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팁] FamiTracker Wiki - 악기(Instruments)

ㅇㅇ(121.159) 2023.01.29 20:45:56
조회 258 추천 1 댓글 0
														

악기 (Instruments)

이 페이지는 악기 창(Instruments window)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Contents

[hide]

악기 (Instruments)

NES는 샘플을 사용하는 대신 소리를 생성합니다(샘플을 저장하고 재생하는 DPCM 채널 제외). 결과적으로 Famitracker는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을 통합하여 거의 무제한의 악기를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악기 설정은 일련의 시퀀스 그래프를 통해 정의됩니다. 시퀀스(sequence)트래커(Tracker) 메뉴에서 결정된 프레임 속도로 채널에 적용되는 값 목록입니다(예: 240Hz는 프레임 속도가 초당 240회 업데이트됨을 의미하며 NTSC NES 일반 속도의 4배임).

기본 프레임 속도(frame rates)는 NTSC 모드의 경우 60FPS이고 PAL의 경우 50FPS입니다.

2A03 악기 (2A03 Instruments)

설정 (Settings)

viewimage.php?id=2eb5d936f1c736a3&no=24b0d769e1d32ca73fea85fa11d028315c2a09e47d692719f95ebfe697d9a17381ca498a4a59d541725806418970eec80a06e94dea8bb72328e3b13396c66fb1e00a00fa

볼륨 페이지(volume page)에 포커스가 있는 악기 편집기 창(Instrument editor window).

악기 설정(Instrument Settings) 목록에서 시퀀스를 선택하고 다음 빈 슬롯 생성(Select next empty slot)을 사용하여 빈 시퀀스 슬롯을 얻습니다. 이는 다른 악기에서 사용된 시퀀스를 실수로 덮어쓰지 않도록 하는 데 중요합니다. 시퀀스를 활성화하려면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사용 가능한 이펙트는 다음과 같습니다(이 중 어느 것도 DPCM 채널에 적용되지 않음).

2A03 악기 설정

설정

설명

허용 가능한 값

볼륨(Volume)

채널 볼륨. 삼각파 채널에는 볼륨 컨트롤이 없습니다. 켜거나 끌 수만 있습니다.

  • 구형파(Pulse):
0 - 15
  • 삼각파(Triangle):
0 꺼짐, 1 - 15 켜짐

아르페지오(Arpeggio)

노트를 빠르게 순환합니다. 일반적으로 단일 채널에서 화음(chords) 시뮬레이션하는 데 사용됩니다.

모드:

  • 앱솔루트 (Absolute): 각 값은 기본 노트에 상대적인 반음을 나타냅니다(예를 들어, | 0 4 7 C의 기본 노트로 C장조 화음을 재생합니다.).
  • 렐러티브 (Relative): 각 값은 이전 노트에 상대적인 반음을 나타냅니다. (예: 0 | 4 3 -7 C의 기본 노트는 C장조 화음(chord) 재생합니다.).
  • 고정됨 (Fixed): 반복 지점(loop point)이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트래커는 눌려진 노트(key)를 재생하기 전에 노트를 순환(0으로 시작하는 절대값에 C-0를 사용함)합니다. 드럼+노트 조합에 유용합니다.

  • Absolute & Relative: -97 - +106
  • Fixed: 0 - 95

피치 & 하이-피치(Pitch & High-Pitch)

Pxx 명령어와 유사하게 피치를 변경합니다. 단일 값 앞에 반복 지점이 사용되면 1xx 및 2xx 명령어와 유사하게 피치가 계속 올라가거나 내려갑니다.

고속 피치 밴드(High-speed pitch bend)는 기본 피치 밴드(regular pitch bend)보다 16배 더 민감합니다.

  • -128 - +127

듀티(Duty) / 노이즈(noise)

듀티 사이클(duty cycle)과 노이즈 모드를 설정합니다.

  • 구형파(Pulse):
0 = 12.5%
1 = 25%
2 = 50%
3 = 75%
  • 노이즈(Noise):
0 = 32-Kbit 모드
1 = 93-bit (looped) 모드

시퀀스는 시퀀스 편집기(sequence editor)에서 그리거나 MML 필드(field)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그리기 모드에서 왼쪽 마우스 버튼은 값을 개별적으로 변경하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은 선을 그립니다.

길이 필드(Length field)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하거나 MML 필드에 파이프 기호( | )를 입력하여 루프 지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길이 필드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거나 정방향 슬래시( / )를 입력하여 릴리즈 지점(release point)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 2A03 악기는 MMC5 사운드 칩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DPCM 샘플 (DPCM samples)

viewimage.php?id=2eb5d936f1c736a3&no=24b0d769e1d32ca73fea85fa11d028315c2a09e47d692719f95ebfe697d9a17381ca498a4a59d541725806418970eec80a06e94dea8bb72329b8b43192c26ce413457786

기 편집기 창(Instrument editor window)의 DPCM 샘플 탭.

DPCM 채널은 소리를 자체 생성하는 대신 저품질 DMC 샘플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채널과 다르게 동작합니다. 이 탭은 특히 DPCM 샘플을 기기에 할당하는 데 사용됩니다.

우선 샘플이 필요합니다. 샘플 불러오기(Load sample) 대화 상자를 통해 1비트 델타 PCM 파일을 직접 불러오거나 WAV 파일을 DMC 파일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 샘플 가져오기(Import sample) 대화 상자를 통해 불러올 수 있습니다. 변환 과정에서 원본 파일의 품질이 크게 떨어집니다. NES는 DMC 샘플을 16KB 뱅크에 저장합니다. 프로그램 이전 버전은 하나의 DMC 샘플 뱅크만 지원하지만 버전 0.3.8은 뱅크 전환(bank-switching) DMC 샘플을 구현하여 이 제한을 256KB로 효과적으로 늘렸습니다.

샘플이 로드되면 왼쪽의 할당된 샘플 상자(Assigned samples box)에서 노트를 클릭하고 아래 메뉴에서 샘플을 선택(또는 오른쪽의 불러오기된 샘플 상자(Loaded samples box)에서 선택하고 <- 버튼을 클릭), 피치(pitch) 값을 지정합니다(DPCM 피치 차트는 이 페이지 참조).

참고: DPCM 샘플을 재생하면 삼각파 및 노이즈의 볼륨 수준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샘플 재생이 끝난 후에도 전체 볼륨이 회복되지 않으면 DPCM 채널에서 노트 정지(note stop) 또는 Zxx 명령어를 사용하여 복원하십시오.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 악기 (Famicom Disk System Instruments)

viewimage.php?id=2eb5d936f1c736a3&no=24b0d769e1d32ca73fea85fa11d028315c2a09e47d692719f95ebfe697d9a17381ca498a4a59d541725806418970eec80a06e94dea8bb72375e2b131c0c139b09a5d53a1

FDS 악기 창(instrument window).

FDS 악기 편집기(instrument editor)는 2A03 악기 편집기와 약간 다르며 간략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엔벨로프 편집기(Envelope editor)는 볼륨 범위가 16 대신 33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FDS 악기 설정 (Waveform tab)

설정

설명

허용 가능한 값

웨이브 편집기(Wave graph) & 웨이브 텍스트 영역(Wave text area)

이것은 기본적으로 웨이브을 나타내는 MML 문자열의 그래픽 표현입니다. 외부 프로그램(메모장 또는 MuMEM과 같은)에서 웨이브에 대한 64개 값을 모두 입력하고 웨이브 붙여넣기(Paste wave) 버튼을 사용하여 악기 창에 붙여넣거나 마우스 커서를 사용하여 그래프에 모양을 그릴 수 있습니다. 네 가지 사전 설정(사인, 삼각형, 사각형 또는 톱니파) 중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0 - 63

변조 편집

(Modulation graph)

변조 패턴(modulation pattern)의 그래픽 표현. FDS에는 비브라토에 가장 기본으로 사용되는 피치 변조기(pitch modulation)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외부 프로그램에서 변조에 대한 32개 값을 모두 입력하고 테이블 붙여넣기(Paste table) 버튼을 사용하여 붙여넣거나 마우스 커서를 사용하여 그래프에 패턴을 그릴 수 있습니다. 비브라토 사전 설정을 사용하거나 플랫(Flat) 버튼을 눌러 수정 사항을 지울 수도 있습니다.

  • 0 - 7

참고: 0과 4는 기본값이고 1-2-3은 피치를 높이고 7-6-5는 피치를 낮춥니다.

변조 속도(Modulation rate)

위에 설정된 패턴을 통해 변조가 순환하는 속도입니다.

  • 0 - 4,095

변조 깊이(Modulation depth)

피치 모듈레이션 밴드가 얼마나 위아래로 구부러지는지 설정합니다.

  • 0 - 63

변조 지연(Modulation delay)

변조가 시작되기 전의 프레임 수입니다.

  • 0 - 255

VRC6 악기 (VRC6 Instruments)

VRC6 악기 편집기(instrument editor)는 DPCM 탭이 없는 2A03 악기 편집기와 시각적으로 동일합니다. 펄스 채널의 경우 VRC6의 보다 유연한 펄스 채널을 설명하기 위해 더 많은 펄스 폭 값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능적으로 동일합니다.

톱니파 채널은 동일한 기기를 사용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채널에는 4비트 대신 6비트 볼륨 레지스터(volume #egister)가 있으므로 16스텝 대신 64스텝이 있습니다. 톱니파 자체는 볼륨 값에 따라 각각 증가하는 7단계로 나뉩니다. 이 카운터는 8비트이므로 최대 255까지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볼륨이 '1'이면 카운터는 [0 1 2 3 4 5 6 0 1 2 3...]이 됩니다. 볼륨이 '2'이면 모든 항목에 2가 곱해집니다: [0 2 4 6 8 10 12 0 2 4...]. 그러나 실제 최대 볼륨은 '42': [0 42 84 126 168 210 252]입니다. 카운터의 최대값은 255이므로 42를 초과하면 카운터가 오버플로되고 255에 도달할 때마다 0으로 덮어씌워집니다. 이로 인해 왜곡된 톱니파가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볼륨 56 = [0 56 112 168 224 280 336]입니다. 280과 336은 255보다 높으므로 카운터는 대신 50과 81으로 덮어씌워집니다.

FamiTracker는 볼륨 값 0~15를 0~30으로 매핑하여 이를 처리합니다. 듀티 사이클 값 1 (V01)을 사용하면 볼륨 레지스터의 상위 비트(high bit)가 0에서 1로 반전되고 볼륨 값에 32가 추가됩니다. 이제 0에서 15까지의 값이 32 - 63으로 매핑됩니다. 따라서 (5 * 2) + 32 = 42이기 때문에 듀티 사이클 설정이 1로 설정된 경우 톱니파가 왜곡되기 전의 최대값은 5입니다.

듀티 사이클과 볼륨을 결합하면 채널의 전체 볼륨 범위를 활용하는 볼륨 엔벨로프(volume envelopes)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엔벨로프의 볼륨이 32 아래로 떨어지는 정확한 순간에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1에서 0으로 전환되는 것을 기억하고 42를 초과하면 소리가 왜곡된다는 점을 명심하십시오.

VRC7 악기 (VRC7 Instruments)

viewimage.php?id=2eb5d936f1c736a3&no=24b0d769e1d32ca73fea85fa11d028315c2a09e47d692719f95ebfe697d9a17381ca498a4a59d541725806418970eec80a06e94dea8bb7237be2b43390913ab3300d6bec

VRC7 악기 창(instrument window).

VRC7 악기 편집기(instrument editor)는 2A03 악기 편집기와 상당히 다르며 간략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드롭다운 메뉴는 패치(Patch) 0~15 사이에서 선택합니다. 패치 1~15의 경우 설정이 회색으로 표시됩니다. 그러나 패치 0은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패치와 사용자 정의 패치 모두 클립보드에서 MML 포맷($xx $xx $xx $xx $xx $xx $xx $xx)으로 복사하여 붙여넣을 수 있어 FamiTracker와 MML 파일 간에 쉽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Modulator & Carrier 설정

설정

설명

허용 가능한 값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트레몰로(tremolo)를 활성화/비활성화합니다.

  • 켜짐 / 꺼짐

비브라토(Vibrato)

비브라토를 활성화/비활성화합니다.

서스테인(Sustained)

modulator/carrier 파형(waveform)의 서스테인을 활성화/비활성화합니다.

RATE key scale

이 옵션을 선택하면 해당 오퍼레이터에 대해 다른 노트 릴리즈 속도가 발생합니다.

정류된 사인파(Wave rectification)

사인파와 정류된 사인파(음의 위상이 잘린 일정한 사인파) 사이를 전환합니다.

레벨(슬라이드) Level (slide)

모듈레이터 또는 캐리어의 볼륨을 결정합니다. 0이 가장 크고 3이 가장 조용합니다.

  • 0 - 3

곱셈 배수(Mult. factor)

carrier 또는 modulator의 주파수를 곱합니다. carrier의 배수를 높이면 carrier 신호의 피치가 높아집니다. modulator의 배수를 높이면 변조 속도가 증가합니다.

  • 0 - 15

어택(Attack)

노트을 호출한 후 modulator/carrier 파형이 얼마나 빨리 페이드 인(fade in)할지 결정합니다.

디케이(Decay)

피크 볼륨에 도달한 후 modulator/carrier 파형(waveform)의 볼륨이 서스테인 레벨(아래 참조)로 페이드 아웃되는 속도를 결정합니다.

서스테인(Sustain)

감쇠 시간(Decay time)이 경과한 후 노트에서 손을 떼기 전에 modulator/carrier 파형이 남아 있어야 하는 볼륨을 결정합니다.

릴리즈(Release)

노트에서 손을 뗀 후 modulator/carrier 파형이 서스테인 레벨에서 완전한 무음으로 페이드 아웃(fades out)되는 속도를 결정합니다.

전역 설정

설정

설명

허용 가능한 값

변조 레벨(Modulator level)

변조된(modulator) 파형의 볼륨입니다.

  • 0 - 63

피드백(Feedback)

왜곡(distortion)을 생성합니다.

  • 0 - 7

최대 64개의 사용자 정의 패치를 가질 수 있지만 모듈에서 주어진 시간에 하나만 사용할 수 있음을 기억하십시오. 더 사용하려고 하면 마지막 것(채널 6에 가장 가까운 것)만 선택되어 재생됩니다.

남코 163 악기 (Namco 163 instruments)

viewimage.php?id=2eb5d936f1c736a3&no=24b0d769e1d32ca73fea85fa11d028315c2a09e47d692719f95ebfe697d9a17381ca498a4a59d541725806418970eec80a06e94dea8bb7237ce3e13dc09668e15c3b3605

N163 악기 창(instrument window).

N163 악기 편집기는 FDS 악기 편집기(instrument editor)와 유사하지만 악기당 최대 16개의 웨이브를 정의할 수 있고 구형파 듀티 사이클(square's duty cycle)(Vxx 또는 악기 매크로(instrument macro) 사용)를 통해 순환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차이점은 내장 변조기(built-in modulation)가 없다는 것입니다.

N163 악기 설정 (Wave tab)

설정

설명

허용 가능한 값

웨이브 편집기(Wave editor) & MML 문자열(MML string)

그래프는 현재 파형(waveform)의 편리한 시각적 표현으로, 샘플을 클릭하여 조정하거나 그래프에서 마우스를 밀어서 편집할 수 있습니다. MML 문자열도 편집할 수 있으므로 악기 간에 또는 외부 소스(예: MML 파일)에서 웨이브를 복사하여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 0 - 15

Wave #

편집할 웨이브와 이 악기에 포함할 웨이브 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숫자는 특정 웨이브를 호출하기 위해 Vxx 또는 악기 매크로를 사용할 때 혼동을 피하기 위해 base-0을 사용합니다.

  • 0 - 15

웨이브 크기 (Wave size)

웨이브의 크기(단위: 단계). 악기 내의 모든 웨이브에 영향을 미칩니다. 참고: FamiTracker의 피치 테이블은 32개의 샘플 웨이브를 염두에 두고 계산되며 2의 거듭제곱이 아닌 웨이브 크기는 조정되지 않습니다.

  • 4 - 32 (4)

웨이브 위치 (Wave position)

의 64바이트 웨이브 RAM 내에서 이 악기의 모든 웨이브가 배치될 위치입니다. 참고: 두 개의 악기가 모듈에서 동시에 동일한 메모리 위치에서 읽으려고 시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의 책임입니다.

  • 웨이브의 크기에 따라 다릅니다. FamiTracker는 웨이브 크기에 따라 메모리 위치를 제안하지만 숫자는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2개 샘플 웨이브는 메모리 위치에서 32개의 '공간'을 사용하므로 FamiTracker는 0, 32, 64 및 96 위치를 제안합니다.

See also

FamiTracker Help
Sound hardware - Instruments - Configuration - Pattern editor - Toolbar - Control panel -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3751 FamiTracker Wiki - 듀티 사이클 (Duty cycle) ㅇㅇ(121.159) 04.12 65 0
3748 pxtone 기반 DAW ptcollab 한글 수정, 일본어 업데이트 _감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96 4
3732 님들 칩튠 만들고 싶은데 뭐부터 해야함? [2] 칩붕이(182.212) 01.14 169 0
3673 ptcollab(pxtone) 한글화 입갤 [1] ³₃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3 288 7
3625 Dn-Famitracker 도움말 - NSF 내보내기 ㅇㅇ(121.159) 23.04.11 82 0
3624 FamiTracker Wiki - 볼륨 (Volume) ㅇㅇ(121.159) 23.04.11 71 0
3623 FamiTracker Wiki - VRC6 톱니파 주파수 레지스터 표 ㅇㅇ(121.159) 23.04.11 88 0
3622 FamiTracker Wiki - 기본 주파수 레지스터 표 ㅇㅇ(121.159) 23.04.11 77 0
3621 FamiTracker Wiki - FDS 채널 주파수 레지스터 표 ㅇㅇ(121.159) 23.04.11 77 0
3617 famitracker - DPCM "델타 카운터" 에 대해 탐구해보자 2 [1] ryon(220.83) 23.04.03 104 0
3616 famitracker - DPCM "델타 카운터" 에 대해 탐구해보자 [3] ryon(220.83) 23.04.03 312 0
3614 FamiTracker Wiki - 노이즈/DPCM 주파수 레지스터 표 ㅇㅇ(121.159) 23.04.02 79 0
3609 FamiTracker Wiki - 화음(Chords) ㅇㅇ(121.159) 23.03.28 152 0
3595 FamiTracker Wiki- 모듈 속성(Moduleproperties [1] ㅇㅇ(121.159) 23.03.01 110 0
3593 FamiTracker Wiki - 표준 템포 값 (구글 변역) ㅇㅇ(121.159) 23.02.27 115 0
3590 FamiTracker Wiki - 제어판 (Control panel) ㅇㅇ(121.159) 23.02.27 98 0
3589 FamiTracker Wiki - 도구 모음(Toolbar) ㅇㅇ(121.159) 23.02.25 146 0
3578 FamiTracker Wiki - 환경 설정 (Configuration) [4] ㅇㅇ(121.159) 23.02.22 229 0
3575 FamiTracker Wiki - 패턴 편집기(Pattern editor [2] ㅇㅇ(121.159) 23.02.20 116 0
3574 FamiTracker Wiki - 단축키 (Key commands) [6] ㅇㅇ(121.159) 23.02.20 160 0
3558 FamiTracker Wiki - Wxx,Xxx,Yxx,Zxx(DPCM) ㅇㅇ(121.159) 23.02.01 131 0
3557 FamiTracker Wiki - 이펙트 Vxx(듀티, 노이즈, 웨..) ㅇㅇ(121.159) 23.02.01 146 0
3556 FamiTracker Wiki - 이펙트 Sxx(음소거 딜레이) ㅇㅇ(121.159) 23.02.01 90 0
3555 FamiTracker Wiki - 이펙트 Qxy, Rxy(노트 슬라이드) ㅇㅇ(121.159) 23.02.01 137 0
3553 FamiTracker Wiki - 이펙트 Pxx(미세 피치) ㅇㅇ(121.159) 23.01.31 101 0
3552 FamiTracker Wiki - 이펙트 Ixx,Jxx(FDS 변조속도) ㅇㅇ(121.159) 23.01.31 92 0
3551 FamiTracker Wiki - 이펙트 Hxx (FDS 변조 깊이) ㅇㅇ(121.159) 23.01.31 89 0
3550 FamiTracker Wiki - 이펙트 Hxy, lxy(하드웨어 스윕) ㅇㅇ(121.159) 23.01.31 103 0
3549 FamiTracker Wiki - 이펙트 Gxx (노트 딜레이) ㅇㅇ(121.159) 23.01.31 90 0
3548 FamiTracker Wiki - 이펙트 Fxx (속도/템포) ㅇㅇ(121.159) 23.01.31 108 0
3547 FamiTracker Wiki - 이펙트 Exx (사용하지 않음) ㅇㅇ(121.159) 23.01.31 93 0
3546 FamiTracker Wiki - 이펙트 Bxx, Cxx, Dxx ㅇㅇ(121.159) 23.01.31 106 0
3545 FamiTracker Wiki - 이펙트 Axy (볼륨 슬라이드) ㅇㅇ(121.159) 23.01.31 124 0
3544 FamiTracker Wiki - 이펙트 7xy (트레몰로) ㅇㅇ(121.159) 23.01.31 126 0
3543 FamiTracker Wiki - 이펙트 4xy (비브라토) ㅇㅇ(121.159) 23.01.31 151 0
3542 FamiTracker Wiki - 이펙트 3xx (포르타멘토) ㅇㅇ(121.159) 23.01.31 150 0
3541 FamiTracker Wiki - 이펙트 1xx, 2xx(피치 슬라이드) ㅇㅇ(121.159) 23.01.31 156 0
3540 FamiTracker Wiki - 이펙트 0xy (아르페지오) ㅇㅇ(121.159) 23.01.31 160 1
FamiTracker Wiki - 악기(Instruments) ㅇㅇ(121.159) 23.01.29 258 1
3538 FamiTracker Wiki - 사운드 하드웨어(구글 변역) ㅇㅇ(121.159) 23.01.29 234 0
3378 뉴비에용 [1] ㅇㅇ(1.220) 22.02.05 134 0
3291 FamiStudio 라는 툴이 있네요. [3] Com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16 420 4
3192 LSDJ Percussion관련 영상 Pkmnms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0 92 1
3066 YM2413 = OPLL 기본 음색들 [2] 김이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06 146 0
3010 원곡 BPM에 맞추는 법 12368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19 259 0
2754 gbstudio 에서 템플릿(게임보이 펄스, 노이즈) 가져오기 [2] soodle(116.127) 20.05.23 179 1
2717 LSDJ의 최소 시간 단위인 Tick과 Groove 이모저모 [1] :Poin7les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5.06 125 2
2716 LSDJ 볼륨 관련 이모저모 :Poin7les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5.06 129 0
2604 .wav파일 기반으로 FDS, N163 악기 waveform만들기 [2] Pkmnms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3.15 287 0
2337 기-발매된 메가도라 겜들 악기 슥삭해오는 법 [1] 김이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0.05 185 3
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