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자료&번역]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전쟁의 신앱에서 작성

홍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0.31 23:16:57
조회 450 추천 18 댓글 3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의 직접적인 결과인 러시아 내전 당시 수많은 반공 사령관들이 적군에 맞서 봉기했다. 이들 사령관들 가운데 한 인물은 그의 기이함과 흥미로운 이야기로 눈에 띄었다. 이 사령관은 극동 지역과 극동의 역사, 문화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던 코사크 지도자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Roman von Ungern-Sternberg)였다. 그는 심지어 자신이 징기스칸의 후손이라고 믿었다. 기독교 군주제, 불교적 미학, 사무라이 문화적 영향을 결합한 독특한 정치 이념을 수용한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코사크 전사 부대를 이끌고 공산주의자들에 맞서 잔혹한 투쟁을 벌였다.

1886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그라츠의 발트-독일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에스토니아 러시아 행정구 레발(지금의 에스토니아의 탈린)에서 자랐다. 그는 독일어, 영어, 에스토니아어, 프랑스어,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다국어를 구사하며 자랐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발트해 연안 국가를 정복한 튜턴 기사단과 징기스칸의 몽골 지배를 포함한 그의 조상에 대한 낭만적인 이야기에 매료되었다. 그는 자신의 가문인 운게른슈테른베르크 가문이 징기스칸의 혈통과 연결되어 있다고 굳게 믿었고, 이를 칸의 유산을 이어가는 것이 자신의 책임이라고 여겼다.

2bb98423e3d661a023ec85b04e9c706a8bec9d0418c5fbb644706886469baca82ac97f32ecbdb913fbf8bff633335d3e18485d8e7ec0e0ef3e29b039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어린시절​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어린 시절부터 몽상가였을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리더이기도 했다. 그는 괴롭힘에 맞서 개입하고 갈등을 목격하는 곳마다 질서를 세우려고 노력하여 피해자의 보호자라는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그의 대담한 성격과 규율 부족은 일부 사람들에게 불리한 평가를 받았고, 이로 인해 그의 우정이 제한되고 학업 성적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는 레벨의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마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양아버지에 의해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제국 해군 사관학교에 입학했다.

자신을 운게른 폰 슈테른베르크라고 밝힌 그는 헌신적인 군주제이자 애국자였지만 의전과 형식을 싫어했다. 그는 정규군 병사들의 무리를 선호했고 그들의 생생한 삶과 투박한 유머를 즐기며 그들과 강한 친화력을 키웠다. 1904년 일본과의 전쟁이 발발하자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유럽에서 멀리 떨어진 극동 지역에서 활동과 모험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열심히 찾았다. 그는 러일 전쟁 당시 러시아 제국군에서 복무했지만, 대부분의 전투가 이미 끝난 뒤 전선에 도착했고, 러시아는 결국 일본에 패배를 받아들였다.

러시아 극동 지역에 머무는 동안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몽골, 중국, 심지어 일본의 문화에 푹 빠질 기회를 가졌다. 그는 러일전쟁 당시 아무런 행동도 하지 못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이 이야기 자체에는 의문점이 있으나 그는 어쨌든 전쟁이 끝난 지 8년 만에 무공훈장을 받았다. 이 전쟁은 1905년 러시아 혁명의 확산과 동시에 일어나 농촌 농민들이 상류층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고, 에스토니아 농민들은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가족 재산을 불태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은 대중에 대한 경멸을 불러일으켰고, 독재와 군주제에 대한 신념을 굳건히 하는 동시에 인본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한 뿌리 깊은 증오심을 키워나갔다.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독특한 성격은 그 스스로를 다른 러시아 장교들과 차별화시켰다. 그들이 유럽에 더 가까운 명망 있는 직책을 찾는 동안, 22세의 그는 바이칼 호수 너머 지역인 트랜스바이칼 로 파견되었다. 이후 5년 동안 아무르 코사크에서 장교로 복무한 그는 경쟁심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적어도 한 번의 결투를 벌였다. 그는 이러한 환경에서 성장했으며 코사크, 시베리아, 몽골 지역과의 강한 유대 관계를 발전시켰으며, 이 유대는 평생 지속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유럽 전선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동유럽과 남부 코카서스 전선의 다양한 코사크 부대에서 싸웠고,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오스만 제국과 교전하였다. 동부 전선은 서부 전선과 마찬가지로 무분별한 학2살을 목격했으며 코사크 중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는 자바이칼 코사크 연대를 지휘하여 위험한 돌격에 기꺼이 자원하고 기병부대를 철조망과 기관총 사격에 맞서게 함으로써 용맹하다는 평판을 얻었다. 그의 용감한 행동은 친구와 적 모두를 놀라게 했다.
​전쟁 내내 그는 장교에게 수여하는 최고 훈장인 성 게오르기 훈장을 포함해 수많은 명예로운 군사 훈장을 받았다. "검은 남작"으로써 알려진 또 다른 발트해 독일 장교 표트르 브랑글(Pyotr Wrangl)은 운게른슈테른베르크에 대해 폭로적인 글을 썼다. 브랑글은 운기른 슈테른베르크의 영웅주의와 자기 희생을 칭찬하는 동시에 절차를 따르지 못하는 그의 무능력과 장교와 귀족 사이에서 행동하는 경향을 비판했다. 이러한 행동은 끊임없는 질책, 싸움, 징계 조치로 이어졌다. 1916년, 싸움은 결투로 확대되었고, 그 결과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군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그해 12월 석방된 후 그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계속하기 위해 코카서스로 이송되었다.

코카서스 지역에서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몽골어와 부랴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부랴트 혈통의 콧수염을 기른 ​​코사크인 그리고리 세묘노프(Grigory Semyonov) 대위 휘하에서 복무했다. 몽골 문화에 대한 그들의 공유된 인식과 동료들 사이에서 다소 인기가 없는 인물로서의 지위가 그들을 하나로 모았다. 동시대인과 역사가 모두 그들을 동아시아의 전사 정신을 구현한 인상적인 인물로 인식하고 있다.

러시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운게른슈테른베르크와 세먀노프는 반공세력의 느슨한 연합체인 백군에 합류했다. 확고한 군주제이자 항상 행동을 열망하는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바이칼 코자크의 Ataman(카자크 용병들의 지도자를 부르는 명칭)이 된 세묘노프와 함께 싸웠다.

그러나 "백군"이라는 용어는 항상 서로 접촉하지 않는 다양한 그룹과 파벌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을수 있다는 것이다. 이전 러시아 제국의 광대한 규모로 인해 이들 그룹은 같은 편에서 싸우면서도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기간 동안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주요 목표는 로마노프 왕조를 복고시키는 것이었고, 특히 미카엘 대공을 왕위에 올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1918년 6월에 발생한 미카엘 대공의 처형을 알지 못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러시아 내전은 볼셰비키와 소위 백군 모두 자신들을 반대하는 사람에 대해 무자비한 전술을 사용하는 등 극도의 폭력과 잔인함으로 특징지어졌다. 백군을 비롯한 반공세력은 군주제와 보수세력, 심지어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일부 자유주의자들로 구성된 것이였다. 그들의 목적은 볼셰비키 정부를 전복시키고 소련의 수립을 막는 것이었다.

코카서스에서는 안톤 데니킨 중장이 반공 의용군을 이끌었고, 남서부에서는 '검은 남작'으로 알려진 표트르 브랑글이 코카서스 의용군을 지휘했다. 니콜라이 유 데니치(Nikolai Yudenich)는 발트해 지역과 극동 지역에서 군대를 이끌었고 알렉산드르 콜차크(Alexandr Kolchak) 제독은 자신을 모든 러시아 육해군 총사령관이자 최고 지도자라고 선언했다.

내전은 엄청난 유혈사태와 잔혹행위로 특징지어졌으며 양측 모두 잔혹행위를 저질른 것이였다. 이런 혼란 속에서도 운게른슈테른베르크와 세먀노프는 확고한 반공 신념과 군주제 복고에 대한 열망에 힘입어 백군의 일원으로 용감하게 싸웠다.

음모에 가려진 인물인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이 시기에 놀라운 여정을 시작했다. 보고에 따르면 그는 전 세계적으로 인본주의와 자유주의의 지배력에 도전하고, 자신을 모든 아시아 민족의 황제로 삼아 강력한 징기스칸 몽골 제국을 부활시키려는 원대한 비전을 개발했다고 한다. 이 시기에 '칸'이라는 칭호까지 썼다고 한다. 그의 종교적 신념은 여전히 ​​기독교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그는 동양의 금욕주의와 무사도-사무라이 윤리의 도덕적 원칙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정치적 세계관을 형성했다. 이 독특한 신앙 체계는 성적 순결과 금욕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에게 술을 마시고 광범위한 군사 작전에 참여할 자유를 부여했다.

세먀노프와 그들의 충성스러운 기병 부대와 함께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외몽골과 동부 시베리아, 특히 운게른슈테른베르크가 몇 년 전에 주둔했던 바이칼 횡단 지역을 향해 동쪽으로 여행을 떠났다. 1919년 2월, 그는 세먀노프의 지휘 하에 활동하는 뛰어난 아시아 기병사단을 창설했다. 이 사단은 정치적 적, 특히 볼셰비키와 붉은 군대의 마음에 두려움을 심어주는 무시할 수 없는 세력으로 유명해졌다.

1920년 늦여름, 운게른슈테른베르크와 그의 기병 부대는 몽골을 침공했고, 몽골은 중국군에 맞서 독립을 위한 투쟁을 벌였다. 수도인 우르가(현재의 울란바토르)는 약 7,000명의 중국군이 점령하고 있었는데, 몽골 성직자, 일본 제국군, 그리고 존경받는 제8대 복드 칸의 지원을 받아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우르가 함락 작전을 세심하게 계획했다. 첫 번째 포위 공격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두 번째 시도에서 약 1,5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웅게른슈테른베르크의 군대가 중국군을 물리치고 도시를 장악했다.

그의 놀라운 업적을 인정받아 8대 복드 칸은 그의 칭호를 회복하고 그에게 "칸의 위엄을 지닌 다르칸 코쇼이 친 왕 세습 대공"이라는 명예로운 영예를 수여했다. 세마노프는 자신의 뛰어난 리더십 능력을 인정하여 그를 중장으로 승진시켰다.

7de4d676b28a39f123e887b6159c706abc8d76a6f15f163af847a8edd5a74edb2fa3bacce91e0b6b2afe8e8a2082b2d853d3af8ca69f0100c83da8bbbe

복드 칸의 초상화

이 시기에 우르가에서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그곳에 살고 있는 소수의 유 대인 인구는 슈테른베르크의 정책에 희생되었다. 그들의 눈에는 유 대인들이 볼셰비키 혁명과 서구 자유주의 모더니즘과 연관되어 표적이 되었다. 또한 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수감자들은 심문을 받았고 어떤 경우에는 처형되기 전에 정보 목적으로 고문을 받았다.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또한 위협에 대응하고 적 스파이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유명한 비밀경찰을 창설했다.


7ce88274b2803af323ed83e3149c706c83fa3547a68fc3427b17ca531ecba24af0ed43ad61cde6d4ae37416dba4da5ef1055b196deba71fea37ac1c1

1921년의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일정 수준의 권력을 확립한 후 이상적인 안정이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혁신과 조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했다. 그는 공공도서관 건립에 앞장섰고, 젊은 세대를 위한 학교를 설립했으며, 조합주의적 방식으로 경제 개혁에 힘썼다. 그는 또한 유 대인을 제외하고 다른 종교들에 종교적 관용을 장려하는 칙령을 발표하고 공공 위생과 거리의 청결을 감독하는 장교를 임명했다. 수감자들의 경우,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몽골 국민들이 체포된 사람들의 자유를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사회적 단결과 공동체적 유대감을 조성했다.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자비롭고 기민한 통치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에 대한 그의 장기적인 비전을 방해하는 고위직 내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일부 장교들은 그의 충동적인 행동으로 인해 자신들이 파멸에 이르고 지금까지 달성한 ​​진전이 훼손될 것을 우려하면서 그의 거창한 열망에 대해 비관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그들은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급속한 정복이 너무 성급하고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아시아 통일을 위해서는 보다 신중하고 인내심 있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모든 아시아 민족의 황제로서 강력한 몽골 칸국을 세우겠다는 결심에 힘입어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자연스럽게 수많은 적들을 모았다. 북부에서는 전쟁의 흐름이 볼셰비키에게 유리해지기 시작했고, 많은 백군 사령관들이 항복하거나 포로로 처형당했다. 운게른슈테른베르크가 우르가를 점령하고 지배권을 장악하자 몽골 공화 민족주의자들과 공산주의 동조자들은 국경을 넘어 러시아 영토로 도망갔다. 그들은 몽골 망명 정부를 구성하고 붉은 군대의 지원을 받았으며 제8대 복드 칸과 웅게른슈테른베르크의 존재를 격렬히 반대했다. 1921년 3월, 그들은 몽골 침공을 시작했다. 적군이 이미 시베리아 영토 대부분을 정복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자신이 현지 몽골인과 시베리아인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믿었다. 그는 시베리아에서 적군 특사를 만나기로 동의했지만 도착하자마자 현지 지원은 최소화되었다. 상당히 약해진 기병 부대를 이끄는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장비가 더 좋고 수적으로 우월한 적군을 상대로 여름 내내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7월, 우르가는 붉은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다. 도시를 되찾을 수 없음을 깨달은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병력을 보충하기 위해 트랜스바이칼 로 후퇴했다. 그러나 그는 러시아 영토 깊숙이 침투하면서 붉은 군대의 대규모 부대가 그를 추격하자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다시 몽골로 피신한 그는 고비사막을 건너 티베트에 도달할 계획을 세웠다. 제한된 보급품으로 인해 티베트에 대한 그의 필사적인 임무는 결국 그의 몰락으로 이어졌다. 그의 가장 충성스러운 장교들조차도 그의 충동적인 의사 결정에 좌절했고 이 시점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8월, 암살 시도가 실패하자 그의 부하들은 그를 제지하고 붉은 군대 게릴라 파견대에 팔아넘겼다.

28ef8571e3846af023ebd5b4469c703b604b3cd491742f6c6a70a0c9d7e98491e6dab561d508421c4a05043acfee28b1192866128cff5ce4d244ee00

1921년의 운게른슈테른베르크
재판이 시작되기도 전에 블라디미르 레닌으로부터 신속한 유죄 판결과 처형을 요구하는 전보가 도착했다. 뉴욕타임즈지는 이미 그의 사망을 나흘 앞두고 보도했다. 소련 판사 앞에 앉은 사람은 운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이었지만, 그들이 종교를 그들의 진정한 적이자 소위 "범죄"라고 불리는 일차적 원인으로 간주했다는 것은 처음부터 분명했다. 재판장은 운게른슈테른베르크가 "신비주의에 감염됐다"고 말했는데, 이는 에멜리안 이아로슬라프스키(Eme'lian Iaroslavskii)라는 유 대인 검사가 모든 종교에 대한 맹렬한 반대자였으며 나중에 소련에서 "무신론자 연맹(League of Militant Atheists)"을 이끌게 되었다는 사실 때문인것이 분명했다. 심문 중에 이아로슬라프스키(Iaroslavskii)는 남작을 기독교의 위선자로 묘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을 변호하기 위해 어떤 증거도 제시할 수 없었고 증인도 소환되지 않았으며 전체 재판은 5시간 20분 동안만 진행되었다. 운게른슈테른베르크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최종 성명을 내지 않기로 결정했다.

유죄 판결을 받는 순간, 용감하고 단호한 남작은 처형자들과 마주했다. 그는 불경건한 공산주의자들의 모독을 두려워하여 성 조지 십자가를 도전적으로 보호했다. 처형하는 동안 총알이 그의 부적 중 하나에 부딪혀 파편이 흩어지고 의도치 않게 붉은 병사가 부상을 입었다. 따라서 남작의 죽음은 극동의 무시무시한 망령이 잠잠해졌다고 믿는 레닌과 그의 동료들의 안정감을 확증해주었다. 소련 언론은 그들의 승리에 환호했고, 무능한 볼셰비키 과학자들은 남작의 심리학과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쓸데없는 노력으로 남작의 뇌를 해부했다. 이 소식을 듣고 자신의 궁전에 갇힌 복드 칸은 몽골의 불교 사원과 수도원에서 쓰러진 해방자를 위해 기도를 올리라고 명령했다.

오늘날에도 남작의 유산은 몽골에 남아 있다. 그의 개입 없이는 몽골이 독립 국가로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비록 그의 몽골 군주제 복원은 일시적이었지만, 러시아와 아시아를 강력한 제국 세력으로 통합하려는 그의 열망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의 삶은 폭력, 미스터리, 공포, 흥분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안타깝게도 볼셰비키 총살대 앞에서 단축되었다. 그의 열렬한 추종자들은 그를 "전쟁의 신"으로 환호했고, 그의 확고한 적들은 그를 "미친 남작"이라고 불렀다. 그러한 별명은 실제보다 더 큰 인물에 적합하다.

by Zoran Zoltanous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18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8600 생각의 저는 사실 제일 무서운 것이 [10] 나갤러(211.246) 23.12.13 362 1
18597 질답 파시즘, 국가사회주의는 사회주의가 아니다? [4] 홍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212 5
18596 일반 유튜브 보다가 갑식목장 글이랑 비슷한 주장 발견함 [1] 무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212 4
18593 일반 일본과 유대 인 [1] 나갤러(45.14) 23.12.12 161 0
18590 휴지통 중화민족은 세번째로 순수한 아리아인이다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1 312 1
18589 질답 파시즘과 무신론은 기름과 물 같은 존재인가 [2] 나갤러(211.194) 23.12.10 218 1
18588 생각의 갑식목장을 보고 김갑식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다 [1] ㅇㅇ(118.235) 23.12.09 353 13
18586 일반 그대여~~~이제 그 모든 나날속에 [2] 나갤러(223.39) 23.12.09 126 1
18584 일반 실베에 올라온 박정희 수도 이전 계획 보는데 [3] ㅇㅇ(211.234) 23.12.08 426 7
18583 일반 기모노를 입은 히틀러 [1] 나갤러(45.14) 23.12.08 252 0
18582 자료& 노산 이은상선생의 명언 [4] 김갑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8 299 4
18581 일반 이대남은 해외도 똑같음 [3] ㅇㅇ(14.39) 23.12.08 232 2
18579 생각의 서울의 봄을 보며 느낀 점 [7] metamorphosi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7 382 5
18578 질답 나치갤러들아 니들이 만약 [5] 나갤러(119.69) 23.12.06 255 0
18577 일반 민문회 정기후원금 내고 싶음 [1] 나갤러(223.39) 23.12.06 200 1
18575 생각의 한국은 민주주의로 흥했지만 민주주의로 망하는 중이다 [8] 나갤러(58.123) 23.12.04 306 0
18574 일반 빡통대가리들이 있는척 씹소리하는 갤이엿네 [3] ㅇㅇ(223.62) 23.12.02 308 0
18572 일반 보편성을 보급한다는 명분으로 정체성을 해체하는것을 막는게 최우선 아님? ㅇㅇ(14.4) 23.12.01 99 0
18568 일반 김갑식씨 질문있읍니다 [4] 무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221 0
18566 질답 우익 포퓰리즘과 파시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9] 섹스혁명(119.69) 23.11.29 345 0
18565 질답 폴링다운 어떻게 보셨는지요.. 나갤러(112.166) 23.11.29 87 0
18564 일반 김갑식 = 도롱이 나갤러(222.118) 23.11.28 101 1
18559 일반 도롱이 보고 싶다 [1] ㅇㅇ(120.142) 23.11.26 139 0
18558 질답 나갤러님들은 이 발언에 대해서 어떻게 보십니까? [3] ㅇㅇ(118.235) 23.11.25 274 0
18555 일반 장군님의 유묵을 뵙습니다 ㅇㅇ(118.235) 23.11.23 286 17
18554 일반 고통이야말로 삶의 덕목인가? [2] 나갤러(124.54) 23.11.23 148 0
18553 일반 연간 10만명 이상 영주권 살포예정 [4] ㅇㅇ(223.38) 23.11.23 234 1
18552 뉴스 한국, 내년부터 '다인종 국가' ㅇㅇ(223.39) 23.11.23 217 0
18549 일반 갑식아 문체 좀 원래대로 멀쩡하게 쓰면 안되냐 [3] ㅇㅇ(156.146) 23.11.22 245 0
18548 컨텐츠 최애의 각하 [4] 반자유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517 5
18547 컨텐츠 자유의 위대함 [2] 반자유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212 2
18546 일반 엘.로가 누군가 사칭하는것같은데 ㅇㅇ(211.36) 23.11.21 77 0
18545 컨텐츠 1488 나갤러(146.70) 23.11.21 78 0
18544 일반 반세계화주의자입니다 [1] 반세계화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107 1
18543 일반 인간은 행복해야한다 = 좌파 [2] ㅇㅇ(223.39) 23.11.21 236 2
18541 일반 나갤러들이 폭력의 폭 자만 나와도 싫어하는 이유가 [1] 나갤러(211.36) 23.11.20 206 1
18539 일반 민문회 특징 [1] 엘.로스(39.7) 23.11.19 199 1
18537 질답 노갑식님 진정한 파쇼가 볼만한 영화 3가지 추천좀 해주십쇼 [11] 대구인(49.166) 23.11.18 353 1
18536 컨텐츠 범알라 나갤러(211.194) 23.11.18 119 1
18535 일반 니하오~ [2] ㅇㅇ(211.229) 23.11.17 174 1
18533 자료& 김대중 개샘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23 2
18531 일반 나치 갤러리는 팔레스타인 지지합니다 [1] 나갤러(221.166) 23.11.16 233 0
18530 질답 네탄야후는 파시스트로 볼수 있을까요? [7] 나갤러(104.28) 23.11.15 255 0
18528 일반 일본은 이스라엘 편 [1] 나갤러(220.94) 23.11.14 191 0
18527 일반 파시즘은 레이시즘이 아니야~~!!! ㅇㅇ(223.38) 23.11.14 128 0
18526 생각의 반기술주의는 뭐랄까 고대 기독교 영지주의의 합리주의적 재해석 같다. [1] 나갤러(104.28) 23.11.11 353 2
18525 일반 흔한 한국의 ’보수‘유튜버 [9] ㅇㅇ(106.101) 23.11.11 478 2
18521 일반 나치보단 파시즘 [3] ㅇㅇ(14.39) 23.11.11 292 2
18519 일반 밑에 글 보면서 의문점 [5] ㅇㅇ(211.229) 23.11.10 207 0
18518 생각의 미국, 호주, 뉴질랜드 백인 민족주의자 이해 안가는 이유 [17] 나갤러(106.254) 23.11.10 556 1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