 않도록 자비롭고 인자하신 주님께서 우리를 지켜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말이 많으면 허물을 면하기 어렵다”(잠언 10:20)는 것을 알고, 또한 연약한 인간의 혀는 쉽게 죄를 짓는다는 것을 알기에, 우리는 이 책을 읽는 모든 이에게 간곡히 부탁합니다. 우리의 잘못을 발견하더라도 사랑하는 마음으로 너그럽게 용서해 주시고, 우리를 위해 기도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세상의 구원자께서는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 자비를 베풀어 주실 것입니다. 우리는 그분의 집에서 무가치하고 쓸모없는 종일 뿐이며, 그분의 심판대 앞에 서게 될 날을 두려워하며 떨고 있습니다.





CAPUT PRIMUM. Quod tempore Heraclii Augusti, Homar filius Catab, tertius post Mahumeth, dux Arphum, universam occupavit Syriam.


Tradunt veteres historiae, et id ipsum etiam habent Orientalium traditiones, quod tempore quo Heraclius Augustus Romanum administrabat imperium, Mahumeth primogeniti Satanae (qui se prophetam a Domino missum mentiendo, Orientalium regiones, et maxime Arabiam seduxerat) ita invaluerat doctrina pestilens, et disseminatus languor ita universas occupaverat provincias, ut ejus successores jam non exhortationibus vel praedicatione, sed gladiis et violentia in suum errorem populos descendere compellerent invitos. Cum enim praedictus Augustus, victor reversus de Perside (unde crucem Domini cum gloria reportaverat) adhuc in Syria moram faceret, et per Modestum, virum venerabilem, quem Hierosolymis ordinaverat episcopum, ecclesiarum ruinas, quas Cosroe, Persarum satrapa nequissimus hostiliter dejecerat, in priorem statum, datis sumptibus necessariis, reformari praecepisset. Homar, filius Catab, a praedicto seductore tertius, erroris et regni successor, cum infinitis Arabum copiis, egregiam Palaestinorum urbem Gazam jam occupaverat violenter. Unde postmodum Damascenorum fines cum suis legionibus et infinita multitudine, quam secum trahebat, ingressus, Damascum expugnaverat, praedicto imperatore adhuc in Cilicia rei exitum exspectante. Quod cum ei nuntiaretur quod Arabes in tantam elati superbiam, et e sua multitudine praesumentes, Romanorum fines invadere, et eorum urbes sibi vindicare non vererentur, videns quod ei vires non suppeterent ad occurrendum tantae multitudini, et ut eorum comprimeret insolentiam, maluit ad propria sospes redire, quam viribus imparibus, bellorum se dubiis committere casibus. Sic ergo eo discedente, qui afflictis civibus tenebatur patrocinium ministrare, Arabum invaluit violentia, ita ut subito et infra tempus modicum, a Laodicia Syriae usque in Aegyptum, universas occupaverint regiones. Quis autem fuerit praedictus Mahumeth, et unde, et quomodo ad hanc proruperit insaniam, ut se prophetam mentiri et a Deo missum dicere praesumeret; cujus porro vitae et conversationis; quandiu regnaverit, et ubi; et quos demum habuerit successores; et quomodo pene orbem universum pestiferis ejus repleverint dogmatibus, qui eum in eodem errore secuti sunt, alibi disseruimus diligenter, sicut ex subsequentibus datur intelligi manifeste.


1장. 헤라클리우스 황제 시대에 마호메트 이후 세 번째 지도자인 아부 바크르의 아들 우마르가 아랍 군대를 이끌고 시리아 전역을 점령하다


옛 역사서와 동방의 전승에 따르면, 헤라클리우스 황제가 로마 제국을 다스리던 시대에 사탄의 첫째 아들인 마호메트(그는 스스로를 주님께서 보내신 예언자라고 거짓 주장하며 동방 지역, 특히 아라비아를 현혹시켰다)의 해로운 교리가 너무나도 기승을 부렸고, 그가 퍼뜨린 질병이 모든 지역을 뒤덮어 그의 후계자들은 더 이상 권고나 설교가 아닌 칼과 폭력으로 사람들을 그릇된 길로 끌어들였습니다.


페르시아에서 승리를 거두고 주님의 십자가를 영광스럽게 되찾아온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여전히 시리아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의 주교로 임명한 존경받는 인물인 모데스투스를 통해 페르시아의 사트라프이자 사악한 적 코스로에 의해 파괴된 교회들을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여 이전의 상태로 복구하도록 명령했습니다.


한편, 마호메트 이후 세 번째로 그릇된 가르침과 왕위를 계승한 아부 바크르의 아들 우마르는 수많은 아랍 군대를 이끌고 팔레스타인의 훌륭한 도시 가자를 이미 폭력적으로 점령한 상태였습니다. 그 후 그는 군대와 그가 이끌고 온 수많은 무리를 이끌고 다마스쿠스 영토로 진입하여 다마스쿠스를 함락시켰습니다. 당시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키리키아에서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황제는 아랍인들이 교만함과 수적 우세에 취해 로마의 영토를 침범하고 그들의 도시를 정복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보고를 받았습니다. 그는 그러한 군중에 맞설 만한 군사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그들의 오만함을 꺾기 위해 무모하게 전쟁을 벌이기보다는 안전하게 자신의 영토로 돌아가는 것을 택했습니다.


이렇게 고통받는 시민들에게 도움을 주어야 할 황제가 떠나자 아랍인들의 폭력은 더욱 기승을 부렸고, 순식간에 시리아의 라오디게아에서 이집트에 이르는 모든 지역을 점령했습니다.


우리는 앞서 언급한 마호메트가 누구이며, 어디에서 왔으며, 어떻게 스스로를 예언자라고 거짓말하고 신이 보냈다고 주장하는 광기에 사로잡히게 되었는지, 또한 그의 삶과 행실, 그가 얼마나 오랫동안 어디에서 통치했는지, 그리고 그의 후계자들은 누구이며, 어떻게 그를 따라 같은 오류를 저지른 자들이 거의 온 세상을 그의 해로운 교리로 채웠는지에 대해 다른 곳에서 자세히 논했습니다. 이는 다음 내용에서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CAPUT II. Quae fuit occasio, quod ita subito Orientem occupavit; et quod idem Hierosolymam veniens, templum Domini reaedificari praecepit.


Cooperabatur sane ad eorum propositum, quod paucis ante annis praedictus Cosroe, eamdem Syriam violenter ingressus, urbes dejecerat, concenderat suburbana; et ecclesias subvertens, populum captivaverat; et, Urbe sancta effracta, hostiliter in ea triginta sex civium millia gladio perimens, crucem Dominicam et loci ejusdem episcopum Zachariam, cum residuo populi tam urbis quam regionis universae secum transtulit in Persidem. Hic enim rex Persarum potentissimus, domini Mauritii Augusti (cujus adeo familiaris fuit beatus papa Gregorius, ut unum de liberis ejus de sacro fonte susciperet) filiam nomine Mariam in uxorem duxit; cujus gratia conjugii, lavacrum regenerationis adeptus est, fuitque Romanorum amicissimus, quandiu praedictus vixit imperator. Quo demum a Phoca Caesare, qui eidem postmodum in imperio successit, proditiose interfecto, abominatus eorum perfidiam, qui tam nefarium hominem, et adhuc domini sui caede cruentatum, super se regnare passi fuerant, quasi occultae societatis reos et illius sceleris habentes conscientiam: imperii fines violenter ingressus est, in res eorum violenter desaeviens, soceri necem, uxore stimulante, ultum iri desiderans: subactisque caeteris regionibus, quae Romanorum suberant ditioni, novissime Syriam, ut praemisimus, obtinuit, populis ejus aut peremptis gladio, aut secum in Persidem deductis. Ingressi ergo Arabes, terram habitationibus reperientes vacuam, majorem sub.jiciendi eam sibi repererunt opportunitatem. Sic ergo urbem Deo amabilem, Hierosolymam videlicet, paribus calamitatibus involutam comprehendentes, populo, qui in ea orat modico, ut eis factus tributarius extremis conditionibus deserviret, pepercerunt, permittentes eis suum habere episcopum et ecclesiam, quae, ut praedictum est, dejecta fuerat, reparare, et religionem libere conservare Christianam. Dum autem in eadem civitate princeps supra nominatus moram faceret, coepit diligenter a civibus percunctari, et maxime a viro venerabili Sophronio, ejusdem loci episcopo (qui Modesto piae memoriae jam defuncto successerat) ubinam esset locus in quo templum Domini fuerat, quod a Tito Romano principe, cum ipsa urbe dirutum fuisse legitur: qui ostendentes ei locum designaverunt, aliqua vetusti operis exstantia vestigia demonstrantes, ubi sumptibus qui sufficere possent ad impensam designatis et convocatis artificibus, sub.jecta pro votis materia tam ex marmorum diversitate quam ex lignorum differentia multiplici, templum aedificari praecepit. Quo postea infra modicum tempus, juxta conceptum mentis feliciter consummato, quale hodie Hierosolymis esse dignoscitur, multis et infinitis ditavit possessionibus, unde suppeterent facultates ad habenda perpetuo ejusdem sarta tecta, et vetera renovanda, et continenda luminaria per manum eorum qui in eodem templo deservirent. Quae autem sit illius forma, et quae operis elegantia, quoniam pene omnibus notum est, non est praesentis tractare negotii. Exstant porro in eodem templi aedificio, intus et extra, ex opere Musaico, Arabici idiomatis litterarum vetustissima monumenta, quae illius temporis esse creduntur: quibus et auctor, et impensarum quantitas, et quo tempore opus incoeptum, quoque consummatum fuerit, evidenter declaratur.


제 2 장 어떻게 그토록 갑작스럽게 동방을 점령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예루살렘에 입성한 오마르가 주님의 성전을 재건하도록 명령한 이야기


불과 몇 년 전, 앞서 언급한 페르시아의 코스로 왕이 시리아를 침략하여 도시들을 파괴하고 교외 지역을 불태웠습니다. 그는 교회들을 무너뜨리고 백성들을 포로로 잡아갔습니다. 그리고 거룩한 도시 예루살렘을 유린하여 3만 6천 명의 시민들을 잔인하게 학살하고, 주님의 십자가와 그곳의 주교였던 자카리아를 나머지 백성들과 함께 페르시아로 끌고 갔습니다.


이 강력한 페르시아 왕은 로마 황제 마우리티우스(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와 매우 가까웠던 황제로, 교황이 그의 아들 중 한 명에게 세례를 베풀 정도였습니다)의 딸 마리아를 아내로 맞이했습니다. 그는 결혼의 은총으로 세례를 받고 로마의 든든한 우방이 되었습니다. 적어도 마우리티우스 황제가 살아 있는 동안은 말입니다.


그러나 포카스에게 배신당해 죽임을 당한 후, 마우리티우스 황제의 죽음으로 로마와 페르시아의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습니다. 코스로는 자신의 장인을 살해한 포카스를 비롯하여 그토록 사악한 자를 황제로 인정하고 그와 동맹을 맺은 로마인들의 배신 행위에 분노했습니다. 그는 로마 제국에 복수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로마 제국의 영토를 침공했습니다. 그는 장인의 복수를 원하는 아내의 부추김을 받아 로마 제국의 여러 지역을 정복했고, 마침내 앞서 언급했듯이 시리아를 손에 넣었습니다. 그는 시리아 백성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하거나 페르시아로 끌고 갔습니다.


그리하여 아랍인들은 사람이 살지 않는 텅 빈 땅을 발견하고 손쉽게 그곳을 정복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은 같은 재앙으로 고통받던 사랑스러운 도시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그곳에 남아 있던 얼마 안 되는 주민들에게 굴욕적인 조건으로 세금을 바치는 대가로 목숨을 보장해 주었습니다. 그들은 주민들이 자신들의 주교를 두고 파괴된 교회를 재건하여 자유롭게 기독교 신앙을 지키도록 허용했습니다.


앞서 언급한 아랍의 지도자가 예루살렘에 머무는 동안, 그는 백성들, 특히 존경받는 인물이자 그곳의 주교였던 소프로니우스(경건한 모데스투스가 죽은 후 그의 뒤를 이었습니다)에게 로마 황제 티투스에 의해 도시와 함께 파괴되었다고 알려진 주님의 성전이 있던 곳이 어디인지 물었습니다. 그들은 오래된 건물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으로 그를 안내했습니다. 아랍의 지도자는 그곳에 다양한 종류의 대리석과 목재를 충분히 공급하고 숙련된 장인들을 불러 모아 마음속에 그린 대로 성전을 짓도록 명령했습니다.


그리하여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구상대로 아름답게 완성된 성전은 오늘날 예루살렘에서 볼 수 있는 그 모습 그대로입니다. 그는 성전에 수많은 재산을 기증하여 지붕을 수리하고 오래된 부분을 보수하며 끊임없이 불을 밝힐 수 있도록 했습니다. 성전의 모양과 건축 양식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알고 있으므로 이 자리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성전 건물 안팎에는 모자이크로 만들어진 아랍어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그 당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 글에는 건축을 명령한 사람, 공사 비용, 공사 시작 및 완료 날짜가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CAPUT III. Quanto tempore sub alternis dominiis Syria jugum passa est servitutis: et quomodo fidelibus, qui sub infidelium ditione degebant, utilis fuit amicitia magnifici imperatoris Caroli, cum Aarum rege Persarum contracta.


Sic igitur civitate Deo amabili et sacrosancta, peccatis nostris exigentibus, infidelium sub.jecta hostium ditioni, jugum indebitae servitutis continuis passa est laboribus per annos quadringentos nonaginta; conditionibus tamen alternis. Nam frequenti rerum mutatione, dominos mutavit frequentius; secundum quorum dispositionem, plerumque lucida, plerumque nubila recepit intervalla; et aegrotantis more, temporum praesentium, gravabatur aut respirabat qualitate. Plenius tamen convalescere non poterat, quae infidelium principum et populi sine Deo, dominatione premebatur violenta. Diebus tamen illius admirabilis et praedicandi viri, Aarum videlicet, qui cognominatus est Ressith, qui universo praefuit Orienti (cujus liberalitatem et urbanitatem praecipuam, et mores singulariter commendabiles, universus etiam usque hodie Oriens admiratur, et praeconiis attollit immortalibus) interventu piissimi et immortalis memoriae viri, domini videlicet imperatoris Caroli (qui mutuam, intercurrentibus nuntiis frequentibus, inter se gratiam et mirabili subnixam foedere, conciliaverant), plebi Dei tranquillitas praestita est, et favor principis clementer indultus ad multam consolationem; ita ut magis sub imperatore Carolo, quam sub dicto principe degere viderentur. De quo ita legitur in Vita praedicti viri gloriosi: Cum Aarum, rege Persarum, qui, excepta India, totum pene Orientem tenebat, talem habuit in amicitia concordiam, ut is gratiam ejus, omnium qui in toto orbe terrarum erant regum ac principum amicitiae praeponeret, solumque illum honore ac magnificentia sibi colendum judicaret. Ac proinde cum legati ejus, quos cum donariis ad sacratissimum Domini ac Salvatoris nostri sepulcrum locumque resurrectionis miserat, ad eum venissent, et ei domini sui voluntatem indicassent, non solum quae petebantur fieri permisit, sed etiam sacrum illum et salutarem locum, ut illius potestati ascriberetur, concessit, et revertentibus legatis suos adjungens, inter vestes et aromata, et caeteras Orientalium terrarum opes, ingentia illi dona direxit: cum ei ante annos paucos, eum quem tunc solum habebat, roganti mitteret elephantem. Nec solum iis qui Hierosolymis habitabant sub infidelium potestate fidelibus, verum et iis qui in Aegypto et in Africa sub impietate degebant Sarracenorum, suarum largitionum frequenter dirigebat solatia, et pietatis opera porrigebat; sicut in ejus Vita legitur, quae habet ita: Circa pauperes sustentandos, et gratuitam liberalitatem (quam Graeci eleemosynam vocant) devotissimus, ut non in patria solum et in regno suo id facere curaverit, verum trans maria, in Syria et Aegypto atque Africa, Hierosolymis, Alexandriae atque Carthagini, ubi Christianos in paupertate vivere compererat, penuriae eorum compatiens, pecuniam mittere solebat. Ob hoc maxime transmarinorum regum amicitias expetens, ut Christianis sub eorum dominatu degentibus, refrigerium aliquod ac relevatio proveniret. Quod autem et quantis rerum, temporum et dominiorum variis permutationibus hoc medio tempore flagellata fuerit, tam praedicta Dei cultrix civitas quam universa ei adjacens regio, si quis scire desiderat, eam relegat historiam, quam nos De gestis Orientalium principum, a tempore praedicti seductoris Mahumeth usque in hunc praesentem diem, qui est nobis ab Incarnatione Domini 1182, per annos quingentos septuaginta seriem rerum complexam, cum multo labore confecimus.


제 3 장 시리아가 얼마나 오랫동안 다른 지배자들의 멍에 아래에서 고통되었는지, 그리고 이교도의 지배 아래 살았던 신실한 자들에게 위대한 카롤루스 황제와 페르시아 왕 아론의 우정이 얼마나 유익했는지에 대한 이야기


이처럼 하느님께서 사랑하시는 거룩한 도시는 우리의 죄 때문에 이교도 적들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었습니다. 예루살렘은 490년 동안 부당한 노예의 멍에를 짊어지고 끊임없는 고통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그 상황은 늘 바뀌었습니다.


잦은 변화 속에서 예루살렘은 더욱 자주 지배자를 바꾸었습니다. 새로운 지배자의 성향에 따라 예루살렘은 밝은 시기를 맞이하기도 하고, 다시 어둠 속으로 급락하기도 했습니다. 마치 병든 사람처럼 시대의 상황에 따라 고통받거나 잠시 숨을 돌리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신을 믿지 않는 이교도 군주와 백성들의 폭정 아래에서 예루살렘은 완전히 회복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동방 전체를 다스렸던 '라시드'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존경받는 아론 왕(그의 관대함과 세련됨, 그리고 고귀한 성품은 오늘날까지도 동방 전역에서 칭송받고 있습니다) 시대에 이르러 신실한 자들은 마침내 평화를 되찾았습니다. 경건하고 불멸의 업적을 남긴 카롤루스 대제 덕분이었습니다. 카롤루스는 사절단을 통해 아론 왕과 우호 관계를 맺고 놀라울 정도로 굳건한 동맹을 맺었습니다.


그 결과 하느님의 백성들은 평온을 누렸고, 관대한 아론 왕의 호의로 큰 위안을 얻었습니다. 그들은 당시 아론 왕보다 카롤루스 황제의 지배 아래 있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영광스러운 카롤루스 대제의 일대기에도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그는 인도를 제외한 거의 모든 동방 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페르시아 왕 아론과 매우 돈독한 우정을 나누었습니다. 아론은 세상의 모든 왕과 군주들과의 우정보다 카롤루스 황제와의 관계를 더 중요하게 여겼고, 오직 그만이 존경과 경의를 받을 만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예루살렘에 있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무덤과 부활의 장소에 예물을 보냈던 아론 왕의 사신들이 카롤루스 황제를 찾아와 그의 뜻을 전했을 때, 황제는 그들의 요청을 들어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 거룩하고 축복받은 장소를 아론 왕의 권한 아래 두었습니다. 그리고 사신들이 돌아갈 때, 그는 자신의 사신들을 붙여 값진 의복과 향료, 그리고 다른 동방의 귀한 보물들을 선물했습니다. 몇 년 전 아론 왕이 카롤루스 황제에게 코끼리를 한 마리 보내달라고 요청했을 때, 황제는 그가 가진 유일한 코끼리를 아낌없이 보냈습니다."


카롤루스 황제는 예루살렘에 사는 신실한 자들뿐만 아니라 이교도 사라센인들의 지배 아래 이집트와 아프리카에서 고통받는 이들에게도 자주 관대한 도움을 베풀고 자비의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그의 일대기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자선을 베푸는 일에 매우 열심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영토와 왕국뿐만 아니라 바다 건너 시리아, 이집트, 아프리카,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카르타고까지, 가난한 그리스도인들이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들으면 그들의 어려움에 공감하며 돈을 보냈습니다. 그는 특히 해외 여러 왕들과 우호 관계를 맺어 그들의 지배 아래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위로와 도움을 주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에 하느님을 섬기는 도시 예루살렘과 그 주변 지역이 얼마나 많은 고난과 박해, 혼란을 겪어야 했는지, 그리고 얼마나 다양한 지배자들의 손을 거쳐야 했는지 자세히 알고 싶다면, 제가 심혈을 기울여 저술한 '동방 군주들의 역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이 책은 거짓 예언자 마호메트가 등장한 때부터 지금, 즉 주님의 탄생으로부터 1182년, 570년이 되는 해까지의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CAPUT IV Quomodo in potestatem devenit Aegyptii caliphae, et quomodo Heque nequissimo regnante, servitutis jugum super fideles factum sit intolerabilius; et de ruina ecclesiae Hierosolymitanae.


Porro per idem tempus inter Aegyptios et Persas aemula nimis et pertinax erat de monar.chia contentio. Ministrabat autem odiorum fomitem et incentivum majus, contradictoriarum observantia traditionum, qua usque hodie uterque populus contentionibus reciprocis sacrilegos se appellant, sibi non communicantes invicem, ita ut etiam nominibus velint habere differentiam. Qui enim Orientalium superstitionem sequuntur, lingua eorum Sunni dicuntur; qui vero Aegyptiorum traditiones praeferunt, appellantur Siha, qui nostrae fidei magis consentire videntur. Quae autem sit inter eos erroris differentia, non est praesentis temporis edocere. Tandem vero Aegyptiorum regno invalescente, et usque Antiochiam provincias et regiones occupante, cum caeteris in ejus Urbs sancta, legibus communibus, descendit potestatem. Sub quo principatu (sicuti captivis solent aliquando tempora indulgentiora concedi) a suis anxietatibus coepit aliquantulum esse remissius, quousque consummata hominum nequitia exigente, eidem regno Hequen calipha praefectus est. Hic et praedecessorum suorum et successorum pariter longe vincens malitiam, factus est posteris et ejus insaniam legentibus solemnis fabula. Adeo enim in omni impietate et nequitia singularis exstitit, ut ejus vita Deo et hominibus odibilis speciales exigat tractatus. Hic inter caetera, quae perniciosa plurima praeceperat, ecclesiam Dominicae Resurrectionis (quae per venerabilem virum Maximum, ejusdem loci episcopum, praecipiente domino Constantino Augusto aedificata fuerat, postea per reverendissimum Modestum tempore domini Heraclii reparata) funditus dejici mandavit. Cujus praecepti rescriptum quidam ejus procurator, praeses videlicet Ramulensis, Hyaroe nomine, ad se directum suscipiens, praedicta ecclesia usque ad solum diruta, jussionem regiam effectui mancipavit. Praeerat vero ea tempestate eidem ecclesiae vir venerabilis Orestus nomine, ejusdem nequissimi regis avunculus, matris ejusdem frater. Hoc autem ideo fecisse dicitur, ut suae perfidiae populis infidelibus daret argumentum. Ob.jiciebatur enim ei Christianitatis titulus, eo quod ex matre Christiana natus esset; quam quasi crimen a se volens depellere, praedictum facinus ausus est perpetrare, nihil arbitratus superesse calumniae, quod in ejus personam impingi posset, quodque ejus aemulis pateret ad morsum, ex quo religionis fontem Christianae, fidei catholicae cunabula dejecisset.


제 4 장 어떻게 이집트 칼리프의 권세가 강해졌는지, 사악한 하킴의 통치 아래 신실한 자들에게 노예의 멍에가 어떻게 더욱 무거워졌는지, 그리고 예루살렘 교회의 파괴에 대한 이야기


같은 시기에 이집트인과 페르시아인 사이에는 왕위를 둘러싼 격렬하고도 집요한 분쟁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서로 다른 전통을 고수하며 증오와 적대감을 키웠습니다. 그들은 오늘날까지도 서로를 신성 모독자라고 비난하며 교류하지 않고 심지어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를 원합니다. 동방의 전통을 따르는 자들은 '순니파'라고 불리고, 이집트의 전통을 따르는 자들은 우리의 신앙과 더 유사해 보이는 '시아파'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그들 사이의 교리적 차이점을 여기서 자세히 논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결국 이집트 왕조가 강성해져 안티오크까지 영토를 확장하면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거룩한 도시 예루살렘도 그들의 법 아래 놓이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통치 아래에서 처음에는 (포로들에게 때때로 관용의 시간이 주어지듯이) 상황이 다소 누그러지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악행은 끝이 없었고, 결국 하킴이라는 칼리프가 이집트를 다스리게 되었습니다.


그는 그의 전임자들과 후임자들을 능가하는 잔혹함으로, 후세 사람들에게 그의 광기를 전하는 하나의 전설이 되었습니다. 그는 모든 종류의 사악함과 악행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했으며, 그의 삶은 신과 인간 모두에게 혐오스러운 것이어서 별도의 논의가 필요할 정도입니다.


그의 수많은 악행 중에서도 가장 악명 높은 것은 바로 주님의 부활 교회를 완전히 파괴하라는 명령이었습니다. 이 교회는 존경받는 주교 막시무스의 감독 아래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명령으로 건축되었고, 이후 헤라클리우스 황제 시대에 존경받는 모데스투스에 의해 복원되었습니다.


그의 명령이 담긴 문서를 받은 하킴의 관리이자 라믈라의 총독인 히아로는 즉시 명령을 실행에 옮겨 교회를 땅까지 허물어 버렸습니다. 당시 교회를 책임지고 있던 사람은 존경받는 오레스투스라는 사람으로, 그는 하킴의 외삼촌이었습니다.


하킴이 이런 짓을 저지른 이유는 자신의 백성들에게 자신의 신앙심을 증명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그는 기독교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았습니다. 그는 이러한 비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습니다. 그는 기독교 신앙의 근원이자 가톨릭 신앙의 요람인 교회를 파괴함으로써 자신에게 더 이상 꼬투리를 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9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021892 공지 신문고 [18]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1 3087 25
1022066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공지 [3]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1 700 6
101725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갱신차단 목록 [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1 1601 16
67532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정보 모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8666 17
728432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시트(23.08.04) [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0 16974 31
1027500 일반 경제연산) 이쯤되면 만주는 조선의 [1] SL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2 4 0
1027499 일반 안녕하세요, 앙금고라니입니다. (우선 내일 4연참입니다.) [9] 앙금고라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317 21
1027498 일반 1588) "저는 천사가 아닙니다." [2] 리스RIS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56 4
1027497 일반 동롬황녀 판도 이거 맞나? 도움 좀 [3] 크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10 1
1027496 일반 경제연산) 청나라 삭제는 확정이네. [2] 심심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99 5
1027495 일반 [편살] 100화까지 다 읽었음 지옥참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50 0
1027494 일반 짐승조선)덕구와 뭉자에게 금수는 부모나 다름없기에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76 1
1027493 창작 판도 색칠 해봄 [2] 대붕이(182.221) 06.24 105 0
1027492 일반 조선 석유왕 이거 뭐임? 오이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25 0
1027491 일반 을미고종+쿠데타+???) 이러면 어찌 됨? [2] 대붕이(121.132) 06.24 168 2
1027490 일반 1588)근대 네모가 진짜 일개 하급천사여도 [5] ㅇㅇ(221.158) 06.24 306 6
1027489 일반 ㄱㅇㄷ)본인 오늘 필력 대폭발의 날인가 대붕이(220.89) 06.24 110 1
1027488 일반 흑태자 후속작 문피아 등록 연기합니다. [4] 안티고노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413 21
1027487 일반 조선엑소) 정몽주 ㅋㅋㅋㅋㅋㅋ [3] 눈꽃과이야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77 1
1027486 일반 경제연산) 사실 동아망개가 아이신기오로 칭하는건 [4] SL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59 6
1027485 일반 하급귀족) 얼마전부터 보기 시작한건데 풀로늄쌍화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93 1
1027484 일반 군밤) 귀남옹의 차 사랑으로 조선이 모터스포츠 강국이 된다면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51 3
1027483 일반 1588) 저기 네모님 뒤에 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65 2
1027482 창작 삼반도) 유럽은 내전중! [32] hunch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317 9
1027481 일반 경제연산) 그러고보니 일본도 컷 당할 후보가... [2] SL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56 7
1027480 창작 군밤)의경 지원을 하다니 자네 제정신인가!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512 17
1027479 일반 경제연산)오늘 나온 아이신기오로가 된 동아망개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47 11
1027478 일반 1588) 미카엘: 쟤는 어느 부서 애인데 저기서 인간코스프레하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60 3
1027477 일반 1588) 제가 저들의 죄를 대속하겠습니다. [3] 중소기업가지마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90 7
1027475 일반 경제연산) 아니 이게 무슨 미친전개얔ㅋㅋㅋㅋㅋㅋㅋ [2] SL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482 13
1027474 일반 슬램덩크처럼 엔딩나는 대역은 못나오려나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90 3
1027473 일반 1588)공동체라는 말을 교회로 치환해도 될듯? 대붕이(175.196) 06.24 182 8
1027472 일반 띵군이 본격 로맨스로 못 가는 이유 [2] 대붕이(211.114) 06.24 173 1
1027471 창작 1588)네모, 그는 지혜의 천사이시다. [4] 기스카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620 19
1027470 일반 편살)광익원을 영국식으로 풀어쓰면 뭐라고 할까 [2] 삽질공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16 2
1027469 일반 1588) 문명6 신앙국가 직업윤리 플레이 느낌나네 [1] 카프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29 10
1027468 일반 ㄱㅇㄷ) 동력없는 펌프 카할라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53 2
1027467 일반 ㄱㅇㄷ)잔인한(?)대역물을 볼 때마다 뭔가 트라우마가 생기는 거 같음 [14] 대붕이(220.89) 06.24 287 10
1027466 일반 탐태창)할러슈터인은 이러고 싶은 거구나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61 3
1027465 일반 초코마왕)그러고보니까 벌써부터 트래쉬토크 있는거아니냐 대붕이(125.190) 06.24 101 0
1027464 창작 명군이 되어보세! 4부 지도 리메이크 [1] 리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506 14
1027463 일반 경제연산 졸잼이네 [1] 대붕이(123.111) 06.24 186 3
1027462 일반 탐태창)사면발니가 원래 고릴라였구나 [1]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83 0
1027461 일반 대한민국을 지키는 3대 딸 리부트 제목 투표 대붕이(220.89) 06.24 82 0
1027460 일반 탐태창)야 그립네... 저 대사... [5]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38 4
1027459 일반 ㄴㅅㅈ)주소화만 기억동봉환생인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37 1
1027458 일반 동롬황녀) 예루살렘 평의회... 예루살렘 평의회국...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89 0
1027457 일반 노세종)근데 솔직히 배타서 저만큼 했으면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43 1
1027456 일반 편살) 사상폭탄 ㅋㅋㅋㅋㅋㅋ 눈꽃과이야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32 1
1027455 일반 대만에서 확장하려면 [2] 이펜시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63 1
1027454 일반 노세종)여기서도 조손 관계가 돈독하구만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04 1
1027453 일반 ㄱㅇㄷ)일제 야들 보면 군함은 어느정도 잘 만드는데 [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140 1
1027452 일반 ㄴㄷㅆ?)함딸 세계관에서 궁금한 통제사또 이야기. [4] 다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80 0
1027451 창작 백작으로 시작하는 르네상스 생존기 - 29 [6] 무명사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34 12
1027450 일반 1588)만약 내 소중한 사람을 죽인 사람을 구하려 하는 [2]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4 22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