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론 폴, 연착륙인가 경착륙인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09 23:39:41
조회 62 추천 0 댓글 1
														

1fb2de6bd5d32daa2388d3b01ddd3d734ba84ac8b22e26f7908893cdf195



Soft Landing or Hard Crash?

연착륙 아니면 경착륙?


론 폴, 2024년 1월 8일



A clip from the 1990 movie Home Alone where the lead character purchases groceries, household goods, and toys recently went viral because he paid a total of $19.83 whereas today the same purchase would cost over three times as much.

1990년 영화 나 홀로 집에 주인공이 식료품, 가정용품, 장난감을 구매하는 장면이 최근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영화 장면에서 주인공은 총 19.83달러를 지불했는데 오늘날 같은 물품을 구입하려면 3배가 넘는 비용이 들기 때문입니다.


Ironically, while this evidence of the Federal Reserve’s failure to maintain the dollar’s value was going viral, stocks rose because investors believed the Fed had successfully engineered a “soft landing” by bringing down price inflation without causing a recession and would soon begin reducing interest rates.

아이러니하게도, 연준이 달러 가치 유지에 실패했다는 증거가 인터넷에서 널리 퍼지는 동안, 연준이 경기 침체를 일으키지 않고 가격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낮춰 '연착륙'에 성공했으며 곧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믿음 때문에 주가는 상승했습니다.


Then, stocks fell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when the release of the notes of the Federal Reserve Board’s last meeting suggested the Fed would not hurry rate cuts.

그리고 나서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는 연준의 회의록이 연초에 공개되면서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The likelihood of a delay in cutting rates was further increased by a “positive” December Jobs report.

금리 인하가 지연될 가능성은 12월 고용지표가 "긍정적"으로 발표되면서 더욱 높아졌습니다.


The jobs report did show unemployment remaining low and wages slightly increasing, but the news was not all positive.

고용 보고서는 실업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임금이 약간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이 소식이 모두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습니다.


One of the report’s most troubling items is that a top source of increased wages is government.

고용 보고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항목 중 하나는 임금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이 정부라는 점입니다.


An increase in the salaries of government employees also increases government debt, which will have to be paid for by taxes.

공무원들의 급여가 늘어나면 정부의 부채도 늘어나게 되며, 이 부채는 세금으로 갚아야 합니다.


Since tax increases are unpopular, the government relies on the Federal Reserve to do the dirty work by purchasing federal debt instruments and thus creating more inflation.

세금 인상은 인기가 없기 때문에 정부는 몸이 더러워지는 일을 직접하지 않고 연준에 의존하여 연방 채권을 매입함으로써 더 많은 인플레이션을 일으킵니다.


This inflation tax is the worst of all taxes because it is regressive and hidden.

이 인플레이션 세금은 역진적이고 숨겨진 세금이기 때문에 모든 세금 중에서도 가장 나쁜 세금입니다.


※ 역진세 : 소득이나 재산이 증가할수록 세율이 낮아지는 세금. 또는 반대로 소득이나 재산이 적을수록 조세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세금


If the Fed allowed interest rates to increase to anywhere near what they would likely be in a free market, interest rate payments on the federal debt would rise to a level causing a financial crisis.

연준이 금리를 자유 시장에서의 금리에 근접한 수준까지 인상하도록 허용한다면 연방 부채에 대한 이자 지불은 금융 위기를 초래하는 수준까지 올라갈 것입니다.


Even though the federal government will soon spend more on interest on the federal debt than on the Pentagon and the military-industrial complex, few in DC are serious about cutting spending.

연장정부가 머지않아 국방부와 군-산복합체에 쓰는 돈보다 더 많은 이자를 연방 부채에 지출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워싱턴에서 지출을 줄이는 것을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Federal debt increased by one trillion dollars from mid-September to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연방 부채는 9월 중순부터 새해 초까지 1조 달러 증가했습니다.


It is expected to increase by around another trillion dollars by the end of March!

3월 말까지는 약 1조 달러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To put this in perspective, consider that the federal debt did not reach a trillion dollars until 1981 — almost two hundred years after the Constitution was ratified.

더 넓은 시각에서, 연방 부채는 — 헌법이 비준되고 약 200년이 지난 — 1981년까지도 1조 달러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점을 생각해 보십시오.


Continuing increases in federal debt and Federal Reserve created inflation will lead to economic crisis caused by a rejection of the dollar’s world reserve currency status.

연방 부채의 지속적인 증가와 연준이 만들어 낸 인플레이션은 달러의 세계 기축통화 지위를 잃게 만들고 경제 위기로 이어질 것입니다.


There is already resentment over the US government’s use of the dollar’s reserve status to support US sanctions.

미국 정부가 미국의 제재를 뒷받침하기 위해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이용하는 것에 이미 분노가 일고 있습니다.


This is why Russia and Iran recently signed a deal to trade in their own currencies rather than in dollars and Russia is no longer accepting dollars for its oil.

최근 러시아와 이란이 달러가 아닌 자국 통화로 거래하는 협정을 체결하고 러시아가 더 이상 석유 대금으로 달러를 받지 않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President Biden has kept his promise to refrain from criticizing the Fed’s conduct of monetary policy.

바이든 대통령은 연준의 통화정책 수행에 대한 비판을 자제하겠다는 약속을 지켰습니다.


In contrast, his predecessor regularly took to Twitter to lambaste the central bank.

대조적으로, 그의 전임자는 정기적으로 트위터를 통해 중앙은행을 비난했습니다.


This means the Fed will likely try to help President Biden by trying to keep interest rates low enough to not increase unemployment yet high enough to not increase price inflation.

즉, 연준은 실업률을 높이지 않을 정도로 금리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물가 상승을 일으키지 않을 만큼 금리를 높게 유지함으로써 바이든 대통령을 도우려고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While Donald Trump is more likely than Joe Biden to challenge the deep state and neoconservative foreign policy, the truth is neither Biden nor Trump will seek to reduce spending.

도널드 트럼프가 조 바이든보다 딥스테이트 및 신보수주의 외교 정책에 도전할 가능성이 높지만, 진실은 바이든도 트럼프도 지출을 줄이려 하지 않을 것이란 점입니다.


Unless a critical mass of Americans demand an end to the welfare-warfare state and the fiat money system, the soft landing sought by the Fed and the politicians will turn into a hard crash.

유효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최소한도의 미국인들이 복지-전쟁 국가의 종식을 요구하지 않는 한, 연준과 정치인들이 추구하는 연착륙은 경착륙으로 바뀔 것입니다. 




※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Fed·연방준비은행·연준) : 미국의 중앙은행


https://ronpaulinstitute.org/soft-landing-or-hard-crash/

https://youtu.be/e7dfCs0z5Eg?si=QKtV3zAMdDH-PWoH

 

https://knowyourmeme.com/memes/home-alone-grocery-prices

 


의역 및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어색한 문장과 오역은 수정될 수 있습니다.

본 번역문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06 론 폴, 트럼프 재판과 불공정 시스템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36 0
205 론 폴 자유당 전당대회 연설 영상 (번역 없음)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5 0
204 론 폴, 관세는 달러의 파멸을 재촉하는 또 다른 원인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37 0
203 론 폴, 우크라이나의 베트남화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39 0
202 론 폴, 연준은 통제력을 잃게 될 것인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4 55 1
201 론 폴, 우크라이나의 대약탈은 끝나지 않았다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39 1
200 론 폴, 틱톡 위선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55 0
199 론 폴, 미국 파멸의 결정적 원인?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49 0
198 론 폴, FISA는 진짜 자유를 실체 없는 안보와 교환한다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42 0
197 론 폴, 매코널은 반-간섭주의의 흐름을 막을 수 없다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38 0
196 론 폴, 딥스테이트는 누구인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61 0
195 론 폴, 상원은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지출을 계속한다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37 0
194 론 폴, 나쁜 영화 속편과 같은 옴니버스 예산안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8 0
193 론 폴, '슈링크플레이션'은 연준의 책임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9 47 0
192 론 폴, 좌익을 위한 복지 우익을 위한 복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4 40 0
191 론 폴, 바이든의 '미국의 밤' 국정연설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2 41 0
190 론 폴, 소비자·정부 부채 위기에 대한 연준의 책임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5 56 0
189 론 폴, 우크라이나에서 더 많은 전쟁을 원하는 네오콘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66 2
188 론 폴, 바이든을 탄핵하고 수정헌법 1조를 보호하라 [1]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0 81 1
187 론 폴, 주류 언론의 용을 죽이다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48 0
186 론 폴, '텍시트(Texit)' 로 향하고 있는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66 1
185 론 폴, 부유층에게 세금을 부과하지 말라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53 0
184 론 폴, '2% 인플레이션'과 연준의 목표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175 0
183 론 폴, 예멘과 전쟁을 벌이는 동안 의회는 잠들어 있다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49 0
론 폴, 연착륙인가 경착륙인가 [1]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62 0
181 론 폴, 가치 있는 새해 결의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3 61 1
180 론 폴, 의회의 크리스마스 선물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9 62 0
179 론 폴, 바이든과 미디어의 인플레이션 가스라이팅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2 65 0
178 론 폴, what if 연설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6 80 0
177 론 폴, 우리 외교 정책의 진짜 문제점…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5 68 0
176 론 폴, 경계선 없는 자유의 연결망 (광고 주의)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64 0
175 론 폴, 기술과 국가를 분리하라 II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97 2
174 론 폴, 1월 6일 시위대를 위해 법의 심판을 요구해야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65 1
173 론 폴, 외국 원조가 아닌 대기업 지원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136 0
172 론 폴, 자유를 지지하는 하원의장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86 0
171 론 폴, 2009년 가자지구 공격 지지 결의안에 반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7 52 0
170 론 폴, 독점은 시장이 아닌 정부의 잘못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6 60 0
169 론 폴, 바이든의 선거 전략: 3개 전쟁을 동시에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4 81 0
168 론 폴, 인터넷 도박 금지는 실패한 베팅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0 72 0
167 론 폴, 하마스의 승리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7 83 0
166 론 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어느 쪽을 지지해야 하는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4 84 0
165 론 폴, '가짜 뉴스'와의 전쟁은 표현의 자유와의 전쟁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3 159 0
164 론 폴, 새 하원의장이 우리의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0 58 0
163 론 폴,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정부의 전쟁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6 101 0
162 론 폴, 미국은 민주주의 국가가 아닌 공화국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4 103 1
161 론 폴, 임시예산안의 작은 승리로 큰 결과를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3 40 0
160 론 폴, 불필요한 낙태 대결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6 46 0
159 론 폴, 진짜 전쟁은 중산층을 상대로 진행 중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0 90 0
158 론 폴, 왜 우리가 니제르에 있는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2 64 0
157 론 폴, 브릭스(BRICS)가 달러를 무너뜨릴 것인가? 콩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05 112 0
1234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