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개발일지]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8 스키티아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1.30 10:07:23
조회 208 추천 2 댓글 0
														

[시리즈] 임페라토르 인빅투스 개발일지
· 임페라토르 인빅투스 개발일지 번역 모음


오늘 우리는 지난 개발일지에 이어 스키티아에 대한 몇 가지 추가 사항과 미션 트리에 대해 다룰 거임



보물



새롭게 추가된 이 4개의 보물들은 헤로도토스의 애독자라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을 거임


헤로도토스를 비롯한 고대의 작가들은 여러가지 버전의 스키타이 건국 신화를 기록하였는데

이러한 신화들이 예로부터 구전된 내용인지, 아니면 통치 계급이 자신들의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든 프로파간다인지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많음

(이야기가 하나로 통일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버전이 있다는 것은 누군가가 꾸며낸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어쨌든 헤로도토스는 스키타이족이 전하는 스키타이 건국 신화와 흑해 그리스인들이 전하는 스키타이 건국 신화가 서로 다르다고 언급했음


스키타이족의 스키타이 건국 신화에서, 어느 날 황금 물건 4개가 하늘에서 떨어졌고, 타르기타오스의 세 아들들 중 막대 콜락사이스만이 불에 타지 않고 황금 물건을 만질 수 있었음

그리하여 특별함을 인정받은 콜락사이스가 아버지의 후계자로 선포되었고, 그의 후손들이 바로 다른 스키타이족들 위에 군림했던 왕족 스키타이(Royal Scythians)라고 함

(역주: 자세한 내용은 헤로도토스의 역사 4권 5~9를 보시오)



황금 멍에: 현지 POP 성장 +0.1%


황금 쟁기: 현지 식량 생산 +20%


황금 잔: 국가 행복도 +2%


황금 전투용 도끼: 국가 인력 +5%



이 보물들은 게임 시작부터 사용할 수 없으며 직접 만들거나 찾아내야 함

4개를 전부 모은 플레이어를 위한 혜택도 준비하고 있음



그리스인들에 대한 우리의 태도



헬레니즘 시대의 스키타이족은 다른 유목 부족들의 공격으로 인해 대초원의 중심부에서 더 멀리 떨어진 흑해 북쪽의 해안 지대로 이주하였고

이로 인해 흑해 주변의 이웃 그리스인, 아나톨리아 원주민, 바스타르나이족, 다키아인, 콜키스인 등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음


이러한 외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유목적 생활 방식이 좀 더 정주적으로 변하기는 했지만, 군대는 예전 방식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주변 국가들에 비해 궁기병의 비율이 훨씬 높았음

기원전 304년 이후 스키타이족 용병들은 디아도코이 전쟁과 미트리다테스 전쟁에서 고용되기도 했음



이러한 스키타이족과 헬레니즘 세계의 관계를 기반으로 이 미션 트리를 만들었음

스키타이족이 더 많은 그리스 문화를 수용했다면? 아니면 그리스인들을 적대하고 원래의 방식으로 돌아갔다면?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73d501d03bf2810391e22cd6



스키티아의 첫 번째 미션에서 플레이어는 반유목적인 부족민들을 위해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함

헬레니즘화를 받아들여야 하나 아니면 거부해야 하나?


훈족이나 몽골처럼 위대한 유목 제국이 된다는 컨셉을 잡을 수도 있고

그리스-스키타이 국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는 컨셉을 잡을 수도 있음


우리는 플레이어가 다양한 컨셉을 잡고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미션 트리를 만들었음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248e0b94641a8844baf2a4b3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70d0500b36af4400b5586df6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728e5005d71c42c1bde78f71



여기에서 전체 미션 트리를 볼 수 있음


오른쪽은 증가하는 그리스 문화의 영향력에 대해 다루는 핵심 미션들이고

왼쪽은 무역 경제와 군사력 강화를 위한 선택 미션들임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708452bbf40ab9ac39ce7ee4



미션 트리의 초반부에서 그리스 세계와 그리스의 관습에 대해 스키타이족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하는 이벤트가 많을 거임


모든 선택지에는 보상과 결과가 있으며 다음 미션들을 진행할 방향을 제시하게 됨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77d256aa536b1b243b7878bb



우리는 "이거 건설해라", "여기 정복해라"같은 단순한 미션들과는 다른 독특한 미션을 만들게 되어 기쁘며, '잊혀진 헬라스의 자손들' 미션이 그 예시임


이 미션 트리의 미션들은 이벤트 체인을 통한 수많은 선택지와 적잖은 컨텐츠를 제공함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78860182dcfd789cd1fb64c8



이 스크린샷에서처럼 중앙집권화 안건을 통해 천천히 법률을 바꿀 때 플레이어들이 재미를 느끼기를 바람


하지만 이러한 미션들이 재미있다고 해서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됨


특정 선택지는 국내외의 적들을 분노케 하거나, 관리들이 뇌물을 먹게 하거나, 이방인들이 내부 사정에 간섭하게 만들 수도 있음

플레이어의 통치자도 이러한 선택지에서 결코 안전하지 못함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77d300c2a1d8fc03a6482015



헬레니즘화 루트에서 플레이어는 그리스인 전문가들을 데려오고,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 그리스 식민지, 디아도코이, 본토 그리스인들과의 관계를 강화시키게 됨


마지막 미션에서는 그리스의 신들을 수용하고 정주 생활과 무역에 더 적합한 새로운 유산을 받음

이때 정부 체제도 부족에서 군주제로 바뀜(공화제로 바꾸는 선택지도 생각하고 있음)



헬레니즘화된 바르바로이의 유산:


수출 가치 +15%

POP 동화 속도 +10%

통합되지 않은 같은 문화권 행복도 -6%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2485077080d30273a8439899



이렇게 스키타이족은 서로 복잡하게 연결된 헬라스 세계의 일부가 되었음



(역주: 헬레니즘화 루트가 비현실적이라고 느낄 수도 있는데, 실제 역사에서는 이게 진짜로 일어날 뻔 했었다

그리스 문화에 심취했던 스키타이족의 왕 스킬레스(Scyles)가 그 주인공인데 자세한 것은 헤로도토스의 역사 4권 78~80을 보시오)


viewimage.php?id=24b0c023f7d32ca97cee87&no=24b0d769e1d32ca73cea85fa1bd8233c5811f523f189ad22b6a61b1b0843ddca2c36ae36d7b4764bd4056e84606571b0297cc0e67eba7445b5d70c500476800547b0d4861b519dbe6b



이와는 정반대로 전통주의 루트에서 플레이어는 다른 유목민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이웃 그리스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확장하고, 전통 종교를 더욱 조직적으로 만들게 됨


이 과정이 끝나면 스키티아는 타우리스 지역의 주도적인 군사 강국이 되어, 정복을 통해 적들의 기술과 부를 모두 약탈하게 되고, 새로운 유목민 부족 정부 체제를 받음



우리는 이 새로운 유목민 정부를 공개할 준비가 되지 않았음

대초원 부족들을 위한 특화된 정부로 만들 것인가, 아니면 장차 모든 부족 국가들이 사용 가능하게 만들 것인가를 정하지 못했음


일단 유목민 정부는 4개의 아이디어 칸을 가지게 될 것이며, 용병도 많이 고용할 수 있을 거임

부족 국가들이 게임 후반부에 문명 국가들에 비해 뒤쳐진다는 느낌이 들지 않게끔 만들고 싶음


역사가 보여주듯이 부족 국가들의 군대는 로마 군단과 파르티아 기병대의 전술을 배우거나, 이에 맞설 새로운 전술을 개발하기도 했음



우리가 이 미션 트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포인트들 중 하나는 외교가 강조되었다는 거임

플레이어는 미션 트리의 특정 미션과 이벤트에서 새로운 동맹이나 속국을 얻을 수 있음


잠재적인 동맹들을 설득하기 위해 골드, 인력, 정치적 영향력을 제공하거나,

그들의 명분을 승인하거나 우리의 명분을 포기할 수도 있고,

노예 POP를 팔아먹을 수도 있음



이외에도 스키티아를 위한 더 많은 컨텐츠가 있지만 더 공개하지는 않을 거임



아나톨리아 유산



인빅투스 모드는 자체적인 구상과 다른 모드의 병합을 통해 여러 국가들에 고유한 유산을 제공해왔음


패러독스가 바닐라에서 아나톨리아 남부에 여러 소국들을 많이도 추가했기 때문에

이 지역 국가들을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새로운 유산을 추가해야겠다고 생각했음



트라페주스의 유산


국가 수입 가치: +10%

통합되지 않은 같은 문화권 행복도: +6%

국가 인력: -5%


A Sinopian colony founded around 756BCE by Milesian traders, Trapezous was a cultural melting pot, originally home to several caucasian tribes, and was a trade gateway from the Pontos Euxinos into the Achaemenid Empire and the east at large. Fighting his way out of Anatolia, Xenophon recorded in his Anabasis that he and his 10,000 mercenaries got “provisions in Trapezus by purchase, for the Trapezuntians provided us a market, and in return for the honours they bestowed upon us and the gifts of hospitality they gave the army, we paid them like honours; if any of the barbarians were their friends, we kept our hands off them, while upon their enemies, against whom they would themselves lead us, we wrought all the harm we could” (5.5.14).



케라수스의 유산


국가 수출 가치: +10%

국가 식량 생산: +5%

월간 통치자 건강: -0.05%


Possibly coming from the Greek: κερασός “cherry,” Pliny the Elder writes that the first cherry was exported from this colony town to Europe in Roman times by means of Sulla’s close friend Lucius Lucullus. Settled in the 6th century BCE by Sinopian colonists, this port town was also famously visited by Xenophon, as recorded in his Anabasis (Book 5).



코티오라의 유산


요새 주둔군: +10%

주군에 대한 충성도: -30

외교 관계: -2


A colony founded by Milesians from Sinope, this town was a resting point for Xenophon and his 10,000 mercenaries, who rested there for 45 days. Speaking to Sinopian diplomats about the native Kotyorites in his Anabasis, he writes: “they did not behave toward us as friends, but shut their gates and would neither admit us within nor send a market without; and they alleged that the governor set over them by you was responsible for this conduct” (5.5.19).



아미소스의 유산


월간 통치자 위신: +0.3

인물 충성도: +5

요새 유지비: +10%


Established by Ionian Milesians between 760 and 750BCE, this town is notable for two things: the early wild goat style pottery found in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the fact that the area is, according to the Greek historian Hecataeus, the site of the previously known Enete - home of the paphlagonian Enetoi who’s king Plyaemenes was an ally of the Trojans in the fabled war.



아우톨리코스의 유산


수출 가치: +15%

월간 공격적 확장: -0.1

통합되지 않은 같은 문화권 행복도: -6%


Namesake of the red earth pigment ‘sinopia,’ the colony of Sinope traces its lineage to both Miletian colonists and the legendary Autolycus, grandfather of both Jason of the Argonauts and the wandering Odysseus.



필라이메네스의 유산


문화권 행복도: +6%

육군 규율: +5%

인물 충성도: -3


One of the oldest tribes in Anatolia and established in myth as having been strong allies of the Trojan defenders in the 10-year war, the paphlagonians were in those ancient times ruled by the king Pylaemenes - may of his successors have payed tribute to his revered reign and legacy by taking on his name as their own, wearing the title: “Pylaemenes”. This tribe would soon spawn the line of Mithridates following the fall of Alexander’s Empire, one of the staunchest thorns in the Roman Republic’s side.



카우코네스의 유산


육군 이동 속도: +5%

육군 소모: -0.1

장군 충성도: -5


It is hard to say where the Kaukones came from, or where they went. Some, like Homer, consider them an autochthonous group in Anatolia, while others consider the name to be referring to a Greek tribe, or a tribe having moved into Greece. For all intent and purposes, the Iliadic reference to Kaukones is used, and so they can say they were part of the great Trojan War - huzzah!



필레타이로스의 유산


월간 군사 경험치: +0.05

군사 기술 발전 속도: +7.5%

건설 시간: +5%


The colony of Tieion, founded in the 7th century BCE, was the birthplace of Philetaerus and Pergamon’s royal dynasty. A eunuch all his life (a crowd supposedly crushed his genitals), he served under Antigonos, Lysimachus, and Seleucus during the Diadochi Wars before finding independence in Pergamon and establishing the reign of the Attalid dynasty.



마리안디노스의 유산


국가 인력: +5%

국가 노예 산출량: +10%

국가 노예 행복도: -10%


A tribe sometimes described akin to the neighboring Bithyni, and sometimes described akin to the Paphlagonians, the Mariandyni have lived in forced servitude of several peoples, including those living in Heraclea Pontica. But all of these can trace their lineage back to Aeolian Mariandynus and his grandson of the same name - the composer of mourning songs.



솔직히 개발일지에서 보여 주기에는 너무 많은 양이긴 하지만, 거의 모든 아나톨리아 국가들이 고유한 유산을 얻었다는 것에 집중해야 함




-끝-




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threads/mod-imperator-invictus.1473328/page-21#post-27788444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2866 AD 세상의 패권을 거머쥘 자, 로드나인 사전등록 중 운영자 24/06/05 - -
1340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2.0.4 아우구스투스 패치 노트 [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204 5
1279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7 나바테아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99 2
127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6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02 6
1274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5 일리리아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72 1
1269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4 조지아/메디아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61 1
1263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3 마우레타니아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88 2
1261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2 페르시아/버마 [3]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25 3
1258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1 메디아/사마리아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105 2
125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0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83 3
1250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9 소그디아/샹슝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72 3
1249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8 코르키라/크레타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89 1
1248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7 사르데냐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71 1
124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6 타림 분지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81 2
1243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5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96 3
124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4 발레아레스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102 1
998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3 누미디아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3 167 1
996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2 갈리아II [3]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22 269 2
990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4 248 1
987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0 악숨 [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4 184 1
98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9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2 186 1
98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8 동아프리카II [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188 1
973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7 동아프리카 [3]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9 169 2
96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6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28 187 2
959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5 비티니아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26 235 1
957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4 우크라이나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26 352 3
95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3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22 203 1
953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2 [3]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22 838 1
951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1 갈리아 [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20 241 1
947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0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19 120 1
94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9 테베/아르고스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15 132 2
941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8 갈라티아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15 189 1
933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7 (1.3)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09 178 1
93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6 마우레타니아/카르타고III [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07 243 1
928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5 페잔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05 143 1
924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4 로도스/대초원 침공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03 261 2
923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3 카르타고II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02 219 2
91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2 인도III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268 1
91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4 194 1
910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0 스키티아I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2 201 2
908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9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152 1
90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8 마우리아 붕괴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8 246 1
90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7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6 139 1
901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6 (1.1)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4 164 1
900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5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4 332 1
899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4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0 269 1
898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3 아라비아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8 219 2
896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2 페잔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344 2
89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1 인도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4 187 1
894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0 게르마니아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208 2
891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9 쿠시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186 1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8 스키티아II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208 2
887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7 인도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9 320 2
886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6 쿠시 [3]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8 235 2
88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5 키레나이카III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223 1
881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4 게르마니아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203 2
880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3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177 2
879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2 스키티아/사르데냐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5 211 2
875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1 키레나이카II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4 266 6
874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0 키레나이카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3 209 2
87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9 유대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2 210 2
870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8 피로스 전쟁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2 187 2
867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7 이베리아II [2] 임페라토르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1 264 1
723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6 이베리아 임롬미니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559 7
72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5 흑해 임롬미니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9 343 2
714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4 갈라티아 침공 임롬미니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4 350 2
713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3 마케도니아 임롬미니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4 308 1
712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2 카르타고 임롬미니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4 265 1
710 개발일 임롬 인빅투스 개발일지 -1 임롬미니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4 444 2
436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2주년 개발일지 [4] MC재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6 313 1
127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2월 8일 개발일지 [3]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8 250 2
104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1월 25일 개발일지 [2]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6 209 2
93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개발일지 - 디아도코이 제국 미션 트리 [2]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18 249 3
87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개발일지 - 마케도니아 미션 트리 [6]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11 552 5
41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개발일지 - 안티고노스 미션 트리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189 0
40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개발일지 - 트라키아 미션 트리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133 0
39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개발일지 - 이집트 미션 트리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130 0
38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개발일지 - 셀레우코스 미션 트리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131 0
37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11월 16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123 0
36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11월 9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121 0
35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11월 2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81 0
34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10월 26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89 0
33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10월 19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85 0
32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10월 12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86 0
31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10월 5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76 0
30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9월 28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86 0
29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9월 21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88 0
28 개발일 임페라토르 롬 9월 14일 개발일지 노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6 111 0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