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EUA(European Airline) #5 -에어 베를린-모바일에서 작성

ㅇㅇ(39.115) 2022.07.16 18:27:07
조회 159 추천 0 댓글 0

EUA(European Airline)!, 유럽의 항공사들에 대해 알아보는
<img src='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b3a36555e832ce8fce98026b2e20d84a616641ee43295f581f233ee6e4900225688d3ecfbc47ce66b' class='lazy' data-original='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b3a36555e832ce8fce98026b2e20d84a616641ee43295f581f233ee6e4900225688d3ecfbc47ce66b' alt='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b3a36555e832ce8fce98026b2e20d84a616641ee43295f581f233ee6e4900225688d3ecfbc47ce66b' data-nummark='1'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max-width: 100%; max-height: 100%; width: auto !important; height: auto !important;'>11
#1, 시작다른 여느 유럽 항공사들과 같이 항공사도 상당이 나이가 많다. 1917년생인데, 하퍼그, 제플린, AEG가 함께 공동으로 DLR을 설립했다.베를린과 바이마르간 노선을 취항했다. 이후 1926년 도이치 에어로이드(Deutsche Aeroid)와 새로운 회사를 설립한다. 설립 시기가 1926년, 대충 시기(1933~1945)를 봐도 이 항공사가 나치와 큰 연관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대충 벤츠나 포르쉐처럼 협력했다는 소리)그렇다, 이 항공사의 시작은 나치 공군(루프트바페)의 조종사들을 양성하던 도이치 루프트한자(Deutsche Lufthansa)를 기원으로 한다.

<img src='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0af1eb788a99b57a8ee86bd0' class='lazy' data-original='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0af1eb788a99b57a8ee86bd0' alt='ae5831a5003376b660b8f68b12d21a1d493ce15f1a6f' data-nummark='2'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max-width: 100%; max-height: 100%; width: auto !important; height: auto !important;'>22△당시 루프트한자의 광고
하지만, 모두가 알다시피 나치는 패배했고, 나치를 도운 이 회사는 운항금지를 먹는다. 이후 운항을 하지 못하게된 이 회사는 1951년. 파산하지만
1953년 연방 정부, 독일국립철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정부의 합작사업으로 부활하지만 독일이 동독과 서독으로 쪼개지면서 서독의 국영 항공사가 된다만..
같은 해 동독도 같은 사명으로 항공사를 설립했으나 서독이 동일한 브랜드로 사용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하게 되자 1963에 이 회사를 청산하고 동독의 국영 항공사는
이터 플러그라는 별도의 회사로 창립했다.
#2, 여명기1958년에 루프트한자는 4대의 보잉 707을 주문해 제트기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최초로 프랑크푸르트에 취항했다. 1960년 3월 뉴욕에 취항했으며 보잉 727 기종의 경우 나중에 보잉 707 기종을 대체하기 위해 주문했다. 특히 이 시기는 진보와 무한한 성장이라는 루프트한자의 신념에 의해 주도 되었고 당시 제트기 도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img src='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5da5e8788d9e4117661ffc6d' class='lazy' data-original='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5da5e8788d9e4117661ffc6d' alt='a76a08aa0e2eb46686ff5d76de5cd0d9cf89f3c48fd7601b3b9805942f3fa000eb0bcf' data-nummark='3'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max-width: 100%; max-height: 100%; width: auto !important; height: auto !important;'>33△당시 루프트한자의 B-707, 초기형 제트 엔진이 인상적이다.
1961년 2월에 극동 노선에 진출한 데 이어 1962년에 방콕, 홍콩, 도쿄, 라고스, 나이지리아, 요하네스버그에 추가로 취항했다. 1963년에 장거리 프로펠러 항공기를 도입했으며 1964년에 보잉 727을 기종을 도입한데 이어 같은 해 5월에 프랑크푸르트에서 도쿄 간의 장거리 항로를 개설했다.
1965년 2월 회사는 21대의 보잉 737-100을 주문 했으며 같은 해 오스트레일리아에 취항했다. 1966년에 튀니스에 취항했으며 같은 해 12월에 보잉 737 기종을 도입한 회사가 되었다. 1967년에 최초로 콜롬비아에 취항했으며 1968년에 경영난으로 인해 시장에 매물로 나온 수드 플러그를 인수해 합병했다.
1970년에 최초로 보잉 747-100 기종을 도입했으며, 1971년에 최초로 남아메리카에 취항했다. 1976년에 에어버스 A300 기종을 도입한데 이어 1979년에 에어버스 A310 기종의 주문과 당시 스위스의 최대 항공사인 스위스 항공(현 스위스 국제항공)과 함께 신규 고객을 위해 고급 서비스를 시작했다. 1985년에 에어버스 A300-600R, 에어버스 A320, 보잉 737-300 기종을 주문했으며 이 기종은 1987년부터 1992년까지 도입했다. 추가로 에어버스 A321, 에어버스 A340-300, 보잉 747-400 기종을 주문해 도입했다.
<img src='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5df6ba7a8d9bd35ec1bc6643' class='lazy' data-original='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5df6ba7a8d9bd35ec1bc6643' alt='0ff08772b29c28a8699fe8b115ef046c8b58b2dd96' data-nummark='4'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max-width: 100%; max-height: 100%; width: auto !important; height: auto !important;'>44△당시 루프트한자가 도입했던 B-747-100, 그 시절(1970~1990년대) 사진이 컬러로 남아있을줄은 몰랐는데... ㄷㄷ
1982년 3월에 루프트한자는 독일 연방 철도와 협력을 시작했다. 1988년에 새로운 기업 이미지를 채택했으며 캐빈을 비롯한 도시 사무실과 공항 라운지가 다시 디자인했으며 그와 동시에 기종도 신도색 작업을 하게 되었다. 1984년 8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펜타 호텔 NV를 인수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대한민국 진출을 선언하여, 프랑크푸르트를 출발해 앵커리지를 거처 서울에 첫 취항하였다.

<img src='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08f4bd788d90c7cbb48a16bf' class='lazy' data-original='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08f4bd788d90c7cbb48a16bf' alt='a14805aa3e16b360a233115558c12a3a0377620afc2a78bd3f082e07' data-nummark='5'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max-width: 100%; max-height: 100%; width: auto !important; height: auto !important;'>55△항속거리가 딸리던 그 시절, 동아시아-유럽(북미 일부 포함)항로들은 거희 다 거쳐가든 국룰 경유지,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공항같은 해 10월에 국제 항공 운송 협회 연례 회의에서 루프트한자 이사회 국장 겸 CEO가 IATA의 회장으로 선출했다. 루프트한자는 베를린에 위치한 켐핀스키 호텔을 운영했다. 1988년 항공사의 규제 완화로 인해 자유로운 항공 교통과 새로운 경쟁을 위해 독일의 항공사인 저먼윙스 항공을 설립했다. 하지만 외국 항공사를 유치하려는 시도가 반복적으로 실패했으며 이후 경영난으로 인해 설립된 지 1년도 되지 않아 1990년에 청산했다.
#3, 전성기1990년 말에는 독일이 통일되었고, 루프트한자 역시 혼란을 겪는다. 결국, 당시 재정문제를 겪던 독일 정부는 이를 두고 볼수 없었고, 1994년 독일 정부가 민영화를 주도함에 따라 민영화되었다. 같은 해 루프트한자는 독일의 화물 항공사인 루프트한자 카고를 설립했으며 1996년에 독일과 미국과 항공 노선 협정으로 대서양 횡단 항공 시장의 자유화 경쟁이 심화되었다.
또한 루프트한자는 경쟁사의 증가로, 유럽 연합의 수송의 규제 완화의 결과로 위기에 직면했다. 대규모의 구조 조정 과정에서 다행이 루프트한자는 유럽의 항공사 중 가장 먼저 위기를 극복했다.
1997년 최대의 항공사 동맹 스타얼라이언스의 창립 멤버로 타이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에어 캐나다, 스칸디나비아 항공과 함께 창립했다. 항공 동맹 창립 계기로 최초의 다자간 비즈니스 제휴를 통해 글로벌 항공 업계에서 항공의 새로운 도전이 시작되었고 그와 동시에 규제 완화와 세계화를 성장하는 데 결정적으로 역할을 하게 되었다.
<img src='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50f4ea7d85c8d8a34cd9790a' class='lazy' data-original='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50f4ea7d85c8d8a34cd9790a' alt='3e89f114abc236a14e81d2b628f1706916976a60' data-nummark='6'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max-width: 100%; max-height: 100%; width: auto !important; height: auto !important;'>66△아직 아시아나 항공이 건재하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 ㅠㅠ2000년에 이탈리아의 항공사인 에어원과 코드셰어 협정을 체결하면서 모든 항공편과 제휴를 했으나 이후 에어원은 알리탈리아 항공에 인수됐다. 2001년 9월 11일에 9·11 테러로 인해 손실을 입었지만 이러한 어려움에 불구하고 흑자를 기록했다.
같은 해 12월에 15대의 에어버스 A380-800 기종을 주문했으며 10옵션으로 주로 프랑크푸르트를 중심으로 장거리 국제선에 도입하기 위해 주문했다. 2003년 6월에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공항의 포화를 해결하기 위해 뮌헨 국제공항에 제 2터미널을 개설해 포화 해결에 기여했다. 같은 해 26대의 에어버스 A340-600 기종을 도입했다.
#4 현재2004년에 기내 인터넷 서비스인 플라이넷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같은 해 중국의 항공사인 선전 항공과 출자해 제이드 카고 인터내셔널을 설립했다. 2005년 3월에 스위스의 항공사인 스위스 국제항공을 인수했다. 2006년에 20대의 747-8i를 주문했으며 같은 해 기내 인터넷 서비스인 플라이넷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그와 동시에 영국의 항공사인 BMI를 인수해 자회사가 되었지만, BMI는 손실만 기록한 채 2012년 영국항공에 매각했다. 2007년에는 한해 5,640만명의 승객을 운송했다.

<img src='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51f0e87b899b9eff13b2e6c3' class='lazy' data-original='https://dcimg6.dcinside.co.kr/viewimage.php?id=2cb4c219e3c039a86dba&no=24b0d769e1d32ca73feb8efa11d02831fe7c13900c6e010a3a53495471da3a36ee7eb560b3bf544e04a6c75ef9cef12fc26e960a6ecc94df04c351f0e87b899b9eff13b2e6c3' alt='27a89e36ebd518986abce8954585726b098f' data-nummark='7' style='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max-width: 100%; max-height: 100%; width: auto !important; height: auto !important;'>77△새로 도입한 신형 B-747-8i
2009년 10월 기내 모든 장소에서 무선 인터넷을 연결이 가능한 플라이넷 서비스 재개를 발표한 데 이어, 같은 해 오스트리아의 항공사인 오스트리아 항공을 인수했다. 2008년 9월 벨기에 최대 항공사인 브뤼셀 항공의 지분 45%를 인수하기로 계약했는데 이 계기로 브뤼셀 항공은 스타 얼라이언스에 2009년 12월 가입하게 되었다.2009년 1월에 독일의 저가 항공사인 저먼윙스와 독일의 지역 항공사인 유로윙스를 인수해 유로윙스는 자회사가 되었다.
2010년 5월에 같은 해 최초로 에어버스 A380-800 기종을 도입했으며 현재까지 8대가 도입 했으며 앞으로 7대가 추가로 더 들어올 계획이다. 같은 해 6월 에어버스 A380-800 기종이 프랑크푸르트에서 도쿄 간 국제선 노선에 최초로 취항했다.
또한 장거리 노선에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으로 독일 주요 도시와 미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이 발표했다. 2012년에 최초로 1대의 747-8i 기종을 도입했으며 2015년까지 순차별로 도입될 예정이다. 같은 해 4월에는 BMI를 영국항공이 소속된 국제항공 그룹에 매각했다.최근 들어 코로나로 위기를 맞은 루프트한자는 수익성을 올리기 위해 3,500명의 직원을 감원하는 항공사의 계획을 발표했다.(코로나 ㄷㄷ)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ir_france&no=4△원본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268604 CRRC 그린웨이 좋나여? 일뽕플러스(223.38) 22.05.19 186 0
268603 피치항공은 회원 탈퇴 기능이 없네 ㅇㅇ(58.236) 22.05.19 715 0
268599 장난감 하나 더 왔었네 ㅁㅌㅊ?? [2] ㅇㅇ(218.53) 22.05.18 446 6
268597 아시아나 6만마일 되는데 애매허넹 ㅇㅇ(175.195) 22.05.18 333 0
268593 울릉공항은 흑자가능할까? [3] 필립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7 290 0
268591 스압주의) 대한항공 321 네오 도색중인 사진들 [1] 단풍곰돌이(119.192) 22.05.17 735 14
268590 ICAO 유명하냐 ㅇㅇ(106.102) 22.05.17 220 0
268588 부산에 마린버스 몇대 다니나여? 일뽕플러스(223.38) 22.05.16 166 0
268587 스압) 미국에서 노인들 재롱잔치 보고왔다 [7] Sakh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6 660 6
268585 세풍운수 6616 대형차 들어가도 문제 없나여? 일뽕플러스(223.38) 22.05.15 177 0
268584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을 개명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제임스딱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5 206 0
268579 아침 6시에 서울에서 인천공항 ㅇㅇ(61.73) 22.05.13 221 0
268574 땅콩 모님칾 연장해주네 GULFSTRE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2 252 0
268571 근래 가장 충격적인 항공 감동 실화 ㅇㅇ(223.62) 22.05.12 300 0
268570 이거 머임? [1] ㅇㅇ(106.101) 22.05.11 265 1
268569 대한항공에 BS105 몇대 남아 있나여? [1] 일뽕플러스(223.38) 22.05.10 270 1
268567 스페셜 플라이트.. laskkkk(106.101) 22.05.10 209 0
268566 보잉같이생긴 군용기 머임? ㅇ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0 216 0
268565 이스타 이거 뭐임? [1] ㅇㅇ(61.99) 22.05.10 394 0
268564 대한항공 보너스항공권 취소표 언제 풀리나요? ㅇㅇ(211.108) 22.05.10 350 0
268560 하늘에서 이상한거 찾았는데 이거아는사람?? [1] 아기천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286 1
268558 항말못) 보잉777은 웰케 잘팔리냐 [1] ㅇㅇ(1.230) 22.05.09 378 0
268557 소신여객 전차량 K1 스티커 부착 !! [1] 일뽕플러스(223.38) 22.05.09 265 2
268556 김포 어프로치 절차 바뀐다 ㅇㅇ(121.162) 22.05.09 197 2
268551 어프로치 이렇게 확 꺽는 이유가 뭐임? [1] ㅇㅇ(110.12) 22.05.09 299 0
268548 수하물 기준 궁금합니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8 141 0
268546 아시아나- 하나 준비해둬야지 KOBE(117.111) 22.05.08 178 0
268544 오늘 bx8014 모냐? ㅇㅇ(39.7) 22.05.08 191 0
268541 비행기 개시했다 [3] .소심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7 285 2
268540 케세이 조종사 철학자(112.168) 22.05.07 244 2
268539 케세이 퍼시픽 파일럿 ㅇㅇ(112.168) 22.05.07 264 2
268538 5시 비행기 공항 몇시까지 도착해야되냐 [1] ㅇㅇ(223.39) 22.05.07 190 0
268530 항공기 날개 위를 걸어간 승객 ㄷㄷ 기내식(203.251) 22.05.06 238 0
268529 탈공항 한다 [1] ㅇㅇ(223.38) 22.05.05 512 1
268524 서울공항 착륙하려는 비행기 뭘까 ㅇㅇ(49.170) 22.05.04 277 0
268522 얼마전 동네 상공을 돌던 항공기 정체 알아냄 [3] ㅇㅇ(223.39) 22.05.04 321 1
268521 이제 떠나야 할거 같다 ㅡ [1] KOBE(106.101) 22.05.04 233 0
268520 우리나라는 운전하는거보면 [2] ㅇㅇ(58.224) 22.05.04 262 12
268519 항붕이 인생 좆같다 ㅇㅇ(211.46) 22.05.04 227 0
268517 비행기 애완동물 해외운송 ㅇㅇㅇ(59.27) 22.05.03 255 0
268516 델타 프리미엄 셀렉트 타면 잘수있음? ㅇㅇ(119.222) 22.05.03 199 0
268514 가덕은 화물만 다니고 군위로 모든공항 통합가즈아 [3] ㅇㅇ(125.181) 22.05.02 364 6
268513 가덕공항 좃만한거 돈만 처 먹는거 때려치우고 거제도 신공항 건설하자 [4] ㅇㅇ(223.38) 22.05.02 431 13
268511 손가락으로 그린 가덕신공항 연결교통 노선도 두개의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1 324 0
268510 니들은 막 비행기 보면 가슴벅차고 그러냐? [3] ㅇㅇ(14.52) 22.04.30 536 10
268506 홍콩 공항 활주로 07L 공사 끝 ㅇㅇ(112.168) 22.04.29 197 0
268505 하네다 공항 환승 질문이염 [1] 도르형(219.250) 22.04.29 575 0
268501 근데 김포제주에 광동체 투입 왜함 [1] 젤렌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475 0
268500 대구공항에서타고 서울공항 내리는꿈꿨으면... 필립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8 168 0
268491 항공갤에 질문하나만 인생무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5 17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