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주요항공사 코드, 공항코드, 각 항공동맹체 회원사 현황

짱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03.07 02:40:42
조회 8935 추천 1 댓글 13

주요 기종 일람
 
에어버스(Airbus)

A300
1208859.jpg
A300B4-600 (A300-600R)

A300은 1972년 개발된 세계최초 쌍발 광동체기로써 최초기형인 A300 B1를 비롯해 파생형으로 A300 B2, A300B4, A300-600이 있다. 대한항공은 A300을 아시아지역 최초로 인도받아 성공적으로 운영하였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A310

0986854.jpg
A310-300

A310은 A300을 기반으로한 기종으로 A300의 전장을 단축하고, 항속거리를 늘렸다. 1978년 개발되었으며, 적은수요의 장거리노선에 적합한 기종으로 생산이 중단된 기종이나 아직 세계 각지에서 운영하고있다. 최근에는 A330-200이나 B787등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파생형으로 A310-200, A310-300등이 있으며 -300은 -200의 MTOW 증대버전이다.

A320
1195853.jpg
A320-200

A320은 보잉 737을 직접적 경쟁으로하는 중단거리용 중소형 여객기이다. 1988년 개발되었으며, 세계최초로 Fly-by-Wire 시스템을 채용하여 조종편의를 높인 기종이다. 파생형으로 A318 A319 A320 A321이 있으며, A320과 A321의 경우 -100버전과 -200버전이 있는데 -200은 엔진추력을 증가시켜, 항속거리를 늘린 버젼이다. A320-A321-A319-A318순으로 개발되었으며, 모델명의 숫자가 작을수록 크기가 작다. 전 시리즈에 날개끝의 윙팁이 장착되어 생산된다.

A330
1302751.jpg
A330-300

A330은 1992년 개발된 중장거리용 광동체기이다. 4발엔진이 장착된 A340과 동시에 개발이되었다. A330은 추후 개발중인 A350 XWB로 대체될 예정이다. 파생형으로는 여객용인 A330-200과 A330-300, 공중급유기 A330 MRTT (KC-30)이 있으며, 화물기인 A330-200F와 공중급유기 KC-45가 개발중에 있다.

A340
1265287.jpg
A340-300

A340은 1991년 개발된 중장거리용 광동체기이다. 2발엔진이 장착된 A330과 동시에 개발이되었다. A340은 추후 개발중인 A350 XWB로 A330과 함께 대체될 예정이다. 파생형으로는 여객용인 A340-200과 A340-300, 그리고 새로운 동체디자인을 채택한 A340-500, A340-600이 있다. -500 모델은 긴 항속거리로 초장거리노선 운영이 가능하다(777-200LR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세계최장 항속거리 기종이였음). A340은 4발기로 ETOPS 제한을 받지않는다는 이점이 있으나, 쌍발기에비해 낮은 연비와 최근 기술발전으로 쌍발기도 운항상의 제약이 현저히 줄어들어 경쟁상대인 보잉 777에 비해 현저히 판매대수가 적다.

A350 XWB
media_object_image_lowres_A350-900_Finnair_mr.jpg
A350-900 XWB

A350 XWB는 A330과 A340을 대체하는 기종으로, 현재 개발중에 있다.
당초 에어버스사는 A330을 베이스로한 개량형모델로써 A350을 개발하려했으나, 경쟁기종인 보잉 787의 예상외의 판매호조로 불안감을 느낀 에어버스사는 전면 재설계를 통하여 동체크기를 넓힌 A350 XWB를 개발중이다. 모델명 뒤의 \'XWB\'는 \'eXtra Wide Body\' 의 약자이다. 파생형으로 A350-800 XWB, A350-900 XWB, A350-1000 XWB가 있으며 각각 A330-200과 A330-300, 777-300ER과 비슷한 크기이다. -800모델은 2014년, -900모델은 2013년, -1000모델은 2015년에 최초인도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에서 30대를 주문하였다. (세부기종 미정)

A380
1005081.jpg
A380-800

A380은 현재 세계최대의 여객기로, 3클래스 배치시(에어버스 기본배열 기준) 525석에서 단일클래스배치시 853석까지 배치할수있다. 2000년 초반 A3XX라는 개발명으로 개발에 착수하여 2005년 첫 시험비행에 성공, 2007년 10월 25일에 싱가포르발 시드니행 싱가포르항공 SQ380편에 처음으로 상업비행을 개시하였다. 대한항공에서 8대를 주문하였으며 2010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제작도중 잇다른 개발지연으로 FedEx와 UPS가 주문을 취소하여 현재 A380-800F(화물기)는 단 한대의 주문도 없는 상황이다.

A300-600ST (Beluga)
0918207.jpg

A300-600ST (Beluga)는 A300-600을 화물수송용으로 개조한 기종이다. 초기에는 A300-600ST(ST는 Super Transporter의 약자)로 불리었으나 흰돌고래를 닮았다고해서 \'Beluga\'라는 별명이 붙게되었다. 이 기종은 A380을 제외한 대부분의 에어버스기종의 부품을 운반하는 용도로 쓰이고있다.

보잉(Boeing) 

707
0941594.jpg
707-320B

보잉 707은 1957년 개발된 제트여객기이다. 보잉 707은 앞서개발된 제트여객기인 de Havilland Comet이 적은 수용능력으로 인한 운송비용 증가로 낮은 수익성과 설계상의 오류로 잇다른 사고발생으로 실패로 끝나게된 반면, 보잉 707은 당시로써 높은 수용능력과 안정성으로 성공적으로 운영되었다. 보잉 707의 등장으로 프로펠러가 주 였던 민간항공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당시로써 빠른속도와 쾌적성으로 프로펠러 여객기는 과거의 유물이되었다. 보잉 707의 개발당시 모델은 보잉 367-80이였으며, 707-120이 처음 개발된이후 -220, -320, -320B과 동체단축형인 720등 여러 파생형이있다. 1957년부터 모두 1,010기가 제작되었다.

717
하단 맥도널 더글라스社 DC-9, MD-80, MD-90, Boeing 717(MD-95) 부분 참고. 

727
1177491.jpg
727-100

1963년 개발된 보잉 727은 보잉 707의 개발이후 중장거리노선이 제트여객기로 대체되는 움직임이일었으나, 지역공항에서는 활주로문제등 보잉 707운영이 불리한 측면이있어, 중단거리용으로 개발된 제트여객기이다. 3발엔진장착으로 큰 추력을 낼수있어 거리가 짧은 활주로에서의 이착륙이 용이하다. 파생형으로는 동체연장형인 -200과 성능증대형인 -200Adv. 등이 있다. 보잉 727은 1984년 마지막으로 생산될때까지 1,832기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현재도 일부 항공사에서 운영하고있다.

737
1329483.jpg
737-700 (Next Generation)

보잉 737은 보잉에서 개발한 제트여객기중 가장 소형의 여객기로 현재 A320과 함께 중단거리용 여객기로 널리 사랑받는 기종이다. 보잉 737은 보잉 707과 보잉 727개발이후 당시 DC-9가 독점하고있던 중단거리용 항공기에 대항하기위해 개발되었다. 1968년 처음으로 흔히 737 Original로 일컫여지는 737-100과 737-200이 각각 독일 루프트한자와 미국 유나이티드항공에 인도되었다. 하지만 DC-9를 대항하기엔 역부족이라는 판단으로 보잉에서는 737-200 MTOW를 증대하고, 이착륙거리를 단축시킨 성능개량형인 737-200 Advanced (흔히 줄여서 737-200 Adv. 라고 함)을 개발시켰다. 이후 737의 성능을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전 세계에서 매 5초에 한대씩 이착륙할정도로 제트여객기중 가장많이 판매된 기종이며 현재까지 약 5,600기가 생산되었으며 총 7,800기의 주문을 받은 상태이다.

보잉 737은 크게 737 Original과 737 Classic, 737 NG(Next Generation의 약자)로 나누는데 각각 -100, -200과 -300부터 -500모델까지 그리고 737 NG는 -700부터 -900모델까지 이다. 1968년 최초로 개발된 737 Original이후 Classic으로 개량하면서 CFM56엔진을 새롭게 장착하고, 칵핏디자인을 새롭게하였으며 날개형상을 일부 변형하였다. 737 Classic은 1981년부터 90년대 중후반까지 판매되었다. 이후 보잉사는 당시 새롭게 등장한 A320시리즈와 대항하기위해 737 Classic 시리즈를 대체하는 737 NG 시리즈를 1993년 개발에 착수하여 1998년 최초로 인도된다. Classic시리즈와의 다른점은 성능을 향상시켜 항속거리를 늘리고, 실내 인테리어를 새롭게 디자인하였으며 칵핏역시 LCD를 채택하여 새롭게 하였다. 

747
0994963.jpg
747-400


757
1363795.jpg
757-200 (Winglet 개조)

보잉 757은 기존 727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쌍발 협동체기 이다. 1983년 1월 1일 현재는 없어진 미국 이스턴항공에서 첫 운항을 시작하였다. 보잉 757은 기존 3발기였던 727보다 엔진개수를 1개로 줄여 727에 비해 연비를 향상시켰고, 737에 비해 고출력의 엔진을 장착하여 737에비해 항속거리가 길고 이착륙거리가 짧아지는 효과를 거두었다. 1983년부터 -200버전만 생산되다가 1998년 동체를 연장한 -300 버전을 1998년 개발, 첫 비행을 하였다. 보잉 757은 2004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총 1,050기가 생산 되었다. 최근 보잉 757은 이후 개발된 A321과 737-900등에 비해 높은 운영비등으로 주 운용노선이던 미국 국내선에서는 A320과 737로 대체되는 추세이며, 항속거리증대와 연비절감의 효과가있는 Winglet을 장착하여 미국-유럽등 대서양 횡단노선과 중남미노선에서 주로 운영되고있다.

767
1183210.jpg
767-300ER



777
1328635.jpg
777-300ER



787 Dreamliner
1240280.jpg
787-8 Dreamliner



맥도널 더글라스(McDonnell Douglas)

DC-9, MD-80, MD-90, Boeing 717(MD-95)
1024745.jpg
MD-87


DC-10, MD-11
0593191.jpg
MD-11



기타
 


ATR 72
1355100.jpg
ATR 72-500

Bombardier Q Series
1267700.jpg
Bombardier Q400

Bombardier CRJ
1284819.jpg
Bombardier CRJ-900 NextGen

Embraer ERJ 145 Family
0472407.jpg
Embraer ERJ 145LU

Embraer E-Jets
1336847.jpg
Embraer 190AR (ERJ 190-100AR)

Fokker 70 / Fokker 100
1070910.jpg
Fokker 70

Lockheed L-1011 TriStar
1163048.jpg
Lockheed L-1011-1 TriStar


-----------------------------------------------------------------------------------------------------

항공기 각 부분별 명칭

img_3_7_5?1166325373.jpg

----------------------------------------------------------------------------------------

날개 각 부분별 명칭

img_3_9_4?1166328630.jpg

----------------------------------------------------------------------------------------

자주 쓰이는 용어와 약어

MTOW
- Maximum Takeoff Weight의 약자로 이륙가능한 최대중량을 뜻함.
GPWS -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의 약자로, 한글로는 \'지상접근 경보장치\'라고도 하는 이 장치는 항공기가 지상에 비정상적인 자세 혹은상황으로 접근했을 경우, 조종사에게 경보하는 장치로써 회피조작을 수행하여야만 경보가 꺼진다. 음성으로 조종사에게 경보하는 경보음으로는 "PULL UP", "SINK RATE", "TERRAIN", "DON\'T SINK" "TOO LOW - TERRAIN" "TOO LOW - GEAR" "TOO LOW - FLAPS" "GLIDE SLOPE", "BANK ANGLE", "WINDSHERE" 가 있다. 

(보잉 737NG의 실제 GPWS 테스트 동영상)
PULL UP - 위에서 다룬 GPWS의 경보음의 하나로 강하율이 지나치게 높을경우에 경보된다. 한마디로 기수를 최대로 당기라는뜻. 대체적으로 추락직전에 듣는다는(...)
윈드시어(Windshear) - 국지성 돌풍이라고도 한다.. 난기류의 일종으로 저고도에서 불규칙적인 공기흐름으로 인해 풍향과 풍속이 수시로 급변하는 현상이다. 항공기 이착륙시 윈드시어는 치명적이며, 윈드시어로인한 항공기 통제불능시 추락등 사고위험이 있다. 실제로 윈드시어로인한 추락사고가 상당수 존재하며, 제주공항에서 지형적 영향으로 윈드시어 현상이 빈번하다. 사고방지를위해 GPWS에서 윈드시어 경보를 조종사에게 통보한다.
측풍,크랩랜딩(Crab Landing) - 측풍(또는 횡풍)은 말그대로 옆으로 부는 바람으로 착륙시 활주로와 정렬을 해야하는데, 측풍이 불경우 바람으로인해 항공기가 옆으로 쏠릴 위험이있다. 따라서 측풍이 불경우 활주로와 항공기 방향을 보정하기위해 러더를 조작하면서 착륙하는것을 크랩랜딩이라고 한다. (게걸음과 비슷해서 붙은 이름)
펌랜딩(Firm Landing) - 펌랜딩은 소프트랜딩의 반대로, 기상조건등이 좋지않을경우 착륙시 활주거리를 줄이기위해 강하율을 소프트랜딩의 100ft/min보다 높은 200~300ft/min 으로 착륙하여 마치 활주로를 쿵 찍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흔히 펌랜딩을 하는 기장은 비행술이 나쁘다는 생각도 할수있지만, 그날의 활주로 상태에따라 착륙방식을 정하는 것이며, 소프트랜딩에비해 활주거리가 짧아 활주로이탈등의 확률이 적어 안전한 착륙법이다.
ETOPS - Extended-range Twin-engine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의 약자로 쌍발항공기가 아시아-미주처럼 장거리노선 운항시에 비상사태시(엔진 1개 고장등...) 착륙할수있는 대체공항과 xxx분이내의 항로로 운항하여야 한다는 규정이다. 예를들어 ETOPS-120 을 인증받은 기종이라면 착륙가능한 공항과 120분거리 이내의 항로로 운항하여야 한다. 
ER - Extended-Range의 약자로 보잉에서 항속거리증대형 버전의 기종명 뒤에 붙인다. (예로 767-300ER, 777-200ER등이 있음). 에어버스사에서는 이와 비슷한 의미로 \'X\'를 붙인다. (A330-300의 항속거리 연장형으로 A330-300X)
LR - Long-Range의 약자로 ER과 같은 개념이다. 단 보잉에선 ER보다 항속거리가 더 긴경우 (현재 777-200ER보다 더 긴 항속거리의 777-200LR에만 쓰임)와 에어버스에서는 보잉의 ER과 같은 의미로 쓰인나, 현재 A319-100LR(비지니스 젯) 에서만 쓰인다.
항사수 - 네셔널지오그래픽(NGC) 채널의 프로그램인 \'항공사고수사대\'의 줄임말. 각 편마다 항공사고를 재연하고, 그 원인을 조사하는 프로그램이다.
보쿠관 - 일본게임인 \'나는 항공관제사\' (영문명: Air Traffic Controller)의 줄임말로, 유저가 공항에서 항공기 이착륙을 하는 게임이다. 배경은 일본내 공항을 다뤘다.
제비항공 - 중국동방항공을 일컫음.
감귤항공 - 제주항공을 일컫음.
댄공 - 대한항공의 줄임말.
스튜던트 - 모두 항공기 승무원을 뜯하는 단어인 Stewardess와 Cabin Attendent의 합성어. 어쩌다보니 부르기 편해서(몰라서가 아니라) \'스튜던트\' \'스튜던트\' 하게되었다는.
트라이젯(Trijet) - 삼발제트항공기를 뜻한다. 대표적인 기종으로 MD-11, DC-10, L-1011이 있다.
AVOD - Audio Video on Demand의 약자로 각 좌석에 장착된 개인스크린으로 원하는 음악과 영화등을 골라볼수있는 주문형 기내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뜻한다. 가정에서보는 하나TV나 메가TV를 생각하면 쉽다.
PTV - Pesonal TV의 약자로 각 좌석에 장착된 개인스크린을 뜻한다. AVOD와 혼동하기 쉬우나, AVOD는 주문형시스템이며 PTV는 중앙에서 여러개의 채널로 방송하는 프로그램만 볼수있다. 우리가 흔히보는 공중파TV를 생각하면 쉽다.
IFE - In-Flight Entertainment의 약자로 승객들에게 제공하는 음악이나 영화, 단편물, 지도등을 총칭한다. 앞서설명한 AVOD나 PTV는 물론 오디오시스템이나 메인스크린으로 방송하는 프로그램등이 모두 이 범주에 포함된다.
GE - 항공기 엔진 제작업체인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를 뜻한다. 미국업체이며 최근 차세대엔진인 GE90과 개량형인 GEnx를 개발로 PW, RR, GE 3사중 점유율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PW - 항공기 엔진 제작업체인 플랫엔휘트니(Pratt & Whitney)를 뜻한다. 미국업체이며 대한항공이 주 고객이기도 하다.
최근 PW사는 PW4000 엔진 이후 경쟁사인 GE의 GEnx, 롤스로이스사의 Trent 엔진에 대항하는 차세대엔진 개발부재로 PW, RR, GE 3사중 점유율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IAE  - 항공기 엔진 제작업체 International Aero Engines를 뜻함. 영국의 롤스로이스, 미국의 플랫엔휘트니(PW), 독일의 MTU, 일본에 JAEC가 컨소시엄형태로 설립한 회사이다. A319, A320, A321, MD-90에 장착되는 엔진을 제작한다.
--------------------------------------------------------------------------------

공항코드 조회 (클릭)


CTRL+F 로 검색하시면 편리합니다.

항공사명 - IATA코드 - ICAO코드 - 국적 순서입니다.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국제 민간 항공수송협회)의 약자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국제 민간 항공기구) 의 약자

대한항공 - KE / KAL / 대한민국
아시아나항공 - OZ / AAR / 대한민국
제주항공 - 7C / JJA / 대한민국
한성항공 - HS* / HAN / 대한민국 (*IATA코드 배정받지 않았으나, 편의상 HS 또는 HA 사용중)
진에어 - LJ / / 대한민국
영남에어 - OE / / 대한민국
고려항공 - JS / KOR / 북한
델타항공 - DL / DAL / 미국
유나이티드항공 - UA / UAL / 미국
노스웨스트항공 - NW / NWA / 미국
아메리칸항공 - AA / AAL / 미국
컨티넨탈항공 - CO / COA / 미국
US항공 - US / USA / 미국
알래스카항공 - AS / ASA / 미국
하와이안항공 - HA / HAL / 미국
사우스웨스트항공 - WN / SWA / 미국
제트블루항공 - B6 / JBU / 미국
아메리카웨스트항공 - HP / AWE / 미국
버진아메리카 - VX / VRD / 미국  
에어캐나다 - AC / ACA / 캐나다
일본항공 - JL / JAL / 일본
전일본공수(ANA) - NH / ANA / 일본
중국국제항공 - CA / CCA / 중국
중국동방항공 - MU / CES / 중국
중국남방항공 - CZ / CSN / 중국
상해항공 - FM / CSH / 중국
해남항공 - HU / CHH / 중국
산동항공 - SC / CDG / 중국
선전항공 - ZH / CSZ / 중국
사천항공(쓰촨항공) - 3U / CSC / 중국
하문항공(샤먼항공) - MF / CXA / 중국
케세이퍼시픽항공 - CX / CPA / 중국(홍콩)
드래곤항공 - KA / HDA / 중국(홍콩)
에어마카오 - NX / AMU / 중국(마카오)
중화항공 - CI / CAL / 대만
에바항공 - BR / EVA / 대만
원동항공 - EF / FEA / 대만
유니항공 - B7 / UIA / 대만
아에로멕시코 - AM / AMX / 멕시코
멕시카나항공 - MX / MXA / 멕시코
코파항공 - CM / CMP / 파나마
그루포타카 - TA / TAI / 엘살바도르
아비앙카 - AV / AVA / 콜롬비아
란항공 - LA / LAN / 칠레
란페루 - LP / LPE / 페루
아르헨티나항공 - AR / ARG / 아르헨티나
바리그 - RG / VRG / 브라질
TAM - JJ / TAM / 브라질
GOL - G3 / GLO / 브라질
쿠바나 - CU / CUB / 쿠바
이베리아항공 - IB / IBE / 스페인
에어유로파 - UX / AEA / 스페인
스팬에어 - JK / JKK / 스페인
TAP포르투갈 - TP / TAP / 포르투갈
에어프랑스 - AF / AFR / 프랑스
영국항공 - BA / BAW / 영국
버진아틀란틱 - VS / VIR / 영국
BMI - BD / BMA / 영국 
이지젯 - U2 / EZY / 영국
KLM 네덜란드 항공 - KL / KLM / 네덜란드
루프트한자 - LH / DLH / 독일
체코항공 - OK / CSA / 체코
스위스국제항공 - LX / SWR / 스위스
알리탈리아 - AZ / AZA / 이탈리아
오스트리안항공 - OS / AUA / 오스트리아
LOT폴란드항공 - LO / LOT / 폴란드
TAROM - RO / ROT / 루마니아 
아에로플로트 - SU / AFL / 러시아
에어아스타나 - KC / KZR / 카자흐스탄
에어칼린 - SB / ACI / 뉴칼레도니아
인도항공 - AI / AIC / 인도
제트에어웨이즈 - 9W / JAI / 인도
킹피셔항공 - IT / KFR / 인도
세부퍼시픽항공 - 5J / CEB / 필리핀
달라비아 - H8 / KHV / 러시아
에미레이트항공 - EK / UAE / 아랍에미레이트
에티하드항공 - EY / ETD / 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항공 - QR / QTR / 카타르
핀에어 - AY / FIN / 핀란드
가루다인도네시아 - GA / GIA / 인도네시아
이란항공 - IR / IRA / 이란
말레이시아항공 - MH / MAS / 말레이시아
필리핀항공 - PH / PAL / 필리핀
콴타스항공 - QF / QFA / 호주
SAT항공 - HZ / SHU / 러시아
싱가포르항공 - SQ / SIA / 싱가포르
S7항공 - S7 / SBI / 러시아
타이항공 - TG / THA / 태국
터키항공 - TK / THY / 터키
우즈베키스탄항공 - HY / UZB / 우즈베키스탄
베트남항공 - VN / HVN / 베트남
블라디보스톡항공 - XF / VLK / 러시아
SAS - SK / SAS / 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
에어타히티누이 - TN / THT / 프랑스(프렌치 폴리네시아)
이집트항공 - MS / MSR / 이집트
스리랑칸항공 - UL / ALK / 스리랑카
올림픽항공 - OA / OAL / 그리스
에어뉴질랜드 - NZ / ANZ / 뉴질랜드
에어링구스 - EI / EIN / 아일랜드
쿠웨이트항공 - KU / KAC / 쿠웨이트
파키스탄국제항공 - PK / PIA /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항공 - SV / SVA / 사우디아라비아
로얄요르단항공 - RJ / RJA / 요르단
케냐항공 - KQ / KQA / 케냐
사우스아프리칸항공 - SA / SAA / 남아프리카공화국
MEA(중동항공) - ME / MEA / 레바논
크로아티아항공 - OU / CTN / 크로아티아
블루1 - KF / BLF / 핀란드
아드리아항공 - JP / ADR / 슬로베니아
말레브헝가리안 - MA / MAH / 헝가리
야쿠티아항공 - R3 / SUL / 러시아
로얄브루나이항공 - BI / RBA / 브루나이
PMT항공(프로그레스멀티항공) U4 / PMT / 캄보디아
미얀마항공 - 8M / MMA / 미얀마
MIAT몽골항공 - OM / MGL / 몽골
키르기스탄항공 - R8 / KGA  / 키르기스탄
만다린항공 - AE / MDA / 대만
아시안스피릿 - 6K / RIT / 필리핀
앙코르항공 - G6 / AKW / 캄보디아
에어바간 - W9 / JAB / 미얀마
비바마카오 - ZG / VVM / 중국(마카오)
에어로몽골리아 - MO /MNG / 몽골
오리엔트타이항공 - OX / OEA / 태국

--------------------------------------------------------------------------------

각 항공동맹체별 회원사 현황
(2008년 6월 24일 기준, 계열사는 제외 (예: KLM 시티호퍼 등...))






스카이팀 (정회원 11개, 준회원 3개 회원사)

<정회원>
대한항공
에어프랑스
KLM 네덜란드항공
알리탈리아
노스웨스트항공
델타항공
컨티넨탈항공
아에로멕시코
체코항공
중국남방항공
아에로플로트

<준회원>
케냐항공
에어유로파
코파항공






스타얼라이언스 (정회원 19개, 준회원 3개 회원사)

<정회원>
아시아나항공
유나이티드항공
에어뉴질랜드
US에어웨이즈
루프트한자
ANA(전일본공수)
타이항공
사우스아프리칸항공
스팬에어
에어캐나다
스위스국제항공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상해항공
싱가포르항공
TAP 포르투갈
SAS 스칸디나비안항공
BMI (브리티쉬미들랜드항공)
LOT 폴리쉬항공
오스트리안항공

<준회원>
아드리아항공
블루1
크로아티아항공

<탈퇴사>
안셋오스트레일리아항공 (2001년 부도)
멕시카나항공 (2003년 유나이티드와 코드쉐어관련 마찰로 탈퇴, 2008년 원월드 가입예저)
바리그 (2007년 경영난으로 노선, 운항편수등이 급감, 스타얼라이언스 운영기준 미달로 탈퇴)






원월드 (10개 회원사)

일본항공
아메리칸항공
케세이퍼시픽항공
란항공
영국항공
핀에어
이베리아항공
로얄요르단항공
콴타스
말레브헝가리안

<탈퇴사>
캐나디언항공 (2000년 에어캐나다와 합병으로 탈퇴, 창립멤버임)
아에르링구스 (2007년 4월 1일부로 탈퇴)

--------------------------------------------------------------------------------

알아두면 유용한 사이트


http://www.airliners.net
 
항공관련 사진모음

http://www.jetphotos.net
항공관련 사진모음

http://rzjets.net
각 항공기 기체정보

http://www.flightstats.com
전세계 항공편 운항정보

http://www.seatguru.com
항공사별, 기종별 좌석정보 (추천좌석, 비추천좌석)

http://www.airlinemeals.net
기내식 사진모음

http://flightlevel350.com/
항공기 동영상모음

http://news.airportal.co.kr/
항공뉴스

http://www.flightmemory.com/
나의 비행기록 만들기, 통계내기

http://www.airdisaster.com/
항공사고 데이터베이스

http://rfinder.asalink.net/free/
항로조회 사이트
(실제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용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있음)

http://gc.kls2.com/
도시간 최단거리, 항로별 ETOPS, 소요시간계산등. 지도제공.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6&dir_id=607&eid=G+J3Wi72tBhM/Nxk+nXqEfInww95mzrJ
항공기 제원 읽는법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25537 대한항공 김포 OC행거에 요상한 비행기가 [3] 고곳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01 540 0
25536 아샤나2 [4] OZ201(24.8) 08.03.01 322 0
25533 아시아나 734 피해야 할 자리 [3] KF1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01 561 0
25532 국내항공사 기종별로 명당자리, 피해야할자리 정리해보는건 어떨지. [2] 짱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01 324 1
25531 에어버스사 미공군으로부터 A-330 179대 수주 [6] KF1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01 511 0
25530 737최고의 자리... [7] 삐삐(211.178) 08.03.01 378 0
25528 제주항공 Q400 1:100모형~~ [5] 윌찌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01 499 0
25526 항공기 갤러리 횽들 혹시 수하물 규정에대해 잘알어? [3] ㅇㅅㅇ(58.65) 08.03.01 397 0
25524 인도 단체승객 상 갓뎀매너....TG328 [8] 상갓뎀개매너(203.223) 08.03.01 525 0
25523 인천공항 탑승동 질문. [1] OZ724(220.231) 08.03.01 329 0
25522 대한민국 ENROUTE 챠트 [5] 슼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01 403 0
25521 항갤 정전 방지용 질문 [28] 히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01 236 0
25517 아샤나 [12] OZ201(128.138) 08.03.01 361 0
25516 오랜만에 항갤에 올리는 글 [5] 오토파일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01 168 0
25515 횽들!! 에바항공 질문좀요!! [3] 수학과(222.105) 08.03.01 308 0
25513 아샤나 744 다이캐스트 샀습니다.. [6] 올려~(211.59) 08.02.29 383 0
25511 사진기 구입한 기념으로.. [1] 2b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208 0
25510 옛 항갤 고정닉들은 다 어디로... [27]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283 0
25509 중국 출장다녀온 누나폰에 담겨진 사진들 [1] 2b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453 0
25506 오늘 인공에서, [9] 랭스(125.177) 08.02.29 336 0
25503 코카콜라 국왕 납치태그 [1]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160 0
25502 다시질문 아시아나 마일리지 집에서 적립하려면?? TaiW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120 0
25496 집에서 마일리지 어떻게 적립해야하지요?? TaiW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61 0
25494 아시아나 트랜스폼 신기재 운영노선..?? [7] 유산균(218.102) 08.02.29 393 0
25493 신고게시판에 알바랑 TaiWan, 음란성글, 납치태그 찔렀는데 [2]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143 0
25492 [재탕 동영상] 맨체스터 공항 북동쪽에서 찍은 이착륙 [8] 메갈로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184 0
25489 급해!횽아 도와줘 항공권 횽아(211.200) 08.02.29 73 0
25488 형들 도와줘ㅠ_ㅠ(국내선+국제선) 류학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81 0
25487 항사수좀 보내주세요 [2] GG(222.238) 08.02.29 80 0
25486 횽들 마일지 사용할려고 하는데 [1] ㄴㅁ(121.188) 08.02.29 88 0
25485 늦어지고잇어 ㅜㅜ [5] KE1211(59.12) 08.02.29 176 0
25484 언니들 스튜던트 다시 도전중 [4] 음헤헤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447 0
25482 못본 훃아들을 위한 재탕~(김포공항 댄항공,한성한공 ) [8] 고곳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372 0
25481 이벤트당첨인데요,, 이거 믿을만한가요?? [4] 방앗간(125.190) 08.02.29 215 0
25479 글 여러게 써서 ㅈㅅㅈㅅ 한데 [2] KE1211(59.12) 08.02.29 139 0
25477 히디림하들 포함해서 볼것~ ^^ㅈ [2] KE1211(59.12) 08.02.29 114 0
25475 인천공항 감시카메라가 엄청많던데요 [2] TaiW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294 0
25472 KE1211님 저도 굿럿보고싶어요 TaiW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97 0
25471 횽들~ 굿모닝~~ [1] KE1211(59.12) 08.02.29 98 0
25469 아시아나에서 좀처럼 보기힘든. [10] #12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581 0
25468 F-15K [7] f-15k(143.138) 08.02.29 294 0
25467 뉴욕필이 평양까지 타고 간 비행기. [20] #12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655 0
25465 124.133.37.247에게 줄 짤방 [3] 게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148 0
25464 조종사 캐노피 어떻게열수있나요??? [2] TaiW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221 0
25462 알바누나 진짜 뭥미? 답잉벗네요. [6] 히밤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228 0
25452 JAL일본항공 사키토쿠先得 새로운 월페이퍼 사키Lover(124.133) 08.02.29 214 0
25450 아시아나가 타이완노선에 AVOD 안다는이유를 정치적으로 생각해보면 TaiW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210 0
25449 댄항공,아시아나 조종사 신체자격이 어떻게되는거죠?? TaiW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106 0
25446 자신이 탑승했던 항공기의 등록번호 확인 할 방법이 있나요? [15] 아싸내인생(210.57) 08.02.29 372 0
25445 오랫만에 보쿠관2용 휏후레인 소환글 [1] 게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29 13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