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장문!) 잊지말아줘님에게

ateli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2.09 13:05:06
조회 3063 추천 14 댓글 29
														

시작에 앞서...

Cumulative Spectral Decay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겠습니다. Cumulative Spectral Decaywater fall, CSD로 불리는 차트입니다. 말씀하신것과 같이 dscay를 시각화 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공진점역시 파악 가능한 그래프입니다. 그렇다면, 이어폰으로 비교해 보도록 합시다.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56f02b36c8b070d62d68949aec8708eda60b3a42e5dedee546355c90020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56f02b36c8b070d62d68949aec801d49b29a857cdd1fb962856e12a062850ccf8

왼쪽은 씨오디오의 유메 CSD 차트, 오른쪽은 fr 그래프입니다. 그럼 여기서 CSD에 대한 해석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먼저 저음 200~3Khz까지 거대한 덩어리가 보입니다. 이는 저음의 배음양과 adsr의 관계를 표현합니다. 즉 저음부분에 부풀어있는 부드러운 소리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후에 5Khz의 강조로 보컬 부분이 앞으로 튀어나온걸 알 수 있고, 8~9Khz의 높은 피크는 일반적으로 이도 공진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 그 사이에 보면 들어가있는 영역을 확인 가능한데 이 부분이 바로 공진점입니다. 이 부분이 바로 fr 그래프 상 시각적으로 딥과 피크로 표현되는 영역입니다. 그렇다면 다시 fr을 봐봅시다. 5Khz 영역이 보컬이 앞으로 튀어나온다고 느끼는 것에 반해 fr상에는 오히려 살작 들어가 있는 모습을 취하고 있습니다.


7af3c028e2f206a26d81f6e44781706db4


75f3c028e2f206a26d81f6e043847269

외신의 이어폰 평가입니다. 물론 SCD 역시 모든 것을 표현해 주는건 아니기에 다음의 그래프로만 판단하긴 어려움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역의 배음과 일정수준에서 마스킹 없이 줄어드는 저역과 보컬의 우수한 평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대략적인 해석 방식과 차트의 계형을 알았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56f02b36c8b070d62d6844bafc8708eda60fe8b459a446c2f897a9d2d0e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56f02b36c8b070d62d6844bafc801d49b2948090e43ce58afbc8decfcac1132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56f02b36c8b070d62d6844bafc801d498298d2446ef9b8edc89687d7533d0e396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56f02b36c8b070d62d6844bafc801d499291196fca273e42e59544bfdb92a3e17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56f02b36c8b070d62d6844bafc801d49e29d12387f3d82c69ea4033d9e848de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56f02b36c8b070d62d6844bafc801d49f298c8f33f1fe089e7a9ea7cd5aa893

흔히 말하는 fr플랫해 보이는 Cumulative Spectral Decay를 인터넷에서 찾아왔습니다. 덩어리들의 맨 뒷부분이 fr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면 fr상 거의 유사한 계형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CSD의 형태는 어떤가요? 정말 위의 6개의 CSD의 배음 그리고 decay들이 같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예를 들어 1번과 3번의 형태는 fr상에서 유사도를 띕니다. 그러나 저역의 배음에서 1번이 크게 앞서며 3번은 중음까지의 마스킹이 생길정도로 중음 부분으로 치우친 형상인걸 알 수 있습니다. 6번과 1번을 비교한다면 같은 부분은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형태상 차이점이 있습니다. 둘다 fr상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앞서 말씀하신것처럼 adsr이 그래프의 계형에 크게 관여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decay와 당연히 연관 관계가 있고, 그 모습은 차트상에서 크게 두드러집니다. 그러나 딥과 피크로 알 수 있는건 공진점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공진(resonance): 어떤 물체가 외부로부터 자신의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힘을 받을 경우에, 그 진동이 증폭되는 현상으로 '공명(共鳴, Resonance)' 현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삼성 디스플레이 뉴스룸에서 한 정의입니다. 즉 특정한 고유 진동수가 합처지거나 감쇠되어 그 형태가 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흔히 말하는 푸리에 변환으로 써 증명 가능합니다.


74f3c028e2f206a26d81f6e741867d69

푸리에 변환은 간단히 설명하면 모든 주기함수는 선형 결합의 형태로 써 표현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이제 공진점에 대한 감이 오시나요? 맞습니다. 특정 부분이 상쇄되거나(노이즈 켄슬링의 기초 원리와 비슷합니다.) 증폭됨으로 써 딥과 피크의 계형을 fr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fr상에 adsrdecay와 같은 요소가 관여하는 방식입니다.

 

즉 주파수 그래프만 봐서는 소리를 가늠하기 힘듭니다. 잔향, 공진, 드라이버, 이도특성, 여러가지 고려해야 대략적인 특성을 예측 가능합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RAW 데이터 등 데이터상 표현되는 값들은 fr 하나로 말하기 힘들만큼 정말 많습니다.

 

 

그럼 이제 DAC를 찾아볼까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의 약자로, 단어의 뜻 그대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그렇다면 이 DAC는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할까요? 사실 하나로 정의하기 힘듭니다. 흔히 쓰는 델타 시그마 방식과 R2R을 예시로 들어 알아봅시다.


7cef9e36ebd518986abce8954482746e07


7cee9e36ebd518986abce8954481776a66

1번은 ifizen DAC 시그니쳐 v2입니다. 그리고 오른쪽은 R2R dacfr 그래프죠. 어라? 그래프의 계형은 같은 수준입니다! 그런데 소리가 다르죠. 왜냐, 너무나도 많은 변수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먼저 말씀드리고자 하는건 기초적인 측정치입니다. SNR은 시그널 노이즈 레이트로 입자감에, THD는 토탈하모닉디스토션으로 저음 재생 능력과 배음 표현에, 임피던스 매칭은 저항 볼륨 저역양감에 관여합니다. 이 이야기를 왜 하냐? 생각보다 고려할 변수가 정말 많습니다. THD0.002인지 0.1인지 구분을 못할 수 있죠~ 근데 진공관이 왜 우수한 평가를 받는지 알고 있으신가요? 맞습니다. 배음도 종류가 있거든요. 진공관은 증폭을 하는 과정에서 2차배음이 발생합니다. 2차 배음이란 입력된 신호에 2의 배수에 해당하는 신호가 추가로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영어로 Second Harmonic Distortion입니다. 이름만으로 보아도 디스토션입니다. 디스토션이란 왜곡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왜곡이 발생하면 나빠져야 하는데 왜 소리가 좋아질까요. 이유는 이 배음이 일종의 화음에 속합니다. 이러한 배음을 자연스럽게 추가한다면 조금 값싼 악기로 연주한 연주라도 배음이 추가되어 더 울림이 자연스러운 소리로 들려주게 됩니다.


7ce99e36ebd518986abce89544857469fc


7ce89e36ebd518986abce8954783756d50

이 아웃풋 임피던스는 댐핑팩터에도 관여합니다. Z load'부하 임피던스'를 의미하며 우리가 쉽게 말하는 이어/헤드폰에 표기되어 있는 '인풋 임피던 (Input Impedance)'를 의미합니다. Z source는 지금까지 위에서 설명드렸던 소스 기기들 (Amp/DAC/DAP)에 걸려있는 '아웃풋 임피던스 (= 출력 임피던스, Output Impedance)'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DF의 측정치가 높으면 높을수로 더욱 타이트한 저음(베이스)을 가지는 소리적 특성을 갖게 되고, DF의 측정치가 낮으면 낮을수로 더욱 중후하게 울려퍼지는 저음을 갖는 소리적 특성을 가진다고 합니다. 즉 댐핑 팩터와 아웃풋 임피던스는 그 값에 따라, 사용하는 기기에 따라 다른 소리를 출력합니다.

 

물론 여기까지 따라온다고 해도 이 모든 요소들이 매우 미미해서 청감상 표현이 불가능하다 주장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디지털 필터와 딜레이, 롤오프 상수등은 어떨까요?

https://addictedtoaudio.com.au/blogs/how-to/how-to-pick-the-best-filter-setting-for-your-dac

(정리하려다가 진짜 너무 힘들어서 글로 남기겠습니다...ㅈㅅㅈㅅ)

아무튼 저 글을 보면 알 수 있는게 뭐냐~ 바로 차이가 없는 수준의 fr 변화가 실제론 얼마나 큰 차이를 그래프상 보이는지입니다.

https://m.blog.naver.com/ferrari006/220209573950

롤오프는 정현파의 기울기를 의미하며, 보내는 속도 마져도 사각파냐 지터를 인위적으로 넣은 사각파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디지털 필터는 fr상 보이지 않으나 청각상 차이를 매우 크게 만드는 요소로 써 작용합니다. 특히 pcm 방식으로 전송할 때 그렇게 됩니다. 심지어 다음의 상황도 퓨어 사인파를 기준으로 가정해서 설명하는 겁니다. 그러나 우리가 듣는 음악이 퓨어사인파로 나오는건 아니죠. 푸리에 변환에 의해 수많은 주기함수가 결합된 형태라는걸 우린 알 수 있습니다. PCM전송인지 DSD전송인지, 오버샘플링을 해서 출력하는지 업스케일러를 쓰는지 변수가 많습니다. 이런 다양한 근거와 사실들을 종합해 본다면 답은 간단하게 나올것이라 생각합니다.

 

FR이 전부가 아니다. 제가 하고싶은 말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비추천

14

고정닉 4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질문하기 전에 읽는 이헤갤 공지. [427] `EArt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27 531115 255
3355166 윤석열 개좆같네 진짜 [19] 해륙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6 2457 23
3351942 버즈빨고 톤프리 까는 삼엽 kt통피 있네 ㅋㅋ [14] ducks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615 10
3349493 재미로 써보는 반년 사이에 나온 무선이어폰 리뷰 [11] 이갤러(139.162) 03.10 7022 12
3345520 2024년 갑진년 [4] ㅇㅇ(211.234) 02.02 4508 28
3344006 근데 유명 it유튜버들 지독하네 ㅋㅋㅋ [28] 콩나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13411 37
3342936 노캔은 걍 에어팟프로2가 답이다 [41] 이갤러(175.223) 01.14 9769 34
3342732 다른 분야는 몰라도 내구도에서 일제가 우수함 [16] ㅇㅇ(223.38) 01.12 6282 40
3341917 청음 거지 너무 싫다 [12] ㅇㅇ(118.235) 01.07 6849 34
3339690 소니 as ㄹㅇ 레전드네 [30] 이갤러(175.118) 23.12.18 6475 78
(장문!) 잊지말아줘님에게 [29] ateli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9 3063 14
3338222 제미니2 구입함.....jpg [10] 이갤러(61.43) 23.12.04 1639 6
3336671 4년 전 오늘 [4] ㅇㅇ(223.62) 23.11.21 4439 29
3334422 dk예전 영상을 보고 오디오 환상이 깨짐 [17] ㅇㅇ(185.80) 23.11.03 7756 65
3333653 중국산 이어폰 왜 삼?? [18] 이갤러(39.7) 23.10.29 8784 59
3332229 xm5 qc울트라 비교 (헤드폰) [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9 17282 28
3331594 N5005가 다 처바르더라(청음 후기) [34] 이갤러(222.108) 23.10.14 11736 41
3330963 헤갤 씨발 진짜 육수새끼들 드글거리네 [21] ㅇㅇ(1.216) 23.10.06 8285 80
3330897 제품 브랜드 질문 [3] ㅇㅇ(211.234) 23.10.05 4903 27
3330824 제품 추천 질문 [9] ㅇㅇ(223.38) 23.10.04 5577 18
3330138 이 갤러리가 일제 헤드폰을 선호하는 듯한데 [14] ㅇㅇ(223.38) 23.09.25 9039 40
3328955 코드리스 6년차가 말해주는 지금까지 써온 코드리스들 감상평 [25] 수탉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3 16640 49
3328873 포칼은 사지마라. [20] 이갤러(59.8) 23.09.12 5707 54
3328864 여자애들 (울누나랑 여동생포함) 존나 멍청함 [42] ㅇㅇ(223.62) 23.09.12 9732 123
3328220 wf 1000xm5 사지마라 [29] 이갤러(112.164) 23.09.06 17930 48
3328121 Ie300샀는데 개구린데? [6] ㅇㅇ(106.101) 23.09.05 3701 13
3327702 옆동네 완장중독자 근황.jpg [8] ㅇㅇ(117.111) 23.09.01 7112 63
3326618 "다리 부러졌는데 걸어도 되나요?" [10] 이갤러(175.223) 23.08.22 8632 107
3326499 헤마갤에서 떠오르는 라이징 스타 top 3 [7] ㅇㅇ(223.39) 23.08.21 3319 16
3326156 씨발 이어폰 씹창내놓고 배상은 안되겠단다ㅋㅋㅋㅋ [20] 이갤러(175.213) 23.08.18 7560 20
3325519 우수한 일제 헤드폰의 [4] ㅇㅇ(211.234) 23.08.13 5984 25
3324131 아래 ex vs xm5 고민하는 게이야 알려줌 [17] ㅇㅇ(106.101) 23.08.02 6420 17
3323775 최준서야 현실에서 벌벌 긴 인터넷 여포는 너잖아 [7] ㅇㅇ(223.62) 23.07.31 1725 42
3323517 wf-1000xm5 불량 의심 증상 정리 [21] ㅇㅇ(59.26) 23.07.31 7145 26
3323321 xm5 딱 비교해준다 [22] +++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30 11291 17
3322002 헤갤 유선의 XX 박제 [10] ㅇㅇ(106.150) 23.07.22 2792 44
3321999 헤드폰 갤러리 《그 완장》 최신ver [8] ㅇㅇ(39.117) 23.07.22 4401 37
3321751 소니 wf-1000xm5 가격 예상 [19] ㅇㅇ(116.125) 23.07.19 6445 21
3320934 헤마갤 좆같은점 [11] ㅇㅇ(86.48) 23.07.11 2764 32
3320891 그냥 무선이어폰 뭐살지 고민하는게 병신같음 [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1 8282 21
3320798 "그 완장" 마녀사냥하고 또 한명 몰아가는거 레전드ㅋㅋㅋ [8] ㅇㅇ(39.115) 23.07.09 1338 34
3319875 LG 이새끼들은 톤프리 팔 생각없는게 맞는듯... [16] ㅇㅇ(39.7) 23.06.28 6069 53
3319236 Dac사지 말라면 사지마 [31] ㅇㅇ(1.233) 23.06.21 15981 41
3318595 2023년에 이어폰 모으는 새끼는 바보 병신새끼들이다. [37] ㅇㅇ(1.233) 23.06.14 11959 193
3317567 dac dap 미신이라는놈들 [24] ㅇㅇ(112.160) 23.06.02 6082 37
3316909 헤마갤 관리 현실 [8] 전기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25 4385 48
3316683 헤마갤 썩을대로 썩었네 [6] 노무현대통령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23 3498 25
3315667 헤마갤 파딱을 유언비어로 모함한다? 팩트로 지적하는겁니다 [12] ㅇㅇ(223.62) 23.05.14 1145 40
3315428 헤마갤 수준이 ㅋㅋ [6] ㅇㅇ(223.42) 23.05.11 2275 25
3314521 여기서만 하는말인데 애플러 좆같노 [6] 최준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4 4185 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