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6) 구축함 프룬제 편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9.02.14 22:31:16
조회 301 추천 7 댓글 5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c9c6510e7496d6955dcd115ca9a106ec21e1cceefefed7adce0510

프룬제는 워썬더 소련 해상트리 BR 3.7에 위치한 구축함이다.


  프룬제는 러시아 제국해군의 터빈 장착형 신형구축함으로써 노빅급의 하위함급인 시슬리뷔급 두번째 함선으로 태어났음. 참고로 영문 위키에는 데르즈키급으로 나올텐데 영문위키는 개판이니 믿지 말자. 시슬리뷔급은 흑해에서 만들어진 노빅급 구축함들이 받은 분류명으로, 당연히 전부 흑해에 배치되었음. 건조될 당시의 시슬리뷔급은 만재배수량 1370t으로, 스위스 브라운-보베리사제 스팀터빈 2기와 영국 토니크로프트사제 보일러 5기로 구성된 추진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참고로 노빅급 구축함 계열들 중 자국산 추진체계를 쓰는 함선은 단 한척도 없으며, 당시 러시아 제국의 산업화가 얼마나 개판이었는지를 보여주는 예임. 어쨋든, 덕분에 이 소형 구축함은 최대속도를 34노트까지 올릴 수 있었다. 무장은 원본인 노빅에 비해 포를 줄이고 어뢰를 중시하는 모양새를 보여주었는데, 102mm 60구경장 1911년형 함포가 4문에서 3문으로 줄어들고 대신 450mm 연장 어뢰발사관이 4기에서 5기로 늘어났음. 이외에도 기뢰 80기를 탑재해 유사시 기뢰전임무에 투입될 수 있었는데, 이는 당시 구축함의 특징 중 하나임.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8c9a07697e98d39850ccba32340cc3ddceae44dc0d542f

 1917년 제국 해군 시절 비스트리


  프룬제는 1913년 건조가 시작되어 1914년 6월 7일 진수됨. 1차 세계대전이 1914년 7월 28일에 시작되었고, 워썬더 내에서 두번째로 오래된 클램슨급 DD-213 바커가 전쟁이 끝난 뒤인 1919년에야 건조가 시작되었음을 생각하면 상상을 초월하는 노땅임을 알 수 있음. 사실 프룬제조차도 1925년 개명된 이름으로, 원래는 Быстрый(비스뜨리, 쾌속)이라는 함명이었음. 이렇게 태어난 비스뜨리는 1915년부터 자매함인 시슬리뷔와 함께 제 2기뢰전대에 소속되어 흑해에서 자유로운 사냥을 나서게 되는데, 이는 러시아 제국 해군도 병신이지만 흑해에서의 적군인 오스만제국군은 더 병신인 덕분임. 덕분에 비스뜨리는 1915년 한해에만 26척의 상선과 3척의 군함을 격침시키고 오스만 해군 방호순양함 하미디예를 손상시키는 전과를 거둠. 1916년에는 슬슬 바다로 나오는 항공기들에 맞서기 위해 호치키스 3파운더 대공포 2문과 2정의 맥심 1910 7.62mm 기관총을 장비하는 개량을 거친 뒤 다시 바다로 나와 터키와 로마니아의 해안을 포격하는 임무들에 투입됨. 1917년에도 3차례 출항하여 터키 해안가를 포격하였고, 1917년 10월의 네번째 항해에서는 시슬리뷔급 4번함 필키와 함께 터키해군 2급구축함(이래봤자 현재 기준으로는 어뢰정) 하미다바드를 격침시키고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3척의 터키해군 소해정을 격침시키는 전과를 거둠.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c9c6510e7496d6955dcd115ca9a106bc73bccebda5abdeadce0580

1920년대 프룬제의 모습


  이렇게 순조롭나 싶던 비스뜨리는 1917년 말 10월 혁명의 발발과 함께 꼬이기 시작함. 비스뜨리는 우선 붉은함대 흑해방면 함대에 합류하였지만 1918년 3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의 체결과 함께 우크라이나가 독일제국의 손에 넘어가고 비스뜨리 역시 독일제국해군 흑해함대 소속 구축함 R02란 이름으로 개명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수리미흡으로 터빈이 고장나 실전에 나서진 못했다. 이후로도 주인이 수시로 바뀌었는데, 1차대전 종전 이후 1919년 4월 29일에 소련군이 다시 우크라이나를 점령하여 소련 손으로 되돌아오는 듯 싶다가 2달 뒤인 1919년 6월 29일 영국군이 세바스토폴을 점령하여 자신들의 차지로 한 뒤 곧 백군에게 넘겨주었고, 결국 다음해인 1920년 11월 15일에야 백군이 항행불가로 인해 남겨둔 비스뜨리는 세바스토폴과 함께 소련의 품으로 돌아오게 된다. 더 슬픈 것은 이 와중에 항해가 가능했던 자매함들은 전부 해외로 나가 백군의 손에 들어갔다가 해체되었다. 형제들이 사라진레후...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c9c6510e7496d6955dcd115ca9a106eb22b29dedafaadbadce0535

마찬가지로 1920년대 프룬제의 모습.


  1923년 소련 해군은 드디어 비스뜨리의 현역 복귀를 위한 개장을 시작하였다. 추진체계를 아예 들어내 복원하는 대개장 속에서 무장 역시 변화가 있었는데, 기존 함미 3번포와 2번포 사이에 끼어있던 호치키스 3파운더 2문을 제거하고 해당 위치에 102mm 1911년 함포를 하나 추가하였으며 어뢰발사관 역시 450mm 연장 5기에서 3연장 3기로 교체하였다. 호치키스 3파운더를 대신하여 1문의 76mm 28구경장 8-K 'Lender' 함포가 함미에 설치되었다. 이 와중에 만재배수량이 1,540t으로 증가하였고 승무원 역시 기존의 112명에서 133명으로 증가하였다. 개조는 1923년부터 1927년까지 이어졌으며, 그 와중이던 1925년 함명이 비스뜨리에서 프룬제로 개명되었다.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c9c6510e7496d6955dcd115ca9a106bd73b79beaa9a9d6adce05bf

워썬더 내 프룬제의 모습. 1940년 개량후의 모습에 해당한다.


  1927년 다시 흑해함대 제1구축함전대 소속으로 복귀한 이후 프룬제는 해외순방 등 평온한 나날을 보냈다. 물론 그 와중에 1931년 아군 잠수함과 충돌해 잠수함이 침몰하는 사건이 있긴 했다. 1936년 프룬제는 전운이 감도는 유럽에서 다시 한번 현대화 개장을 받았는데, 기존 대공화력에 더해 45mm 21-K 대공포 1문이 추가되었으며(자료에 따라 2문이라고 하는 자료도 있다) 12.7mm DShK 2문이 맥심 기관총 대신 들어갔다. 대신 기뢰설치능력을 80기에서 40기로 줄였지만 배수량은 이미 1,700t에 달했고 승무원도 172명으로 늘음. 개장은 1940년에 완료됨.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8c9a07697e98d39850ccba3633039180c9a214dc0d542f

독일군 슈투카가 촬영한 침몰한 프룬제. 1941년


  1941년, 소련해군 내에서도 가장 노땅 중 하나이던 프룬제도 흑해를 지키기 위한 임무에 투입됨. 다른 흑해함대 함선들과 마찬가지로 오데사에서 8월 후반 내내 지상군을 지원하는 함포사격을 감행했던 프룬제는 1941년 9월, 다른 흑해함대 소속 함선들과 함께 오데사에서 탈출한 소련 육군 전력을 수송하는 임무를 맡음. 그러나 이 노함의 행운도 여기까지였는데, 1941년 9월 21일, 프룬제는 먼저 공습받은 흑해함대 소속 포함 크라스니야 아르메니아에서 탈출한 병력들을 수송하다 9대의 Ju-87에게 공습을 받아 5발의 폭탄을 얻어맞아 침몰하게 됨. 불행 중 다행인 것은 프룬제가 침몰한 것이 수심이 6m 정도인 얕은 곳이었던데다 함선이 기운 방향 역시 육지와 가까운 좌측이었기에 함교와 파이프는 물 위에 떠있을 수 있었고, 덕분에 대부분의 선원들과 탑승한 병력들은 탈출할 수 있었음.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8c9a07697e98d39850ccba606356c6d3cef949dc0d542f

2006년과 2012년 두차례의 조사를 통해 찾은 프룬제의 남은 잔해들


  이후 10월 6일 소련해군은 프룬제를 정식으로 소련해군 함선 리스트에서 제적시켰으며, 다음 해 흑해에 불어닥친 태풍으로 인해 선체 대부분이 심하게 파손되어 멀쩡하게 남은 부분은 물 밑에 잠겨있던 기관부 정도뿐이었음. 2012년 9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남아있는 불발탄의 폭발을 막고자 잔해 속에 남아있던 함포와 탄약고 내의 탄약을 이양해 박물관에 보관함.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8c9a07697e98d39850ccba63625092d2c9f942dc0d542f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37afe43e107cc07a5e08c9a07697e98d39850ccba6e6002c680c4f842dc0d542f

프룬제의 잔해에서 꺼낸 함포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8439 정보 오피셜) 오늘 데브섭 열린다 [16] 대공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03 231 0
18351 정보 Tactical map [2]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02 163 3
17812 정보 이건 꼭 외우자 [9]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01 1484 7
17168 정보 이게임 지금 중대한 버그생김(1) 실시간 내용추가중임 [9] Object_47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8 528 10
16589 정보 다목적 거측식 조준경 [2] ㅇㅇ(175.119) 19.02.27 129 0
16259 정보 [유저조준경] Object120 Taran [9]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6 708 16
16004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24)데이터유출함선들 [2]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6 383 7
15767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23)공여/배상함 편 [9]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5 390 10
15228 정보 어뢰 피해 최소화 하는 미세팁 [2] 포쏜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4 207 0
15107 정보 미국에서 비교 실험한 AP, APC, HVAP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3 201 0
14495 정보 T29 유저조준경 만듬 [2]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2 1095 19
14245 정보 배썬더 연대기 추천덱 [2] 포쏜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2 128 1
14120 정보 MiG-19 대략적인 계보 [4]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259 3
14116 정보 MiG-19PT와 MiG-19S가 뭐가 다른지.araboza [16] 비고정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928 10
14067 정보 이건 내 추측사항인데 [3]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93 0
13836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21) 크라스니 크림편 [6]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287 6
13700 정보 BVVD 개발자 QnA 번역 [10] ㅇㅇ(125.180) 19.02.21 633 10
13629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20) Pr.159편 [8]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497 11
13507 정보 타슈켄트가 격침당할 때까지 1년간 세운 전과 [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0 129 0
13473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9)선도구축함 타슈켄트편 [4]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0 753 8
13338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8) 구축함 Pr.7U편 [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0 191 7
12964 정보 초보자를 위한 폭격기 운용 세부 이론 - 지상 목표물 편 - [9] Sennheis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9 1333 11
12863 정보 Sea Voyage (EVENT) [10] Robb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8 169 0
12526 정보 워썬더에서 유사 열상 시점으로 플레이해보자 [16] ㅇㅇ(14.44) 19.02.17 1064 17
12504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7)선도구축함 모스크바편 [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7 258 7
12419 정보 KV-220 포탑의 최후 [4]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7 298 1
12216 정보 이번에 공개된 챌린저 2 도색을 알아보자 [5]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6 354 1
11945 정보 챌린저2에 챌린저1궤도가 아주 고증오류는 아님 [7]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5 205 1
11888 정보 [충격]고닉 좆목 디코 톡방 전면 공개 [1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5 303 3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6) 구축함 프룬제 편 [5]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4 301 7
11445 정보 개발진에게 전달된 제안들 - 2018년 9월자 (항공기편) 번역 2 [7] ㅇㅇ(110.15) 19.02.13 255 4
11416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4) Pr.186 편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3 143 6
10900 정보 각국 주력기관포 데이터 [2] 날막만졌잖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2 625 8
10625 정보 각 국가별 사기 골탱,골뱅 추천 [7]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1 1939 13
10571 정보 초보자를 위한 폭격기 운용 세부 이론 - 코스 선택 편 - [9] Sennheis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1 1291 15
10378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3) MBK급 포함 편 [5]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0 284 3
10262 정보 관통력 매커니즘 변경으로 바뀌는 전차 관통력 정리 [11] 불타고있는낙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0 976 18
10251 정보 야크시리즈에 대한 몇가지 이야기들 [28] Пингви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0 908 19
10104 정보 관통력 매커니즘 변경으로 바뀌는 프랑스 전차 관통력 정리 [8] 불타고있는낙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9 549 11
10045 정보 아래 누가 소련 계보 모르갰다길래 팁 [1]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9 125 1
10011 정보 P-47 썬더볼트에 관한 몇가지 이야기들 [35] Пингви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9 1136 32
9873 정보 [연재글]저격자리 El Alamein [7]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8 790 18
9794 정보 경사장갑 두께 구하는법 [2]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8 322 5
9677 정보 공식-신규 날탄 관통력, 인게임 APCR 탄심 데이터 [20]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8 1015 12
9668 정보 Ballistic update - questions and answers [3]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8 194 0
9103 정보 M901 ITV 포탑 내부 구조 [1]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6 187 0
9088 정보 독일 일본 깃발 변경된 커스텀 행거 [4]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5 980 12
9045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2) Ya-5M편 [1]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5 234 1
8619 정보 슈투러 에밀이 존나 좋은 이유 [12] 무로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4 1683 22
8469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1)Pr.1204편 [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3 268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