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뉴스]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ㅇㅇ(182.230) 2024.05.08 19:54:23
조회 293 추천 2 댓글 2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65242

 



2ebed175e6d63da73fbe87b71481723f901a4e65432388c283f25cd33f70980161580a55c8b4bd41b892f2982cd5e7



단 맛을 느낄 때 유쾌함을 느끼고 쓴 맛을 섭취할 때 불쾌함을 느끼는 인체 메커니즘은 때때로 건강관리의 걸림돌이 된다. 부모들은 쓴 맛의 감기약을 먹기 싫어하는 어린아이 때문에 고생한다. 나이 든 성인들도 몸에 좋은 쓴 음식을 멀리하곤 한다. 맛은 사람이 에너지원을 섭취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맛을 인지하는 메커니즘이 규명된다면 맛에 구애받지 않고 유익한 에너지원을 섭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학계에서는 분자 수준에서 인간이 맛을 느끼는 과정을 파헤치는 연구가 활발하다. 이전보다 좋은 맛을 내는 식품을 개발하고 '쓰지 않은 약'을 자유롭게 만들 날이 멀지 않았단 이야기다.



🌑 20년 만에 확인된 쓴 맛 메커니즘



3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과학자들이 맛의 메커니즘이 쓰고 있는 베일을 서서히 벗겨내고 있다. 브라이언 로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 연구팀은 쓴 맛 분자가 작용하는 수용체인 'TAS2R14'의 자세한 구조를 밝혀낸 연구 결과를 지난달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TAS2R14은 100가지 이상의 쓴 맛을 구별할 수 있는 민감한 수용체다. 연구팀은 TAS2R14이 쓴 맛과 접촉하면 쓴 맛을 내는 화학물질이 수용체의 특정한 지점에 쐐기를 박고 자리잡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화학물질은 수용체의 단백질 모양을 변화시켜 특정한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메커니즘은 쓴 맛 수용체의 활성화를 유도해 뇌의 미각 피질로 신호를 보내면 뇌가 쓴 맛을 감지하는 것이다. 복잡한 신호 체계는 일순간에 발생했다.


연구 논문의 1저자인 김유중 노스캐롤라이나대 박사후 연구원은 "이전까지는 단 맛, 쓴 맛, 감칠맛의 수용체 구조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다"며 "생화학적 방법과 컴퓨터 분석을 결합한 이번 연구로 쓴맛 수용체의 구조와 우리의 혀가 쓴 맛 감각을 초기화하는 메커니즘을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 맛 메커니즘 규명, 왜 어려웠나



쓴 맛을 느끼는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의 시작은 2000년으로 돌아간다. 미국 하워드휴스 의학연구소 연구팀이 쓴 맛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로 'TAS2R'을 지목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되면서다. 2010년에는 독일 인간영양연구소 연구팀이 어떤 화학물질들이 TAS2R의 수용체들을 활성화시키는지 밝혀냈다.


하지만 이후 쓴 맛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는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단백질 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기술이 정교하지 못했던 탓이다.


쓴 맛 감지 수용체는 G-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라고 불리는 세포막 단백질이다. 세포막 단백질이란 세포 막에 위치하며 세포 외부의 호르몬이나 쓴 맛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세포막에서 단백질을 분리해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세포막에서 분리해낼 때 단백질은 불안정해지기 쉬워 본래의 형태가 망가지고 뭉치는 경우가 많다. 쓴 맛 수용체도 예외는 아니었다.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고 정제하는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난관을 넘을 수 있었다. 세포실험, 구조결정, 동물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이 이전보다 진보한 것도 맛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일조하고 있다.

 


🌑 NIH, 산업계가 주목하는 맛의 메커니즘



맛 인지 메커니즘은 단순히 좋은 맛을 내는 데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맛 감지는 인체의 '본능적인 방어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이 쓴 맛을 회피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쓴 맛을 내는 물질이 인간에게 잠재적으로 해로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쓴 맛에 불쾌감을 느끼는 메커니즘은 잠재적 독성 물질을 피하도록 해주는 '1차 방어 시스템'이다.


맛의 메커니즘이 중요한 이유는 이 뿐만이 아니다. 학술적으로도 탐구해야 할 주제가 산적해 있다. 최근 학계에서는 쓴 맛 수용체가 장, 갑상선, 뇌, 신장, 난소, 흉선 등 구강 외 인체 기관 조직에서도 다양하게 만들어지며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나 여전히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선 명확하지 않다. 맛 수용체가 몸 안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은 현재 학계에서 가장 뜨거운 과제 중 하나다.


연구자들은 맛 수용체의 자세한 구조 정보를 알면 체내에서 수용체와 결합하는 물질(리간드)이 어떻게 결합하는지에 대해서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의학 선도국의 주요기관과 기업체가 맛의 메커니즘에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쓴 맛 메커니즘을 밝힌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는 미국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산업계에선 맛 감지 수용체가 몸 안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들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쓴 맛 인지에 관여하는 TAS2R14 수용체는 100개 이상의 화합물을 감지할 수 있어 다양한 화합물의 구조와 결합 부위를 이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 입 안 외 세포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명확하게 밝혀진다면 이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타깃으로 응용할 수 있다.



🌑 맛 메커니즘, 콜레스테롤 질환 해법으로 발전할까



학계는 맛 메커니즘이 다양한 질환 치료에 응용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TAS2R14 수용체는 콜레스테롤의 화학적 구조와 유사한 담즙산 등의 물질을 통해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새롭게 보고됐다. 소뇌, 콩팥, 소장 등 다양한 장기 조직에서 만들어진다는 특성도 함께 밝혀졌다. 이러한 특성은 콜레스테롤이나 담즙산 대사에 직접 작용하는 새로운 약물 개발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맛의 메커니즘이 완전히 밝혀지기 위해선 갈 길이 멀다. 이번에 메커니즘이 밝혀진 쓴 맛 수용체도 입 안 외 조직에서 정확히 어떤 화학물질을 인지하면서 기능하는지에 대해선 아직 모호하다. 쓴 맛을 제외한 다른 '5미'의 맛 감지 수용체는 아직 구조조차 규명되지 않았다. 맛 감지 원리의 비밀을 풀기 위해선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쓴 맛 메커니즘 규명 연구를 이끈 김유중 연구원은 "맛 수용체의 구조와 기능 연구는 인간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적으로는 사람이 맛 감지를 통해 어떻게 행복감을 느끼고, 불쾌감을 느끼는지 규명하는 연구에 관심이 있다"고 덧붙였다. 맛 감지의 초기 과정은 혀에서 일어나지만 결국 뇌로 이어지는 신호전달과 그 정보 처리가 일어나는 과정에 학자로서 궁금증을 느낀다는 이야기다. 다양한 방면에서 맛 감지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는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475794 일반 시간역전은 엔트로피 개념만 알고 있어도 생각못할텐데 ㅇㅇ(121.144) 05.16 78 0
475793 일반 일단 확실한건 특갤기준 봄이 왔다는거임 [1] ㅇㅇ(49.161) 05.16 88 0
475792 일반 지금 생각지도 못한 변수가 있었다 [15] ㅇㅇ(117.20) 05.16 293 0
475791 일반 여기 글볼때마다 일때려치고싶다 [4] ㅇㅇ(115.94) 05.16 152 0
475790 일반 ai에 대해 알면 알수록 괘씸한 새끼 [2] ㅇㅇ(211.184) 05.16 175 2
475788 일반 인체실험은 무엇보다 가성비가 안맞아서 잘 안한다 [2] ㅇㅇ(121.144) 05.16 83 0
475786 일반 인체실험도 활발히 하면 좋겠다 [7] 갤럭시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54 0
475785 일반 알트만이 알고보니 수직충이었네 [2] 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10 0
475784 일반 그러고보니 구글 비디오 생성 ai 예전에도 있었지 않나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79 0
475783 AI창 거의 다 그린 배경스케치 마무리만 AI한테 맡기기 [9] ㅇㅇ(211.109) 05.16 420 7
475782 일반 제미니프로 2달 무료네 [3] ㅇㅇ(222.101) 05.16 246 0
475781 일반 그림그리면서 설명해주는 기능은 안만들어주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77 0
475780 일반 다운로드까진 안 바라고 학습 증강 같은건 없나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42 0
475779 일반 뇌에 칩 박아서 지능 높히는거 언제 나옴?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55 0
475778 일반 GPT-4o 신기능 connected Apps 출시 유출 [6] ㅇㅇ(1.221) 05.16 490 2
475777 일반 내가 지금까지 쓰던게 4o라고? [4] 주승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96 0
475776 일반 확실히 ai버블은 '버블'이 아니다. [1] 친근한게이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93 0
475775 일반 GPT4o 플러그인 질문 [1] ㅇㅇ(211.193) 05.16 127 0
475774 일반 오픈ai 연구원 퇴사후에 새로운 스타트업 설립하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54 0
475773 일반 근데 설레발에 비해 4o도 프로그래밍 너무 어려운데? [9] ㅇㅇ(122.43) 05.16 293 0
475772 일반 근데 반말 은근 꼴리네 [6] ㅇㅇ(118.235) 05.16 271 3
475771 일반 조화환원객관이론 관련 뉴스 떴어.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60 2
475770 일반 진짜 그림 틀만 대충그리고 보정 가능하네 [3] 친근한게이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11 0
475768 AI창 내가 힘들게 그린 그림 AI한테 마무리만 부탁하기 [8] ㅇㅇ(211.109) 05.16 353 3
475767 일반 아이폰 독점은 맞는데 윈도os도 독점하겠지 [1] ㅇㅇ(121.131) 05.16 152 0
475766 일반 니네 엊그제까지만 해도 우울증아니었냐 [1] ㅇㅇ(211.228) 05.16 118 0
475765 일반 Gpt4o무료가 gpt5염두해두고 만든거같은데 [2] 친근한게이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84 1
475764 정보/ 플라톤적 표현 가설 [23] 특술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582 16
475762 일반 챗gpt로 보고서 같은 글써가지고 과제 제출하면 알아낼 수 있나? [3] 세태야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78 0
475760 일반 agi랑 재귀개선은 다른얘기 아님? [7] ㅇㅇ(211.254) 05.16 167 0
475759 일반 저번에 뭐 보니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76 0
475758 일반 오픈ai가 모든 시장 장악할 가능성은 없나? [11] ㅇㅇ(117.20) 05.16 274 0
475757 일반 oai 공동창업자"1~2년안으로 ai가 전체 코딩 프로젝트 수행할것"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411 3
475756 일반 근데 니네 세상이 니네한테 끼워맞춰져있다고 느껴본적있냐 [21] ㅇㅇ(14.53) 05.16 355 2
475754 일반 2025작은 특이점<<<진짜였을지도 [3] ㅇㅇ(121.131) 05.16 334 0
475753 일반 난 요즘 챗봇한테 나쁜말 안함 [8] ㅇㅇ(112.165) 05.16 224 0
475752 일반 4o 이 새끼 내가 반말까면 무조건 반말로 대답하네 [2] ㅇㅇ(118.235) 05.16 138 0
475751 일반 쓸모는 없는데......... gpt로 웹사이트 한 번 만들어봤어 [6] ㅇㅇ(121.159) 05.16 291 3
475750 일반 전독시 AI로 게임처럼 하니까 ㅈㄴ 재밌노 ㅋㅋㅋ [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4463 40
475748 일반 다니엘 코코타일로 agi 올해에서 29년으로 예측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23 1
475747 일반 Gpt5되면 유비쿼터슨지 뭔지 슬슬 될듯 ㅇㅇ(121.131) 05.16 88 0
475746 일반 오픈AI 최고 수준 인력 대체까지 5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387 1
475745 일반 알트만이 씨부린것보다 머스크타임이 더 정확함 [3] ㅇㅇ(121.144) 05.16 192 0
475744 일반 베터리쪽 분야는 생각보다 오래걸릴 것 같음 ㅇㅇ(121.159) 05.16 87 0
475743 일반 agi 2029론은 알트만이 아니라 머스크였구나 [11] ㅇㅇ(211.184) 05.16 280 0
475742 일반 꿀벌도 사칙연산이 가능한데 [5] ㅇㅇ(121.159) 05.16 158 0
475741 일반 념글 요약하면 이건가? [2] ㅁㄱㅌㅊ(14.47) 05.16 242 0
475739 일반 금속에 동전 떨어지는 소리 정확한 거 같은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193 0
475737 일반 지금 성능 꼬라지보니까 2030년엔 작살나겠다 [5] ㅇㅇ(117.20) 05.16 442 0
475736 AI창 내 그림을 보정하고 사람으로 만들기 [7] ㅇㅇ(211.109) 05.16 36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