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진퉁 빨갱이들 양심선언~?? 오스트리안이 옳았다~??

밍밍(180.70) 2024.05.18 19:36:29
조회 183 추천 0 댓글 22
														


a16130aa180ab46086ff9bf59d1bf4b134f17b5adbef924bec63e8adf96e88353335cce005eacbbb6d590685


케인즈 - 몰수의 시간.....인플레이션 조치 (인플레이션 Tax)..........인위적 인플레이션 조치 - "가격상승 - 소비축소 - Conservation 장기생존 돌입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Chapter 2


1919



Social Consequences of Changes in the Value of Money

1923


케인즈 설득논집


화폐가치 평가절하 - 구매력 절하 - 소비력 축소 조치............인플레이션 조치 - 양극화 확대 조치 - 몰수의 시간 (소비축소 인플레이션 택스)





a14028aa0e2fb45b96ff5b48ee5ae2e1c61caefae9181ef2bda393a41172e1e9d03dda27b8539cf22e835ebc55c39e70e9a71a127bad68dde12f


"의식의 흘림 기법" - 의식의 병맛? 기법, 흠 !!



1983


Marxist Theory of Crises





"과잉생산"의 위기


수익성” 이윤율 문제


호황기를 자극했던 "높은 이윤율은 하락" 저하


“낮은 실업률”이 “노동자들의 협상력”을 강화



마르크스에게 자본주의 위기"과잉생산(과잉성장 Bubble)"의 위기인데, “수익성” 있게 판매할 수 있는 것보다 너무 많은 상품이 생산되고, 이용 가능한 이익의 일부를 차지하기 위해 너무 많은 자본이 산업에 투자되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자본주의가 국내외적으로 분리되고 독립적인 소유권의 체계(개인소유권, 이윤율 추구 체제) 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번영하는 시대에는 모든 자본가가 가능한 한 많이 투자하고 생산을 늘리는데, 특히 주기적인 호황은 한 주기의 생산에서 소진되지 않아 즉시 교체할 필요가 없는 건물과 기계인 "고정자본"의 생산을 자극합니다.


좋은 때에는 새로운 고정자본을 생산에 투입하기 위해 모든 자원을 긴장시키지만, 이 자본이 생산되기 시작하면 상품들이 넘쳐나고 위기가 뒤따릅니다.


호황기에 하락하는 실업은 (호황기 버블기 고용증가 과잉고용??) 다시 상승하고, 호황기를 자극했던 높은 이윤율은 하락하고, 먼저 낮은 실업률이 노동자들의 협상력을 강화하고, 나아가 위기가 생산을 느슨하게 만들 때 발생합니다.




위기는 결국 그 타격을 입습니다.


그 결과 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에서 쫓겨나고, 그 결과 임금은 생계유지 또는 그 이하로 후퇴하며, 가장 약한, 가장 작은, 그리고 가장 덜 현대적인 공장들이 도산합니다. (구조조정, 산업합리화, 합리화 카르텔)


그러나 침체의 영향은 수익성을 되살릴 수 있게 합니다. (침체시기 실업률 증가, 임금하락, 인건비 하락, 원자재 가격 불변자본 하락 ㅡ> 기업 이윤율 증가 재개)


노동력은 낮은 임금으로 고용될 수 있고, 공장, 장비와 자재들은 살아남은 자본가들이 헐값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침체에는 새로운 회복기가 뒤따르고, 또 새로운 호황이 뒤따릅니다.


전형적으로, 호황기 동안, 자본가들 사이의 경쟁(Cut-throat Competition -과잉경쟁 약탈가격) 은 생산성 수준을 발전시키는 새로운 생산적인 기술을 자극합니다.


호황기 동안 낮은 실업률로 인한 일시적인 노동력 부족은 자본가들이 살아있는 노동에 비례하여 기계 사용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설득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따라서 이 순환의 호황기마르크스가 자본의 "집중"이라고 부르는 것을 수행합니다. (기계화 대체 혹은 기계확장 증가 -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고도화. 고정자본 (잉여가치 생산 없는 자본))


즉, 이미 설명한 불황기가 "자본의 집중"(자본집중 기업집중, 구조조정 후 독점 확대 등)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는 것처럼, 인수와 합병을 통해 자본을 더 적은 손으로 통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소비부족론 - 구매력 임금 부족론


과잉생산'은 개혁주의 이론가들이 위기 분석을 '과소소비'로 전환


마르크스가 지적”한 것처럼 “공황 경제 위기는 낮은 임금”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높은 노동 임금의 결과” 로 발생.........."이윤율 공식 상" 고임금 -> 이윤율 저하 ㅡ> 공황 경제이기 ㅇㅇ


과잉 생산되는 것의 대부분은 단순히 노동자 계층의 소비를 위한 상품이 아니라 “생산 수단”(고정자본, 기계들)


과소 소비가 위기의 원인”이라면, 위기는“ 순환적이지 않고 영구적”일 것.......1948 J. Mindel......1934 George Novak



과잉생산'은 개혁주의 이론가들이 위기 분석을 '과소소비'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노동자들이 생산한 것을 되팔기에는 너무 적은 임금을 받는다는 생각입니다.


이는 현명한 경영자와 관련 자본가들노동자들에게 더 많은 임금을 지불함으로써 그들의 사리사욕을 높이도록 설득하는 프로그램으로 이어지고, 그러면 노동자들은 더 많은 소비와 구매를 할 수 있게 되어 위기는 억제되거나 위축될 것입니다. (소비부족 구매력 부족 공황론? 프로파간다??)


그러한 이론 (구매력 부족 소비부족 공황론) 에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있습니다.


우선, “마르크스가 지적”한 것처럼 “위기는 낮은 임금”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높은 노동 임금의 결과” 로 발생합니다. (마르크스 "이윤율 수익성 공식? 상 / 실상은 고임금 탓?도 있지만 원자재가 상승 - 외생변수 요인이 더 큼 - 오일쇼크, 흉작)


또한, 자본주의 하에서 생산되고 과잉 생산되는 것의 대부분은 단순히 노동자 계층의 소비를 위한 상품이 아니라 (생산설비 ) "생산 수단" 입니다.


셋째, 대중의 과소 소비 – 편안한 생활 수준에 필요한 모든 종류의 상품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 호황과 불황 모두를 통한 자본주의 하에서의 삶의 상수입니다.


과소 소비가 위기의 원인”이라면, 공황 경제 위기는“ 순환적이지 않고 영구적”일 것입니다.







The Great Depression

Mises Institute
https://mises.org › mises-daily › great-depression


1934


Mises Institute


라이오넬 로빈스



"가격의 하락" 은 저절로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것의 발생은 근본적인 변동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 입니다.


3. 따라서 완전한 피상성의 책임에서 벗어나기 위한 경기 침체에 대한 설명은 "가격의 배후" 에 있어야 합니다.


즉, 상품의 공급이나 화폐로 표현되는 수요 중 하나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그들에게 조금이라도 정의를 내린다면, 우리는 “과잉생산의 관점” 에서 침체를 설명하는 이론들을 해석해야 합니다.


만족스럽지 않은 욕구가 어디든 남아 있는 한, 상품의 "실제적인 과잉생산이라는 의미"에서 "과잉생산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은 '매우 명백" 합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모든 제한을 통해 우울증을 치료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 대해, 이 가정적인 진실을 반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불황에 대한 대중적인 설명"에서 언급되는 "과잉생산"은 "이런 의미 (구매력 부족 소비부족 의미)" 에서 과잉생산" 이 아닙니다.


다양한 중요한 시장에서 "가격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공급을 “이윤(율)(기업 수익률)“ 을 남기고 팔 수 없다는 의미에서 ”과잉생산에 불과“ 합니다.








Voluntary and Coercive Cartels: The Case of Oil

Foundation for Economic Education
https://fee.org › articles › voluntary-and-coercive-cartel...


1987


"1920년대 후반", 1960년대 중후반, 1980년대 중반 Oil Price War~ Cut-throat Competition 발생 ㅡ> 약탈가격 Predatory pricing (Wekipedia) 발생..........기업 생산자 이윤율 붕괴, 저하 (자본효율 자본의 한계효율성 저하, 수확체감)





약탈가격predatory pricing, 掠奪價格


상품가격 하락~ "약탈가격"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결국 "소비자만 이익" 을 보기 때문에 "자유경쟁시장(??)" 에서는 본질적으로 약탈가격이 형성될 수 없다는 것이다.
(가격하락 약탈가격 ㅡ> Only 소비자만 이득?? ..........단기적 소비자만 이득 ㅇㅇ 장기적로는 이윤율 붕괴 파산 해버린 기업들 증가, 해고? 해산? 실업자화 되버린 소비자 근로자들 폭증으로 결국 장기적으로는 '소비자 대중들 기업들 자본가들 All 에브리바리~ 모두 다 죳투더망 크리 (케인즈 설득논집 1928, 1931 중)


"자유경쟁시장??.........1890년 셔먼법 경쟁촉진법 (경쟁강화법, 독점금지법, 소비자보호법- 인위적 소비확대법? ) 제정 으로 인하여 (셔먼법 유명무실한 기간도 있었지만) '자유경쟁 시장' 이라기 보담은 "강제적 법적 인위적 경쟁강화 시장? 과잉경쟁 (과잉생산 약탈가격) 강제? 유발? 촉발 시장화??


(앨리자벳 매기 사태?? 일반이론에도 나오는 경제학자 "헨리 조지" 사태시어도어 루즈벨트 정부의 카르텔 조지기, 록펠러 스탠더드 오일 해체 등 '강제적 인위적 경쟁강화 시장화 ㅇㅇ 자유시장 무슨 ???? )




Cut throat competition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 › wiki › Cut_throat_competition



See also


/National_Recovery_Administration" 





The One-Price Policy and Cut-Throat Competition

jstor

https://www.jstor.org › stable



CC James 저술 ·


1935 ·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공지 경제 갤러리 이용 안내 [230] 운영자 05.05.27 31284 13
150820 석유는 5개 파가지고 어림없고 석유공사 다 사퇴하고 노가다들을 경갤러(61.109) 06.10 22 0
150819 한국은 구한말때처럼 민초들이 천룡인들 먹여살린다고 굶게됨. 이미왔다(61.77) 06.09 50 0
150818 日히타치, 3년 내 AI 인재 5만명 육성 (msn.com) ㅇㅇ(220.120) 06.09 24 0
150817 대마도 진상 한국인들, 안에서도 샌다. ACADEMIA(119.196) 06.09 28 0
150816 "대한민국은 어떻게 일본을 뛰어넘었나~~? ㅇㅇ(1.234) 06.08 25 0
150815 소프트뱅크, 샤프 LCD공장 부지에 AI 데이터센터 추진 (msn.com ㅇㅇ(110.8) 06.08 31 0
150814 1분기 경제성장률 1.3% 나왔네ㅋㅋ ㅇㅇ(211.105) 06.08 45 0
150813 김대중이 그랬던 것처럼 이재명도 빠져나간다면... ACADEMIA(119.196) 06.07 48 0
150812 선진국 격상 레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50 0
150811 영원한 안식 뒈짖~ 그리고 성찰?의 시간, 케인즈님과 함께 [44] 밍밍(180.70) 06.07 88 0
150810 “삼성-엔비디아 통큰 결단 주목”…미국 간 이재용, 젠슨 황 만날까 (m ㅇㅇ(110.8) 06.07 33 0
150809 IMF 불러온 문어발 경영 다시 하다가 위기에 빠진 삼성 SK와 한국 ㅇㅇ(110.8) 06.06 289 0
150808 밀양 성폭행범 신상 공개에 걱정은 따로 있다. ACADEMIA(119.196) 06.06 37 0
150805 내수경제를 위해 모두 한마음이 되보는 건 어떨까요. [2] 경갤러(221.141) 06.05 71 2
150804 2030년 여성 징병을 위한 준비를 시작하자. ACADEMIA(119.196) 06.04 52 0
150803 기법이 유신박통 수준. 브랜트유니, 러샤 가스재벌이니 넘치는데, 윤통 경갤러(61.109) 06.04 43 0
150802 .2024년 05월 농협 정기예금 이자 - 3.542% 1496(58.126) 06.04 399 1
150801 서울에서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지역 순위? 경갤러(211.208) 06.04 53 0
150800 현대6차 71억 신고가 8억 상승 [2] 경갤러(211.208) 06.04 48 1
150799 세계 반도체 매출 2030년 1천650조원…6년간 두배로 증가 (msn. ㅇㅇ(110.8) 06.04 45 0
150798 52년전 석유로 사기친 무능한 독재자 박정희와 같은 길을 갈 것인가? [34] ㅇㅇ(110.8) 06.03 282 0
150797 세금 걷지 말고 ㅇㅇ(110.13) 06.03 36 0
150796 씨발 이걸 이제야 쳐 말하고 자빠졌네 이미왔다(61.77) 06.02 91 0
150795 대전시는 쇠퇴 중이고 세종시는 실패 중이다. ACADEMIA(119.196) 06.02 54 0
150794 요람에서 무덤? 까지~?? 공짜 점심은 있다~?? 밍밍(180.70) 06.02 81 0
150793 현대차 정의선 입만 열면 거짓말 한다... [1] SOSOSOS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49 1
150792 이건 무슨 신박한 개소리냐 분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523 0
150790 낚시질의 대가, 케인즈 맬서스, 격기 3반과 함께 [27] 밍밍(180.70) 06.01 104 0
150788 경제적으로 심오하고 난해한 한글을 모르는 학생을 위하여 친절하고 상 ㅇㅇ(194.5) 06.01 52 0
150787 호프집 여 알바생 몸무게 묻는 쓰레기가 늙으면... [12] ACADEMIA(119.196) 06.01 94 0
150786 “대출 없이 현찰로 아파트 쓸어담았다” 왕서방, 한국 집 5만채 보유 - ㅇㅇ(110.8) 06.01 48 0
150785 탄핵 군불 때는 생양아치 이준석... ACADEMIA(119.196) 06.01 54 0
150784 드디어 내가 작년에 했던 말 하는 유튜버 나와서 반갑긴 하다. 이미왔다(61.77) 05.31 91 0
150783 노소영 입장도 충분히 이해가 된다. 가만있으면 딴여자와 그 자식에 경갤러(61.109) 05.30 74 1
150782 "삼성, 엔비디아 AI 파티 초청 거절 당했다" ㅇㅇ(110.8) 05.30 111 0
150780 주제탐구보고서 경갤러(223.62) 05.29 66 0
150779 "항공우주산업 육성으로 방위산업 선진국 만든 김대중대통령" ㅇㅇ(110.8) 05.29 83 2
150777 서초구의 대형마트 규제 완화를 환영하며... ACADEMIA(119.196) 05.28 81 0
150775 북한 미사일의 위력 ㅎㄷㄷㄷㄷㄷㄷ 한국청년 (115.138) 05.28 73 1
150774 부산 서면 경찰들 대체 왜 이러나... ACADEMIA(119.196) 05.27 84 0
150773 "선진국 만든 김대중 이후, 대한민국 디지털 IT 의 식민지가 된 일본" ㅇㅇ(110.8) 05.27 895 0
150770 화려한 손바닥 뒤에 가려진 생양아치 흉기차 오너의 양아치 짓.. [1] SOSOSOS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02 0
150769 오픈AI, GPT-4o 전략 먹혔다…“매출 급상승 중” - 매일경제 (m ㅇㅇ(110.8) 05.25 82 0
150768 몰락한 안희정을 보니 김대중 김영삼은... ACADEMIA(119.196) 05.24 69 0
150767 일본 안보정보법 통과‥이젠 법으로 '라인' 압박? (imbc.com) ㅇㅇ(110.8) 05.24 64 0
150766 유럽 전체 뛰어넘은 중국 택갤러(47.156) 05.23 87 0
150765 달라에서 탈피해야. 택갤러(47.156) 05.23 59 0
150764 통큰 치킨과 해외 직구... ACADEMIA(119.196) 05.22 101 0
150763 펌) 배당성장형 투자와 공모주 투자법 경갤러(118.235) 05.21 72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