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뉴스]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ㅇㅇ(182.230) 2024.05.08 19:54:23
조회 292 추천 2 댓글 2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65242

 



2ebed175e6d63da73fbe87b71481723f901a4e65432388c283f25cd33f70980161580a55c8b4bd41b892f2982cd5e7



단 맛을 느낄 때 유쾌함을 느끼고 쓴 맛을 섭취할 때 불쾌함을 느끼는 인체 메커니즘은 때때로 건강관리의 걸림돌이 된다. 부모들은 쓴 맛의 감기약을 먹기 싫어하는 어린아이 때문에 고생한다. 나이 든 성인들도 몸에 좋은 쓴 음식을 멀리하곤 한다. 맛은 사람이 에너지원을 섭취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맛을 인지하는 메커니즘이 규명된다면 맛에 구애받지 않고 유익한 에너지원을 섭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학계에서는 분자 수준에서 인간이 맛을 느끼는 과정을 파헤치는 연구가 활발하다. 이전보다 좋은 맛을 내는 식품을 개발하고 '쓰지 않은 약'을 자유롭게 만들 날이 멀지 않았단 이야기다.



🌑 20년 만에 확인된 쓴 맛 메커니즘



3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과학자들이 맛의 메커니즘이 쓰고 있는 베일을 서서히 벗겨내고 있다. 브라이언 로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 연구팀은 쓴 맛 분자가 작용하는 수용체인 'TAS2R14'의 자세한 구조를 밝혀낸 연구 결과를 지난달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TAS2R14은 100가지 이상의 쓴 맛을 구별할 수 있는 민감한 수용체다. 연구팀은 TAS2R14이 쓴 맛과 접촉하면 쓴 맛을 내는 화학물질이 수용체의 특정한 지점에 쐐기를 박고 자리잡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화학물질은 수용체의 단백질 모양을 변화시켜 특정한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메커니즘은 쓴 맛 수용체의 활성화를 유도해 뇌의 미각 피질로 신호를 보내면 뇌가 쓴 맛을 감지하는 것이다. 복잡한 신호 체계는 일순간에 발생했다.


연구 논문의 1저자인 김유중 노스캐롤라이나대 박사후 연구원은 "이전까지는 단 맛, 쓴 맛, 감칠맛의 수용체 구조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다"며 "생화학적 방법과 컴퓨터 분석을 결합한 이번 연구로 쓴맛 수용체의 구조와 우리의 혀가 쓴 맛 감각을 초기화하는 메커니즘을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 맛 메커니즘 규명, 왜 어려웠나



쓴 맛을 느끼는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의 시작은 2000년으로 돌아간다. 미국 하워드휴스 의학연구소 연구팀이 쓴 맛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로 'TAS2R'을 지목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되면서다. 2010년에는 독일 인간영양연구소 연구팀이 어떤 화학물질들이 TAS2R의 수용체들을 활성화시키는지 밝혀냈다.


하지만 이후 쓴 맛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는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단백질 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기술이 정교하지 못했던 탓이다.


쓴 맛 감지 수용체는 G-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라고 불리는 세포막 단백질이다. 세포막 단백질이란 세포 막에 위치하며 세포 외부의 호르몬이나 쓴 맛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세포막에서 단백질을 분리해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세포막에서 분리해낼 때 단백질은 불안정해지기 쉬워 본래의 형태가 망가지고 뭉치는 경우가 많다. 쓴 맛 수용체도 예외는 아니었다.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고 정제하는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난관을 넘을 수 있었다. 세포실험, 구조결정, 동물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이 이전보다 진보한 것도 맛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일조하고 있다.

 


🌑 NIH, 산업계가 주목하는 맛의 메커니즘



맛 인지 메커니즘은 단순히 좋은 맛을 내는 데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맛 감지는 인체의 '본능적인 방어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이 쓴 맛을 회피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쓴 맛을 내는 물질이 인간에게 잠재적으로 해로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쓴 맛에 불쾌감을 느끼는 메커니즘은 잠재적 독성 물질을 피하도록 해주는 '1차 방어 시스템'이다.


맛의 메커니즘이 중요한 이유는 이 뿐만이 아니다. 학술적으로도 탐구해야 할 주제가 산적해 있다. 최근 학계에서는 쓴 맛 수용체가 장, 갑상선, 뇌, 신장, 난소, 흉선 등 구강 외 인체 기관 조직에서도 다양하게 만들어지며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나 여전히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선 명확하지 않다. 맛 수용체가 몸 안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은 현재 학계에서 가장 뜨거운 과제 중 하나다.


연구자들은 맛 수용체의 자세한 구조 정보를 알면 체내에서 수용체와 결합하는 물질(리간드)이 어떻게 결합하는지에 대해서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의학 선도국의 주요기관과 기업체가 맛의 메커니즘에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쓴 맛 메커니즘을 밝힌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는 미국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산업계에선 맛 감지 수용체가 몸 안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들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쓴 맛 인지에 관여하는 TAS2R14 수용체는 100개 이상의 화합물을 감지할 수 있어 다양한 화합물의 구조와 결합 부위를 이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 입 안 외 세포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명확하게 밝혀진다면 이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타깃으로 응용할 수 있다.



🌑 맛 메커니즘, 콜레스테롤 질환 해법으로 발전할까



학계는 맛 메커니즘이 다양한 질환 치료에 응용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TAS2R14 수용체는 콜레스테롤의 화학적 구조와 유사한 담즙산 등의 물질을 통해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새롭게 보고됐다. 소뇌, 콩팥, 소장 등 다양한 장기 조직에서 만들어진다는 특성도 함께 밝혀졌다. 이러한 특성은 콜레스테롤이나 담즙산 대사에 직접 작용하는 새로운 약물 개발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맛의 메커니즘이 완전히 밝혀지기 위해선 갈 길이 멀다. 이번에 메커니즘이 밝혀진 쓴 맛 수용체도 입 안 외 조직에서 정확히 어떤 화학물질을 인지하면서 기능하는지에 대해선 아직 모호하다. 쓴 맛을 제외한 다른 '5미'의 맛 감지 수용체는 아직 구조조차 규명되지 않았다. 맛 감지 원리의 비밀을 풀기 위해선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쓴 맛 메커니즘 규명 연구를 이끈 김유중 연구원은 "맛 수용체의 구조와 기능 연구는 인간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적으로는 사람이 맛 감지를 통해 어떻게 행복감을 느끼고, 불쾌감을 느끼는지 규명하는 연구에 관심이 있다"고 덧붙였다. 맛 감지의 초기 과정은 혀에서 일어나지만 결국 뇌로 이어지는 신호전달과 그 정보 처리가 일어나는 과정에 학자로서 궁금증을 느낀다는 이야기다. 다양한 방면에서 맛 감지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는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475715 일반 gpt-4o 아직 멀었네 캡챠도 못뚫노 [7] ㅇㅇ(110.145) 05.16 348 0
475714 일반 GPT4o 오디오 생성 씹JOAT [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627 10
475713 일반 gpt 덧셈 계산도 제대로 못하네;; [7] 캬르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11 0
475712 일반 궁금해서 그런데 아직도 특이점 안 믿는 사람 있음? [11] ㅇㅇ(116.45) 05.16 241 4
475710 일반 사진 위치 맞추기는 신기에 가깝긴 하네 [1] ㅇㅇ(175.199) 05.16 248 0
475709 일반 와 이게 되네...........? [7] ㅇㅇ(121.159) 05.16 529 0
475708 일반 자연어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미래 [3] ㅇㅇ(59.26) 05.16 348 3
475707 일반 챗지피티 월 30달러 아니었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06 0
475706 일반 설레발 트윗 안퍼오냐? 빠딱빠딱 나르라고 [1] ㅇㅇ(121.131) 05.16 151 2
475705 일반 레커 몇년새 급격히 늙은거 같다 [3] ㅇㅇ(210.178) 05.16 218 0
475704 일반 AGI 등장 시기 예측 [8] 람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611 12
475702 일반 생각해보니 gpt4는 왜 있는거노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76 0
475700 일반 이제 또 트윗 설레발 나올 시기가 됐는데 [1] xdxd33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33 0
475699 일반 4o는 아직 알잘딱깔센이 부족하네 mendak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86 0
475698 일반 저 07년생인데 특이점 올때까지 살 수 있을까요?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54 0
475697 일반 지금 오픈ai 사업 방향성은 정말 잘하고 있더만 [26] ㅇㅇ(117.20) 05.16 363 0
475696 일반 4o기능 풀리면 가격 얼마정도 함? [5] ㅇㅇ(116.39) 05.16 288 0
475695 일반 ㅋㅋㅋㅋ 간만에 이런글 ㅈㄴ 웃기네 [7] ㅇㅇ(210.178) 05.16 492 4
475693 일반 난 4o 무료로 되는듯 [2] 300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442 0
475691 일반 뤼튼 얘네는 어떡하냐 [10] ㅇㅇ(14.55) 05.16 995 0
475689 일반 님들 1대1로 싸운다고 했을때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25 0
475688 일반 구글 계정 새거로 하니깐 gpt4o 되는 거 같은데 [4] ㅇㅇ(122.34) 05.16 209 0
475686 일반 ai로 웹사이트나 프로그램 만들어 본 게이 있노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50 1
475685 일반 사람 사진 첨부하면 그림으로 비슷한 포즈 그려줌? [1] ㅇㅇ(218.147) 05.16 155 0
475684 일반 4o 무료로 어케 쓰는거양? [2] ㅇㅇ(118.42) 05.16 356 0
475683 일반 진짜 황당한거 발견헀다 [30] ㅇㅇ(117.20) 05.16 632 0
475682 일반 유튜브 " her 같은 세상이 오면? " 투표 결과 [12] 12312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473 2
475681 일반 2026년 초에 전역하는데 ㅇㅇ(39.116) 05.16 88 0
475680 일반 GPT4o 구라핑 시바 죤내 당당하게 찍네 [3] 초코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91 0
475679 일반 her 사만다모드 바로 되는지 알고 낚인애들 많나보네 ㅋㅋ [3] 연맛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74 0
475677 일반 돼지 신장이식 보면 역노화도 왠지 불안한데...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66 2
475676 일반 4o 토큰 처리량 얼마나 늘어난거지? 개좋네 ㅇㅇ(59.20) 05.16 84 0
475675 일반 audio 모델로 trpg하면 존나 재밌겠네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67 2
475674 정보/ GPT4o는 보수적 AGI 타임라인에 영향을 주지 않음 [24] ㅁㄴㅇ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753 4
475673 일반 Gpt4 발표 전에 gpt3.5에 난리치던 [5] 특술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03 2
475672 일반 난 정말 현재 기술 발전에 눈물이 난다 [16]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670 13
475670 일반 친구중에 ai 관심 많은 의대생 하나 있는데 [8] ㅇㅇ(218.153) 05.16 451 1
475669 일반 LLM으로 rpg하는 텍스트 게임 없냐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77 0
475668 일반 특이점 외 커뮤니티에 영생 역노화 글 올리면 [7] ㅇㅇ(120.142) 05.16 298 0
475667 일반 Gpt4o 아직 어플로는 안되지? [1] 1229(163.152) 05.16 238 0
475666 일반 아마 ai로 실제 인물 구현하는건 규제될거임 [9] ㅇㅇ(218.153) 05.16 313 0
475665 일반 gpt4o 게임에 언제 적용될 거 같냐? [7] ㅇㅇ(58.143) 05.16 227 0
475664 일반 Python으로 우리 은하계를 만들어줘 [5] 친근한게이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441 4
475663 일반 개발자 관뚜껑은 openai가 바로 닫아줬네 [10] ㅇㅇ(115.23) 05.16 563 2
475662 일반 gpt 딸깍으로 디스코드 봇도 제작 가능함? 맥라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69 0
475660 일반 죽음을 좋아하는 사람치고 정신 건강한 사람 못본듯 [4] ㅇㅇ(120.142) 05.16 206 0
475659 일반 음성대화 원하는 목소리로 구현되면 ㄹㅇ 업그레이드her됨? [4] ㅇㅇ(180.65) 05.16 156 0
475658 일반 F1이나 레이싱 관련해서 AI로 만들어볼거 있을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65 0
475657 일반 Gpt5 나오면 걍 대흥갤 고정되겠노ㅋㅋ [3] ㅇㅇ(121.131) 05.16 304 3
475656 일반 월쿄 75배로 달린 후기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5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