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초미세공정 독자 개발..모바일에서 작성

%%%%(117.111) 2024.03.16 17:09:52
조회 123 추천 0 댓글 1
														
7fed8225b5d068a33dead2e143877c38d168de7e8fb76fc23b2ccee6954fc7ea38c4ab5046d1604460372a548fadf3

28bed676e3826ca26fba84b61482766e73c37f5bd16aac9cc78c27175b079c9f1761557ec7688e63cae677594c704ade

7be88423e48460a438ed86e413d3703c57c69b28da5e706f3a78701877691e19d16830c59fe0992e369cce7a0dd8cb

2cbe8772b1856ca03ee98fed4089733e6f9dead44de55203d8920b140e4c52e269079944162674f19779cdf7ccf886

7fbed227bc8b3ca43eeb8eb040d27d6eca96d5749da3b04fd128fde38b84efd7409a86633b0fbb4a1bf7340633f22d

2cea8277b0823ef46ce987e54780726e87cbfca69a73e6c0b1d3863df320a4aa26198c5f97fdb509df0fee36453a36

2cecd625e4d739f439ef8fb04089226d83d405c0ea06d247eceeb3c14379e08bf38997a79a27016140a04beae52fbc

7ee5d370b48b6ca23eee80e34389756503415bc5bbb5de71b6c16d77e2f4d921d9d207ce125a3c8288cf4073a785c4f68c9b9eef39

7bb98972b2843ef137b9d5e54187213e58215b208d399d250abfa6e87bde190fd213ec975ae9242af8ff917b9d23a9

2ee88473b68a3cff6cbd8eb442857c6c7b7444460806194514af44de9f4baf5d89a69adb4870e1b6f30d6b43fb15f8

24b3c32fe2da2c9968efddb432c4721170a79ac77b5e1f78ac9e68c53e4da27e7e480f

파운드리 초강수 둔 인텔의 '아슬아슬한 123조 머니게임'

[이슈진단+] 'IDM 2.0' 선언 3년, 인텔의 행보는 ②

권봉석 기자
입력 :2024/03/15 16:54    수정: 2024/03/16 14:53


URL

세계 최대 반도체종합기업(IDM), 인텔의 행보가 매섭습니다. 잠시 인텔을 떠났다 2021년 초 돌아온 팻 겔싱어 CEO가 'IDM 2.0' 전략 아래 수백억 달러에 이르는 막대한 투자를 집행하며 체질개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텔은 동북아 지역에 편중된 반도체 생산 역량을 미국과 유럽으로 분산하겠다는 목표 아래 미국과 독일 등 여러 지역에 신규 반도체 생산시설을 연이어 세우고 있습니다. 또 인텔은 그동안 뒤처진 미세공정에서도 역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텔의 IDM 2.0 전략은 향후 세계 반도체 시장은 물론 반도체를 먹거리로 삼은 한국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입니다. 이제는 국내 반도체 업계도 과거 3년간 인텔의 행보를 복기하고 향후 변화할 지형에 대비해야 합니다. [편집자주]
2010년대 이후 전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삼성전자)과 대만(TSMC) 등 아시아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70%를 넘어섰다. 특히 미국내 팹(Fab, 반도체 생산시설)은 5나노급 이하 초미세공정에서 TSMC와 삼성전자 대비 절대 열세에 있다.

글로벌파운드리는 2008년 AMD 분사 이후 10나노급 이하 초미세공정 독자 개발에 실패했다. (사진=글로벌파운드리)

2008년 AMD에서 분사한 글로벌파운드리는 2014년 삼성전자에서 14나노급 핀펫(FinFET) 공정 라이선스를 제공받아 이를 12나노 공정으로 개정했다. 그러나 10나노급 이하 초미세공정 독자 개발에는 사실상 실패했다.

경기도 평택시 소재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진=삼성전자)

현재 애플, 엔비디아, 퀄컴 등 미국 내 주요 팹리스 반도체 기업은 대만 TSMC와 삼성전자의 생산 역량에 의존하고 있다. 심지어 AMD도 글로벌파운드리의 12나노 공정에서 주요 제품을 생산했지만 PPAC(전력/성능/면적/비용)에 실망해 2019년 이후 TSMC로 돌아섰다.

■ 인텔 'IDM 2.0', TSMC·삼성전자 약점 파고 들다

반면 TSMC와 삼성전자 모두 '세계를 위한 팹'으로 나아가기 힘든 원초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TSMC는 대만 타이중 지역에 막대한 시설투자로 거대한 팹(반도체 생산시설)을 구축했다.

3나노급 반도체 생산 역량을 갖춘 대만 TSMC 팹 18(Fab 18). (사진=TSMC)

그러나 이 지역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해 지진으로 인한 정전과 생산 중단 등을 한 해에도 여러 차례 겪고 있다. 여기에 TSMC가 위치한 대만은 중국과, 삼성전자가 위치한 한국은 북한과 군사적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두 나라 중 한 곳에서라도 군사적 충돌이 발생한다면 전세계의 첨단 산업은 하루 아침에 멈춰설 수 있다. 팻 겔싱어 인텔 CEO가 2021년 취임하며 내세운 'IDM 2.0' 전략은 이런 지리학적 허점을 파고든 것이다.

■ 외부 고객사 제품 생산 위해 미국·유럽에 신규 팹 건설

인텔 IDM(종합반도체기업) 2.0 전략은 크게 ▲ 핵심 제품 자체 생산 ▲ 일부 제품은 외부 파운드리도 활용 ▲ 내부 파운드리를 외부 고객사에 개방 등 세 개로 요약된다.

인텔의 IDM 2.0 전략 실현을 위해 내부 제조 역량을 외부 고객사에 개방할 필요가 있다. (자료=인텔)

이를 위해 ① 3나노급 이하 초미세공정 확보(관련기사 참조) ② 신규 생산 역량 확보가 필요하다.
인텔은 대부분의 제품을 내부에서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지만 앞으로는 외부 고객사 제품도 생산해야 한다.

인텔 애로레이크 프로세서. 인텔 20A 공정을 이용해 생산 예정이다. (자료=인텔)

인텔의 목표는 현재까지 상대적으로 소외된 미국과 유럽 지역에 대규모 시설투자를 통해 신규 팹을 늘리는 것이다. 이들 신규 팹은 2.0나노급 '인텔 20A' 등 초미세공정 제품 생산을 목표로 한다.
팻 겔싱어 인텔 CEO는 지난 2월 말 '인텔 파운드리 다이렉트 커넥트' 행사에서 "향후 전세계 반도체 생산 비중을 미국·유럽 50%, 아시아 50%로 재편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미국·유럽에 초미세공정 팹 연이어 확장

인텔의 파운드리 확장 전략은 '머니 게임'으로 요약된다. 경쟁사 대비 뒤처진 규모를 대규모 투자로 가능한 한 빠른 시일 안에 따라잡겠다는 것이다.

아일랜드 레익슬립(Leixlip) 소재 인텔 팹34 클린룸 (사진=인텔)

인텔은 지난 2019년부터 3년간 아일랜드 레익슬립에 EUV(극자외선) 기반 인텔 4 공정 제품 생산을 위한 '팹34'를 건립했다. 현재 이 시설에서는 코어 울트라(메테오레이크)의 CPU에 해당하는 컴퓨트 타일을 생산중이다.

인텔이 미국 오하이오 주에 건립할 새로운 반도체 생산 시설 조감도. (사진=인텔)

이에 더해 2022년 1월에는 미국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시에 인텔 18A 등 초미세공정용 팹 신규 건립을 위해 총 200억 달러(약 23조 8천500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같은 해 3월에는 독일 마그데부르크에 2027년부터 가동될 1.4나노급 '인텔 14A' 이하 공정 생산을 담당할 신규 팹 건설에 총 170억 유로(약 23조 2천800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인텔 독일 마그데부르크 반도체 생산 시설 조감도. (사진=인텔)

이미 가동중인 아일랜드 레익슬립 소재 '팹34'도 향후 수요 증가에 대비해 생산시설 규모를 2배로 늘릴 예정이다. 여기에만 총 120억 유로(약 16조 4천360억원)가 투입된다.

■ 인텔의 '123조 머니게임', 재원 조달이 문제

2022년 이후 인텔이 미국 오하이오, 독일 마그데부르크, 아일랜드 레익슬립 등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비용은 모두 625억 달러(약 77조 8천440억원)다. 또 애리조나 주 챈들러 소재 생산시설 확충에도 300억 달러(약 39조원)가 들어간다.
이를 모두 합치면 930억 달러(약 123조 6천528억원)로 지난 해 인텔 전체 매출(542억 달러, 약 72조 697억원)의 두 배에 가깝다. 해당 투자가 한꺼번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해도 인텔 독자적으로 모든 비용을 조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텔이 2022년 8월 캐나다 브룩필드자산운용과 체결한 SCIP 개요도. (사진=인텔)

실제로 인텔은 2022년 8월 미국 애리조나 주 챈들러 소재 생산시설 추가 건립에 필요한 300억 달러(약 39조원) 비용 중 절반인 150억 달러를 캐나다 소재 투자그룹인 브룩필드자산운용에서 조달했다.

■ 각국 정부 보조금 지연에 시설 완공 계획도 차질

인텔은 파운드리 시설 확장을 위해 미국과 EU(유럽연합) 등 각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보조금에도 적지 않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금 집행 시기가 지연되며 시설 확장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것도 문제다.

인텔은 최초 발표 후 1년 3개월이 지난 2023년 6월에야 독일 정부와 보조금 규모에 합의했다. (사진=인텔)

일례로 미국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시 소재 팹 완공시기는 2025년에서 2026년으로, 또 2027년으로 연기된 상태다. 또 마그데부르크 신규 팹 보조금 규모도 독일 정부와 몇 차례 줄다리기 끝에 지난 해 6월에야 확정됐다.

■ 외부 고객사 IP 보호 위해 올해 조직 개편 예고

인텔 파운드리가 외부 고객사를 유치하려면 생산 역량 확충과 초미세공정 기술력 이외에 외부 고객사의 IP 보호 방안도 갖춰야 한다.

TSMC 반도체 팹(사진=TSMC)

대만 TSMC는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는 기치 아래 오직 반도체 위탁생산에 전념한다. 반면 인텔은 제온·코어 등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외부 고객사의 IP가 향후 인텔 자체 제품에 유입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가능하다.

ADVERTISEMENT

인텔은 이런 이해 충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내부 조직 개편을 예고한 상태다. 기존 IFS(인텔 파운드리 서비스)를 공정·기술 개발, 글로벌 제조 및 공급망과 내부·외부 제품 생산까지 책임지는 '인텔 파운드리 그룹'으로 격상하기로 했다.

팻 겔싱어 인텔 CEO는 인텔 내부 조직의 이분화를 예고했다. (사진=인텔)

팻 겔싱어 인텔 CEO는 지난 2월 말 '인텔 파운드리 다이렉트 커넥트' 질의응답에서 "파운드리·프로덕트 그룹 사이에는 분명한 선이 있으며 올해 안에 인텔 파운드리를 독립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봉석 기자  기자 페이지 구독

인텔 인텔 파운드리 팻 겔싱어 삼성전자 TSMC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로스쿨 합격, 하나로 잇다! 1타 유닛 패키지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공지 광운대 갤러리 이용 안내 [10] 운영자 21.02.25 3647 1
공지 광운대 캠퍼스 궁금한 늅늅이들을 위해서 잉여력 발산 -1 [41] 티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0 38714 49
공지 광운대 캠퍼스 궁금한 늅늅이들을 위해서 잉여력 발산 -2 [41] 티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2970 29
공지 ★☆ 광운대 주변 음식점 & 카페 정리 (11.01.25) ☆★ [100] ;ㅅ;(128.134) 11.01.25 36058 125
150590 채주형 교수님 랩실 광갤러(1.224) 11:07 12 0
150589 상위권대학기준 광갤러(118.235) 10:49 15 0
150588 공대 2티어 한양 광운 성균관 서강 까지 광갤러(221.144) 06.23 28 0
150587 반도체 설계 솔루션? %(117.111) 06.23 61 1
150586 "괜찮아요" 안 괜찮은데 괜찮은 척하는 사람들의 심리 %(117.111) 06.23 27 0
150585 휴대폰이 보관돼 있던 금고를 훔친 용의자의 몽타주, 증거물 휴대폰? %(117.111) 06.23 108 0
150584 광운대학교 김수환 ㅋㅋ ㅇㅇ(175.114) 06.23 35 0
150583 국수영 사탐ㅣ 앉은뱅이 전형간 서열 광갤러(223.38) 06.22 30 3
150581 배터리사 'SK온 구하기' 시나리오만 10여개.. %(211.36) 06.22 79 0
150580 윤도영 2024 대학 순위 [6] ㅇㅇ(211.36) 06.22 123 3
150578 중복 투자가 많았거나 실적이 부진한? 배터리, 에너지 바이오 분야? %(211.36) 06.21 73 0
150577 “이젠 해법을 얘기해봐”... [1] %(211.36) 06.21 57 0
150576 2016년부터 KF-21 AESA 레이다 개발에 참여했다. %(211.36) 06.21 46 0
150575 2025년 2나노 반도체 양산을 목표로 두고 있다. %(211.36) 06.21 39 0
150574 생산 능력에 한계가 나타난 이유는 지난 수년간 전 세계 조선소가 줄어든 %(117.111) 06.19 53 0
150573 [마감임박] 1만6천원 받아가세요 모바일 접속 간단가입(118.128) 06.17 29 0
150572 무제 %(211.36) 06.16 45 0
150571 주식워런트증권의 거래도입이 기초자산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2007 %(211.36) 06.16 35 0
150570 정체성이야말로 최고의 예술이고, 우리 모두가 자신만의 붓을 손에 들고 있 [2] %(211.36) 06.16 86 0
150569 대통령님이라도 거짓 정보에 휘둘리지 않아야 합니다. [3] %(211.36) 06.16 110 0
150568 정보융합학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55 0
150567 정시 이정도면 공대 ㄱㄴ? [2] 광갤러(118.235) 06.16 84 0
150566 광운대 시립대 공대 비교 해서 진학선택 광갤러(115.86) 06.15 128 3
150565 아파트를 지을 때 주로 쓰이는 철근 수요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어서다 %(211.36) 06.14 49 0
150564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여전히 고객사의 피드백을 받아 프로세스를 [5] %(211.36) 06.14 89 0
150563 HBM 시장이 본격 열리면서 테스트 장비와 부품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1] %(211.36) 06.14 99 1
150562 사실 현대차그룹 내 가장 큰 고민은 '점점 늦춰지는 전동화 생태계에.. [7] %(211.36) 06.14 103 0
150561 자체 칩 개발에 뛰어든.. [4] %(211.36) 06.14 86 0
150560 새 협력사를 찾고 있다. 새로운 업체의 식각 기술력도 변수다. %(211.36) 06.14 123 0
150559 6년 후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이 2배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입니다. [2] %(211.36) 06.14 74 0
150558 슈퍼 마이크로는 월가의 대표적 AI 서버 전문업체로, AI 특수를 가장 [2] %(211.36) 06.14 88 0
150557 산유국들의 설비증강과 석유 카르텔의 통제력 상실로 과잉생산이 우려된다는 %(211.36) 06.14 46 0
150556 고성능 순수 전기차 60만대분에 해당하는 양이다. %(211.36) 06.14 49 0
150555 “AI 알고리즘을 이용해 레이더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211.36) 06.14 40 0
150554 매출 비중 1, 2위 애플과 엔비디아의 주문이 급증하면서 최근 호실적을 %(211.36) 06.14 77 0
150553 운전에 필요한 모든 정보, %(211.36) 06.14 57 0
150552 '죽어야 사는 남자'? %(211.36) 06.14 32 0
150551 중동의 석유화학 시설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문을 연다. [11] %(211.36) 06.14 140 0
150550 글로벌 인공지능(AI) 열풍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부족이 이어 [4] %(211.36) 06.14 73 0
150549 “세계는 기술 전쟁 중… R&D 전략 오판은 치명적” %(211.36) 06.14 43 0
150548 삼성전자는 AI 칩셋 발주에서 TSMC에게 ‘뒷전’으로 밀린 업체들을 공 [3] %(211.36) 06.14 84 0
150547 엔비디아의 독점 때문에 AI 반도체 가격이 치솟자, [4] %(211.36) 06.14 69 0
150546 볼보가 생산 공장 이전을 결정한 이유는 관세 정책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 [6] %(211.36) 06.14 62 0
150545 세계 최고 수준의 고밀집 인터페이스 연구에 도전할 계획이다.  [5] %(211.36) 06.14 76 0
150544 2024메가스터디 배치표 [광-명-상-한-가] 미대입시(211.50) 06.13 107 2
150543 차세대 통신 기술 전망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술·서비스 방안도 논의했다고 %(117.111) 06.12 5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