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천문학과를 가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김천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8.04.19 18:44:16
조회 19913 추천 128 댓글 26
														


viewimage.php?id=2caec434eadc37ab77&no=24b0d769e1d32ca73fef85fa11d02831beed24700845ca5273c6c35de661d4c0aed797dfbf187de79e701185c3dd6a28039f934320b510887f456c065a02eec9913c707d


*이 글은 매우 주관적인 내용임을 미리 밝힙니다.




Q. 천문학을 전공하면 굶어죽나요?

A. 안 굶어 죽습니당. 다만 예를 들어 전자과에서 100명 중 70명이 잘 먹고 잘 산다면,

천문 전공에선 50명 중 5명 정도.. 잘 먹진 않지만 그냥저냥 삽니다. 조금 차이가 있긴 하네요.




Q. 대학이 중요한가요?

A. 우리나라에서는 수요가 적은 학문일수록 학벌은 더욱 중요해지죠..

전공을 살려서 연구원이나 교수 등 학계에서 일하려면, 최소 연대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카이스트나 포공 나오셔도 됩니다. 그 밑에는 솔직히 별로 못봤습니다.

그 아래 대학에서도 가능은 하지만, 더욱 길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정말 천문 아니면 안될 정도의 열정과 의지가 아니라면 비추천입니다..


사실 학부 때 빡공하셔서 대학원으로 세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연구에는 학부 대학보다는 대학원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외국으로 유학가시면 훨씬 훨씬 더 상황이 좋아집니다. 물론 학점만 좋다고 유학갈 수 있는 분야는 아니긴 합니다ㅜㅜ




Q. 천문학 연구는 어디서 할 수 있나요?

A. 국내에서는 정출연 중 저연봉, 적폐의 상징 한국천문연구원이 있습니다!

치열한 인맥 경쟁을 뚫고, 괴수급 스펙을 가진 해외박사들과의 경쟁에서 이기신다면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작성되는 시점에는 정부에서 정규직 전환 정책을 시행한다고 하니, 앞으로 몇년간은 더욱 빡세지겠네욤ㅜㅜ


아 물론 천문학과가 있는 대학에서 교수를 하셔도 천문학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정출연 취업 및 교수가 되는 것은 운과 인맥이 가장 중요합니다.

물론 실력도 있어야하죠. 실력, 운, 인맥, 정치력 등이 잘 조화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물이 고이면 썪듯이, 고일대로 고인 정출연과 학계는 대부분 헬조선화가 아주 잘 되어 있습니다.


특히 천문 처럼 좁은 분야는.. 적어도 국내 학계는 많이 고였고 어찌보면 정치력이 제일 중요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Q. 아니 천문학 하지 말라는 말 아닌가요?

A. 예전과 달리 해외 탑레벨 대학 박사들이 차고 넘쳐서, 꼭 천문이 아니더라도 이공계 정출연/학계 들어가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하지만 우리가 사랑하는 천문학을 이대로 포기할 순 없겠죠?

개인적으로는 어떻게든 유학을 가셔서 해외에서 직업을 잡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969년 우리나라에선 박정희랑 농사 열심히 짓고 있을때 미국은 달에 우주선을 보냈죠. 기술격차가.. 커도 너무 커요.

특히 요새 천문학은 데이터가 생명인데,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자체 데이터가 없다시피합니다ㅜㅜ


또는 꼭 '이론'천문학이 아니여도, 우주와 관련된 다른 분야를 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 쪽(전자, 기계)을 하시거나, 로켓(기계, 전자)을 만드셔도 됩니다. 요새 컴공은 어디나 필요하구요.

카이스트 내에 (답없기로 유명하지만)인공위성연구소도 있고, 근처에 satrec-i라는 우주 관련 사기업도 있죠.

또한 천문연과 비교시 공룡 규모인 항공우주연구원도 있답니다. 항우연 또한 내부에 아는 사람이 있다면 들어가기가 매우 수월해지는 특징이 있죠!

만약 천문학보다는 '우주'자체가 좋으신 분이라면, 이처럼 컴공, 전자, 기계 쪽으로 전공하셔서 우주를 바라보면 보다 안정적입니다.

사실 이 분야도 우리나라보단 외국이 훨씬 좋긴 하죠...




Q. 그래도 천문학이 너무 재밌어서 포기 못하겠는데 어떡하죠?

A. 사실 한번 뿐인 인생에서 물질적인것 보다는, 하고싶은 일을 하면서 살아야 행복하며 죽기전에 후회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정말 아주 뛰어난 실력을 가지셨거나(천올 정도는 걍 씹어먹을 수 있는), 아주 금수저라서 무한한 도전의 기회가 있다면 충분합니다.

아니면 적어도 해외에 쉽게 나갈정도의 집안 여유가 있고, 해외 유학 가능할 정도의 실력과 영어만 갖췄다면.. 괜찮습니다.

약간씩 위의 조건이 부족한 경우라면, 국내에서 천문학 관련 일을 노려야 할텐데요,

본인이 정말 남들보다 더 노력을 많이 할 자신이 있고, 주변보다 돈 좀 적게벌어도 괜찮다는 가치관을 지니고, 인맥질과 정치질 잘 할 수 있다면..

위의 요소를 모두 갖출 자신이 있다면 도전해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생각보다 마지막 요소가 힘들더군요ㅠ


추천 비추천

128

고정닉 17

1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9363 사진 보현산 천문대와 일주운동(59.5MB) [3] elnat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233 6
9362 일반 개기일식 라이브 [2] 사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149 3
9361 일반 폰스브룩스 혜성 찍으러 갈건데 [2] anfrjsemf(211.234) 04.08 139 0
9360 일반 80년 주기로 밝아지는 천체 있다던데 [2] ㅇㅇ(221.150) 04.07 118 0
9359 일반 솔직히 허블은 수십년 더 우려먹을 성능은 되지 않나? [3] 차단무서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65 0
9358 일반 천체 관측하러 구룡령 가지 마세요. [3] 허건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397 7
9357 일반 선생님들은 왜 별을 좋아하시나요 [7] ㅇㅇ(223.39) 04.07 288 6
9356 일반 천체 관측 뉴빈데 [2] ㅇㅇ(220.123) 04.06 130 0
9355 일반 다시생각해보니까 화성탐사 왜하는지 이해를 못하겠네 [4] ㅇㅇ(61.79) 04.06 149 3
9353 일반 여기 어디임 ???! [3] 아갤러55(211.118) 04.06 128 0
9352 일반 블랙홀 시뮬레이션 만들었다 [7] ellip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540 12
9351 질문 우주의 완전 이온화가 뭐임? [5] ㅇㅇ(223.39) 04.05 135 0
9350 일반 지구의 자기장을 찬양하는 영상 [1] 집부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99 0
9349 일반 우주지도 공개 [1] 차단무서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80 1
9348 일반 나선 은하는 왜 생기는거고 왜 많냐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149 0
9347 일반 코동이로 성운 관측 가능? [2] ㅇㅇ(182.215) 04.03 92 0
9345 일반 별자리를 외운다는 게 [4] ㅇㅇ(175.192) 04.02 151 0
9344 일반 미국에서 개기일식이 있다고 함 [2] 차단무서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84 3
9343 일반 쌍안경 구매 질문글 [1] ㅇㅇ(211.235) 04.02 109 0
9342 사진 알데바란 찍어왔습니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33 3
9341 일반 일등성 21개, 별자리 88개 모두 외우고 [8] ㅇㅇ(39.123) 03.31 168 0
9340 뉴스 정부, 올해 우주개발에 1조 원 투입…‘우주탐사 로드맵’ 수립 [4] 김천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197 3
9339 사진 직찍들 2탄 [11] 됴둉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384 20
9338 일반 여기서 sp유형이 뭐임?? [2] ㅇㅇ(175.192) 03.27 156 0
9337 일반 빅뱅이전 한점에서는 분명 열평형을 이루고 있었을텐데 [3] ㅇㅇ(61.79) 03.27 142 0
9336 질문 허블상수 직접 계산해보고 싶은데 [3] le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166 0
9334 질문 LPF 제거 한건지는 어케 알수있음? [1] ㅇㅇ(211.46) 03.25 71 0
9333 일반 지금 폰즈브룩스 망원경으로 도심에서 관측 가능할까여.. [1] ㅇㅇ(121.180) 03.25 104 0
9332 일반 지구과학1 천체파트 공부하다 왔는데 [3] 드가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213 1
9330 일반 육안으로 은하수 보는게 꿈인데 [5] ㅇㅇ(39.7) 03.22 238 1
9329 질문 이 별자리는 뭘까요? [5] ㅇㅇ(102.113) 03.22 187 1
9328 사진 직찍들 [14] 됴둉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484 23
9327 일반 제임스웹 쏜지 2년이 넘었다 [2] 아맞다메모리카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60 0
9326 질문 폰스브룩스 혜성 [2] S2ptemb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65 0
9325 일반 폰스-브룩스 혜성 관측정보 및 사진 [1] 김천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389 7
9324 질문 폰스 브룩스 혜성 [2] ㅇㅇ(118.235) 03.21 143 0
9323 사진 예쁘디 예쁜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148 5
9322 질문 물병자리에타유성우 [3] ㅇㅇ(218.156) 03.20 89 0
9321 뉴스 스위프트 우주 망원경 작동 중지 [1] 차단무서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79 1
9319 일반 암흑물질의 분포가 구의 형태인 이유 [4] ㅇㅇ(218.233) 03.16 226 3
9316 질문 쌍안경 뭐가 좋냐 [1] ㅇㅇ(118.217) 03.16 145 0
9315 일반 나도 국제우주정거장 [2] Gumba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370 10
9314 일반 날씨좋네 [2] ㅇㅇ(45.77) 03.15 61 0
9312 질문 저거 국제우주정거장임? [3] 기타치다가똥싸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191 0
9308 일반 금성은 왜 느리게 자전하나요 ? [1] BlackBe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109 0
9307 일반 유로파에 생명체 발견 가능성이 많이 희박해진듯 [6] ㅇㅇ(118.39) 03.13 481 19
9306 일반 요즘 날씨가 엉망이라 글이 더 안 올라오는 거 같네 [1] 적도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3 52 1
9305 일반 이렇게 아래만 있는 것도 초승달임? [5] ㅇㅇ(118.235) 03.12 136 0
9303 일반 쌍안경 하나 사니까 존잼임 [3] 아인츠베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258 2
9302 질문 황도 12궁이 태양이 별자리를 지날때라는데 [3] ㅇㅇ(106.101) 03.11 14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