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정보] 미스터리의 역사 (4)앱에서 작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1.23 17:45:03
조회 299 추천 3 댓글 1
														

탐정소설의 황금기 (1918-1939)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는 1939년까지의 20년은 일반적으로 탐정소설의 황금기라고 불린다. 홈즈 이래의 로맨틱한 탐정 소설에서 연애나 모험의 요소를 잘라내고 수수께끼 풀이를 중심으로 순수화된 문학 형태가, '탐정 소설'이라는 확고한 장르로 형성되었다. 의외성을 만들어내는 서술 기술의 급선화를 위해, 작가와 독자 사이의 공통 인식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것은 '게임의 규칙'으로 명문화되어 말해졌다. 선정적이고 장식 과잉의 문장보다, 명석하고 간결한 문체가 요구되게 되었다. 지금까지 단편이 중심이었던 오락 읽을거리가 장편 중심으로 이행하는 것은, 독서 습관의 변화도 영향을 주고 있다. 철도보다 자동차 여행이 많아지고, 또한 도시에는 대여본 도서관이 정비되었기 때문에, 독서 잡지보다 단행본에 인기가 모였다.

황금기가 언제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애거서 크리스티의 '스타일즈 저택의 괴사건'과 프리먼 윌스 크로프츠의 '통'이 발표된 1920년을 기점으로 하는 것이, 연대의 측면에서는 가장 알기 쉽다. 그러나, 홈즈의 시대와 결별하는 모던한 작풍이 처음 나타난 것은, 대전 전에 발표된 E. C. 벤틀리의 '트렌트 최후의 사건'(1913)에서였다. 이 작품을 '터부로 여겨져 온 연애를 탐정 소설에 들여왔다'는 평가는 이미 부정되고 있다. 빅토리아 시대부터 1910년대까지의 탐정소설에서는, 연애가 플롯의 근간을 이루는 작품은 드물지 않았다. 이 작품에서 새로운 것은, 명탐정은 절대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플롯이다. 그런 의미에서는 종래의 대중소설적 틀로 그려진 '홈즈의 시대'의 장편 탐정소설뿐만 아니라, 황금기 퍼즐 소설을 앞선 요인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탐정소설을 쓰는 유력한 여성 작가가 나온다. ‘스타일즈 저택의 괴사건'(1920)에서 에르퀼 포와로를 등장시킨 애거서 크리스티는, 그 후에도 '애크로이드 살인'(1926), '오리엔트 특급 살인'(1934), '그리고 아무도 없없었다'(1939) 등 걸작, 문제작을 차례차례 발표하고, 1976년에 죽을 때까지 일선 작가로 계속했다. '시체는 누구?'(1923)에서 피터 윔지 경을 창조한 도로시 L. 세이어스는 전통적인 영국 소설의 계승자로도 평가되어 많은 현대 여성 작가의 모델이 되었다. 또한 앤솔로지나 평론에서도 활약했다. 이 두 사람에, 'Death of a Ghost'(1936)에 등장하는 앨버트 캠피온으로 알려진 마저리 앨링엄과, 'Enter a Murderer'(1935) 등 로데릭 앨런 경부를 탐정역으로 연극계를 무대로 한 작품을 쓴 나이오 마시를 더해, 4대 여성 작가로 불린다.

크리스티와 같은 해에 데뷔한 F. W. 크로프츠는, 처녀작 '통'(1920) 등 알리바이 깨기를 전문으로 하며, '프렌치 경감 최대 사건'(1924)부터는 프렌치 경감을 주역으로 하여 많은 작품을 썼다. 또한 '크로이든 발 12시 30분'(1934) 등에서 도서 탐정 소설에도 도전하고 있다. H·C· 베일리는 '포튠을 불러라'(1920) 등, 1920년대는 레지 포춘이 주인공인 단편 시리즈를 쓰고 있었지만, 30년대부터 장편도 저술하고, 크리스티, 세이어스, 크로프츠, 그리고 대전 전부터 활약하는 프리먼과 함께, 황금기 《빅 파이브》라고 불린다. 게스린 대령이 등장하는 'The Rasp'(1924)로 데뷔한 필립 맥도널드는 'The LAyton Court Mystery'(1925)에서 로저 셰링엄을 창조한 앤서니 버클리와 함께 유희파의 대표적인 작가이다. 버클리는 실험적인 작품, 탐정 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추구한 작품도 많고, 다수의 명탐정이 다양한 추리를 펼치는 '독 초콜릿 사건'(1929) 외에, 프랜시스 아일즈 명의의 '살의'(1931)로 살인자의 심리를 그려, 훗날 범죄 소설로 이어지는 수법을 만들어 냈다. 믹스 링크 테마의 'The Murders in Praed Street'(1928)으로 알려진 존 로드는 1924년에 처녀작을 발표한 이래, 다른 필명을 포함하여 140권의 수수께끼 풀이 장편을 썼다.

다른 분야에서 이름을 이룬 사람이 탐정 소설을 쓰는 것도, 이때부터 눈에 띈다. 동화 작가로 알려진 A. A. 밀른은 '붉은 저택의 비밀'(1922)을 저술했으며, '브루클린 가문의 참사'(1923)의 G. D. H. 콜은 경제학자로 유명하며, 사회학자인 아내 마거릿과 함께 '백만장자의 죽음'(1925)을 비롯해 많은 탐정 소설을 썼다. 또한 '12인의 평결'(1940)으로 알려진 레이먼드 포스트게이트는 부인의 친동생이다. '철교 살인 사건(1925)의 로널드 A. 녹스는 성직자였으며, 성경 번역으로도 유명했다. 이러한 작가들의 작풍은, 유머러스한 것이 많았다. 그 이전부터 활약했던 작가로는, 이든 필포츠가 '붉은 머리 가문의 비극'(1922)을, A. E. W. 메이슨이 '독화살의 집'(1924)을 발표해, 건재를 나타냈다.

영국에 비해, 미국에서는 퍼즐적인 탐정 소설은, 1920년대 후반까지 나오지 않는다. S. S. 반 다인은 명탐정 파일로 밴스가 수수께끼를 푸는 '벤슨 살인사건'(1926)을 저술하였고, 이후 헤이크래프트는 '하루아침에 미국 탐정 소설은 성년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반 다인은 계속해서 '비숍 살인사건'(1929) 등의 역작을 발표하고, 수수께끼 풀이 탐정소설의 스타일을 극한까지 추진했다. 반 다인이 만들어낸 스타일을 계승한 것이 '로마 모자 미스터리'(1929)로 데뷔한 엘러리 퀸이다. 퀸은 사촌 관계의 두 사람의 합작명으로, 일명 버나비 로스를 포함해, 독자와의 수수께끼 풀이 경기에 충실한 걸작들을 1930년대에 발표한다. '바다의 오벨리스트'(1932)로 등장한 C. 데일리 킹도, 독자와의 지혜 경합에 도전했다. Q. 패트릭은 몇 명의 작가의 공동 필명이지만, 1931년부터 퍼즐성이 강한 장편을 발표하고, 패트릭 퀜틴 명의로 'Puzzle for Players'(1938) 등을 썼다. 또한, 존 딕슨 카는 '밤에 걷다'(1930)를 최초로, 카터 딕슨 명의를 포함해, '세 개의 관'(1935) 등 불가능 범죄를 중심으로 한 작품들을 차례로 저술했다. 비슷한 계열로는 '모자에서 튀어나온 죽음'(1938)으로 등장한 클레이튼 로슨이 있다.

이 퍼즐파와 거의 병행하여, 또 하나의 미국적인 탐정 소설이 만들어져 갔다. 19세기 후반에 인기 있었던 《다임 노벨》은, 20세기가 되면 급속히 힘을 잃고, 대신 등장한 것이 《펄프 매거진》이다. 이것은 조악한 종이(펄프)에 인쇄된 대중 잡지로, 다양한 오락 소설이 장르마다 다른 잡지를 구성하고 있었다. 1920년에 창간된 《블랙 마스크》에서는, 터프하고 비정한 사립 탐정의 이야기가 게재되어, 이윽고 그것은 작품의 문체나 주인공의 성격에서 '하드보일드'라고 불리는 탐정 소설의 새로운 장르를 형성해 간다. 대실 해밋은 1923년부터 잡지에 단편을 쓰기 시작했고, '붉은 수확'(1929)으로 결실을 맺었다. 레이먼드 챈들러는 1933년에 《블랙 마스크》지에 처녀 중편을 발표, ’빅 슬립‘(1939) 등에 등장하는 사립 탐정 필립 말로는 불멸의 영웅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그 밖에, Murder with Pictures (1935) 등에서 활약하는 보도 사진가 켄트 머독의 조지 허먼 콕스, '처형 6일 전'(1935) 등 빌 크레인 시리즈의 조나단 라티머, 'Divided on Death'(1939)에서 등장하는 마이클 셰인 시리즈의 브렛 핼리데이 등이 있다.

하드보일드 사립 탐정 소설은 명확하게 탐정소설의 한 분야이며, 수수께끼가 풀리는 과정이 플롯의 중심 골격을 만들고 있다. 그것과는 별도로, 하드 보일드 문체로 그려진 범죄 소설이 있다. 해밋과 같은 시기의 작가로, 하드보일드 문체의 창시자로서 꼽히는 것이 '리틀 시저'(1929)의 W. R. 버넷과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1934)의 제임스 M. 케인이다. 《블랙 마스크》지 출신이지만 독자적인 길을 걸은 호레이스 맥코이는, 'They Shoot Horses, Don't They?'(1935)에서 대공황 시대의 내일 없는 청춘을 냉철한 필치로 그렸다.

미국에는, 캐릭터의 재미를 중심으로 한 작품도 많다. 개별 작품의 완성도보다, 캐릭터가 만들어내는 작품 세계의 즐거움이, 독자에게 안정감과 기쁨을 주는 것으로, '열쇠 없는 집'(1925)에서 중국계의 명탐정 찰리 챈을 창조한 얼 데어 비거스, Meet the Tiger(1928)에서 괴도 성자 사이먼 템플러를 창조한 레슬리 차터리스, '독사'(1934)에서 난과 맥주를 사랑하는 거인 탐정 네로 울프를 창조한 렉스 스타우트 등이 있다. ‘Eight Faces at Three'(1939)에서 술 취한 변호사 J. J. 말론을 창조한 크레이그 라이스는 《스크루볼 미스터리의 여왕》이라고도 불린다. E. S. 가드너는 1920년대 전반부터 《블랙 마스크》지를 비롯한 많은 잡지에 단편을 마구 쓰고 있었지만, 장편 '벨벳 속의 발톱'(1933)에서 변호사 페리 메이슨을 만들어냈고, 또한 A. A. 페어 명의의 'The Bigger They Come'(1939)에서 네로 울프의 여성판이라고도 할 수 있는 버사 쿨과 도널드 램의 콤비도 등장시켰다. 역시 펄프 라이터 출신으로 'The French Key Mystery'(1940)으로 장편 데뷔한 프랭크 그루버도 수많은 캐릭터를 만들어 내었다. 1933년에 사망한 비거스를 제외하고, 그들 중 상당수는 1960년대경까지 숨이 멎을 정도로 오락 독서의 세계에서 활약한다. 이러한 남성 작가의 작품 외에, 여성 작가에 의한 작품도 있다. 피비 애트우드 테일러의 아제이 메이요 시리즈는 'The Cape Cod Mystery'(1931)부터 시작되어, 레슬리 포드(일명 데이비드 프롬)는 1930년대부터 프림로즈 대령과 핑커튼 씨 시리즈를 쓴다. 지방 마을을 무대로 한 유머러스하고 경쾌한 작품은, 이윽고 코지 미스터리로 계승되어 간다.

영국에서 1920년대에 확립된 장편 탐정소설의 스타일은, 미국에서 20년대 후반부터 30년대에 걸쳐 더욱 첨예화되어 갔다. 탐정소설(미스터리)을 다른 문예 장르로부터 구별하는 여러 특징은, 이때 가장 수습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수렴과 동시에 확산도 시작된다. 에도가와 란포는 이것을 '모래시계형'이라고 평가했지만, 이러한 현상은 탐정소설에 국한된 것이 아닐 것이다. 미국에서 퍼즐적인 작품이 가장 많이 쓰여진 것은 1930년대이지만, 이 시기 영국에서는 탐정 소설의 양식에 대한 다양한 창의력이 모색되어 새로운 전개를 보이기 시작했다. C. H. B. 키친의 'Death of My Aunt'(1929)나, 이미 언급한 버클리의 아일즈 명의의 작품도 그 부류이며, 세이어스도 인물 묘사에 힘을 쏟기 시작했고, 또한 1930년대에 등장한 마저리 앨링엄과 나이오 마시 등은 퍼즐적인 탐정 소설의 틀에 담는 내용을 문제 삼았다. 계관 시인 세실 데이 루이스가 니콜라스 블레이크의 이름으로 'A Question of Proof'(1935)를, 영문학 교수 J. I. M. 스튜어트가 마이클 이네스라는 필명으로 'Death at the President's Lodging'(1936)을 쓰고 이 장르에 참가해 온 것도 이 무렵이다. 이렇게 영국 미스터리는 전통적 영문학의 성과를 가져갔다.

19세기 말에 데뷔한 J. S. 플레처는, 'The Middle Temple Murder'(1919)나 'The Charing Cross Mystery'(1923) 등으로, 이 시기에 대중적인 인기를 끈다. 일반인이 사건의 수수께끼를 쫓는 그의 작품은, 일반 독자에게 현대 탐정소설의 대표로 여겨졌다. 오펜하임은 1920년대에도 인기 작가였으며, 에드거 월리스도 1932년에 급사할 때까지 왕성한 필력을 보여준다. ‘새퍼’인 H. C. 맥닐이 'Bull-Dog Drummond'(1920)에서 등장시킨 쾌남아 불독 드러먼드는 영화화되어 인기를 끌었다. 존 크리시는 1932년에 처녀 장편을 저술했으며, 1938년부터 시작되는 토프 씨와 앤서니 모튼 명의의 'Meet the Baron'(1937) 등을 믿을 수 없는 속도로 발표한다. 이러한 통속 스릴러나 스파이 소설도 탐정 소설이 키워온 기법을 도입하여, 탐정 소설과 병주하여 발전해 갔다. 서머싯 몸의 '어셴든'(1928)은 리얼한 스파이 소설에 앞장서고, 'The Dark Frontier'(1936)로 등장한 에릭 앰블러는 '어느 스파이의 묘비명'(1938)과 '디미트리오스의 가면'(1939) 등 탐정소설적 수법을 살린 스파이 소설의 명작을 저술한다. 또한 리처드 허니나 드러먼드 등은, 래플스나 뤼팽을 조상으로 한 '애국자 쾌남아'의 흐름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마이크 해머나 제임스 본드로 계승되어 갔다. 'This Man Is Dangerous'(1936)로 등장한 피터 체이니와 '미스 블랜디시'(1939)로 등장한 제임스 해들리 체이스는, 미국 영어로 작품을 발표해, 프랑스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라인하트는 이 시기에도 여전히 높은 인기를 자랑하고 있었다. 라인하트와 같은 HIBK파의 미뇽 G. 에바하트는 The Patient in Room 18(1929)로 데뷔해, 여성 독자를 중심으로 1980년대까지 활약한다. 영국에서는 1931년에 처녀 장편을 발표한 대프니 듀 모리에가 '레베카'(1938)로 고딕 로맨스를 부활시켰다. 조르주 심농은 1931년에만 '타인의 목' 등 10편의 메그레 경감 작품을 발표했는데, 이는 프랑스어권에서 가장 중요한 범죄소설 시리즈가 되었다. 프랑스에서는 1927년부터 《마스크 총서》가 시작되어, 크리스티의 번역 등을 내고 있었지만, 1930년대에는 'Who Killed Santa Claus?'(1934)의 피에르 베리나 'The Six Dead Man'(1931)의 S. A. 스티만 등 수수께끼 풀이 소설의 작가가 이 총서로 데뷔했다.

영미의 탐정 소설이 순수화되어 간 1920년대는, 일본의 대중문학의 발흥기에 해당한다. 나카자토 가이잔의 '대보살고개'(1913-연재)를 기점으로 한 대중문학은 '괴건축 12단 반환'(1920)나 '후지에 서 있는 그림자'(1924-27 연재)의 시라이 쿄지, '츠타 카즈키 소잔'(1924-연재)의 구니에다 시로, '검난여난'(1924-25 연재)과 '나루토 비첩'(1926-27 연재)의 요시카와 에이지 등이 등장한 이 시기에, 서양의 번역 소설을 흡수하면서 발전해 갔다. 탐정소설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영국에서 크리스티와 크로프츠가 데뷔해, 미국에서 《블랙 마스크》가 창간된 1920년, 일본에서 하나의 잡지가 탄생한다. 《신청년》이라는 그 잡지는 지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원래는 지방 청년에 대한 계몽 잡지였지만, 초대 편집장인 모리시타 우손이 독자 획득을 위해 탐정소설을 많이 실어, 이윽고 전문지의 양상을 띠게 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전 일본의 탐정소설계는, 이 잡지를 중심으로 발전해 갔다. 1921년에 요코미조 세이시가, 1923년에 단편 '2전짜리 동전'으로 에도가와 란포가 같은 잡지에 데뷔. 또한 발행인 하쿠분칸은 1921년부터 27년까지 《탐정 걸작 총서》를, 1929년부터 30년까지 《세계 탐정 소설 전집》을 간행. 특히 후자는 포에서 크리스티까지의 대표적인 작가를 체계적으로 소개하여 탐정소설의 보급에 공헌했다. 란포는 '심리시험'(1925)에서 도서 탐정소설의 기법으로 범죄자 심리를 그리는 등, 동시대의 세계적 수준에서도 선구적인 작품을 포함하며, 또 '거미남'(1930) 등 통속 스릴러로 대중적 인기도 얻었다. 요코미조 세이시는 편집자로서 《신청년》에 모더니즘을 도입, 해외 작품 소개에서도 활약한 후, 1932년부터 작가 전업이 되어, '도깨비불'(1935), '신주로'(1937) 등을 발표한다. 고가 사부로는 1924년부터 이화학 지식을 살린 단편을 쓰기 시작했고, '하세쿠라 사건'(1929)에서는 논픽션 소설에 도전, 후에 '형체 없는 괴도'(1932) 등 활극조의 장편에서 활약했다. 1925년에 데뷔한 오시타 우다루는 '낙인'(1935) 등 리얼리즘을 도입한 범죄 소설에 건필을 자랑했다. '인생의 바보'(1936)로 나오키상을 수상한 기기 타카타로는, 탐정소설에 수수께끼 풀이뿐만 아니라 문학적 요인을 요구했다. 또한 쓰노다 기쿠오는 '요미관'(1935-36 연재), '해골전'(1937-38 연재) 등에서 전기소설에 탐정소설의 기법을 반영했다.

1920년대까지의 일본에서는, 탐정소설이란 대체로 영국과 프랑스의 통속 스릴러 같은 것을 가리키고 있었지만, 20년대 말부터 30년대가 되면 영미 황금기의 성과가 소개되기 시작해, 반 다인이 모범적인 작가로 여겨지게 된다.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검사로도 지낸 하마오 시로는 '살인귀'(1932)로 반 다인형 장편소설을 시도하고, 아오이 유는 '후나토미가의 참극'(1936)으로 크로프츠류의 알리바이 깨기에 도전한다. 또한 오사카 게이키치는 '장례식 기관차'(1934)나 '삼광인'(1936) 등 논리적 관심의 단편을 쓰고, '탄굴귀'(1937)에서는 사회적 테마와 수수께끼 풀이를 훌륭하게 융합시키고 있다. 오구리 무시타로는 '흑사관 살인사건'(1935)에서 반 다인의 스타일을 빌리면서 독자적인 세계를 전개했다. 독자적인 세계라고 하면, '아야카시의 북'(1926)으로 데뷔한 유메노 큐사쿠가 같은 해에 발표한 '도구라 마구라'(1935)가 우위로, 유례없이 환마괴기한 작품이었다. 탐정소설의 다양한 요소를 담은 분방한 장편 '마도(魔都)'(1937-38 연재)를 쓴 히사오 주란은 '악십랑포물장'(1939-연재)에서 까다로운 수수께끼 풀이를 선보인다.

1939년 반 다인은 사망하고 히틀러가 폴란드를 침공한다. 오카모토 기도가 귀적에 들어선 것(즉, 사망한 것)도 이 해이다. 1940년대가 되면 일본도 전시체제에 들어가, 탐정소설은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렇게 탐정소설의 황금기는 막을 내렸다.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31377 일반 십자관 포기 [16] 십각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5 652 9
31371 일반 긴다이치 코스케 더벅버리 긁어서 비듬 휘날릴때 존나 웃김 ㅋㅋ [1] ㅇㅇ(211.42) 23.12.15 167 1
31364 리뷰/ 스포) 살육병은 곱씹어볼수록 진짜 잘썼다 [2] 추갤러(49.171) 23.12.15 287 1
31363 일반 수차관까지만 읽었는데 바로 시계관 읽어도 될까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196 0
31362 일반 스포) <오리엔트 특급 살인> 볼때 이런생각 나만 함? [11] 추갤러(115.138) 23.12.14 651 14
31361 리뷰/ 시리즈 업데이트입니다. [1]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164 8
31360 리뷰/ 에릭 앰블러의 삶과 문학. [11]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240 14
31359 리뷰/ 24년 내친구의서재 발매예정작 [2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804 17
31358 일반 암흑관 존나 짜증나네 ㅇㅇ(211.44) 23.12.14 198 0
31357 일반 스포)용의자 X의 헌신 트릭을 알고있으면 재미없나? [12] 우라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392 1
31356 리뷰/ 다들 추천 고맙습니다 [3] 중졸망한인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199 2
31355 일반 스포 ) 모든 것이 f가 된다는 쓰레기였음 [2] 추갤러(14.50) 23.12.14 281 2
31353 리뷰/ 책 왔다. [15]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497 8
31352 일반 역사 추리 중에서 재미있는 것은 본적이 없다. [6] 추갤러(210.182) 23.12.14 406 0
31351 일반 이 두개 중에 뭐부터 살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138 0
31350 리뷰/ 노스포)여섯 명의 거짓말쟁이 대학생 이거 미쳤네 [9] 추운날엔붕어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433 2
31349 일반 청소년들이 주요 등장인물들인 일본추리소설 추천해주쇼 [17] 중졸망한인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331 0
31347 리뷰/ 스포)흉인저 다 읽었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161 0
31346 일반 비웃는 숙녀 시리즈 재밌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202 0
31343 일반 살육에 이르는 병 재밌네용 [1] 추갤러(118.45) 23.12.14 185 0
31342 일반 우리도 황금펜이라는게 있었구나 [6] 뱃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270 0
31341 리뷰/ 아시자와 요, <더러운 손을 거기에 닦지 마> [4] 책살돈이없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380 8
31340 일반 불야성 시리즈 읽으면서 지쳤음 [9] 에슐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225 2
31339 일반 벚꽃 다시 벚꽃 밀리 들어왔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219 0
31338 일반 흑뢰성 조즈카 명제 방주 순으로 읽음 [1] ㅇㅇ(222.233) 23.12.14 249 2
31336 리뷰/ 후루타 덴 작품들 간단한 리뷰 [9] 3번째모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4 417 10
31334 일반 세상 끝의 살인이 약간 아쉽냐? [1] ㅇㅇ(222.121) 23.12.14 293 0
31332 일반 교고쿠도 시리즈e북은 리디밖에 없나요? [4] 추갤러(118.235) 23.12.14 229 0
31331 리뷰/ 시리즈 업데이트입니다.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103 6
31330 리뷰/ 이언 플레밍의 삶과 문학. [5]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215 13
31329 일반 전기인간 작가 변태냐? [3] 추갤러(121.129) 23.12.13 392 0
31327 일반 스포)혹시 이사카 코타로의 모던타임스 개정판 말고 구판 읽은 사람 있어? ㅇㅇ(182.216) 23.12.13 87 0
31326 일반 이새끼 뭔데 가격 이지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368 0
31325 일반 <새벽거리에서> 봤는데 뭔가 김이 팍새네 [3] 추갤러(221.166) 23.12.13 162 0
31324 리뷰/ 망량의 상자 절판이네 [1] KH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275 0
31323 일반 <세상 끝의 살인> 후기 (스포 없음)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698 8
31322 리뷰/ 책이 도착함. [4]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340 8
31320 일반 고백 같은 소설 또 있냐? [7] ㅇㅇ(221.158) 23.12.13 289 0
31319 일반 스포)) 찬호께이 <기억나지 않음, 형사> 결말 질문좀 [3] 추갤러(221.166) 23.12.13 137 1
31318 일반 2023년 하반기 대작이라고 할 만한게.. [1] ㅇㅇ(210.112) 23.12.13 394 0
31317 일반 교보문고에서 산 책이 추가로 발송이 되었네.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117 1
31316 일반 나 혼자만 레벨업 VS 용의자 X의 헌신 [3] 추갤러(223.39) 23.12.13 308 1
31315 일반 문득 영어 독서가 해보고 싶어졌어 [2] 추갤러(118.235) 23.12.13 149 0
31314 일반 리디 마크다운 4차는 좀 그러네 [5] ㅇㅇ(104.28) 23.12.13 308 0
31313 리뷰/ 2024 <미스테리아> 정기구독 열렸다 [2] 추갤러(106.245) 23.12.13 288 3
31312 일반 읽어본 사람 있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297 0
31311 일반 흑사관 이거 뭐라는지 하나도 모르겠는데 정상임? [6] ㅇㅇ(118.235) 23.12.13 246 0
31310 리뷰/ (약스포) 시라이 도모유키 <명탐정의 창자> 리뷰 [3] ㅇㅇ(125.177) 23.12.13 542 9
31309 일반 같은 날에 산 책인데 분리 발송이 되었네. [2]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144 1
31308 일반 마크다운 4차 킷타아아ㅏㅏ [1] EBS광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156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