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뉴스] 40년 만의 초인플레…거장은 예언했다앱에서 작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07 07:18:35
조회 129 추천 1 댓글 0
														

(21) 밀턴 프리드먼 화폐경제학



시카고학파의 거장, 밀턴 프리드먼은 그의 명성에 걸맞게 다양한 책을 저술했다. 그중 하나인 ‘화폐경제학’은 ‘자본주의와 자유’라는 책과 함께 프리드먼의 이름을 널리 알린 ‘명저’로 꼽힌다.

프리드먼은 1976년 소비 분석, 화폐 역사와 이론, 그리고 안정화 정책의 복잡성에 대한 연구로 경제학 분야 노벨상을 수상했다. 조지 스티글러와 함께, 프리드먼은 케인스주의를 반박하고 1970년대 중반까지 통화주의를 지지한 신고전학파 경제 사상의 지적 리더 중 한 명이었다. 그 후에는 연구 주제를 합리적 기대 개념에 크게 기반한 새로운 고전적 거시경제학으로 전환했다. 프리드먼 영향을 받은 학자 리스트는 게리 베커, 로버트 포겔, 토머스 소웰,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등의 쟁쟁한 경제학자를 포함한다.

프리드먼은 각국 통화 정책의 기틀을 잡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는 빠르고 예상하지 못한 변화에 대비해 화폐 공급을 작은 규모로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시카고대에서 1977년 은퇴한 후, 1983년 경제학 명예교수가 된 프리드먼은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과 보수주의 영국 총리 마가렛 대처의 경제 고문으로 활동했다. 그의 정치 철학은 ‘최소한의 정부 개입을 가진 자유 시장 경제 체제’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한 설문조사에서 프리드먼은 존 메이너드 케인스에 이어 20세기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경제학자로 뽑힐 정도로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가 사망했을 때, ‘이코노미스트’지는 그를 ‘20세기 후반 최고의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라고 묘사했다.


화폐란 무엇인가…그 본질을 논하다

프리드먼의 화폐경제학은 마치 소설처럼 쓰여 있다. 총 10개의 챕터 중 7개가 이야기 형식 사례다. 실제 프리드먼은 훌륭한 스토리텔러였다고 한다. 프리드먼의 ‘화폐경제학’ 이야기는 돌 화폐의 섬 사례로 시작된다. 남태평양 캐롤라인 군도에는 인구가 5000여명 남짓 되는 얍(Yap)이라는 섬이 있었다.

이 섬에서는 석회암으로 만들어진 바퀴 모양 돌이 화폐로 이용됐다. 얍섬에는 석회암이 없었기에, 섬 주민들은 굉장히 멀리 떨어진 또 다른 섬에서 석회석을 다듬어 가져왔다. 당연히 이 돌로 된 화폐를 만들고 가져오는 데 엄청난 노동력이 들어갔기에 이 돌들은 화폐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섬 주민들은 돌 화폐를 카누나 뗏목으로 운반해 집에 보관했다. 너무 무거워 움직일 수 없던 돌은 만든 섬에 그대로 뒀다.

이들은 실제 움직이기 어려운 돌을 이용해 물품을 거래했다. 그러다 보니 거래마다 돌을 옮기는 수고를 덜기 위해 소유권을 바꾸기만 하고 돌은 그 자리에 그대로 뒀다고 한다. 놀랍지 않은가. 서로가 서로를 신뢰하고 돌 화폐로 구축된 화폐 경제 시스템을 신뢰했기 때문에 이런 경제 생태계가 가능했다고 프리드먼은 이야기한다. 이 일화에서 프리드먼은 화폐와 화폐 경제의 근간은 그 구성원들의 신뢰임을 강조한다.

이후 이 책은 금·은본위제, 디플레이션, 복본위제(여러 종류의 금속을 가격의 기준이 되는 본위 화폐로 사용하는 화폐 제도), 루스벨트의 은 구매 사업, 칠레와 이스라엘의 환율 조치에 대한 비교 분석 사례들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로부터 인플레이션이 왜 생기는지, 그리고 인플레이션의 부작용은 무엇인지, 인플레이션 해결책은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내놓은 인플레이션 해법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다(Inflation is always and everywhere a monetary phenomenon).” 프리드먼이 1969년 런던 윈콧 기념 강연에서 했던 명언이다.

그는 인플레이션 관련 “너무 많은 돈이 너무 적은 물건을 좇고 있다”고 표현했다. 경제 전체 생산량은 고정돼 있는데 화폐 공급만 계속해서 늘어나면 물가는 상승한다. 개인 입장에서는 돈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만 경제 전체적으로 돈이 늘어나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이 말이 ‘화폐경제학’의 핵심이다.

그러면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는 생산량 증가보다 높은 수준의 화폐 공급 증가는 왜 일어날까? 프리드먼은 정부가 급격히 지출을 늘리거나 중앙은행이 잘못된 통화 정책을 펼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프리드먼은 인플레이션과 알코올 중독이 공통점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처음에는 좋아 보이지만 지속된다면 엄청난 부작용이 있는데도 빠져나올 수 없다는 의미다.

인플레이션 발생 초기에는 돈이 더 많아지고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모두가 부자가 되는 느낌이 든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지속된다면 구매력은 떨어지고 경제 전체의 고통이 가중된다. 문제는 이미 돈을 더 찍어내 지출을 늘리는 데 중독된 정부와 경제 구성원들은 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케인스냐 프리드먼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프리드먼은 인플레이션과 중독 모두 해결책은 비슷하다고 주장한다. 화폐 증가율 감소와 알코올 소비 감소다. 책의 8장에 나오는 이야기다. 개념적으로 쉽지 않은 이야기를 훌륭한 스토리텔링 역량을 갖고 쉽게 풀어낸다. 프리드먼은 화폐 증가율 감소를 위한 조건으로 ‘중립’을 강조한다.

중앙은행이 독립성을 보장받고 재정 정책이 정치 논리에 따라 결정되면 안 된다는 것. 이와 동시에 독립성이 확보된 중앙은행이 경제에 과도한 영향을 행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폐 공급량을 경제성장률 등 거시경제 지표들을 기반으로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매년 증가시켜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로 ‘준칙주의’다. 프리드먼은 준칙주의야말로 고통이 수반될 수는 있겠지만 인플레이션이라는 중독을 끊어낼 수 있는 최선의 해결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프리드먼의 ‘화폐경제학’은 발간 후 오랜 기간 베스트셀러로 등극했다. 특히나 1980년대 초인플레이션 시대를 경험하고 극복한 사람들에게 프리드먼의 주장은 합리적으로 다가왔다. 이 책의 등장으로 프리드먼을 중심으로 하는 시카고학파와 거시경제 변동에 화폐 공급량과 중앙은행 역할을 중시하는 통화주의는 경제학의 주류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또한 정책 입안자 재량을 중시하는 케인스학파에 맞서 그런 불확실성을 최소화시키는 준칙(원칙)에 입각한 재정 정책이 필요하다는 통화주의학파는 미국의 경제 정책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화폐경제학’ 이후 경제학 안에서는 케인스학파와 시카고학파의 대결 구도가 성립될 정도로 경제학계에 지각변동을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시카고학파와 통화주의는 수세에 몰리는 듯 보였다. 시장 실패로 인한 전 지구적 스케일 금융위기를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극복하는 듯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저금리 정책과 이로 인한 지나친 화폐 공급의 증가는 초인플레이션이라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했다. 인플레이션 원인과 해결책을 다룬 이 책은 40년 만에 초인플레이션 시대를 맞이할지도 모르는 우리에게 커다란 시사점을 던져준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06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2807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532417 공지 갤규칙/ 신고건의/ 나갤지수/ 정보사이트/ 의견공시기/ 증시캘린더/ [1] 세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06 1573 2
302886 공지 FOMC 6.12 / CPI 6.12 / 휴장 5.27 [4] 세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9 9292 16
352809 공지 정보글 끌올용 게시글 [20] 세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3 6502 10
581287 일반 야짤아님 K-epsil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4 10 0
581286 일반 자 이제 유니티 들어가복까요 ㅇㅇ(49.143) 23:14 2 0
581285 일반 gme 37달러 천만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4 3 0
581284 일반 그냥 노보노쨩이나 할 걸 그랫어요 리파인오일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3 8 0
581283 일반 ^M^iden 잡주린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3 9 0
581282 일반 중국 yang타고 싶노 ㅇㅇ(1.225) 23:12 3 0
581281 🗞뉴스 시티-금리 인하 전망을 7월에서 9월로 변경하였습니다. [4] ㅇㅇ(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 35 0
581280 일반 코베는 왜오르냐 [4] darke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 29 0
581279 일반 근데 엔비 아무리봐도 떡락 직전모습인데 ㅇㅇ(1.225) 23:11 24 0
581278 일반 소수정예들이 증시 올리는 중 [2] 세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 51 0
581277 일반 아 애플 산다는걸 깜빡쓰했네 다혜떤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 9 0
581276 일반 유니티 버리고 오클로 탈가요 [4] ㅇㅇ(122.34) 23:09 29 0
581275 일반 알빠롱장에선 지표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거 역겨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 35 0
581274 일반 WWDC에서 뭐 나올 거 같냐 나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 17 0
581273 일반 빅스 쭉 빠지는거보셈 롱맞다니까 [4] Heiz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 81 2
581272 일반 AI 데이터센터들 전기 너무 많이 쓰는데 탄소세 쎄게 때리자 나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 32 0
581271 일반 왤케 많이 오름 나붕이(221.139) 23:04 22 0
581269 일반 솔직히 엔비디아 영업이익률 70%는 선 넘긴 했음 ㅋㅋ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 90 0
581268 일반 물딸배들 하락 멈춰 [4] 큐탄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 36 0
581267 일반 러셀도 튀어오르네 나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 36 0
581266 🗞뉴스 도매재고 [1] ㅇㅇ(NE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 55 1
581265 일반 엄지가 왤게 간지럽지 [2] 히키코마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 35 1
581264 일반 프리장에 살까말까 눈독들이던거 하늘 갔네 [5] 리파인오일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 45 0
581263 일반 업스 파가야 지금산다면 어떤거 삼? [4] 나붕이(118.235) 23:02 35 0
581262 일반 좆비디아 찢어버리기엔 애플도 아직 안 찢어졌는걸 [1] 나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 37 0
581261 일반 러셀 ㅋㅋㅋㅋ 나붕이(115.41) 23:00 29 0
581260 일반 러셀은 뚠뚠 오늘도 뚠뚠 Cauchy-Schwar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0 32 1
581259 일반 최근 1년 보면 임금보다 물가가 더 빨리 떨어지는 너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0 25 0
581258 일반 자고일어나면 나스닥은 양봉가있을지 몰라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9 28 0
581257 일반 테슬라 변동성 너무 심한데? [14] 초보미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8 87 0
581256 일반 나갤에 유니티 물린 애들 많네 보니까 [2] up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8 38 0
581255 일반 나스닥 왜 자고 일어나면 양봉가 있을 거 같지 나붕이(115.41) 22:58 12 0
581254 일반 오늘 롱이야? ㅇㅇ(1.225) 22:57 16 0
581253 일반 야짤 [4] Cauchy-Schwar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7 90 0
581252 일반 좆비디아 반독점으로 뭐 찢어질 일이 있나? [1] 나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6 82 0
581250 일반 게이ㅁ스탑 의외의 사실 [1] 나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5 69 0
581249 일반 엔비디아, 반독점법 관련 불확실성으로 주가 하락 전망, AMD는 반사이익 나붕이(59.16) 22:55 66 0
581248 일반 오늘 자고일어나면 인생망해있는 딱 그거지? 젤리폭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4 33 0
581247 일반 하락 끝 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4 20 0
581246 일반 나스닥 말올..? [4] 다혜떤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4 65 0
581245 일반 고용보고서 임금 부분 다시 한번 보는데 [1] 낭만증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4 80 0
581244 일반 아프니까 tmf다 [1] ㅂ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3 46 0
581243 일반 gme또 어디가? ㅇㅇ(118.235) 22:52 19 0
581242 일반 퇴근ㅋㅋ [1] 이온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2 33 0
581241 🐕광견 엔비 그만오르길 바라는이유 [1] intp_5w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1 88 1
581240 일반 엔비디아 지금사면 최소 10루타 Heiz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1 18 0
581239 일반 엔비디아 반독점 조사를 왜함? [4] 다혜떤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0 88 0
581238 일반 임금 상승은 설명이 안됨!! [3] GoodDa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0 62 0
581237 일반 숏충이들 다 엔비디아 천안문때 죽었는데 숏충이를 왜찾음 젤리폭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39 0
581236 일반 감사합니다 gdxd님 ㅇㅇ(118.235) 22:49 1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