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사-한국완구협회 인터뷰.또봇·라바 국산 캐릭터 완구...

렛츠(14.39) 2014.03.17 15:19:04
조회 566 추천 1 댓글 2

한국완구협회 회장의 인터뷰 기사

2014.03.11

애니메이션과 연계점이 중요한 완구 산업 관련기사를 링크해봅니다.


링크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40310010004566


----------------------------



최종사진
“대형마트가 직접 완구 생산까지 뛰어드는 것은 영세한 업계 현실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이병우 한국완구협회장
<iframe id="google_ads_iframe_/28389335/Article_250x250_0" name="google_ads_iframe_/28389335/Article_250x250_0" width="250" height="250"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frameborder="0"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width: 0px; vertical-align: bottom;"></iframe>

 
아시아투데이 이훈 기자 = “국내 완구 시장은 메인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제품이 하나도 없을 정도로 열악하고, 대부분 중국산 수입에 치중하다보니 소비자들은 해외 직접구매 등을 통해 구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완구산업을 정책적으로 키우면 글로벌 시장을 호령할 업체들이 쏟아질 것입니다.” 
 
10일 경기도 군포 한국완구협회 사무실에서 만난 이병우 한국완구협회장(56)은 열악한 국내 완구 시장 상황을 안타까워하면서도 다시 성장할 수 있다고 자신감에 차 있었다. 
 
“2000년 중반 이후 국산 캐릭터 완구의 본격적인 생산으로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2000년대 초 ‘마시마로’ ‘뽀로로’ 등 캐릭터가 자리를 잡아오다 최근 ‘또봇’ ‘라바’ 등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생산 역시 단가가 점점 높아져 다시 국내로 돌아오는 업체도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고요. 뽀로로가 전세계 어린이에게 인기가 있듯이 뽀로로 캐릭터 완구도 글로벌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지난해 국내 완구 시장 규모는 약 1조5000억원으로 최근 10년 사이 2배 정도 증가했다. 레고 등 해외 글로벌 기업들이 공격적인 마케팅을 앞세워 시장을 키워 놓은 면도 있지만 국산 캐릭터 산업이 발전하면서 그 영향으로 국산 캐릭터 완구 시장도 많이 성장하고 있다. 이는 국내 콘텐츠와 연계를 잘하면 국내 기업이 글로벌 완구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이 회장은 평가했다. 
 
실제로 국내 완구 업체인 영실업의 경우 또봇 라이선싱을 통해 ‘또봇 로봇 X.Y.Z’를 제작해 일본의 파워레인저를 제치고 국내 변신로봇완구의 시장 판도를 바꾸기도 했다. 
 
“글로벌기업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힘입어 시장이 커지는 것보다는 국내 업체의 자생력으로 시장이 커져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잠재력이 있고 창의력을 가진 기업을 발굴, 육성해 활로를 찾아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 회장은 완구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에 정책산업 지정과 적합업종 지정을 요청했다. 현재 완구산업은 제조업으로 분류돼 산업통상자원부의 디자인 생활과에 보석 산업과 함께 속해있기 때문이다.  
 
“완구산업을 ‘정책산업’으로 지정해 내수는 물론 해외 수출까지 할 수 있도록 진흥정책이 필요합니다.” 
 
이 회장은 또 최근 대형마트의 완구 시장 진출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했다. 
 
“대형마트 자체브랜드(PB)제품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대형마트 내 완구매장의 직소싱 비율이 약 30%에 달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제품을 개발 생산해도 판매할 장소가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대형마트가 직접 완구 생산까지 뛰어드는 것은 영세한 업계 현실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이 회장은 국내 완구산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모든 산업이 성장하려면 기본 DB를 바탕으로 예측해 사업을 실시해야 하는데 완구 분야는 DB가 전혀 없습니다.” 
 
이를 위해 이 회장은 완구산업의 기초조사부터 모든 것을 정리해 ‘완구 산업 백서’ 발간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내 처음으로 ‘2013 완구산업 전망’이라는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적극적인 정부의 도움 없이는 절대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 모든 것이 이뤄졌을 때 국내서도 레고, 마텔 같은 글로벌 완구 기업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 회장이 언급한 마텔은 1945년 핸들러 부부에 의해 미국 캘리포니아 아파트 차고에서 인형 가구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된 회사로 68년이 지난 지금 150개국을 상대로 8억개를 판매해 약 7조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43개국에 약 3만명의 직원이 근무하며 고용창출 부문에도 기여하고 있다. 특히 1959년 탄생한 바비인형은 지금도 15초에 하나씩 판매되는 베스트셀러 인형으로 자리 잡았고, 최근 국내에 ‘겨울왕국’을 통해 인기를 얻고 있는 ‘엘사’와 ‘안나’인형도 출시해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한국완구협회를 발족해 열심히 완구 산업을 위해 뛰고 있는 이 회장은 “한국완구협회를 통해 국내 완구산업의 위상도 높이고 완구인의 자긍심을 갖도록 할 것”이라며 “캐릭터, 애니메이션 업계 등과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2013년에 생긴 한국완구협회는 완구 제조, 유통, 캐릭터 등 50개 회원사로 구성돼 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공지 한국 애니메이션 관련 그림과 내용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109] 운영자 08.07.10 26605 112
99827 팩트2) 서류상에 있는 월급여는 ㅅㅓ류의 조작해서 만든다 애갤러(106.241) 06.23 21 3
99826 팩트) 한애니는 월급도 똑바로 못준다 [1] 애갤러(118.235) 06.23 34 5
99825 애니메이션 채널에 계속 유튜버들이 나오는 이유 [3] 애갤러(106.101) 06.23 60 2
99824 사우스코리안파크도 계속 가야 할텐데 [23] 애갤러(211.235) 06.23 52 1
99823 시진핑과 티니핑 중화 좌충우돌 시리즈 언제나오는데? [3] 애갤러(106.241) 06.23 46 5
99822 그래서 쓰진핑 ㅌㅣ니핑 꼴라보 극장판 언제나오는데? 애갤러(106.241) 06.23 21 3
99821 한국 애니만 없어도 ㅈㅓ출ㅅㅏㄴ해결된다 [5] 애갤러(106.241) 06.22 81 7
99820 리얼 느그 티느그핑 게시글 댓글 800개 지운 애면 개추 ㅋㅋ [8] 애갤러(106.241) 06.22 58 7
99819 ??? : 티니핑 배급사 쇼박스가 어쩌고 저쩌고... 애갤러(106.101) 06.22 69 6
99818 티니핑 극장판 로미 프린스세스 모습 공개 ㅇㅇ(106.102) 06.22 225 8
99817 팩트) 이번에 티니핑 ost부르는 윈터도 애갤러(92.223) 06.22 61 7
99816 너희들도 아는거야... [1] 애갤러(106.101) 06.22 56 7
99815 한애니는 어차피 없어질 운명임 [1] 애갤러(106.101) 06.21 82 8
99814 팩트2) 애초에 씌찐핑이건 티니(ㅁㅣ)핑이건 애니가 아니라 상품 팔이다 [1] 애갤러(106.241) 06.21 76 7
99813 팩트)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한애니는 존재하지 않는다 [2] 애갤러(169.197) 06.21 80 8
99812 아동애니만 쳐봐서 그런가 [1] 애갤러(106.101) 06.21 93 9
99811 티니핑 극장판 로미모습 공개 [2] ㅇㅇ(117.111) 06.21 472 8
99810 뽀로로 진짜 해외에서 인기 많은거 맞냐? [3] 애갤러(175.194) 06.20 119 7
99809 시진핑이냐 티니핑이냐? 애갤러(106.241) 06.20 51 8
99808 좌파들 아니랄까봐 애갤러(220.121) 06.20 46 8
99807 느그 ㅇㅐ미핑은 저리치우고 ㅋ 애갤러(106.241) 06.20 42 7
99806 티니핑 문재인 정권 시절 프로파간다 아니냐? 애갤러(106.241) 06.20 36 2
99805 운전하면서 일본의 위대함을 느꼈다 [2] 애갤러(15.235) 06.20 71 8
99804 애니플러스 가 라프텔 최대주주 라서 그런지 [1] LMW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70 1
99803 저작권 사이트에 티니핑 극장판 정보가 올라옴(스포주의) [5] ㅇㅇ(106.102) 06.20 210 2
99802 티니핑 극장판 가수는 에스파 윈터? - 공식 인스타 [1] ㅇㅇ(106.102) 06.20 167 4
99801 지겐 다이스케 극장판 수트 캐릭 아시는분 애갤러(125.182) 06.19 39 1
99800 덕질 하고 왔다 [6] 애갤러(169.197) 06.19 126 10
99799 티니핑 극장판 8월개봉 확정 [1] ㅇㅇ(106.102) 06.19 153 5
99798 내가 잘못한거? [18] 애갤러(58.236) 06.18 164 7
99796 세미 좋아해 하면 세미@누드 좋아하는 사람 같은 ㅇㅇ 애갤러(106.241) 06.18 76 15
99795 한국 애니 보면 좋은점: [29] ㅇㅇ(218.147) 06.18 136 0
99787 디시본사 찾아가서 지목 ㅋㅋㅋㅋㅋㅋ [1] 애갤러(106.101) 06.17 128 9
99782 열네살반 영심이에 나오는 인간들 대다수가 정상이 아니네 [14] ㅇㅇ(39.116) 06.16 197 19
99780 독고탁 비둘기 합창 독고봉구 vs 스피드왕 번개 하주빈 [11] ㅇㅇ(223.39) 06.16 151 21
99778 드래곤볼은 알고보면 베지터와 프리저 닮았음 ㅇㅇ(118.235) 06.16 51 4
99777 하여간에 메 논란 다시 재점화 하는 꼴 보니 [208] 번거로운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246 3
99770 이거 뭔지 알려줘 [1] ㅇㅇ(211.234) 06.11 154 1
99769 아니 ^^ㅣ발 애니 추천 하나만 해줘봐 게이들아 애갤러(223.39) 06.11 69 2
99768 실시간 애니 추천 받는다 [1] 애갤러(223.39) 06.11 91 0
99767 한국 애니는 캐릭터 디자인 부터 병1신임 애갤러(15.235) 06.10 173 21
99766 런닝맨 이제 안하는줄 [2] ㅇㅇ(115.138) 06.10 170 1
99764 k웹툰 k게임도 다 일본애니 따라한거 아님? [3] 애갤러(23.158) 06.10 154 17
99763 한국 애니중에서 인기가 좋은거는 신비아파트와 안녕자두야 같음 [3] 성관계(49.169) 06.10 172 1
99761 티니핑 극장판 중국버전 포스트 [1] ㅇㅇ(58.29) 06.09 219 3
99760 지금 북괴 오물풍선때문에 난리인데 [3] 애갤러(106.101) 06.09 164 10
99753 알리익스프레스 근황 [2] 애갤러(106.101) 06.05 226 2
99752 요즘 중딩 헤으응 ㅇㅇ(108.181) 06.05 152 1
99751 나루타루 후유증 심하고 멘붕온다고 해서 보려고 하는데 [4] 애갤러(104.28) 06.04 13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