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잊혀진 트로이 전쟁의 영웅 - 트로일러스

ㅁㄴㅇㄹ(125.138) 2023.09.05 11:04:53
조회 72 추천 1 댓글 2
														

0cb6d82fe9de3db37d80e2a719d828329cb1a995f62625bd2b2f786c488eafd3fdbe95be61256a5a54cad3eb0d1c



- 트로일러스(Troilus)를 살해하는 아킬레우스(에트루리아 암포라)



트로일러스는 트로이 전쟁에 등장하는 고대 신화의 인물이다.

"트로일러스"라는 이름은 트로이 자체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트로일러스는 암포라 도자기의 그림 등에서 인상적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고대 그리스에서 아킬레우스와 트로일러스 일화는 상당히 유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고대 그리스에서, 아마도 트로일러스는 트로이 전쟁의 중요한 인물 하나로 여겨졌을 것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트로일러스가 등장했던 작품들은 대부분 

고대에 이미 유실되었고, 부분적인 단편과 내용 소개만이 남겨져 있다.


그래서 현대에 트로일러스의 인지도는 불쌍할 정도로 낮아졌다.


트로일러스의 등장과 죽음은 트로이 전쟁을 중심으로 하는 작품군인

'서사시환'의 첫번째 작품인 키프리아(Cypria)에서 언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키프리아는 트로이 전쟁의 시작과, "전쟁 9년 차"인 

일리아드에 이르기 까지 여러 사건들을 언급하며,

트로일러스의 죽음 역시 그 가운데 하나이다.


고대의 단편적인 내용들과 요약을 결합하자면, 트로일러스의 이야기는 이러하다.


- 트로일러스는 트로이의 여왕 헤쿠바의 아들로서, 사춘기 소년 혹은 청소년이다.

너무나 아름다운 외모 때문에, 트로일러스는 아폴론의 아들로 간주되었다.


- "트로일러스가 어른이 될 때까지 살아남는다."면, 트로이는 함락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다.

그래서 아테네 여신은 아킬레우스에게 트로이 전쟁 초기에 트로일러스를 찾으라고 권유한다.


- 아테나의 조언을 듣고, 아킬레우스는 아폴로 신전이 있는 

트로이의 외곽 지역인 튐브라(Thymbra)의 우물에 가서,

트로일러스와 누이 폴릭세나(Polyxene)를 매복하였다.


- 아킬레우스는 "트로일러스"와 "폴릭세나"의 "아름다움"에 "욕정"을 느끼고,

트로일러스의 머리카락을 붙잡아 말에서 끌어내리려 한다.


- 트로일러스는 어떻게든 도망쳐서 아폴론 신전에 피신하지만,

아킬레우스는 결국 트로일러스를 제단에서 참수한다.


- 심지어 아킬레우스는 트로일러스의 시체 사지까지 절단하는데, 

이는 무고하게 희생된 자의 유령이 자신에게 복수하지 못하도록 하는 주술인 

마스칼리모스(Maschalismos)라는 고대 관습이다.


(※ 아가멤논 역시 마스칼리모스 방식으로 살해된다.)


- 이러한 신성 모독은 나중에 아폴론과 파리스가 

복수하는 아킬레우스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


- 트로일러스의 이야기는 일리아드에서도 언급 or 암시되고 있다.

이는 일리아드의 청중들에게, 트로일러스 이야기가 이미 익숙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 프리아모스가 자신의 죽은 자식들 가운데서,

"Trôïlon hippioccharmen(말을 좋아하는? 으로 해석됨)"를 언급하며,

아킬레우스의 별명으로서 "andros Paidophonoio(소년을 죽인 남자)"를 언급하고 있다.


- 트로일러스의 죽음은 트로이 전쟁 설화에서 매우 중요한 이벤트였던 것으로 보인다.





78ef8536fd9f19a566b6dab913c21b2e273ac69adc1a6174a04306b7242d4bbd868dac803b235a1bcf036f95186d


- BC 510년대 Euphronios의 작품

인물의 크기로 "어린이 살해자" 아킬레우스의 잔혹함을 강조하고 있다.



키프리아 이외에도 소포클레스 같은 작가들도 트로일러스를 제목으로 희곡을 썻으며,

기원전 6세기에서 4세기에 걸쳐서 제작된, 100여점 이상의 암포라 유물에서 

트로일러스 모티브의 그림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고대에는 

트로일러스의 이야기가 상당한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이 장면은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가 

프리아모스 왕을 살해하는 장면과 수미상관을 이룬다.


트로이 전쟁은 아버지(아킬레우스)가 아들(트로일러스)를 제단에서 죽이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아들(네오프톨레모스)가 아버지(프리아모스)를 제단에서 죽이는 장면으로 종결되는 것이다.


- 아킬레우스의 "욕정"이 암시하듯이, 트로일러스 이야기에는 성적 메타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설로는, 트로일러스와 폴릭세나 사이에 "근친상간"이 암시되고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아킬레우스와 트로일러스 사이에도 강렬한 성적인 암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중세 시기에는 프리지아인 다레스(Phrygian Dares)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트로이 몰락의 역사"라는 서적이 유행하였는데, (실제로는 AD 5세기의 작품)

이 서적에서는 트로일러스의 죽음이 헥토르의 죽음 이후로 미뤄지며,

트로일러스를 헥토르와 같은 용맹하고 훌륭한 "기사"로 묘사하고 있다.


중세 작품에서는 이를 모방하여, 트로일러스를 강력한 기사로 묘사한 경우가 많다.


초서의 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에서, 트로일러스는 크레시다와 사랑에 빠지지만,

크레시다는 디오메데스와 사랑에 빠지고, 트로일러스는 분노하여 복수를 시도하다 죽는다.


세익스피어 역시 이 줄거리로 희곡을 쓰기도 했는데, 이 작품은 일종의 풍자극이다.



- 그렇지만, 트로일러스는 근대와 20세기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작가들이 언급하거나 활용하지 않는 인물이 되었다.


몇몇 작품에서 고대 전통에서처럼 어린 소년 병사로 나와서,

아킬레우스에게 살해되는 묘사를 넣는 경우가 있는 정도.


아무래도 현대에 트로일러스를 다룬 고대 작품들이

제대로 남은게 없어서 일리아드나 오디세이아와는 달리,

"원작대로" 묘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워지게 된 데다가.


중세 전통에서처럼 "헥토르 다음가는 기사"로 하기에는 좀…

헥토르 만큼의 강자가 또 나온다는게 뭔가 질질 끄는 것 같을 거고.


세익스피어의 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도 

별로 많은 인기를 얻은 작품은 아니다보니.

이쪽도 약간 좀 별로 인기가 없는 것 같다.



- 게다가 약간 어린이 대상의 마일드한 작품에서는 이야기 시작하자마자 

아킬레우스가 어린애를 쳐죽이는 내용 (+성적인 암시) 을 넣는게

아무래도 좀 그랬던 것 같다.


얘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그리스 로마 신화의 개론서로서 접하는,

토마스 볼핀치의 신화에서도 언급이 전혀 없기도 하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2010 일반 중국 신해혁명~30년대가 진짜 중국사중에 제일 어려울듯 [7]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184 1
22009 일반 역사는 그림이다 ㅇㅇ(59.8) 23.09.13 37 0
22008 일반 남/북송의 지방별 세입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208 4
22006 일반 빌해 왕사 관련 위키보는데 겁나 참담하네 [5] 세갤러(61.74) 23.09.13 160 0
22004 일반 중국 시대별 인구밀도 ㅇㅇ(124.28) 23.09.13 94 1
22003 일반 해상보급 생각이 없는데 해안가에 알박기를 왜시킴? [32] ㅇㅇ(121.190) 23.09.13 240 6
22002 질문 찬드라 보스 논란이랑 반데라 논란이랑 비슷하다고 봐야함? [5] 돌로레스헤이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95 0
22001 일반 로마 정통겅도 있으니까 고구려 정통성도 굴리겠다 [2] 세갤러(61.74) 23.09.13 162 0
22000 일반 그 이순신 과대평가라는게 전공이 과장되었다 이거잖음? [29] 킹룡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393 4
21999 일반 어째서 이 갤은 대형떡밥이 삼국지,로마 정통성,임진왜란이냐 [4] 세갤러(61.74) 23.09.13 124 1
21998 일반 모리 데루모토가 포위망 뚫고 혼간지에 해상보급 했는데 [5] ㅇㅇ(14.43) 23.09.13 100 4
21997 일반 후손 주장하는 케이스들 중에 [6] ㅇㅇ(223.62) 23.09.13 116 0
21996 일반 명나라는 임진왜란에 안끼어드는게 이득이었을까 [3] ㅇㅇ(211.234) 23.09.13 118 0
21995 일반 여긴 뭔 일뽕밖에 없냐 [12] ㅇㅇ(14.56) 23.09.13 201 2
21994 일반 전국애들도 전투력은 강하지만 임진같은 미친 원정은 겅험이 적잖아 [1] 킹룡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103 0
21993 일반 한국과 조선이 연속성있음을 어떻게 보임 [11] ㅇㅇ(121.137) 23.09.13 178 0
21992 일반 임란 일본군 수송문제는 [1] 에오스-아우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116 2
21991 일반 송대 강남 인구가 화북 추월한건 개론서 수준인데 [2] ㅇㅇ(106.101) 23.09.13 115 0
21989 일반 천도교랑 대종교가 베트남의 까오다이교 급으로 [10]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146 0
21988 일반 명까지 친단 놈들이 해상보급을 생각 안했다고? [8] ㅇㅇ(59.16) 23.09.13 185 4
21987 일반 사학과는 귀납관련해서 안다룸? [7] ㅇㅇ(121.137) 23.09.13 101 0
21986 일반 중국 인구는 강남이 강북 딴지 100년 넘었다 [2] ㅇㅇ(121.169) 23.09.13 119 1
21985 일반 말이 강남과 강북이지 [3] ㅇㅇ(124.28) 23.09.13 121 1
21984 일반 이순신이 판도에 영향 끼치지 않은 게 맞음? ㅇㅇ(211.234) 23.09.13 100 2
21983 일반 아직도 이순신 보급차단 한거 아니라는 빡구들이 있네 [11] ㅇㅇ(118.176) 23.09.13 382 6
21982 질문 광해군 이놈 영창대군 왜 죽인거지 [8] MC재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414 0
21981 일반 내폰에 왜 아지노모도 짤이 있지 [2]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106 0
21980 일반 근데 쌀 인구부양력 좀 과대평가 된거 아니냐? [6] ㅇㅇ(210.120) 23.09.13 159 3
21979 대체역 카이저를 진짜 베르사유로 끌고와서 전범재판때렸다면? [1] ㅇㅇ(124.28) 23.09.13 65 0
21977 일반 은나라라고 하는사람들은 틀딱임? [3] ㅇㅇ(220.78) 23.09.13 107 0
21976 대체역 1차 대전 이후 프로이센을 독일에서 분리한 대체역사 [5] ㅁㄴㅇㄹ(125.138) 23.09.13 128 0
21975 일반 호엔슈타우펜 관련 볼만한거 있음? [1] sil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46 0
21971 일반 그래도 계몽주의자의 유교 해석 이건 좀 재밌는 관점인듯 [1] ㅇㅇ(124.28) 23.09.13 64 0
21969 일반 역사적 인물 과대평가 하니까 이순신이 생각나네(...) [38] ㅇㅇ(110.10) 23.09.13 634 16
21968 일반 갤 화력 올라간 이후로는 관리하기 되게 난감하네 [7] tidor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135 0
21967 일반 역사는 기록에 남은자가 승자인거지 [4] 에오스-아우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156 2
21966 일반 "1대전 직후 대영제국의 일본 평가" 출처 아시는분? [2] ㅇㅇ(110.10) 23.09.13 142 13
21965 일반 내려치기가 심하면 잘한걸 가져오면 됨 [17] chica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430 16
21964 일반 삼국지에서 제일 재밋는 당대평가 글을 보자 [12] chica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269 7
21962 일반 제갈량 평가의 변천사를 알아보자 ㅇㅇ(223.28) 23.09.13 113 2
21961 일반 글 리젠은 늘어났네 [2] ㅇㅇ(210.126) 23.09.13 72 0
21960 일반 포탈이 열려버렸어 [4] ㅇㅇ(39.7) 23.09.13 139 2
21959 일반 그래서 제갈량이 왜 당대부터 고평가 받았냐고 물으면 [71] ㅇㅇ(210.183) 23.09.13 389 8
21957 질문 한국 근현대사 해외 연구자로 "와다 하루키"가 있는 모양인데 [7] 쫄지마더민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2 155 1
21955 일반 정사를 읽고 제갈량빠 가스라이팅에서 빠져나온 이유 [37] chica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2 506 17
21954 정보 제갈량 평가 짤 리마스터 [5] ㅇㅇ(172.225) 23.09.12 515 16
21951 일반 환남사변한거 보면 중일전쟁 와중에도 국민당 공산당 [4]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2 82 0
21950 일반 일본 전국시대 역덕이 임란으로 그렇게 쉽게 유입되긴 어려운게 [6] ㅁㄴㅇㄹ(125.138) 23.09.12 192 6
21949 일반 정묘/병자호란은 조선의 외교정책이 원인이지? [13] ㅇㅇ(115.138) 23.09.12 222 0
21947 일반 일본에서 임진왜란만 인기없는것도 아니고 chica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2 9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