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연재] 입문자들을 위한 기초 유로파 이론학(8) - 5장 기초 군사학(2)

ㅇㅇ(125.185) 2024.05.16 00:33:02
조회 1029 추천 33 댓글 20
														

viewimage.php?id=3fb2dd2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fcfa815ecac3a1da1f3bf4bad3e385ba7a061e9c1f546e482f9f0526d388865ed35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ome&no=1169759&page=1

 

가이드 모음집





반갑다 패붕이들아

먼저 언급할 게 있는데 앞으로는 효율적인 설명을 위하여 역사적인 측면에서도 꽤 다룰 것이고 그렇기에 그에 대한 역사적인 사전 지식이 필요할 것이다.

사실상 유로파를 시작하려는 유저라면 역사적 지식이 어느정도 기반이 되어 있겠지만 그래도 이야기 하고 가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언급해보았다.

그럼 바로 시작해보겠다.




우리는 앞서 군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인력이란 자원, 부대의 모집 및 조작, 장군 등의 아주 기본적인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렇게 구성되는 부대의 전투력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볼 차례가 된 것이다.

만약 유로파가 부대 수가 무조건 많은 쪽이 전투에서 이기는 게임이라면 우리는 이 챕터에서 파트를 나눌 필요도 없을 것이다.


부대의 전투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굉장히 많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들만 살펴보자면

육군 사기, 육군 전술, 규율, 병종, 병종 전투력이 있다.

즉 우리는 이러한 요소들을 잘 확보하여 적의 군대로부터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것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우리는 전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대해서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전투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련의 현상과 요인들이 결국에는 우리가 배우고자 하는 군사적인 많은 부분들을 대변해주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가 만약 전투에 대해서 이해하게 된다면 나머지의 대부분의 군사적인 요소들은 그저 귀납적인 설명만으로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번 파트에서는 다른 건 다 제쳐두고 전투에 대해서만 다뤄 볼 예정이다.


viewimage.php?id=3fb2dd2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fcfa815ecac3a1da1f3bf4bad3e385ba7a061e9c1f513b783fcf3556e638865ed35


다만 우리가 흔히 시작하는 1444년은 전투에 대해서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좋은 발판이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viewimage.php?id=3fb2dd2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fcfa815ecac3a1da1f3bf4bad3e385ba7a061e9c1f545e48cfbf4036f6b8865ed35

17세기의 종교전쟁(30년전쟁)의 참혹한 세계 속에서 이를 살펴볼 것이다.


viewimage.php?id=3fb2dd2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fcfa815ecac3a1da1f3d226ae3f3151a6a2659e79775161844613fd1c9ec1a68305e2


또한 그 중에서 종교전쟁의 주인공으로 손꼽히는 구스타프 아돌프 2세가 통치하는 스웨덴으로 말이다.

(구스타프 아돌프의 통치 능력은 6/6/6 으로 유로파에서 가장 높은 군주 능력을 가진 통치자 중 한명이다.)


viewimage.php?id=3fb2dd2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fcfa815ecac3a1da1f3bf4bad3e385ba7a061e9c1f544e3dff8f656663d8865ed35


이 시기의 스웨덴은 종교전쟁으로 인해 오스트리아와 전쟁 중에 있으며 종교전쟁 시스템에 관해서는 후의 '신성로마제국' 챕터에서 다룰 예정이다.

위의 사진에 나와있는 외교 지도를 보다시피 전쟁중인 국가는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7fed8272b58769f33cee84ec47871b6c300331c7e880fb9c5d8e41b41978db


스웨덴에는 현재 여러 장군들이 있지만 우리의 주인공 구스타프 2세도 통치자 겸 장군으로 존재하고 있다.

사격 6 / 충격 5 / 기동 6 / 공성 1 로 공성능력을 제외한 모든 능력치가 뛰어나다.( 이러한 장군의 능력은 0 ~ 6 의 값을 가진다.)


7fed8272b58769f33ced82e346891b6ce63faf8586b4673a4dc23dee28b1fc


그런데 게임을 시작하니 지휘관이 너무 많다는 알림이 뜨는 것이 아니던가?


7fed8272b58769f33ced82e344891b6ce832c9bbd163fc25a58f22b87f5d382d


그렇다. 장군은 이전에 우리가 살펴보았던 외교 관계와 마찬가지로 장군의 수에도 제한이 되어있다.

이러한 장군의 수 제한을 늘리는 방법으로는 우리가 앞서 보았던 세력투사를 25 이상의 상태로 유지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는 심화로 여겨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


7fed8272b58769f33ced82e345891b6c565a23297c1bc797275c173230386a


장군의 최대 보유 수를 초과하게 되면 외교 관계를 초과한 것처럼 월간 군사력(군주 포인트가)이 초과한 수만큼 감소하게 되니 주의하도록 하자


7fed8272b58769f33ced83e642851b6cfe939edfc8e16b2a1bb9b81b4ae54c


장군을 해고하기 위해서는 저 발길질하는 버튼을 눌러주면 되며 장군 보유 수는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된다.


7fed8272b58769f33ced82ec45841b6c3ed428ffae457dcd1fa200c51b657c53


우리의 현재 군대는 앞서 언급했던 구스타프 2세가 지휘를 하고 있다.

( 유닛에 존재하는 저 별 3개는 현재 그 부대를 지휘하는 장군이 얼마나 뛰어난 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별은 1성에서 3성까지 나눠져 있다.)

그런데 35k...? 35000명이 하나의 부대로 움직이고 있지 않은가?

우리는 분명 앞서 보급 한계라는 것에 대해 배웠으며

그땐 분명 21k(앞으로는 1000을 1k로 치환하여 언급하겠다.)였을 때 보급 한계 초과로 인한 육군 소모가 발생했다.

분명 35k를 하나의 부대로 묶어 지휘하면 육군 소모가 반드시 일어날 것 같지 않은가?


7fed8272b58769f33ced82ec42821b6ceef1283f07c8a71056d1c57a351963


그렇지 않다. 지금은 1444년이 아닌 1630년으로 매우 진보된 육군 기술로 인하여 보급 한계치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군사 기술이 증가되면서 보급 한계 말고도 우리는 또 하나의 새로운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7fed8272b58769f33ced82ec43851b6c0aa30e60f2515642b952921f4b7a8f


포병이다. 우리는 앞서 군사레벨 7레벨 이상부터 포병을 사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현재 군사 레벨이 17렙인 우리에게 포병의 존재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각각 나뉘어진 병종은 어떠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을까?


7fed8272b58769f33ced83e544881b6c594f619122f6b532af8fb4d373d8e1


우리는 앞서 장군에게는 전투에 영향을 끼치는 사격과 충격 이라는 요소를 확인해 보았다.

하지만 그러한 요소는 병종 에게도 존재하니 각 병종은 이러한 사격과 충격의 영향을 받는 차이가 존재한다.


유로파가 다루는 중근세 시대는 파이크(창)를 사용하면서도 머스킷과 소총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위 사진에서 보병에게는 '사격' 과 '충격'의 요소가 모두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병은 당연스럽게도 '충격'이 높고, 포병은 '사격'이 높다. 이러한 이유는 매우 쉽게 상상할 수 있으니 따로 서술하지 않겠다.


이제 바로 전투에 대해서 들어가보도록 하겠다.


7fed8272b58769f33ced83e142861b6c0f6f115528943c221f5c35448d8aa264


전투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아군의 부대와 적군의 부대가 하나의 프로빈스에서 만나야 한다.

일단 만나기만 하면 전투는 우리가 따로 컨트롤을 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일어나게 된다.

즉 우리는 유닛을 움직여서 적 부대와 전투를 붙이는 것 말고는 전쟁에서 컨트롤 할 요소가 없다는 것이다.


현재 위의 사진에 보다시피 바이에른의 군대가 마그데부르크에 위치하여 있다.


7fed8272b58769f33ced83e046881b6c560101a8baa2288fca6cf1367bdfb1e3



우리는 전투를 일으키기 부대를 이동시켜 적군인 바이에른이 있는 마그데부르크로 이동시킬 것이다.

보다시피 저 쌍칼의 크로스 된 마크는 곧 그 프로빈스에 전투가 벌어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7fed8272b58769f33cec84e542861b6c8e5ad881991b6fcbe33a29eb72d43a2d


전투가 일어나게 되면 지도 상의 두 유닛이 서로 저렇게 싸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고작 저런 것이 아니라 좌측 하단에 있는.......


7fed8272b58769f33cec84e443801b6c0ba1b7291a62169a2502e424974f7c


바로 이 전투 탭이다. 꽤나 간단해 보이는 이 탭에서는 생각보다 복잡한 요소들이 들어있는데

우리는 이를 하나하나 파헤쳐 볼 생각이다.


7fed8272b58769f33cec84e744831b6ccfb19caa8d658ee8458568fa706154


우선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전투를 벌이는 각 군대의 국가를 표시하며 하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그 군대들의 병종별 수를 표시한다.


7fed8272b58769f33cec84e744881b6cf631a59ad2c1fb1170e64ebd0e3e6e

7fed8272b58769f33cec84e745831b6c30dfde457327c0f52e93528be17f26


또한 이렇게 각 국의 장군도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여러명의 장군들이 이 전투에 참여하게 되면 그 중에서 가장 능력치가 높은 장군이 전투를 지휘하는 장군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앞서 말했듯이 장군의 사격과 충격 능력치가 전투에 영향을 준다고 하지 않았던가?

적군의 장군 능력치는 사격 4 충격 4 아군의 장군 능력치는 사격 6 충격 5

즉 사격은 2의 차이를, 충격은 1의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가 바로 전쟁의 유불리함을 결정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7fed8272b58769f33cec84e742841b6c84738d34c5459c7c88e35eccfb17b9

하지만 오직 장군의 능력치만으로 전쟁의 유불리함은 결정되지 않는다. 저기 위에 보이는 주사위 마크가 보이는가?

전쟁터에서 갑자기 주사위라니. 이게 도대체 무엇인가? 우리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투는 턴 단위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그 턴마다 적과 아군 측은 서로 주사위를 굴리게 되고 그 주사위의 차이만큼 또 전투의 유불리함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이러한 턴은 3일마다 바뀌며 턴이 바뀔 때마다 주사위의 값도 다시 무작위로 바뀌게 된다.


바이에른의 주사위는 2, 스웨덴의 주사위는 3으로 현재 상황으로는 스웨덴 측이 더욱 유리한 상황이다.(주사위는 0 ~ 9까지 나온다.)

보라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후에 서술할 것이니 지금은 몰라도 된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바이에른과 스웨덴의 장군의 능력치 차이는 사격 2 충격 1로 나타났는데

우리는 현재 사격 2의 보너스는 받고 있지만 충격 1의 보너스는 찾아볼 수가 없다. 이것은 버그인가?


7fed8272b58769f33cec84e742871b6c3979f30eef4a932e5d2d37e24341cd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각 턴이 사격 페이즈와 충격 페이즈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항상 첫 턴에는 사격 페이즈가 진행되고 사격 페이즈에는 우리는 사격의 보너스를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fed8272b58769f33cec84e047861b6c9f862689e2a6311fbdcfe60ac59dc7


턴이 바뀌는 3일이 지나니 주사위가 바뀜과 동시에 충격 페이즈도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또 3일 뒤에는 사격페이즈가 표시되며 각 페이즈는 전투가 끝날 때까지 무한히 순환하게 된다.)

이때는 사격 보너스가 사라지고 충격 보너스가 활성화되는 것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 당연히 충격 페이즈는 충격이 높은 기병이, 사격 페이즈는 사격이 높은 포병이 더욱 활약할 수 있는 페이즈가 된다.)


즉 간단히 말하자면 주사위가 높고 장군 능력치가 높으면 전투를 쉽게 이길 수 있다는 뜻이다.

'사격'과 '충격'에 관해서는 이보다 더 상세한 설명은 심화로 취급하여 다루지 않을 것이다.


7fed8272b58769f33cec84e344811b6cf0b94aa3fb40a0cbe90cce6fc531a7


하지만 전투의 유불리함을 결정하는 데에는 다른 요소들이 있으니

그 중 하나는 규율이 있다. 쉽게 설명하면 그 부대의 공격력 및 방어력을 결정짓는 수치라고 생각하면 쉽다.


7fed8272b58769f33cec84e344841b6c9fd76be360959e7aa46fb471962eb28a


두번쨰로는 육군 사기이다. 이는 군대가 전투 중에 후퇴하지 않고 얼마나 전투를 수행하는 지를 의미하는데

쉽게 말하면 그 전투에서의 체력을 의미하는 것과 같다. 사기가 0으로 떨어진 부대는 전투를 그만두고 후퇴를 하게 되는데

후퇴에 대해서는 후에 또 서술할 것이다.


7fed8272b58769f33cec84e344891b6c540bf79670782792e144f840b60a347d


다음으로는 육군 전술이 있다. 이는 쉽게 설명하면 그 부대의 방어력을 결정짓는 요소이다.


앞서 언급한 규율, 육군 사기, 육군 전술을 상승시키는 방법은 후에 차차 서술할 예정이다.


7fed8272b58769f33cec84e343811b6cf147f078ae7e0cf95e1aa155cc05dd


이로써 우리는 전투의 유불리함을 결정하는 대표적인 여러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전투의 유불리함이 육군 사기를 얼마나 크게 떨어뜨리는 지와 그 전투에서의 사상자를 결정짓게 한다.)

그런데... 기병 옆의 저 + 모양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7fed8272b58769f33cec84e343851b6c4661ec9e4c89d77a6d705202072d64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보병과 기병의 비율에 대한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기병은 높은 충격과 플랭킹으로 인해 매우 강력한 병종이지만

(기병의 우수성을 표현하기 위해 플랭킹에 대해서 언급은 했지만 이는 심화 과정으로 여겨져 다루지 않을 것이다.)

보병과의 균형을 맞추지 않고 너무 많이 편성을 하게 되면 전투력이 매우 급감하는 디버프를 받게된다.

저 +의 표시는 현재는 기병과 보병의 비율이 잘 맞춰져 있기에 디버프를 받지 않고 있다는 의미이다.


7fed8272b58769f33cec84e246871b6c4d437d9a7cbb98a22fd98d4cc99c6d


보병과 기병의 최대 비율은 군사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 50% 즉 기병의 수가 보병과의 비율에서 절반을 넘으면(1:1 비율을 초과시) 패널티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병 대 보병 비율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늘릴 수 있는데 이는 심화 과정으로 취급하고 다루지 않을 것이다.


7fed8272b58769f33cec85e543831b6c5fb1df17c18adb5828c9b7b5ab8ad2


그런데 전투 탭에서의 설명을 자세히 살펴보면 새로운 메커니즘이 하나 튀어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열의 기병 비율은 34%입니다.' < 우리는 여기서 '전열' 이 무엇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7fed8272b58769f33cec85e445841b6c8147a70c8fa0988d5a06a1eb2b5305


바로 전투 탭에 저 부분이다. 쉽게 말하면 전장이다. 어떻게 보면 하나의 체스판같이 매우 심플해보인다. 그렇지 않은가?

그런데 이는 생각보다 은근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우리는 최대한 쉽게 알아 보도록 하자


7fed8272b58769f33cec83ed43841b6c30895a913aafe469d483d60248682b


우선 우리가 전열이라고 부르는 이 줄은 2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행은 보병과 기병이, 두 번째 행은 포병이 이루고 있으며

각 1칸 당 1개의 연대가 자리를 잡게 된다. 보다시피 4개 연대의 포병대는 둘째 줄에 4칸을, 상대측의 2개 연대의 포병대는 2칸을 차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fed8272b58769f03eef86e142821b6ceeded2c36395a68291219a0f6b7b7e


앞줄에 있는 보병 및 기병은 적의 앞줄에 있는 보병 및 기병을 타격한다.


7fed8272b58769f03eef86e142801b6c9cea791eba2ec6e0aae7f849f43459


그런데 후방에 있는 포병도 앞줄의 적 부대를 공격하는 게 아닌가??


즉... 후방에 위치한 포병대는 앞줄의 보병 및 기병이 전멸하기 전에는 피해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포병을 세워둘 수 있을 만큼 최대한 세워놓고 몸빵용으로 보병과 기병을 채우는 게 가장 이상적인 전투가 될 것이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의문점이 하나 있다. 그렇다면 저 전열의 칸 수,, 즉 전장에 투입가능한 군대의 최대 수는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


7fed8272b58769f03eef86e442801b6c02275f48ba2b3544c3e10b11361d02


이는 바로 우측에 위치한 전투 너비에 의해서 결정된다.

전투 너비가 30이면 1행에 30칸, 2행에 30칸 즉 총 60개의 연대가 투입되어 싸울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60개의 연대가 넘는 병력이 있다면 어떻게 되는가?

그럴 경우엔 투입될 병력은 모두 투입되고 여유 병력은 예비대로 존재하다가 전투에 사상자가 발생하여 전열이 비게 되면 그때 비로소 예비대가 채워지게 된다.

그 비워진 전열이 채워지는 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바로 장군의 기동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7fed8272b58769f03eef86e746821b6c782069d110bf5c5cb374c0f641b62c


전장 너비를 늘리는 방법으로는 군사 레벨을 올리는 것이 있다.

사진에 보다시피 레벨 마다 늘어나는 전장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장너비는 전투가 벌어지는 그 프로빈스의 지형에 따라서도 어느정도 변동치를 가지는데 이는 후에 서술할 예정이다.


7fed8272b58769f03eef87e245871b6c7bc78ed1345ab0cfa7e6c82e461a777b


아무튼 시간이 지나 적의 군대가 모두 죽거나, 적의 사기가 모두 떨어져 후퇴를 하게 되면 우리는 전투에서 승리하게 된다.

전투를 승리하게 되면 많은 요소들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기초 전쟁학에서 서술할 것이다.


7fed8272b58769f03eef87ed44821b6c16d717b0f968244069d0d33e5a089674

우리는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군인들이 꽤나 죽어 그 수가 줄어든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35k에 군대는 32k로 줄어버린 것이다. 이렇게 잃은 군인들은 어떻게 확보하면 될까?


7fed8272b58769f03eef87ed44881b6c394ce045e67646ac011d5f018215b7


아주 간단하다. 아니.... 간단하지도 않다....... 그냥 가만히 있으면 매 달마다 잃은 인력만큼 예비 인력에서 빠져 보충해준다.


7fed8272b58769f03eef87ed42821b6cb17b4131a47de3826e999df0b2654e


다만 이러한 충원이 이루어질 때 매우 많은 지출이 발생하니 이에 대해선 주의하도록 하자

이때 인력의 충원 속도 및 충원 비용을 변동시킬 수 있는 여러가지 요소들이 있는데 그러한 것들은 심화로 취급해 다루지 않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강의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다. 아마 전투에 대해서는 다음 파트에서 마무리 될 것이다.

또한 '기초 군사학'은 파트를 (4)까지 쪼개어 진행할 예정이다.




근데 이거 사실상 연재가 아닌데 계속 연재 태그로 달려도 되는거임...?




추천 비추천

33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1175219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17화 - 충성도 회복 [15]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689 52
1175174 📜연재 꼽띢 아이유브-아르메니아 연재 [7] ㅇㅇ(1.240) 06.07 496 14
1175051 📜연재 메죽 고려, 중국을 찢다 [9] ㅇㅇ(147.47) 06.06 1586 34
1174994 📜연재 메죽 고려, 중국에 죽창을 꽂다 [11] ㅇㅇ(147.47) 06.06 1317 25
1174935 📜연재 메죽) 이탈리아 통일하는 교황령 -3- 페루자 정복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539 17
1174926 📜연재 메죽 고려를 해보자 - 8. The enemy of my enemy [6] 대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737 31
1174876 📜연재 메죽) 이탈리아 통일하는 교황령 -2- 시작전 세팅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604 21
1174855 📜연재 트레비존드 미션 임파서블 8(終) [3] 유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460 13
1174836 📜연재 트레비존드 미션 임파서블 7 [2] 유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04 6
1174824 📜연재 트레비존드 미션 임파서블 6 유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08 2
1174810 📜연재 트레비존드 미션 임파서블 5 [1] 유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15 3
1174807 📜연재 메죽) 이탈리아 통일하는 교황령 -1- 1356년의 교황령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823 18
1174801 📜연재 트레비존드 미션 임파서블 4 [1] 유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21 7
1174793 📜연재 뭔가 좀 이상한 에티오피아 연재 - 3, 완 [3] ㅇㅇ(1.240) 06.05 615 21
1174703 📜연재 뭔가 좀 이상한 에티오피아 연재 - 2 [12] ㅇㅇ(1.240) 06.05 975 38
1174673 📜연재 뭔가 좀 이상한 에티오피아 연재 - 1 [5] ㅇㅇ(1.240) 06.05 987 35
1174649 📜연재 메죽 고려를 해보자 - 7. 두 천자의 전쟁 [17] 대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1230 53
1174429 📜연재 윾) 아무도 안해서 내가 하는 1.37 무굴천자+기병100% [6] ㄴㅁ(211.114) 06.04 983 21
1174286 📜연재 트레비존드 미션 임파서블 3 [3] 유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385 14
1174282 📜연재 트레비존드 미션 임파서블 2 유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82 11
1174268 📜연재 트레비존드 미션 임파서블 [7] 유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001 20
1174200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16화 - 중상주의 [28]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002 92
1174146 📜연재 오라,달콤한 죽음이여.jpg [25] 뻐스트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852 39
1174144 📜연재 위풍당당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完 [8] ㅇㅇ(211.193) 06.03 563 19
1174065 📜연재 메죽 고려를 해보자 - 6. 독립과 야망 [14] 대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191 43
1174052 📜연재 위풍당당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16 [6] ㅇㅇ(211.193) 06.03 501 28
1174001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15화 - 무역은 신이다 [13]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924 54
1173882 📜연재 위풍당당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15-2 [5] ㅇㅇ(211.193) 06.02 504 29
1173846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14화 - 이념을 알아보자 [16]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783 63
1173787 📜연재 메죽 고려를 해보자 - 5. 고다이고 병신새끼 ㅋㅋㅋㅋㅋㅋ [9] 대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338 38
1173684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13화 下 - 부패와의 전쟁 [14]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819 48
1173628 📜연재 뉴비를 위한 오스트리아 공략-2 끝 [5] 사과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1065 21
1173593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13화 上 - 부패와의 전쟁 [24]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990 106
1173563 📜연재 메죽 고려를 해보자 - 4. 빽도할까? [7] 대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1202 30
1173519 📜연재 임페라토르 롬 인빅투스 셈노니아 연재 -3- [4] 임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529 14
1173471 📜연재 위풍당당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15-1 [8] ㅇㅇ(211.193) 05.31 452 22
1173382 📜연재 휘청휘청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14 [9] ㅇㅇ(211.193) 05.31 556 30
1173352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12화 - 루핀 공성전 [29]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959 73
1173317 📜연재 뉴비를 위한 오스트리아 공략-1 [25] 사과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486 33
1173312 📜연재 메죽 고려를 해보자 - 3. 전반적인 상황과 목표 [7] 대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130 34
1173281 📜연재 ㄴㄷㅆ) 돌아온 블아모드 연재-3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71 16
1173219 📜연재 위풍당당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13 [16] ㅇㅇ(211.193) 05.30 538 17
1173155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주기 투표 [11]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80 4
1173152 📜연재 위풍당당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12 [14] ㅇㅇ(211.193) 05.30 534 28
1173106 📜연재 좌충우돌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11 [1] ㅇㅇ(211.193) 05.30 465 24
1173029 📜연재 메죽 고려를 해보자 - 2. 계층 [10] 대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296 41
1172864 📜연재 500시간 뉴비의 짭죽 모스크바 연재 -14- [6] YAMAT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506 20
1172855 📜연재 좌충우돌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10 [6] ㅇㅇ(211.193) 05.29 507 21
1172742 📜연재 좌충우돌 Hail Columbia 인디언 준주 생활기 - 9 [3] ㅇㅇ(211.193) 05.29 539 20
1172734 📜연재 메죽 브란덴부르크 연재) 11화 - 흑사병 [16] 미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045 8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