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소식] “수도권 몰려온 베이비부머 440만, 이들 눈길 끌 지방 메가시티 생겨야

치킨마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09 19:48:03
조회 317 추천 5 댓글 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32595?sid=101

2018년부터 ‘비수도권 메가시티’론 외쳐온 마강래 중앙대 교수

지난 4월 총선에서 여당은 김포·하남·구리 등을 서울에 편입하는 메가시티(거대 도시) 구상인 ‘메가 서울’을 꺼냈고, 야당은 2022년 나왔던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구상을 재추진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그런데 말잔치만 무성했지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정도의 청사진은 눈에 띄지 않았다. 

총선이 끝났으니 메가시티 구상들은 사라지는 것일까. 2018년부터 “지방 소멸을 막으려면 비수도권 메가시티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마강래 중앙대 교수를 최근 만나 메가시티 전략은 어떻게 방향을 잡는 게 좋을지 얘기해 봤다. 영국의 제2 도시 맨체스터를 중심으로 한 광역 연합, 일본의 오사카·교토 등을 묶은 간사이 광역 연합 등이 수도권 비대화에 대응하는 대표적인 해외의 비수도권 메가시티라고 할 수 있다.

메가시티가 왜 필요한가

-메가시티란 뭔가.

“인구 1000만명 이상의 도시권을 가리킨다. 그런데 메가시티 얘기를 하면 거대한 도시 한 곳을 새로 만든다거나, 농촌이나 중소 도시에 대비되는 굉장히 강력한 도시를 만든다고 오해하는데, 그렇지 않다. 메가시티는 도시 사이 연계가 강화된 초광역권이다. 연계가 강화되면 재해 방지, 환경, 의료, 교육 등 기능이 하나의 도시처럼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간의 뼈대가 되는 교통 인프라를 잘 구축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메가시티가 효율적으로 작동하면 사람이 모이고 신산업과 일자리가 생긴다.”


-메가시티는 왜 필요한가.

“산업구조 변화 때문이다. 농업 시대엔 농지가 분산돼 흩어져 살 수밖에 없었다. 산업혁명 후 사람들이 도시로 몰렸다. 이후 교통 발달로 도시는 외곽으로 확산됐다. 최근 산업 변화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융복합 산업이 뜨는 것이다. 

IT(정보기술)와 의료가 만나 의료 IT, 바이오와 식품이 접목해 기능성 식품 산업이 나오는 식으로 신산업이 탄생한다. 최근 전 세계 추세를 보면 수도와 대도시 중심으로 융복합 산업이 더 많이 생긴다. 거대 도시는 여러 기능이 있다 보니 경쟁력을 갖게 되고, 신산업을 만들어내는 용광로와 같은 공간적 틀이 생긴다.”


-인구만 많으면 도시 경쟁력이 있나.

“인구 많은 게 경쟁력을 갖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서울의 경우 1000만명에 가깝기 때문에 이미 메가시티라 볼 수 있다. 수도권은 인구 2600만명에 여러 도시가 포함돼 있어 수퍼 메가시티라 부를 수 있다. 그런데 서울은 인구가 쏠리면서 집값이 폭등했고, 이에 대응해 서울을 둘러싼 경기도에 서울보다 더 많은 아파트를 지었다. 

그 결과, 경기도 아파트에서 서울 직장으로 장시간 출퇴근하는 현상이 벌어졌다. 더구나 김포 등 인근 도시들과 서울이 하나의 도시처럼 기능하지 않고 행정 구역이 달라 따로 행동하다 보니 불협화음과 비효율이 생겼다. ‘메가 서울’은 이런 비효율을 풀어 보자는 논의로 이해할 수 있다.”


균형발전론 대 거점개발론

-메가시티의 이론적 바탕은.

“굳이 말하자면 거점개발론이라 할 수 있다. 1950년대 중반 경제학자 프랑수아 페로가 처음으로 정립한 이론이다. 페로는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거점으로 삼아 집중 개발하고, 거점의 성장 효과를 주변으로 번지게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앨버트 허시먼은 1958년 ‘경제개발의 전략’에서 국가 경제발전을 위해 한 개나 몇 개의 성장 거점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했다.”

- 거점 개발 하면 균형 성장은 물 건너가나.

“거점개발론도 성장이 어느 정도 일어나면 ‘낙수 효과’로 주변에 성장이 확산된다는 얘기를 한다. 그러나 과거 우리나라는 이런 이론과 달리 수도권 독식 현상으로 인구와 산업이 수도권에 빨려 들어갔다. 그런데 이에 대응해 나온 균형발전론은 226개 기초자치단체의 균형을 맞추자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런 식의 균형 맞추기는 예산을 N분의 1로 나눠 갖기가 됐고, 그 결과 지자체 간 경쟁만 심화시켰다.”

- 메가시티도 거점개발론인데.

“거점개발론이 맞다. 하지만 메가시티로 수도권에만 거점을 키우는 게 아니라 비수도권에도 거점을 만들 수 있다. 이는 전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한 것이다. 거점개발론과 균형발전론 사이에서 ‘제3의 길’을 가자는 것이다.”

- 최근 ‘15분 도시’ 개념도 주목받는데.

“15분 도시는 도보나 자전거로 15분 내에 기본적인 주민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춘 도시를 만들자는 것이다. 도시엔 크게 두 가지 층위의 인프라가 있다. 우선 주민의 기본 욕구 충족을 위한 마트, 학교, 의원 같은 곳은 15분 내 도달할 수 있으면 주민 삶의 질이 높아진다. 고급 백화점, 응급의료센터, 상급 종합병원, 영화관, 변호사 사무실 등은 필요하지만 가끔 이용하기 때문에 상위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데, 인구가 적으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마트, 학교 등은 ‘15분 도시’ 개념으로 확충하고, 상위 인프라는 메가시티 같은 도시 간 연계 전략이 필요하다.”

비수도권 메가시티가 시급한 이유

- 비수도권에 메가시티가 탄생할 수 있을까.

“비수도권 인구가 약 2500만명이다. 그래서 1000만명짜리 메가시티가 비수도권에 생길 가능성에 회의적일 수 있다. 하지만 딱히 인구가 1000만명을 넘지 않아도 500만~600만명 정도면 도시가 국가적 기능을 할 수 있다. 550만명인 싱가포르, 750만명인 홍콩을 보면 알 수 있다. 다만, 아무리 개념이 좋아도 지자체가 반대하면 실현되지 않을 것이다. 그 때문에 필수 인프라를 지역별로 나누고 조율할 수 있는 거버넌스(의사 결정 체계)를 지자체들 사이에 만드는 게 중요하다.”

- 비수도권 메가시티는 몇 개나 가능할까.

“충청권, 광주·전남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에 하나씩 4곳 정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동시에 추진할 필요는 없다. 또 중앙정부가 아니라 지역에서 먼저 스스로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

- 수도권의 높은 집값 해결에도 도움이 될까.

“지방에서 수도권에 올라온 베이비부머는 440만명으로 추정된다. 이 중 10%인 44만명만 비수도권 메가시티로 이주하고 이들이 살던 집이 매매나 임대 시장에 나온다면 엄청난 물량이 될 것이다. 그러려면 서울 수준의 인프라를 도시 간 협력으로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 장기적인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서도 검토해 봐야 한다.”

주요국의 비수도권 메가시티

“해외선 광역 연합 형성… 주택·교통 등 정책 공동 추진”

유엔(UN)에 따르면 전 세계 메가시티는 2020년 34곳으로 20년 전의 16곳에서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일본 오사카·교토 등 비수도권 메가시티도 등장하는 추세다. 마강래 교수는 “영국, 일본, 프랑스 등에서 수도권 과밀화와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 도시 간의 연계 협력 사업을 강화하자는 정책 논의가 생기고 있다”고 했다.

―해외의 비수도권 메가시티 성공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나.

”영국은 맨체스터, 리즈, 리버풀 등 주요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9개 도시권이 권역 내 지자체들로 광역 연합을 형성하고 있다. 일본은 오사카, 교토 등이 연합해서 만든 특별 지방자치단체인 간사이 광역 연합이 대표적이다. 간사이 연합은 인구만 2000만명이 넘는다. 프랑스는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에 해당하는 코뮌을 합쳐서 메트로폴이라는 걸 만들고 있다.”

―영국의 광역 연합은 어떻게 움직이나?

”제1 도시인 런던의 흡인력이 점점 강해지는 데 대응해 지역에서 광역 연합을 만들었다. 영국에서 제일 잘 작동하는 게 제2 도시인 맨체스터를 중심으로 한 광역 연합이다. 참여 지자체들은 주택, 교통, 도시 재생, 교육 훈련 등의 정책을 공동 추진하고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있다.“

―일본은?

”간사이 연합은 제2의 수도권을 천명하면서 나왔다. 도쿄권에 빨려 들어가지 말자는 것이다. 도시 간 연계 협력 전략을 펴는데, 지자체 간 규약에 따라 방재, 산업 진흥, 의료, 자격시험 등을 공동 처리한다.”

―해외 사례에서 배울 점은?

”첫째, 지방 도시들이 협력으로 대도시권을 만들지 않으면 수도권의 위세에 눌려 살 수 없다는 걸 절실하게 느껴서 연계 협력 전략을 펴고 있다. 둘째, 광역 연합 전략을 펴면서 중앙정부의 권한을 이양받고 있다. 이렇게 균형 발전과 지방 분권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우리도 이런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메가시티(Megacity)

일본 도쿄, 인도 델리, 중국 상하이처럼 인구 1000만명 이상인 도시로서 ‘인구수’가 강조된 개념이다. 비슷한 개념으로 넓은 지역 내에 여러 도시들 간의 ‘연계’를 강조하는 메가시티 리전(region)이란 용어도 있다. 국내에선 두 용어가 혼용돼 사용되고 있다.

☞마강래 교수는

중앙대 응용통계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사, 런던대에서 도시계획학 박사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로 있다. 지방시대위원회 위원도 맡고 있다. 저서로 ‘부동산, 누구에게나 공평한 불행’, ‘베이비부머가 떠나야 모두가 산다’, ‘지방분권이 지방을 망친다’, ‘지방도시 살생부’, ‘지위경쟁사회’ 등이 있다.

방현철 기자 banghc@chosun.com

7ded8075bd816af337eae9e546831b6f774b4d23994047784b6ddf4ed936beb8c3a06d6734d185eadc89b179ab4666

사실상 총선 결과 요약인듯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2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680835 공지 통신사 IP 목록.txt 니드포스피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8 145 0
679101 공지 특정인물이 마음에 들수있고 안들수있음 [4] 강동구광진구송파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6 331 3
678422 공지 신문고 [3] ㅇㅇ(211.234) 24.06.05 594 0
639280 공지 이제 차기주자를 오세훈,안철수,원희룡,한동훈으로 명확히 규정 하겠음 [24] Heyjud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04 3669 60
598740 공지 추가공지)타갤에 박제될 만한 글 또한 삭제 대상입니다 [3] 솔랭의제왕애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18 2438 30
641453 공지 개인 틀튜브 퍼오는건 금지입니다 [6] Heyjud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06 2135 41
590096 공지 틀튜브 언급 관련 추가공지 [16] 솔랭의제왕애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16 3917 62
587944 공지 갤 스탠스 관련 추가공지 [8] Heyjud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16 2737 22
568169 공지 차기 국민의힘 전당대회 갤 관리 가이드라인 [1] 황국신민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12 1721 12
556566 공지 앞으로 갤 운영 스탠스 [38] Heyjud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11 4161 30
681901 🤣유머 ???: 이화영 나몰래 대북사업 추진했다!!! 우파룸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6 3 0
681900 일반 네임드중 단통밥반대한 유일한사람이 안철수임 ㅅㄷㄷㄱㅌㄴ(223.38) 16:53 12 0
681899 일반 직구 규제 씨발 기레기새끼들 숙청했으면 한다 1월2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0 20 1
681898 🚮잡떡 배현진 시구 언제하냐 [2] ㅇㅇ(118.235) 16:48 55 0
681897 🚮잡떡 개인적으로 이해 안가는거 잇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8 33 0
681896 일반 이재명이 이화영 건에 대해서 몰랐을 리가 없었다고 생각함 왜냐면 [2] ㅇㅇ(124.194) 16:47 56 4
681895 일반 지금 대선전에 나올만한게 검사사칭위증이랑 김문기모른다 ㅇㅇ(122.202) 16:44 29 3
681894 📮건의 이수는 볼수록 비대견인데 왜 차단 안하노 ㅇㅇ(118.235) 16:43 74 13
681893 일반 윤석열 김건희 둘다 한동훈한테 인간적으로 좀 너무한게 [1] J.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3 122 9
681892 일반 아 진짜 제발 그만 좀 나대라 [7] 라클렛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8 205 10
681891 일반 근데 긷갤 존나 신기한게 [8] 이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7 258 4
681890 일반 대선전에 이재명 3심 재판 받을수 있냐 ㅅㅂ [5] ㅇㅇ(112.170) 16:36 72 0
681888 일반 단일화 집토끼 논리는 이번도 나온거라 ㅇㅇ(112.133) 16:35 47 0
681887 일반 총선 중반에 좋았던건 한동훈 효과라기 보단 [1] 이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3 176 4
681886 일반 찢 위증교사 선거법은 올해 1심나온다 ㅇㅇ(122.202) 16:33 59 3
681885 일반 문재앙 대통일 때 상납이를 통해 관제야당 만들려고 했던 거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27 44 3
681884 일반 이때까지 안합친 사람이 없는데 뭘로 이긴다는거임 J.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27 81 2
681883 일반 총선 이겼으면 1찍한녀들 탄압당하는거 일상되는거 가능? ㅇㅇ(118.235) 16:27 18 0
681882 일반 수사, 재판에 정치적 고려가 없다면 거짓이긴 함 [1] ㅇㅇ(112.133) 16:26 38 0
681881 일반 사법부가 대통령 하수인이었던 시절은 문재앙 좆명수 때였지 ㅇㅇ(122.202) 16:24 27 0
681880 일반 재앙 호위무사가 된 준돌 ㅋㅋ [3] (124.49) 16:24 191 22
681879 일반 지선때 공천권 쥘 생각하는게 웃기긴 하네 [1] ㅇㅇ(112.133) 16:23 115 10
681878 일반 ㅎㅇㅎㅇ [6] 척당불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8 139 10
681877 일반 황우여 함성득 mbc에 제보했는데 [2] ㅇㅇ(118.235) 16:14 239 9
681876 일반 위증교사 선고는 대장동 선고와 분리되어 선고할 거라고 봄 [3] 인과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1 115 3
681875 일반 이화영변호사가 한 말 이화영이 유죄면 이재명도 유죄다 [5] ㅇㅇ(223.38) 16:11 134 10
681874 일반 개혁신당이랑 합치면 [8] ㅇㅇ(106.102) 16:11 170 1
681873 일반 윤석열정권 vs 나치....jpg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0 56 3
681872 일반 더불당이 400억 토해내야되면 그 몫 찢에게 전가 가능함? [3] ㅇㅇ(220.77) 16:09 100 1
681871 일반 [단독] 코로나 백신 접종자, 치매 발병률 23% 높았다 [1] ㅇㅇ(14.46) 16:08 182 7
681870 일반 1월 중앙일보 팩폭) 한동훈 효과 까먹는 윤 정부 (124.49) 16:06 156 13
681869 일반 재명이 무섭다. 원지사 부인말대로 소시오패스 맞는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4 101 4
681868 일반 동탄윤석열은 진짜 개빡치겠다 [1] ㅇㅇ(125.130) 16:02 229 17
681867 일반 마삼중 이 새끼 배후에 누가 있는거냐 [2] ㅇㅇ(118.235) 15:56 170 7
681866 일반 용산이 미는게 승계형 단일지도체제인가봄? [4] ㅇㅇ(110.70) 15:53 247 13
681865 일반 중보갤러는 모르는 윤.ㅋㅏ 진짜 대구 민심 [5] 밴당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1 628 43
681864 일반 아,ㅋ [1] ㅇㅇ(121.143) 15:47 141 3
681863 일반 오홍이 찬성하면 어쩔건데 뭘할수 있는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7 136 7
681862 일반 위증교사에 벌금형 때리면 [3] ㅇㅇ(122.32) 15:46 119 0
681860 일반 찢 선거법에서 유일하게 걱정되는거는 [6] ㅇㅇ(58.29) 15:43 17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