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현실주의 국제정치학 번역서

ㅇㅇ(115.136) 2024.05.17 19:09:57
조회 912 추천 16 댓글 5
														

I. 들어가며

현실주의자들은 국제정치를 '힘의 논리'에 기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때문에 현실주의는 냉전 체제 미국의 외교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끼쳤고, 강대국 간 갈등이 고조되는 현재도 주목받는 이론이다.


그러나 학자들 간의 논쟁을 거치며 현실주의는 '힘의 논리'라는 큰 틀 안에서 여러 주장으로 분화되었다. 


이 글에서는 현대 국제정치학 탄생 이전의, 현실주의의 원류에서 시작하여 90년대에 이르기까지의 현실주의자들의 저서들을 번역서 중심으로 살펴본다.


II. 현실주의 이전의 현실주의 


이하의 두 책은 현대 국제정치학이 정립되기 전 쓰여진 책이지만, '현실주의적'이라고 볼 수 있는 주장들이 내재되어 있다.


때문에 오늘날 학계에서도 현실주의의 사상적 기반으로 다뤄지고 있다.

899129040x_1.jpg

투퀴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도서출판숲, 2011


현실주의의 핵심 주제는 2500여년 전 쓰여진 이 책에서 출발한다.


투튀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아테네의 힘의 증가가 스파르타의 공포를 가져왔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 분석은 오늘날 자국의 안보를 위한 행동이 타국의 안보 불안을 유발해 양국의 군비 경쟁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양국 모두의 안보가 위협받는 소위 "안보딜레마"를 설명하는 탁월한 사례로 원용되고 있다.


 8988684168_2.jpg

에드워드 카, "20년의 위기", 녹문당, 2014

"역사란 무엇인가"로 유명한 에드워드 카는 사실 당대의 저명한 외교관이기도 했다.


그는 본서를 통해 당대 외교가에 만연하던 이상주의를 문자 그대로 '이상적'이라며 비판했다.


그러며 힘의 관계에 주목하여 현실적인 방법으로 국제 정세에 대응할 것을 주장했다.


III. 고전적 현실주의


8934965797_1.jpg

한스 모겐소, "국가 간의 정치", 김영사, 2014


모겐소는 국제정치학을 정치학의 독립 분과로 만든, 현대 국제정치학의 창시자이다.


그는 본서를 통해 국가가 추구하는 바가 '힘으로 정의되는 국가이익'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이처럼 국가가 힘을 추구하는 원인을 권력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찾는다.


8989566894_1.jpg

헨리 키신저, "외교", 김앤김북스, 2023


닉슨의 국무장관으로 베트남전과 미중수교 등 미국외교사에 방대한 영향을 미친 키신저도 고전적 현실주의자로 분류된다.


다만 모겐소는 국내정치구조를 국제정책의 주요 조건으로 간주했다는 점에서 모겐소와 구분된다.


본서는 이론서가 아닌 외교사 서적이지만, 빈 회의 이후 근현대 외교사를 탁월하게 요약하고 있다.


III. 구조적 현실주의(신현실주의)

8986167670_1.gif

케네스 월츠, "국제정치이론", 사회평론, 2000


월츠의 본 저작은 출간된 지 40년이 넘었으나 현재까지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뒤에서 소개하는 저서들도 월츠의 본저를 반박하거나 보완한 결과이다.


월츠는 국제정치를 '국제체제'의 수준에서 분석한다.


국제정치는 국내정치와 달리 '무정부 상태'이기에, 국내정치적 요인으로 국제정치를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월츠에 따르면, 국제체제의 안정성은 '상대적 힘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


즉 강대국이 3개 이상 존재하는 다극체제보다 2개의 강대국만 존재하는 양극체제가 안정적이다.


양극체제에서 강대국들은 서로에만 집중할 수 있어 다극체제에 비해 불확실성과 혼선의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IV. 공격적 현실주의


8989566703_1.jpg

존 미어샤이머,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 김앤김북스, 2017


국제체제가 조건에 따라 안정적일 수 있다는 월츠와 달리, 미어샤이머는 국제정치가 결과적으로는 강대국 간의 패권 전쟁으로 귀결된다고 주장한다. 


국가들 간에는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모든 국가는 공격적 군사력을 보유한다.


또한 국제정치는 무정부 상태이기 때문에, 국가들은 서로를 믿지 못한 채 자조의 원칙을 따라 합리적으로 행동하고자 한다.


그 결과 국가들은 서로를 두려워하며, 힘을 극대화시켜 패권국가가 되고자 한다.


V. 방어적 현실주의

8989566908_1.jpg

스티븐 월트, "동맹의 기원", 김앤김북스, 2024


TMI)


원저 자체는 1987년에 출간되었고, 개인적으로 현실주의 국제정치 이론에 한 획을 그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최근까지도 번역이 안 되어서 아쉬운 마음으로 되 도않는 영어로 끙끙되며 읽고 있었는데 출간이 되었다 ;;;;

 

사실 위에 '키신저의 외교'도 번역이 안 되어서 비싼 값 주고 원서 구매했는데, 원서 구매한 다음 달에 번역서가 나왔다.


두 번 연속 이러니 반갑다가도 책값 이중으로 날린 게 아깝기도 하고....


여튼 월트는 월츠의 주장과 기본적인 틀을 거의 공유한다.


그러나 월츠는 국가들 간 동맹의 기원을 '세력균형'으로 보았다.


강대국과 동맹을 맺을 경우, 추후 초강대국이 된 동맹국이 '대가'를 요구하며 자국에 위협을 가할 수 있기에,


강대국보다는 그에 대항하는 상대적 약소국과 동맹을 맺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 외교는 월츠의 예측과는 달랐다.


냉전 종식 이후 유럽 국가들은 초강대국과 경쟁하는 소련이 아닌, 초강대국인 미국과 동맹을 맺은 것이다.


월트는 이에 따라 세력균형이 아닌 "위협"이 동맹의 조건이라고 보았다.


즉, 국가들은 '더 위협적인 국가'에 맞서 '덜 위협적인 국가'와 동맹을 맺는다는 것이다.


VI. 마무리


물론 이 책들 외에서 공격방어균형이론을 주장한 스티븐 에바라, 신고전적 현실주의를 주장한 렌달 스웰러 등의 저서도 중요하지만, 번역서만 소개하기로 한 글의 취지에 맞도록 생략하였다.


혹 글에 있을 오류나 질문은 댓글에 남겨주면 좋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이 글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물론 서적 자체도 참고했으나, 큰 도움을 준 책이 있다.


8946044705_2.jpg

이근욱, "왈츠 이후", 한울, 2019


이근욱의 본서는 현대 국제정치학의 주요 이론들의 핵심 내용을 쉬운 언어와 적절한 분량으로 요약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일독한 뒤, 관심이 생기는 저자들의 이론서들을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본다.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59313 공지 [필독] 독갤사용설명서 (공지 및 운영 원칙)  [7] ㅇㅇ(223.39) 21.04.05 38530 69
609683 공지 신문고(게시물 신고, 건의 등)입니다. [4] ㅇㅇ(118.235) 24.04.04 2405 0
459728 공지 독서 갤러리 내 홍보에 관한 공지(2022.11.23) [1] ㅇㅇ(104.28) 22.11.23 12045 5
95230 공지 독린이를 영입하기 위해서 작성한 글 [58] 닥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0 133347 432
247207 공지 독서 마이너 갤러리 정보글 모음 [7] 정보글(203.255) 21.03.01 144132 71
599520 공지 독서 마이너 갤러리 추천 도서 목록 [20] 퀸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28 17571 31
590988 공지 셀털,개똥철학,일기장 경고없이 6시간~1일 차단하겠음. [133] 포크너붐은온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7 7536 55
627038 일반 한나아렌트 어떤책 부터 읽는게 좋아? [2] ㅇㅇ(123.214) 11:43 21 0
627037 일반 재독하는순간 왠지 설레지않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1 11 0
627036 일반 아.. 도서관 예산이 삭감됐었구나 스파이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8 36 2
627035 정보 절판 예정 도서다. 나중에 출판사에 전화하지 마라. [4] ㅍㄹㅅ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4 104 6
627034 일반 글항아리 수호전 새 완역본 출간 [1] casw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59 3
627033 일반 북펀드 마렵다. ㅇㅇ(110.45) 11:28 32 0
627032 일반 창비세계문학 신간 출간 [8] casw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2 94 2
627031 일반 봄눈 책표지 예쁜듯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60 0
627029 일반 걍 크레마 사야겠네. 근게 리모컨 이거 많이 씀? [3] Dubliner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8 70 0
627028 일반 당시 관용어인가 [1] 배고픈독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6 83 0
627027 일반 천문학 입문책 머가잇을까 [7] ㅇㅇ(58.103) 10:44 77 0
627026 일반 백치랑 악령 중에 뭐가 더 재미, 몰입감 높음? ㅇㅇ(115.40) 10:42 24 0
627025 일반 권대 구입함 경멸 순응주의자쓴 작가인데 ㅇㅇ(39.120) 10:37 16 0
627024 일반 똥번역한 놈들한텐 단어당 40원도 과하단 생각 듦 하넫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6 56 0
627023 건의/ 통피가 어제부터 오늘까지 기승이네요 [1] 포크너붐은온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111 0
627022 일반 아이레벨 독서대 존나비싼데 좋긴좋네 [2] ㅇㅇ(36.38) 10:15 105 1
627021 일반 이번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에서 볼만한 거 있음? 스타세일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4 21 0
627019 일반 인간실격이 공감되기엔 너무 평범하게살았나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9 76 1
627018 일반 교보문고야 이게 맞니 [2] 오리선생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6 178 1
627015 감상 무라카미 하루키 해변의 카프카 하권 완독했다 [1] 독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3 69 0
627014 일반 오르한 파묵이 루시디 보다좋음 ㅇㅇ(39.120) 09:41 34 0
627013 일반 (문학) 작가들이 오피니언 리더, 선생님 취급에서 제외된 게 언제부터일까 [7] ㅇㅇ(210.205) 09:32 140 0
627012 일반 짜라두짜 박성현 번역 진짜 최악임 [3] dd(125.188) 09:17 211 5
627011 일반 독붕이 친구 있으니까 좋음 [13] 18시부터21시까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299 4
627009 일반 행복의 정복을 정ㅋ벅ㅋ [1] 1(211.36) 08:16 89 0
627008 일반 긍정의 한줄 6.7 1(211.36) 08:14 35 1
627007 질문/ 크레마 모티프 쓰는 사람 제발 도와줘... [1] ㅇㅇ(118.235) 07:32 120 0
627006 일반 하스미 뿌순다 [2] ㅇㅇ(110.47) 07:15 128 0
627005 일반 데일리 책추천 받고가라 [3] ㅇㅇ(122.44) 06:22 179 1
627004 일반 삼정 셰익스피어 전집좀 팔아주라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40 139 0
627003 일반 책 선물 받았다 [6] Aftn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217 3
627002 일반 감상문 제대로 쓰는것도 보통일이아니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90 0
627001 질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어떰 [8] ㅇㅇ(221.142) 03:36 194 0
627000 일반 '우국' 이거 유명한거같은데 [4] ㅇㅇ(182.210) 03:23 187 0
617800 대회/ 독갤 제1회 복수혈전 대회 개최 안내 [49] 그대자신이되어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0721 49
626999 일반 이북 종이책으로 제본 해주는데 있음? [1] ㅇㅇ(183.104) 02:53 159 0
626998 일반 알라딘 좋은가요? [1] ㅇㅇ(59.18) 02:43 82 0
626997 일반 발자크 두권샀어 [2] ㅇㅇ(175.200) 02:39 94 0
626996 일반 요즘 가장 힙한 철학자가 누구임? [14] ㅇㅇ(118.235) 02:32 389 0
626995 일반 1년만에 왔는데 [3] ㅇㅇ(180.68) 02:28 125 0
626994 일반 민주주의, 사회주의 등을 학교로 표현한 작품있음? [6] ㅇㅇ(103.237) 02:19 183 0
626993 일반 한국전쟁 또 나와 [3] Aftn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130 1
626992 일반 혹시 노동문제에 관심있는 독붕이들있냐 [1] ㅇㅇ(14.52) 02:09 138 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