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정보] (스포) 왜 비평인가? (非문학 시리즈)

탐정B문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0.21 23:02:16
조회 223 추천 11 댓글 3
														
							
스포일러 주의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스크롤 해주세요.
만두이미지

주의사항

: 본 글은 원문 전체에 대한 완역본이 아니라 주요 논점을 한국어로 초록(abstract)화 시키고 글쓴이가 다시 정리한 ‘컨텐츠’임. 즉 원본으로 생각하고 읽으면 큰일 남. 본 웹 특성상(또한 내 시간상) 애초에 긴 글은 불리하다고 판단해서이기도 함. 짧게 가져가는 만큼 의도와는 상관없이, 번역의 과정에서 모호하거나 무딘 의미가 생성될 수 있음. 그래서 일부 원문 문장, 단어, 표현 등은 그대로 괄호에 넣어둠. 또한 추리장르 비평의 특성상 스포일러를 피할 수 없는 부분도 많기에 애초에 글 분류를 리뷰/스포 태그로 가져가겠음.


취미로 올리는 글들임, 추리소설을 함께 즐기고 읽어가는 연대로써 봐주길 바람.


오늘도 추리소설을 즐기는 독자의 회색 뇌세포가 활발히 자극 받길 빌며.



원문: Talking about Detective Fiction(탐정소설을 이야기한다는 것/2009)

저자: P. D. James


Abstract

도로시 세이어즈(Dorothy L. Sayers/영국의 귀족 탐정 피터 윔지 시리즈의 작가)는 “앵글로-색슨이란 종(race)에 있어 특히나 ‘죽음’ 이상으로 순수한 재미를 보장하는 주제는 없을 것이다”란 말을 남겼다. 영국인들이 미스터리 문학에 있어 가장 진보한, 완성된 존재라는 주장이 아니다. 이건 질문이다. 어떻게 사람 하나 죽이는 것으로 이리 오랜 시간 인기를 유지하고 문학에서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할 수 있는 것일까?


E, M. Forster는 자신의 책 Aspects of the Novel(소설의 양상들)에서 소설에 미스터리가 깃드는 과정을 명료하게 설명해낸다.

1. ‘왕과 왕비가 죽었다’(The king died and the queen died)=이야기(story)다. 

2. ‘왕이 죽고 여왕 또한 비탄에 빠져 죽었다’(The king died and then the queen died of grief)=플롯(plot)이다.

3. ‘여왕이 죽었다. 그 이유가 왕의 죽음으로 인한 비탄이라는 것을 알기 전까진 모두들 원인을 대지 못했다’(The queen died, no one knew why until it was discovered that it was through grief at the death of the king’. 여기서부턴 플롯이 미스터리가 된다. 


이에 P.D. James는 센스 넘치게 하나를 추가한다.


4. ‘모두들 여왕이 비탄에 빠져 죽었다고 생각했다. 그녀의 목에 난 작은 구멍을 발견하기 전까진 말이다’(Everyone thought that the queen died of grief until they discovered the puncture mark on her throat). 이제 미스터리는 살인으로 확장될 여지를 갖는다.


추리소설의 태동기엔 장르 자체가 순수문학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 위치를 많이 부정당했지만 사실 많은 소설은 작품에서 특정 요소를 숨김으로써 이야기의 전개 방향을 결정할 때가 많다. 이를테면 고전 중의 고전으로 인정받는 ‘햄릿’의 주요 동기는 덴마크의 왕자가 국왕이자 자신의 아버지가 숙부에게 살해당하는 과정을 인지하는 데에서 나온다. 그만큼 ‘죽음’의 배치는 간결하게, 근본적으로 스토리에 당위를 부여한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너무나 단순한 구조의 극대화로 인해 '추리 비평’은 무의미하다고 여겨질 때도 많다. 즉 W. H. 오든(W. H. Auden)의 말처럼 “그저 읽고 다시 펼쳐보지 않을 유희”를 원한다면 우리는 책장을 펼치고 덮는 순간까지만 가져가면 된다. 하지만 추리소설을 ‘이야기하는 것’은 항상 책을 덮고 나서다. 그래서 질문의 전략을 다시 이용하게 된다. “우리는 어떤 지점에서 탐정소설을 향유 하는가?”. 이 질문을 경유할 때 탐정소설이란 장르는 스스로 고난을 통과해 융성해진다(flourishes in the most difficult of times). G. K. 체스터튼(G. K. Chesterton)의 인간의 원죄에 대한 접근, 세이어즈가 자기 작품을 정당하기 위해 끌고 온 아리스토텔레스와 그리스 비극, 미국과 독일에서 유행한 프로이트적(Freudian) 해석까지, 때론 이기적일 정도로 자기중심적이라 접근하기 힘든 ‘개인의 만족’(곧 작품의 해석)을 알리는 여러 지점이 장르를 재구성하고 결론적으로 새로운 ‘전성기’(a new Golden Age)의 여지를 남긴다.


비평은 작품의 위계화, 인본주의의 재확인이 아니다. 확장이다.



참고자료

-Talking about Detective Fiction (P. D. James, 2009), pp. 11-28, 131-157.

추천 비추천

11

고정닉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0761 공지 신문고 (건의, 제보, 신고) [5] ㅇㅅㅇㅁㅇㅈ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1381 0
28130 공지 추리소설 갤러리 정보글 모음 [1] ㅇㅇ(14.4) 23.09.07 4197 10
32833 공지 연도별 우리가 사랑한 추리소설 모음 ㅇㅇ(42.27) 24.01.27 1552 12
15418 공지 추리소설 입문작 추천 목록 [2] ㅇㅇ(1.102) 22.02.26 17367 31
15417 공지 (필독) 스포일러 주의 표시 원칙을 꼭 지켜주십시오 ㅇㅇ(1.102) 22.02.26 1163 12
15420 공지 (필독) 추리소설 갤러리 통합 공지 ㅇㅇ(1.102) 22.02.26 2358 14
36098 일반 명탐정의 창자 읽는중 인데 [1] 추붕이(118.235) 13:12 7 0
36097 일반 명제 정도면 ㅈㄴ 개꿀잼인데 이것도 못 읽으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7 21 0
36096 일반 명제랑 인얼먹힘... [4] 십각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7 56 0
36095 리뷰/ (약스포)방주 너무 좋았어 추붕이(220.117) 11:38 31 0
36093 리뷰/ 『13·67』 리뷰 시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7 4
36092 일반 스포)난 홈즈 단편 중에는 '노란 얼굴'이 제일 인상깊었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54 1
36091 리뷰/ 스포) y의 비극 읽음 라라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5 0
36089 일반 클로즈드 서클 추천 부탁함!!!! [6] 추붕이(106.101) 05.30 141 0
36088 일반 한국 추리 소설 몇 권 읽는 중인데 [2] USER0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44 0
36087 일반 점찍어둔 소설들인데 혹시 거를거 있음? [12] 토사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82 0
36086 일반 누쿠이 도쿠로의 <미소 짓는 사람> 어떰? [3] 추붕이(118.42) 05.30 102 0
36085 일반 ㅅㅍ)잘린머리에게 물어봐같은 소설 더 있음? 추붕이(175.201) 05.30 75 0
36084 리뷰/ (스포)거울 속 외딴 성 만화 봄 음냐냐(125.130) 05.30 67 0
36083 일반 노스포 몽크 극장판 후기 ㅇㅇ(14.52) 05.30 40 0
36082 일반 왕과 서커스 읽었다 [2] ㅇㅇ(211.36) 05.30 122 0
36081 일반 오랜만에 게이고 읽는데 당황스럽네 [4] 추붕이(218.153) 05.30 240 1
36080 리뷰/ 블루홀식스 6월 신간 로스트 표지 공개 [6] 리키비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88 2
36079 리뷰/ 아사쿠라 아키나리 '여섯명의 거짓말쟁이 대학생' 다 읽었다.. [5] 국뽕한사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64 2
36078 일반 노스포) Y의 비극 후기 ㅇㅇ(39.124) 05.30 78 1
36077 일반 스포) Y의 비극 후기 및 질문 [4] ㅇㅇ(39.124) 05.30 98 0
36076 일반 추리소설 개론같은건 없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7] ㅇㅇ(219.255) 05.30 152 0
36075 일반 속임수의 섬 어떰? [3] ㅇㅇ(1.237) 05.30 138 0
36073 일반 노스포) 명탐정의 제물 읽는 중인데.. [4] 밭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66 0
36072 일반 추린이 좋아할 법한 조건들 적음었엉 책 추천좀 부탁해 [10] 추붕이(106.101) 05.30 228 0
36071 일반 고전부 1~5권 팔아용 [2] 추리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76 0
36069 일반 님들 추소 읽을 때 무대묘사 [8] ㅇㅇ(39.124) 05.30 158 1
36068 일반 애거사 크리스티 작품 추천좀 [5] ㅇㅇ(39.124) 05.30 104 0
36067 일반 ㄴㅅㅍ) 기만의 살의 < 매우 꽉찬 본격추리 [4] ㅇㅇ(118.235) 05.30 178 3
36066 리뷰/ (강스포) i의비극리뷰 [2] ㅇㅇ(125.134) 05.30 86 0
36065 일반 스포) 미쓰다 신조 붉은옷의 어둠 읽음 [1] 추붕이(1.230) 05.30 74 0
36064 일반 서술트릭 묵직한 작품 추천좀 [9] ㅇㅇ(59.7) 05.30 241 0
36063 일반 님들 추소 장편 한권 읽는데 시간 얼마나 걸림? [9] ㅇㅇ(180.226) 05.29 220 0
36062 일반 아무 정보도 없이 봐야 재미가 배가된다 [4] 우가우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46 0
36061 일반 긴다이치 교스케 추천좀 [6] 추붕이(221.141) 05.29 161 0
36060 일반 명탐정의 제물은 제목 진짜 잘지었네요 [1] 오스카마일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87 0
36059 일반 밀리 입문 소설 추천 좀 부탁행 ㅜㅜㅜ (하트) [8] 추붕이(1.240) 05.29 163 0
36057 일반 남선생이 무슨 내용임 [5] 추붕이(58.230) 05.29 171 0
36056 리뷰/ 다카기 아키미스 <파계재판> 리뷰 [4] Souveni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63 4
36055 일반 아동성범죄 소설 뭐뭐있음? [4] 추붕이(58.230) 05.29 220 0
36054 일반 6월에 로스트, 걷는망자 나오네 [2] 추붕이(118.220) 05.29 185 3
36053 일반 홈즈 읽어볼까 하는데 [5] 추붕이(211.62) 05.29 109 0
36052 일반 악의 교전 재밌냐 [5] 추붕이(58.230) 05.29 153 0
36051 일반 교수상회 이거 초반 왤케 재미없냐 [3] ELS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58 0
36050 리뷰/ 아뮬렛 호텔 [1] USER0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22 3
36049 리뷰/ 아리요시 사와코[악녀에 대하여] 리뷰 [4] 1년에300권이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10 1
36048 일반 위험한 트랜스워킹 - 외국인 야구선수 호세 4편 [1] 리오8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5 1
36047 리뷰/ <커다란 숲의 자그마한 밀실> 후기 [4] 민법총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64 3
36046 일반 스포) 히가시노 게이고 <붉은 손가락> 읽는 중인데 [2] ㅇㅈㅇ(125.191) 05.29 128 0
36045 리뷰/ 애거서 크리스티 [비뚤어진 집] 리뷰⠀ [4] 1년에300권이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33 2
36044 일반 스포) 화형법정 읽었는데 빡통이라 결말 이해가 안간다 [2] ㅇㅇ(118.36) 05.29 148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