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전시/행사] 한국의 신발, 발과 신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9 17:24:07
조회 125 추천 0 댓글 0
														

25ec9e2cf5d518986abce8954183756f9cd1



기간

2024-05-14 ~ 2024-09-22


주관

국립대구박물관


장소

기획전시실


문의

053-****-6054~5


입장료

무료


관람방법

일반관람 ※사전 예약 없음, 단체 예약만 가능



발로부터 시작된 한국 전통 신발의 역사 전체를 조망하고, 동시에 신발이 가진 다양성과 문화사를 전시합니다.



‘패션의 완성은 신발’


사람은 대지를 딛고 일어서 신발을 신고 기후를 극복했습니다. 신발은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넘어 사회와 문화를 담고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신발’은 사람이 땅을 딛고 서거나, 걷고 뛰기 위해서 발에 신었던 물건을 통틀어 부르는 말입니다. 신발은‘신’과‘발’이 합쳐진 말로‘신다’라는 동사에서 나왔습니다. 신발은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었으며, 제작 방법도 다양했습니다.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는 신분에 따라 각기 다른 신발을 신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발을 보호하기 위한 신발은 점차 사회문화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 전시는 방대한 역사를 지니는 우리나라 신발과 복식 문화에 주목해 모두 7부로 구성했습니다.



제1부 발의 진화, 신발의 탄생


두 발로 선 인류의 진화 모습을 영상 및 이미지와 함께 구성하여 시작부터 몰입할 수 있게 꾸몄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발과 신발의 재료, 신발 제작과 관련된 공간을 연출했습니다.



제2부 짚과 풀을 엮어 만든 신발


삼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흔하게 신었던 짚신과 미투리를 살펴보았습니다. 짚으로 만든 짚신과 마로 만든 미투리는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를 엮은 것이다. 상주가 신었던 엄짚신이나 어린이 미투리,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담은 미투리 등 다양한 짚신과 미투리를 전시했습니다. 머리카락으로 엮어 만든 안동 원이엄마 미투리는 신발이 단순히 발을 보호하는 도구가 아닌 애절한 마음과 소망을 담은 물건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제3부 신분마다 달랐던 신발


신분제 사회에서 권력을 나타내기도 했던 신발 모습을 조망했습니다. 의례용 신발인 석舃은 왕의 구장복, 왕비의 적의와 함께 전시하였고, 신하의 신발인 발목 높은 가죽신 화靴는 남구만 초상(보물), 이하응 초상(보물)와 함께 구성하여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습니다. 화靴가 포함된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품(보물)은 보존 처리 이후 처음 일반에게 공개됩니다.   



제4부 기후와 신발


기후를 극복하였던 신발을 소개합니다. 비오는 날 신었던 삼국시대 나막신부터 조선시대 나막신, 기름먹인 가죽신인 징신, 눈오는 날 신는 설피와 둥구니신까지 함께 전시하였다. 돌이 많고 비가 많이 오는 제주도의 11자형 나막신을 신었습니다. 



제5부 패션의 완성, 신발


신발을 신고 패션을 완성하는 데 숨은 공신인 ‘버선’과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신발은 신었던 날인 혼롓날의 복식을 전시했습니다. 궁중 여인들의 화려한 활옷과 꽃신은 혼롓날 평민에게도 허용되었는데 이러한 관습을 섭성攝盛이라 했습니다.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완성하는 신발은 복식 문화의 화룡점정畵龍點睛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6부 죽은 이를 위한 신발


누군가의 죽음은 인류가 아주 오래전부터 겪어온 슬픔이었습니다. 


무덤에 넣은 부장품으로서의 신발의 의미와 죽은 이에 대한 추모, 내세관에 대해 살펴봅니다. 조선시대 장례용 신발인 습신과 삼국시대 금동신발, 고구려 무덤 벽화에 나온 신발을 소개하였습니다. 특히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시集安市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고구려 금동신발과 백제 무령왕비, 경주 식리총, 고창 봉덕리, 나주 정촌의 금동신발 등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금동신발을 선보인다. 금속 공예 기술의 정수와 함께 내세관을 엿볼 수 있습니다.



제7부 신발, 조선에서 현대까지


우리에게 신발이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는 자리입니다. 대구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이영희 기증품, 황해봉 장인(국가무형유산 화혜장), 안해표 장인(부산광역시 무형유산 화혜장)의 작품 등을 벽면 가득 전시하여 전통 신발 중 혜鞋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켜 연출했습니다. 그리고 20세기 초 새로운 소재와 함께 반세기 가까이 유행했던 추억의 고무신과 관련한 이야기도 전시했습니다. 또한 성철스님 고무신, 엄홍길 등산화, 서장훈 농구화 등 다양한 직업의 사람들이 신었던 신발을 조명하면서 직업과 기능에 따라 다른 오늘날의 신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습니다.



전시품



무령왕비 금동신발, 식리총 금동신발, 원이 엄마 한글 편지와 미투리, 영친왕비 청석, 안동 태사묘 복식 유물 일괄, 성철스님고무신 등 316건 531점



25ef9e24e8c218986abce8954486716b0288



1. 무령왕비 금동신발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25ee9e24e8c218986abce8954489776d55a2



2. 고창 봉덕리 금동신발

(국립전주박물관 소장)



25e99e24e8c218986abce8954584706e8f60



3. 경주 식리총 금동신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5e89e24e8c218986abce8954482766f5b2f



4.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안동 태사묘 관리위원회 소장)



25eb9e24e8c218986abce89544877465511c



5. 영친왕이 신은 목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25ea9e24e8c218986abce8954488766e9546



6.영친왕비 청석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25e59e24e8c218986abce8954789736c7fa2



7. 원이엄마 미투리와 한글편지

(안동대박물관 소장)



25e49e24e8c218986abce89547867d6f68a6



8. 서울 청진동 유적 출토 나막신

(한성백제박물관 소장)



25ec8068e7df288650bbd58b36837268959f00



9. 성철스님 고무신

(해인사 백련암 소장)



25ec8168e7df288650bbd58b3683716e07430c



10. 남녀 유별의 신 나막신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25ec8268e7df288650bbd58b36837169dda61f



11. 발목 낮은 가죽신 혜鞋

(국립고궁박물관, 단국대박물관 등 소장)



25ec8368e7df288650bbd58b3683716ff52efa



12. 고구려 금동신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5ec8468e7df288650bbd58b3683776e3b1ed1



13. 어린이용 미투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5ec8568e7df288650bbd58b3683716ae17803



14. 혼롓날 입는 활옷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5ec8668e7df288650bbd58b36837765d6118c



15. 신발 제작 도구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25ec8768e7df288650bbd58b36837468356ce4



16. 목동이 신은 가죽 발레

(제주대박물관 소장)



25ec8868e7df288650bbd58b36837364d23969



17. 짚신모양 토기

(국립김해박물관 소장)



25ec8968e7df288650bbd58b36837d6ac10007



18. 이하응 초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https://daegu.museum.go.kr/prog/speclDspy/01/kor/sub03_02_01/view.do?mngNo=133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9438 공지 규칙 & 신고 (24.5.23) [14]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23 182 0
26169 공지 역사 관련 링크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1 343 0
24682 공지 국내 논문 무료로 찾아보는 방법 [10]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5 796 17
29759 질문 금속 관련해서 궁금한거 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6 24 0
29758 일반 어느게 더 로마 도로같음? [2] HabsBurg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 34 0
29756 질문 근데 베트남도 상투 틀었음? [1]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4 47 0
29755 일반 일 칸국과 근대 이란 [2] 비기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5 70 0
29754 일반 타임머신타고 7세기 동로마로 가보고싶어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1 57 0
29753 질문 근데 불가리아는 1차 대전 동맹국들중 군주제에서 공화제로 안 바뀌었어? 플루토양(59.0) 14:31 60 0
29749 질문 원래 영친왕이 아니라 의친왕이 황태자로 책봉이였다고 하던데 사실임? [1]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1 47 0
29748 일반 왜 중유럽하면 상공업이 먼저 떠오름? [5] 가혜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3 76 0
29746 일반 바실리오스2세 사후 동롬이 레반트,이집트 먹을수 있다고들 하는데 [5] Conquer_yoursel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8 97 0
29744 질문 조르주의 '메소포타미아의 역사' 어떤가요? [5] ㅇㅇ(59.16) 03:06 96 0
29743 일반 구글 제국이 결국 천하통일에 성공하는구나... [4] Sp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80 0
29741 질문 사도세자가 영조 죽이면 [3] 위그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64 1
29740 일반 세붕이 세능검 1급 떳다 [1] 도쿄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82 3
29739 일반 고대시대에 세상의 중심이 지중해였자나 [2] ㅇㅇ(58.238) 06.09 133 0
29738 일반 who 위인전말고 논란될게 있나 [1] 가혜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77 0
29737 일반 그 알렉산더 보빈이 반도일본어설 얘기하면서 곁가지로 [1] ㅇㅇ(58.238) 06.09 127 0
29736 일반 동로마의 패망은 결국 내전때문임?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35 0
29735 질문 멸망 후에 고구려 유민들은 어디에서 살았음? [7] ㅇㅇ(223.39) 06.09 193 0
29734 일반 흔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에 중앙아시아 [5] ㅇㅇ(175.223) 06.09 168 0
29732 질문 울루스하고 칸국의 차이가 뭐임? [5] 초록불꽃소년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42 1
29731 정보 조공에 대한 실상을 이해 못한 애들이 많은 거 같은데 [5] 라돔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255 2
29729 질문 진시황은 고조선에 대한 언급을 한적이 있음? [8] ㅇㅇ(223.39) 06.09 173 0
29728 질문 고구려 라는 정체성은 남북국 시대에도 유지됐나? [1] ㅇㅇ(39.124) 06.09 120 0
29726 일반 본인 친구 대화 ㅁㅌㅊ ㅇㅇ(211.235) 06.08 111 0
29724 일반 챗gpt가 예상한 7년 전쟁에 투입된 군비를 공업도시 건설에 투자시 효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75 1
29723 질문 대학 입시때문에 세계사 하는 중인데 [10] ㅇㅇ(223.38) 06.08 175 0
29722 질문 이란 국호의 유래가 몽골임? [10] ㅇㅇ(183.102) 06.08 266 0
29721 일반 체르노빌 원전사고 낙진 영향 [1] Sp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72 0
29720 질문 조선군 군사수가 적은 이유가 쿠데타가 두려워서임? [13]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01 0
29719 질문 옛날같은 위인전이 요즘도 나와? [20] tidor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90 0
29718 일반 위지 동이전에 임나일본부얘기가 있었응?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29 0
29717 질문 만주땅 되찾을 마지막 시기가 고려 초중반임? [3]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19 0
29716 일반 갈리아 해병 원정기 [3] ㅇㅇ(220.124) 06.08 178 7
29714 일반 위대한 학자 옆엔 위대한 조교가 있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94 0
29713 질문 펠리페 2세 / 루이 14세에 대해 알아보고싶은데 ㅇㅇ(58.124) 06.07 44 0
29712 일반 근데 오스만은 운이 아주 좋았네? [3]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61 0
29711 일반 토마스 페인 이 사람 왜 역사 시가에 안나오냐? ㅇㅇ(210.217) 06.07 47 0
29710 일반 6세기 중반 신라 고분인데 돌무지덧널무덤? [4] MC재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66 5
29709 일반 역사학자 구사 외국어 [1] 레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83 0
29706 질문 옐친이 우크라 유혈진압 선택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50 0
29705 일반 2차대전 폴란드 관련해서 아직도 이걸 믿는 놈이 있구나 [8] ㅇㅇ(175.213) 06.07 172 1
29704 사진 원 왕조 초대 황제 [3] 아시아흑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215 0
29703 일반 아랍세계 신라얘기 고트가 쿠쉬나메아니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44 0
29702 일반 지팡구 황금의 나라는 바실라를 착각한거인듯 [8] ㅇㅇ(110.70) 06.06 230 3
29701 질문 영조가 사도세자 얼마나 갈군거임? [3] ㄱ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41 0
29700 일반 미국 공직문화는 어떤느낌임? 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54 0
29699 일반 메스가키 알렉시아드 [5] ㅇㅇ(220.124) 06.06 203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