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사진 찍을 때 필터에 관한 아래 글 답변입니당.

김천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9.03.20 18:10:24
조회 740 추천 15 댓글 5
														

Astrophotography의 기초에 대해 저도 복습할겸 답변 남겨봅니다.

혹시 초심자 분들도 보실 수 있으니 최대한 쉽게 써볼게요.


기본적으로 별, 은하, 반사성운과 같은 천체는 꽤나 넓은 대역의 빛이 나옵니다(emit).

이때 빛의 Peak에 따라서 색이 결정되며, 이러한 peak은 온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viewimage.php?id=2caec434eadc37ab77&no=24b0d769e1d32ca73fee82fa11d02831f7b1fdb67b76037d9d6c024c277e057f823b55b061f7bbfe9f9f8393bd6545f79e0bd31ecf9dce3db89eec9c7bbd5623663668b1


반면, 일반적으로 발광성운(emission nebulae)이나 행성상성운(planetary nebulae)는 좁은 대역의 빛을 주로 냅니다.


별들이 막 탄생하는 곳에서는 아주 뜨겁고 어린 별들이 (특히 자외선 영역에서) 밝게 빛나며 높은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따라서 주변의 gas와 dust를 예쁘게 빛내곤 합니다. 대표적으론 오리온 성운이나 장미 성운이 있죠.


M27 아령성운과 같은 행성상성운이나, M1 게성운 같은 초신성 잔해에서는 별의 죽음 과정에서 생긴 폭발로 인해

아주 높은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렇게 높은 에너지의 빛은 원자 안의 전자에게 영향을 주게 됩니당.


어릴 때 과학시간에 배웠듯 원자안의 전자의 준위가 변하면 그에 상응하는 빛이 나오게 되는데요,

각 궤도가 가지는 에너지 준위는 항상 일정하므로 그 차이 또한 항상 같은 값을 가지게 되죠.

아래 그림은 우주에서 가장 흔한 원소인 수소에서, 가장 흔하게 나오는 빛 두가지 입니다.


viewimage.php?id=2caec434eadc37ab77&no=24b0d769e1d32ca73fee82fa11d02831f7b1fdb67b76037d9d6c024c277e057f823b55b061f7bbfe9fdad2c0d76342f05a367d09bbc867ba8e8623ebc657eeba


따라서 이런 애들을 관측할 때는 좁은 대역만 통과시켜주는 협대역(narrow-band) 필터가 유용하게 쓰이게 됩니다.

해당 성운에서 오는 빛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다른 빛들을 차단하여 보다 깨끗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읍니다.

즉 광해가 심하거나, 달이 너무 밝을 때에 유용합니다. 또한 성운에서 각 대역에 따른 구조(structure)를 강조시킬 수 있게 됩니다.


viewimage.php?id=2caec434eadc37ab77&no=24b0d769e1d32ca73fee82fa11d02831f7b1fdb67b76037d9d6c024c277e057f823b55b061f7bbfe9fdad2c0d76342f05a367d09b89261bd8ad224b6c657eeba


다른 대역대에서 오는 noise가 사라지므로 해당 대역을 내뿜는 성운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하게 볼 수 있으며,

반면 다른 별에서 오는 빛은 대부분 차단되므로 사진에서 별은 훨씬 적게 찍히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LRGB 필터로 다시 찍은 후 별들 쪽만 다시 합성하곤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Hα(Hydrogen Alpha), (Hydrogen Beta), O3(Oxygen Ⅲ), S2(Sulfur Ⅱ), N1(Nitrogen Ⅰ) 등이 주로 쓰입니다.

발광성운에는 구성 원소의 비율 및 온도에 따른 에너지때문에, 보통 Hα 대역의 빛이 가장 강하며, 그담으로는 O3 대역이 강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성운 사진은 빨갛거나(Hα), 초록/파랑색인(O3) 것이죠.


아래 초승달 성운(NGC 6888)사진에서 왼쪽은 일반적인 RRGB 필터로 찍은 사진이며,

오른쪽은 Hα 필터로 빨간색, O3필터로 초록, 파랑색을 표현한 사진입니다. 조금 다른 느낌이죠? 별 들도 잘 안보이구요.


viewimage.php?id=2caec434eadc37ab77&no=24b0d769e1d32ca73fee82fa11d02831f7b1fdb67b76037d9d6c024c277e057f823b55b061f7bbfe9f9f8393bd6545f79e0bd31ecf9dce3decc4bd9f7eb90673fd8e2930

필터에 대해 알아보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Hα는 발광성운이나 초신성 잔해 이외에도, 다른 은하 내의 '전리수소영역'을 관측하는 데도 쓰일 수 있읍니다.

의 경우는 Hα와 성운 내에서 방출되는 소스가 비슷하여 비슷한 구조(형태)를 보여주지만,

만약 사용한다면 더 색이 다채로워지고 contrast가 좋아집니다. 또한 암흑성운을 찍을 때도 유용하다고 합니다.

O3는 행성상성운을 자세히 찍고 싶을 때 특히 유용하며, 발광성운이나 초신성 잔해 중 다른 별들로 인해 가려진 부분을 보는데 유용합니다.

S2는 성운 내에서 구성 비율 자체는 아주 적지만, 빛이 방사되는 양은 강하기 때문에 종종 사용됩니다.

비슷한 빨간색인 Hα와는 또다른 디테일을 관측할 수 있죠.

N1의 경우는 초신성 잔해를 찍을 때만 가끔 사용한다고 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해당 필터를 통해 어떤 색을 만들 수 있을지 알 수 있읍니다.

viewimage.php?id=2caec434eadc37ab77&no=24b0d769e1d32ca73fee82fa11d02831f7b1fdb67b76037d9d6c024c277e057f823b55b061f7bbfe9fdad2c0d76342f05a367d09b7c964ecddd272b8c657eeba

보통은 여러 필터를 동시에 쓴 후, 이를 컴터로 보정하여 다채로운 색을 표현하는데요,

일반적으로 허블이 주로 쓰는 Hubble palette(Hα->초록, O3->파랑, S2->빨강)을 사용하여 각 대역에 예쁜 색을 입히게 됩니다.

보통 S2 대역 신호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보니 적절히 보정을 해주지 않으면 너무 초록 파랑색이 된다고 합니다.

아래 사진은 이처럼 Hubble palette로 보정한 대표적인 녀석들입니당.


viewimage.php?id=2caec434eadc37ab77&no=24b0d769e1d32ca73fee82fa11d02831f7b1fdb67b76037d9d6c024c277e057f823b55b061f7bbfe9f9f8393bd6545f79e0bd31ecf9dce3dbdc3bf9b29be0c77d8b1e63c


즉 한줄요약하면, 발광성운, 행성상성운, 초신성 잔해를 찍을 때 주로 협대역 필터를 사용합니다!





주 참고: https://www.atik-cameras.com/news/beginners-guide-to-narrow-band-imaging/

https://agenaastro.com/guide-to-imaging-filters.html

http://www.aicccd.com/archive/aic2007/Goldman-AIC2007Talk2.pdf (훨씬 더 자세한 내용)


추천 비추천

15

고정닉 7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802 일반 APOD - 나선형 오로라 [7] 김천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22 545 15
801 일반 [축] 갤 탄생 1주년 [9] dd(123.214) 19.04.20 172 5
800 일반 고3인데 통계쪽가서 물리나 천문 복수전공하고 [2] ㅇㅇ(121.190) 19.04.19 259 0
799 일반 달 존나 크누 [1] ㅇㅇ(106.102) 19.04.19 80 0
798 일반 오늘 8시에 핑크문이 뜬다는데 [2] 지개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9 118 0
797 일반 천문과인데.. [3] ㅇㅇ(175.223) 19.04.18 220 0
796 일반 IDAS HEUIB-II 필터 겟또 [2] ㅇㅇ(1.249) 19.04.18 161 1
795 일반 천문학에 관심이 생겨서 학부는 아예 무관한 학고ㅓ이지만 [3] ㅇㅇ(112.219) 19.04.18 189 0
794 일반 밤에 밝은곳에서 섹스하는 토끼 도촬 [4] 갈색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7 240 1
793 일반 월력요항에서 일식 월식 빠진 이유가 뭐냐? [1] ㅇㅇ(112.216) 19.04.16 68 0
792 일반 오늘의 달 [4] 갈색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6 116 0
791 일반 천문학은 대단해요.jpg [2] as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6 177 0
790 일반 이거 베텔게우스 맞나? [9] ㅇㅇ(220.77) 19.04.15 293 0
789 일반 수포자가 천문학 공부할려면 수학공부 얼마나 필요함? [4] ㅇㅇ(121.135) 19.04.15 224 0
788 일반 4월 14일 반달 [4] ㅇㅇ(1.249) 19.04.15 110 4
787 일반 오랜만에 짧게 관측(190415 01:00-02:00) [7] dd(123.214) 19.04.15 108 3
786 일반 [5] 갈색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4 137 1
785 질문 천문학에서 쓰이는 물리학과 수학의 범위 [6] Astrophysic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4 299 0
783 일반 우주시대 개막을 보고 죽고 싶음 [1] Ja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3 92 0
782 일반 광년거리 넘모 신기해요 [1] as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3 85 0
781 질문 블랙홀은 구형 인가요? [4] ㅇㅇ(121.128) 19.04.13 353 0
780 일반 천문학 복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ㅎㅎ [3] (211.36) 19.04.13 280 0
779 일반 셀레스트론 90az으로 초승달 촬영 [9] 갈색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1 346 2
778 일반 M87 블랙홀 촬영 살짝 요약 [10] 김천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1 1005 19
776 일반 아인슈타인 ㅠㅠ 당신은 옳았어 ㅠㅠ... [2] 사이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1 224 0
775 일반 <속보>천붕이들 깜짝...M87 은하 블랙홀 화상 촬영 성공 [4] 연필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0 753 11
774 일반 우리은하가 아니라 M87 블랙홀을 찍었네 [1] ㅇㅇ(175.223) 19.04.10 155 0
773 일반 01부터는 취업 잘되지 않을까요? [3] ㅇㅇ(59.14) 19.04.10 198 0
772 일반 우리나라에서 별이 가장 잘 보이는곳은 어딜까요? [5] rlahEK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0 401 0
771 일반 블랙홀 관측 성공 ㄷㄷ [1] ㅇㅇ(119.201) 19.04.10 123 0
770 일반 APOD - 화성에서 보는 일식 [6] 김천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10 141 4
769 일반 EHT 우리은하블랙홀 관측 결과발표 [2] ㅇㅇ(110.70) 19.04.09 364 6
768 일반 국내 전파망원경으론 아레시보처럼 송신이 불가능한가요? [1] ㅇㅇ(211.117) 19.04.08 127 0
767 일반 렌즈는 인치당 배율이 얼마인가요? [3] 비트코인은☆지금☆휴식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08 120 0
765 일반 재작년 찍었던 초승달과 금성 [4] 연필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06 538 8
763 일반 Rho Ophiuchi 부근 더 넓고 풍부한 광시야 [5] ㅇㅇ(1.249) 19.04.04 348 9
761 일반 안타레스 부근 Rho Ophiuchi 영역 [10] ㅇㅇ(1.249) 19.04.02 488 12
760 일반 여름 은하수 [6] ㅇㅇ(1.249) 19.04.02 670 12
759 일반 고등학교 천문학동아리 개설하려구 하는데요 [2] 지개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02 235 0
758 일반 여기는 뭐하는갤임? [4] 애니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01 175 0
757 일반 토성 목성특 [4] 갈색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01 180 0
756 일반 셀레스트론 90az 후기 [19] 갈색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31 694 1
755 일반 천문학갤도 있었네요? [4] qwer(223.62) 19.03.31 238 3
754 일반 달과 지구의 사이에는 태양계 모든 행성이 들어갈 수 있다!? [2] 연필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31 206 3
753 일반 갤주님 공지로 천문학 교양,전공책 소개좀 [7] ㅇㅇ(110.70) 19.03.30 219 0
752 일반 암흑물질 없는 은하 또 발견 [5] ㅇㅇ(1.253) 19.03.29 323 5
749 일반 겨울 은하수 재보정 [9] ㅇㅇ(1.249) 19.03.29 547 12
748 일반 APOD - M15 구상성단 움짤 [6] 김천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28 353 8
746 일반 퇴근 후 일과 [11] ㅇㅇ(1.253) 19.03.28 265 0
745 일반 창백한 푸른점의 광경들. [5] ㅇㅇ(121.176) 19.03.28 653 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