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9)선도구축함 타슈켄트편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9.02.20 21:24:14
조회 752 추천 8 댓글 4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07efe435aad6455e256891631566b33564e070bb8b4683bdda63b318a51b1aaae154426fa

아니 쉬발 타슈켄트는 데브블로그도 안올라왔었네

Project 20 타슈켄트는 워썬더 소련해군 BR 4.3에 위치한 선도구축함이다.


Project 20급 선도구축함은 Project 1급 선도구축함 건조 과정에서 겪은 혼란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 계획임. 덕분에 외국 설계안을 국내로 들여와 국내 설비로 건조하던 Project 1과 달리 Project 20은 아예 1번함 건조를 해외에서 하고 2번함부터 국내에서 건조한다는 계획으로 출발함. 이에 소련해군은 1935년 이탈리아 OTO사와 계약함. 단순히 신뢰성뿐만이 아니라 성능 역시 Project 1에 비해 상향 조정되었는데, 이는 Project 1이 설계 문제로 인해 실제 발휘할 수 있는 성능 하위함급인 Project 7급 구축함과 동급임을 생각하면 당연한 선택이었음. 배수량은 안그래도 동시기 구축함을 뛰어넘던 Project 1보다도 200t 큰 만재배수량 기준 3200t으로 책정되었고, 엔진 출력 역시 1.8배 향상된 11만 마력이 되었음. 이는 특히 Project 1이 3개의 증기터빈을 가진데 비해 Project 20은 2개밖에 없음을 생각하면 무리한다고 할 정도의 발전임. 화력 역시 주포와 어뢰의 화력을 동시에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130mm B-13 5기의 조합 대신 130mm 연장포탑인 B-2LM을 새로 개발하기로 선택한 덕분에 동시기 소련 해군의 일반 구축함들보다 더 많은 포를 탑재하면서도 포탑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어뢰발사관을 하나 더 설치할 수 있었다. 대공 무장 역시 45mm 21-K 6문, 12.7mm DShK 6문으로 당시 소련함선 치고는 준수한 편이었다. 최종적으로 기획된 무장은 130mm 9문, 45mm 21-K 6문, 12.7mm DShK 6문, 533mm 어뢰발사관 3연장 3기, 폭뢰투하레일 2기에 폭뢰 25발, 기뢰 80발이었음.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07efe435aad6455e256891631566b33564e070bb8b4683bddf36e328c53b6fbfc155e3842

타슈켄트의 1941년 도면


이렇게 야심차게 시작한 계획은 그러나 건조를 시작하자마자 문제에 직면하게 됨. 가장 큰 문제는 소련 내에 저런 소형 고출력 스팀터빈을 제작할 설비가 없다는 것임. 결국 소련 해군은 현재 건조되고 있는 것 이외의 모든 Project 20급의 주문을 취소하게 되고, 결국 1번함 타슈켄트(Ташкент)만이 건조에 들어감. 이후에는 어뢰 발사관 숫자를 감소시키고 배수량을 줄여 소련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건조할 수 있도록 한 신형 선도구축함 계획은 Project 48로 넘어감. 문제는 Project 48의 시작이 늦은 바람에 전쟁이 시작될 때까지 완성된 배가 단 한척도 없었고, 전부 취소되거나 독일군에 의해 파괴됨. 이외에도 주포인 130mm 연장포탑 B-2LM의 개발 역시 늦어지고 있었음. 그래도 일단 1937년 11월 28일, 이탈리아에서 건조중이던 타슈켄트가 진수되고, 바로 무장 장착을 위해 소련이 가지고 있는 흑해 최대의 조선소인 니콜라예프로 출발함.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07efe435aad6455e256cc4a6731613d53430b0e6648927af563db3b85826250ae

첫항해중인 1937년의 타슈켄트.


비무장 상태에서 행해진 항해성능 테스트는 소련군의 기대를 만족시켰다. 특히 터빈 과부화 테스트 때에는 13만 마력의 출력과 43.3노트의 속도로 소련 해군의 고속 구축함 요구를 확실히 이행했음을 보여주었음. 그러나 소련에 도착하고 나서도 무장탑재는 진척되지 못했는데, 여전히 B-2LM의 개발이 완료되지 못해서임. 결국 소련해군은 1939년 임시로 130mm 단장포탑인 B-13 3기를 장착하기로 결정하고, 이상태로 1939년 4월 18일 다시한번 항해에 나서 6월에 오데사에 도착한 이후 10월에 취역하게 됨.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07efe435aad6455e256cc4a6731613d53430b0e661a902cf03f8f6bd7826250ae

130mm B-13을 장착한 초기 타슈켄트 모습


1941년 6월 22일 전쟁이 터졌을 때 타슈켄트는 아직 조선소에서 개장중이었고, 그날 밤 곧바로 조선소에서 나와 급하게 작업을 마감한 뒤 노보로시스크로 이동했다. 7월에는 다시 세바스토폴로 이동하여 주포를 드디어 B-2LM으로 교체하고 45mm 21-K 6문 역시 철거되어 37mm 70-K로 교체되었다. 결국 타슈켄트가 완전하게 작전 준비상태가 된 것은 8월 중순의 이야기였음. 8월 19일 다른 구축함 3척과 함께 출항한 타슈켄트는 서부 흑해해안을 돌며 소련쪽으로 다가오는 루마니아나 독일해군 함선을 공격하고자 했지만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세바스토폴로 귀환하는 길에 해안가 쪽에 있던 독일군에게 450발의 130mm 포탄을 발포한게 해당 항해의 성과 전부였다. 8월 29일에는 순양함 크라스니 우크라이나, 구축함 프룬제 등 대형함 6척과 어뢰정 7척, 수송선 보급선 각 1척씩을 포함한 함대에 소속되어 포위당하고 있던 오데사에 도착해 오데사를 공격하던 독일군 포병진지를 격파하는 공로를 세움. 하지만 타슈켄트의 오데사 방어군 지원은 오래가지 못했는데, 바로 다음날인 8월 30일 독일 육군의 또다른 15cm 중포 포대를 공격하던 와중에 Ju-88 폭격기 편대의 폭격이 지근거리에 떨어져 침몰위기에 처했다가 가까스로 살아남아 바로 오데사에서 응급수리를 받은 후 세바스토폴로 철수함. 8월 31일 세바스토폴에 도착한 타슈켄트는 곧바로 수리에 들어갔고 이 와중에 3번 주포탑 뒤에 76mm 연장포탑인 92-K를 장착하는 개장을 받음.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07efe435aad6455e256891631566b33564e070bb8b4683bddf46864d853bcf6ff155e38fb

Ju-88의 공습을 받는 타슈켄트를 묘사한 그림.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07efe435aad6455e256cc4a6731613d53430b0e661bc179a23e8b3d84826250ae

1940년 11월 1일 개장을 마치고 출항하는 타슈켄트.


문제는 개장이 다 끝나고 작전을 준비중이던 10월 30일 세바스토폴이 포위되기 시작함. 결국 11월 1일 타슈켄트는 급히 출항하여 바투미로 이동하였고, 여기에서 세바스토폴을 왕복하여 병력을 이송하고 부상자들을 후송하는 임무를 맡음. 이 와중에 태풍을 맞아 심한 파도에 함수가 우그러지는 피해를 받기도 함. 이렇게 6월까지 계속 후송업무를 맡던 타슈켄트는 6월 27일, 전날 보충병과 식량, 물자를 세바스토폴에 내려준 뒤 정원수의 8배가 넘는 2100명의 인원을 함내 바글바글 태우고 오다 90여기 이상의 독일 슈투카의 공습을 받아 피격됨. 침수가 계속된 탓에 배가 기울자 연료와 물자를 버려가며 균형을 맞춘 뒤 침수되지 않은 보일러들을 필사적으로 돌려 12노트의 저속으로 이동한 타슈켄트는 8시 30분 급파된 구축함 사브라지뗄늬에게 살아남은 1975명의 승객을 넘긴 뒤 견인되어 노보로시스크 항구에 도착함. 항구에 돌아온 타슈켄트의 승무원들은 그 영웅적인 활약상에 훈장을 받음. 문제는 불운은 여기서 끝나지가 않음.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07efe435aad6455e256891631566b33564e070bb8b4683bddf56e37df54e7f9fc155e38d7

1942년 후송임무중인 타슈켄트의 함상. 독일 공군을 막기 위한 대공포대 이외에는 후송자들을 최대한 꽉꽉채워넣었다.


그리고 운명의 1941년 7월 2일, 수리중이던 타슈켄트는 노보로시스크를 덥친 독일공군의 대규모 공습에 결국 침몰하고 맘. 344명의 승무원중 76명이 사망하거나 실종했으며 76명이 부상당했고, 함수와 함미가 완전히 분리된 타슈켄트는 이번에야말로 복구 불가판정을 받아 남아있던 무장이 철거됨. 이후 1944년 여름에 노보로시스크 항을 사용하기 위해 항구에 가라앉아있던 선체가 꺼내졌고 1946년부터 1948년의 기간동안 스크랩 처리됨.


viewimage.php?id=2abcd92cecdc&no=24b0d769e1d32ca73fee85fa11d02831d7eb5c9acd2fe50a30ee0df9007efe435aad6455e256cc4a6731613d53430b0e6615c12fa5668c3fd7826250ac2c

공습 후의 타슈켄트. 복구 불가 판정을 받은 뒤 무장을 제거한 모습이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8439 정보 오피셜) 오늘 데브섭 열린다 [16] 대공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03 231 0
18351 정보 Tactical map [2]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02 163 3
17812 정보 이건 꼭 외우자 [9]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01 1484 7
17168 정보 이게임 지금 중대한 버그생김(1) 실시간 내용추가중임 [9] Object_47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8 528 10
16589 정보 다목적 거측식 조준경 [2] ㅇㅇ(175.119) 19.02.27 129 0
16259 정보 [유저조준경] Object120 Taran [9]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6 708 16
16004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24)데이터유출함선들 [2]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6 383 7
15767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23)공여/배상함 편 [9]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5 390 10
15228 정보 어뢰 피해 최소화 하는 미세팁 [2] 포쏜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4 207 0
15107 정보 미국에서 비교 실험한 AP, APC, HVAP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3 201 0
14495 정보 T29 유저조준경 만듬 [2]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2 1094 19
14245 정보 배썬더 연대기 추천덱 [2] 포쏜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2 128 1
14120 정보 MiG-19 대략적인 계보 [4]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259 3
14116 정보 MiG-19PT와 MiG-19S가 뭐가 다른지.araboza [16] 비고정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928 10
14067 정보 이건 내 추측사항인데 [3]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93 0
13836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21) 크라스니 크림편 [6]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287 6
13700 정보 BVVD 개발자 QnA 번역 [10] ㅇㅇ(125.180) 19.02.21 633 10
13629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20) Pr.159편 [8]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1 497 11
13507 정보 타슈켄트가 격침당할 때까지 1년간 세운 전과 [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0 129 0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9)선도구축함 타슈켄트편 [4]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0 752 8
13338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8) 구축함 Pr.7U편 [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20 191 7
12964 정보 초보자를 위한 폭격기 운용 세부 이론 - 지상 목표물 편 - [9] Sennheis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9 1333 11
12863 정보 Sea Voyage (EVENT) [10] Robb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8 169 0
12526 정보 워썬더에서 유사 열상 시점으로 플레이해보자 [16] ㅇㅇ(14.44) 19.02.17 1064 17
12504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7)선도구축함 모스크바편 [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7 258 7
12419 정보 KV-220 포탑의 최후 [4]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7 298 1
12216 정보 이번에 공개된 챌린저 2 도색을 알아보자 [5]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6 354 1
11945 정보 챌린저2에 챌린저1궤도가 아주 고증오류는 아님 [7]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5 205 1
11888 정보 [충격]고닉 좆목 디코 톡방 전면 공개 [1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5 303 3
11665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6) 구축함 프룬제 편 [5]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4 301 7
11445 정보 개발진에게 전달된 제안들 - 2018년 9월자 (항공기편) 번역 2 [7] ㅇㅇ(110.15) 19.02.13 255 4
11416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4) Pr.186 편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3 143 6
10900 정보 각국 주력기관포 데이터 [2] 날막만졌잖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2 625 8
10625 정보 각 국가별 사기 골탱,골뱅 추천 [7]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1 1939 13
10571 정보 초보자를 위한 폭격기 운용 세부 이론 - 코스 선택 편 - [9] Sennheis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1 1291 15
10378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3) MBK급 포함 편 [5]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0 284 3
10262 정보 관통력 매커니즘 변경으로 바뀌는 전차 관통력 정리 [11] 불타고있는낙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0 976 18
10251 정보 야크시리즈에 대한 몇가지 이야기들 [28] Пингви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10 908 19
10104 정보 관통력 매커니즘 변경으로 바뀌는 프랑스 전차 관통력 정리 [8] 불타고있는낙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9 549 11
10045 정보 아래 누가 소련 계보 모르갰다길래 팁 [1]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9 125 1
10011 정보 P-47 썬더볼트에 관한 몇가지 이야기들 [35] Пингви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9 1136 32
9873 정보 [연재글]저격자리 El Alamein [7]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8 790 18
9794 정보 경사장갑 두께 구하는법 [2] Grenzerkompan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8 322 5
9677 정보 공식-신규 날탄 관통력, 인게임 APCR 탄심 데이터 [20]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8 1015 12
9668 정보 Ballistic update - questions and answers [3]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8 194 0
9103 정보 M901 ITV 포탑 내부 구조 [1]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6 187 0
9088 정보 독일 일본 깃발 변경된 커스텀 행거 [4] 로켓퍼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5 980 12
9045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2) Ya-5M편 [1]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5 234 1
8619 정보 슈투러 에밀이 존나 좋은 이유 [12] 무로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4 1683 22
8469 정보 (비정기연재) 워썬더 해군 함선을 알아보자 - 11)Pr.1204편 [3] C1Arie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2.03 268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