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시황] 전례 없는 인플레이션에 기로에선 미국 경제앱에서 작성

스카타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0.27 21:32:17
조회 297 추천 2 댓글 1
														

미국 뉴저지주에 살고 있는 기자가 최근 자동차 점검을 받으러 자동차 수리점에 갔다가 경험한 일이다. 지난 봄 차량 엔진오일을 교체하러 갔다가 타이어도 교체하려고 했었다. 수리점 대표는 타이어 상태를 보더니 “아직 쓸 만하다”며 “몇 달 있다가 교체해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리고 최근에 이곳을 다시 방문했다가 깜짝 놀랐다. 눈여겨봤던 타이어는 가격이 20% 가까이 올랐을 뿐 아니라 재고가 없었다.

타이어는 하나의 사례에 불과하다. 미국에선 공산품 수요가 증가하는데 물류공급난이 가중되며 가격이 뜀박질을 하고 있다. ‘일회용품 천국’인 미국에서는 최근 플라스틱 용기 사용이 줄고 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실천하기 위한 활동이 아니다. 일회용품 공급이 부족해지면서다.

유명 베이커리 체인인 ‘파네라(Panera)’ 일부 매장에서는 플라스틱 용기가 부족해 아이스커피를 종이컵에 제공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테이크아웃, 배달이 급증했지만 이에 맞춘 일회용품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용기, 스푼, 포크 제공에 관대하던 문화에도 변화가 왔다. 뉴욕 일대에 많은 유럽계 커피점인 ‘프레타망제(Pret-A-Manger)’는 스푼, 포크를 매장 안쪽에 두고, 요청하는 사람에게만 제공하고 있다.


자동차 시장은 반도체 공급난으로 전례 없는 생태계 교란이 왔다. 자동차 천국인 미국에서 역사 이래 이렇게 자동차를 구입하기 힘든 시기는 없었다. 중고차 가격이 신차 가격을 추월하다보니 현대차 팰리세이드, 기아차 텔루라이드 같은 인기 SUV는 MSRP(권장소비자가격) 대비 5000~1만달러 웃돈을 줘야 살 수 있게 됐다.

자동차와 같은 소비재보다 가장 심각한 인플레이션은 부동산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도시를 탈출하며 교외 지역 주택 구입 열풍이 일면서 미국 전역에서 주택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자 너도나도 집을 사기 시작했다.

미국의 주택 가격이 전국적으로 전년 동기 약 20% 이상 오른 것은 렌트로 살던 젊은 층이 ‘생애최초’ 주택 매수에 나선 영향이 적지 않다. 이는 모기지(주택담보대출)를 받고 보유세를 내더라도 렌트비를 내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모기지 금리가 3~5%였던 팬데믹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일이다.

제로금리 정책에 따라 모기지 금리가 2%대로 내려오면서 주택 매수 수요는 급등했다. 연준의 테이퍼링(유동성 공급 축소) 계획이 임박하면서 시중금리는 오르고 있지만 신용이 좋은 사람은 여전히 2%대에 모기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집값이 오르며 렌트비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주택 가격과 렌트비는 한 번 오르면 쉽게 내려가지 않는(Sticky) 속성이 있어서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는 요소로 자리 잡게 된다.

인플레이션으로 경제 주권이 무너진 케이스로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국가는 짐바브웨, 베네수엘라 등이다. 미국의 전례 없는 인플레이션 현상을 이런 나라들에 빗대 ‘짐바메리카(짐바브웨+아메리카)’, ‘베네수메리카(베네수엘라+아메리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미국의 더 큰 문제는 당분간 인플레이션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천연가스를 비롯한 원자재 시장은 천장이 뚫린 것처럼 오르며, 물가를 계속 올려놓고 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8.6% 올랐다. 이는 2010년 11월 자료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 폭을 경신한 것이다. 전달 8.3%에 이어 상승폭이 더 커졌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8% 올랐다. PPI는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생산자 물가 상승률이 소비자 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현상은 이례적으로, 시간을 두고 소비자 물가를 더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 결국 시차를 두고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전가될 것이라는 의미다.

CPI 상승률은 지난 5월 5.0%을 기록한 데 이어 9월까지 5개월 연속 5%대로 오르고 있다. 상반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이 팬데믹 직후여서 기저효과가 크게 미친 시기였다. 지난해 4~7월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0.1~1.0% 오르는 데 그쳤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영향은 일시적(Transi tory)”이라고 수없이 강조해온 것도 이런 배경에서였다. 기저효과에 따른 착시이지 인플레이션 기조가 고착화된 것이 아니라는 취지였다. 하지만 8월 이후에 물가가 계속 고공행진을 하는 것은 예상 밖이다. 지난해 8· 9월 CPI 상승률은 1.3%, 1.4%를 기록하며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던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8·9월 CPI 상승률이 각각 5.3%, 5.4%를 기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물가 지표가 중요한 것은 앞으로 팬데믹 이후 미국 경제 회복에서 기준금리 인상 시기와 폭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미국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국의 물가지표는 초미의 관심사가 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파월 연준 의장의 어떤 판단을 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파월 의장은 ‘슈퍼 비둘기’라고 불릴 정도로 테이퍼링과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서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판단과 대처가 안이했던 것이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0월 14일 자 칼럼에서 파월 의장의 인플레이션 원칙론이 연준 내에서 도전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 강경파 연준 위원들은 보다 속도감 있게 테이퍼링을 진행해 금리 인상의 여지를 조속히 확보해야 한다는 견해를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준 2인자인 리처드 클래리다 부의장은 국제금융협회(IIF) 연례 회의에서 “일부 위원들은 (테이퍼링에) 더 속도를 내자고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상당한 추가 진전’ 기준이 물가안정 목표와 관련해서는 충족되고도 남았고, 최대 고용과 관련해서는 거의 충족됐다”고 말했다.

8·9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저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고 인플레이션 총력 대응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빨리 움직일수록 더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9월 공개된 점도표에 따르면 연준 위원 18명 중 9명이 내년 중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내년 하반기에 금리가 두 차례 인상될지 여부다. 시간이 갈수록 이런 필요성에 동조하는 연준 위원들이 늘어나고 있어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폭과 속도는 예상보다 높고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민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경기 흐름을 비교적 정확히 분석하고 있는 골드만삭스는 인플레이션이 단기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존 월드런 골드만삭스 사장 겸 COO(최고운영책임자)는 “높아진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려면 1~2년 아니, 어쩌면 그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월드런 사장은 “공급망 대란으로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와 같이 말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CEO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CME그룹의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첫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9월로 보는 전망이 62%에서 65%로 올라갔다.

내년에 두 차례 금리 인상이 있을 가능성은 46%로 나타났다. 11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의 방침에 따라 내년 하반기 기준금리의 두 차례 인상 가능성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IMF(국제통화기금)도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IMF는 “물가가 예상치를 벗어날 위험이 구체화할 경우 적절히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이 연임되지 않는다면, 첫 금리 인상은 차기 의장이 담당하게 된다. 백악관과 연준이 어떤 선택지를 꺼내들지 더 이목이 집중되는 시기다.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4호 (2021년 11월) 기사입니다]

박용범 특파원(2much4ever@gmail.com)

7ded8072bd8461fe36efe9e546831b6f14b056892752b6c08c6f0f2663d0d6537ae60ac5a1e1940c0eabafa6ddc4cf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06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2807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1049436 공지 말머리 신고 추가했다 포로리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2 417 3
248500 공지 해외선물 갤러리 운영방침 [23] 미나정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08 48331 16
1059968 일반 석렬이 똥꼬빤 색히덜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5 0 0
1059967 일반 새아뺘는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3 1 0
1059966 일반 늬덜 칼부림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3 0
1059965 일반 gs25에서 골든블루 사고 뉴진스 노래듣고있어 [5] 챙로랑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1 0
1059964 일반 어차피 뒈질 새끼는 박쥐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8 0
1059963 일반 정확히는 확률에서 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4] 박쥐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34 0
1059962 일반 fa-lang이 비유수준 ㄹㅇ 떨어짐 [8] 110.34(220.121) 01:19 43 0
1059961 일반 다 반반인데 종목은 왜 고르고 진입시점은 왜 재냐? fa-l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23 0
1059960 일반 이판에서 돈 버는 방법은 수백 수천가지는 될텐데 [1] 야생수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24 0
1059959 일반 결론은 말하는 대로 된다 박쥐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43 0
1059958 일반 추세를 왜 추종하냐? ㅋㅋㅋ [1] fa-l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38 0
1059957 일반 퇴근했다리~건강한해선 즐겨 친구들~ [8] 우동이아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27 0
1059956 일반 세상은 정규분포가 아니고 그럴 이유도 없다 [1] fa-l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29 0
1059955 일반 크게 돈 딴 사람들이 주로 한다는 추세추종도 [3] 97-7606660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55 1
1059954 일반 경기침체가 오려나바 [3] 외화유출범(172.226) 01:01 44 0
1059953 일반 문과 혹은 4-5등급 미만 애들만 [1] fa-l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9 46 0
1059952 일반 내가 안되면 남도 안될거라고 생각하는 자체가 [12] 박쥐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7 65 1
1059951 일반 머야 겨우 1시도 안됏자나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6 16 0
1059950 일반 지수 솔까말.. 다들 알고 있다!!! 외화유출범(110.35) 00:56 19 1
1059949 일반 옵션의 신 제로데이 옵션 공식 진출 공시. [13] 하루300US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4 59 1
1059948 일반 자기 재능을 잘 찾는게 중요함 외화유출범(211.235) 00:52 25 0
1059947 일반 배달 시마이 [2] ㅇㅇ(223.39) 00:50 38 0
1059946 일반 사실 답은 알고 있거든? 포지션 구축 할 때 [1] 금혐오자(1.251) 00:49 33 0
1059945 일반 원천징수 떼면 [4] 박쥐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8 43 0
1059944 일반 앞으로 늬덜하고 놋 놀듯 ㅠ [1]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6 23 0
1059943 일반 오르거나 내리니까 확률이 반반이다? [5] fa-l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4 63 0
1059942 일반 [파동 왈, 니들이 파동을 알어?] [1] 최고점최저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1 35 0
1059941 일반 사람에는 두 분류가 있음 [6] ㅇㅇ(223.39) 00:40 62 0
1059940 일반 세상에서 괄시 받으니 여기에서라도 큰 소리치려는데 [6] 잘난것들은가라(223.38) 00:39 42 1
1059939 일반 갑자기 유동덜이 지우는 것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8 19 0
1059937 일반 심리가 얼마나 중요하게 작용하냐면 [7] 외화유출범(183.96) 00:37 68 0
1059936 일반 어느 기자의 페티시 업소 탐방기 프로트레이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7 51 0
1059935 일반 도로 위 성매매 ‘리무방’ 실체 프로트레이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6 40 0
1059934 일반 우와 고닉의 장점을알아땨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24 0
1059933 일반 시발새기들 [1] 10억날린놈(211.36) 00:34 32 1
1059931 일반 소림이도 여기로 왔니?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9 20 0
1059929 일반 인증해도 G-jot 시드는 무시하드라. 조선인 종특임. [5] GetRichOrDieTryn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7 65 0
1059928 일반 박쥐 저새끼는 [7] 외화유출범(106.101) 00:26 55 1
1059927 일반 일목 파동론 120만원에 판다 댓글 달아라 외화유출범(112.149) 00:26 20 0
1059926 일반 [매매기법? 거래비법? 거래경험?,,,, 파동이 웃습니다.] 최고점최저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4 26 0
1059925 일반 ㄷㅇ나 저런 차트팔이같은 사기꾼들이 [8] 97-7606660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86 3
1059924 일반 호갱노노에 양평동3가 경남아너스빌1차 방문자수 봐라 입지최강의 위엄 [1] 외화유출범(120.50) 00:09 40 0
1059923 일반 주말인데 밖에좀 나가 [7] 관망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5 59 0
1059922 일반 ㅁㅊ련덜 [7]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2 65 0
1059921 일반 [자~자~ 밥벌이 못할까봐 두려워들 하지 말고] [7] 최고점최저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0 59 0
1059919 일반 해선은 확률 반반 도박이야 [11] 110.34(220.121) 06.08 112 1
1059918 일반 킬러 씨파 [6] 박쥐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81 3
1059917 일반 피바람 [2] 새아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6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