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지난해 7월 알렉산더 이튼 영국 케임브리지대 양자물질그룹 연구원의 연구팀모바일에서 작성

%(211.36) 2024.05.05 13:54:43
조회 71 추천 0 댓글 0
														
2fbe867fb58b60f43ae98fb01082253f95b9a47d3a39c9dc49d1ac47156883aed71f5474469ca657060b073b35570e615e3d2b5822


中, 꿈의 '상온 초전도체' 찾는 연구시설 본격 가동

2024.05.05 08:00
가 가

<img alt='중국 베이징에 있는 ′종합극한조건 사용자시설(SECUF)′의 모습이다. 중국과학원 물리학연구소 제공.' src='https://image.dongascience.com/Photo/2024/04/bc690982469ef3ab8dee6223978f03d6.jpg' style='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top; font-size: 1.9rem; line-height: 1.7; max-width: 100%; height: auto;'>

중국 베이징에 있는 '종합극한조건 사용자시설(SECUF)'의 모습이다. 중국과학원 물리학연구소 제공.

중국이 새로운 초전도체를 발견하기 위해 천문학적인 자금을 투입한 시설을 운영한다. 극한의 온도와 압력에서 초전도체를 시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지금껏 규명되지 않은 메커니즘을 확인한다. 다른 시설이 구현할 수 없는 조건에서의 실험은 차별화된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계 ‘꿈의 물질’이라 불리는 상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찾는 경쟁에서 중국이 한발 앞서 나가게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 화이러우구에 조성된 주요 국립 과학시설인 ‘종합극한조건 사용자시설(SECUF)’의 연구자들은 2억2000만달러(약 3028억9600만원) 규모의 시설을 사용해 극한의 자기장, 압력, 온도로 물질의 한계를 실험하고 정밀한 해상도로 관찰하고 있다. 22개 실험실로 이뤄진 이 시설은 1년간의 시범 운영 기간을 거친 후 작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iframe id="aswift_1" name="aswift_1" browsingtopics="true" sandbox="allow-forms allow-popups allow-popups-to-escape-sandbox allow-same-origin allow-s allow-top-navigation-by-user-activation" width="570" height="143" frame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vspace="0" hspace="0" allowtransparency="true" scrolling="no" allow="attribution-reporting; run-ad-auction" src="https://googleads.g.doubleclick.net/pagead/ads?gdpr=0&client=ca-pub-8747961643354099&output=html&h=143&slotname=9385137403&adk=1399291482&adf=3286636650&pi=t.ma~as.9385137403&w=570&abgtt=6&fwrn=4&lmt=1714884771&rafmt=11&format=570x143&url=https%3A%2F%2Fm.dongascience.com%2Fnews.php%3Fidx%3D65177&wgl=1&uach=WyJBbmRyb2lkIiwiMTEuMC4wIiwiIiwiU00tVDI5NU4iLCIxMjQuMC42MzY3LjExMyIsbnVsbCwwLG51bGwsIiIsW1siQ2hyb21pdW0iLCIxMjQuMC42MzY3LjExMyJdLFsiR29vZ2xlIENocm9tZSIsIjEyNC4wLjYzNjcuMTEzIl0sWyJOb3QtQS5CcmFuZCIsIjk5LjAuMC4wIl1dLDBd&dt=1714884776540&bpp=14&bdt=5362&idt=15&shv=r20240501&mjsv=m202404300101&ptt=9&saldr=aa&abxe=1&cookie=ID%3D09548dd1a0a9b999%3AT%3D1710231585%3ART%3D1714884020%3AS%3DALNI_MaLZ_aUpYpbjMiUfzDp1mfWfjtZrQ&gpic=UID%3D00000d35044f502e%3AT%3D1710231585%3ART%3D1714884020%3AS%3DALNI_MZy9yCh9ap06SDWab_8qsSmJEvh_w&eo_id_str=ID%3D94b649def9357c15%3AT%3D1710231585%3ART%3D1714884020%3AS%3DAA-AfjbY-FrcOvnsM90lkyRxjkRa&prev_fmts=0x0&nras=1&correlator=7763999770402&frm=20&pv=1&ga_vid=2038018927.1710231579&ga_sid=1714884774&ga_hid=1102406133&ga_fc=1&rplot=4&u_tz=540&u_his=3&u_h=962&u_w=601&u_ah=962&u_aw=601&u_cd=24&u_sd=1.331&dmc=2&adx=16&ady=1144&biw=602&bih=795&scr_x=0&scr_y=0&eid=44759876%2C44759927%2C44759837%2C42531644%2C42532524%2C95331696%2C95331982%2C95330887%2C95331042%2C95332402%2C31078663%2C31078665%2C31078668%2C31078670&oid=2&pvsid=237819668703311&tmod=44868658&uas=3&nvt=1&ref=https%3A%2F%2Fwww.google.com%2F&fc=1920&brdim=0%2C0%2C0%2C0%2C601%2C0%2C601%2C794%2C602%2C795&vis=1&rsz=%7C%7Cebr%7C&abl=CS&pfx=0&fu=128&bc=31&bz=1&td=1&psd=W251bGwsbnVsbCxudWxsLDNd&nt=1&ifi=2&uci=a!2&btvi=1&fsb=1&dtd=123" data-google-container-id="a!2" tabindex="0" title="Advertisement" aria-label="Advertisement" data-google-query-id="CKnmitDb9YUDFVnGFgUdTk8CHA" data-load-complete="true" style="font-size: 1.9rem; line-height: 1.7; left: 0px; position: absolute; top: 0px; border-width: 0px; border-style: initial; width: 570px; height: 143px;"></iframe>

시설의 목표는 상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찾는 것이다. 특정 온도 이하에서 갑자기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체는 전기저항을 없애는 데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어 전기‧전자 분야에서 사용처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기존 초전도체는 극저온이나 초고압에서만 초전도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상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가 있다면 실생활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돼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물질을 찾는 시도는 그간 실패로 돌아갔다.

이론상으로만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상온 초전도체가 다시 국제학계의 관심을 받게 된 것은 지난 8월 한국 연구진이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을 찾았다고 주장하면서다. 당시 고려대 창업기업인 퀀텀에너지연구소 연구진은 30도 상온 환경에서 초전도성이 나타나는 물질인 ‘LK-99’를 발견했다고 주장했지만 이후 국내외에서 이뤄진 재현 실험에선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후 LK-99를 둘러싼 논란은 다소 잠잠해졌지만 상온 초전도체를 발견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에는 본격적으로 불이 붙었다.

초전도체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찾기 위한 중국의 SECUF에는 첨단 기술로 무장한 실험장비들이 구비됐다. SECUF에서 근무하는 진광 청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IOP) 교수는 6면에 엄청난 압력을 가해 물질을 압착하는 장치인 '큐빅 앤빌 셀'과 두 개의 초전도 자석, 헬륨 냉각 시스템이 있는 실험실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큐빅 앤빌 셀은 물질의 다양한 전자적 특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청 교수는 "다이아몬드 앤빌 등 기존의 고압 장치는 머리카락 굵기 정도의 샘플을 수용할 수 있지만 SECUF의 큐빅 앤빌 셀은 더 큰 크기의 샘플을 압축할 수 있어 전자적 특성을 더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청 교수 연구팀은 큐빅 앤빌 셀을 사용해 희귀 자성 초전도체와 망간 기반 초전도체 등 몇 가지 초전도체들을 발견한 연구 결과를 2022년 5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하기도 했다.

루이 저우 IOP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초저온 상태와 초전도 자석을 결합한 실험실을 설치해 핵자기공명(NMR) 분광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NMR은 높은 자기장에서 원자핵의 행동을 추적한다. 195.8도 이상에서 작동하는 고온 초전도체의 기반이 되는 구조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SECUF의 자석은 미국 국립 고자기장연구소(NHMFL)에 있는 45테슬라(T·자속밀도의 단위)의 부분 초전도 자석이나 프랑스 국립강도자기장연구소의 37T 저항성 자석처럼 작동에 많은 전력이 필요한 자석들보다 약한 26T의 자기장을 만들어 낸다. 저우 연구원은 "SECUF의 자석은 훨씬 적은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최대 한 달 동안 안정적으로 자기장을 유지할 수 있다"며 "연구자들은 동일한 샘플로 더 긴 시간 동안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IOP 소속이 아닌 중국의 연구자들도 SECUF에서 여러 기기를 사용해 연구하고 있다. 광한 카오 중국 저장대 물리학과 교수는 큐빅 앤빌 셀을 사용해 물질에 고압을 가했을 때 초전도 현상과 관련된 특징을 발견했다. 크로뮴 기반 물질에 높은 압력을 가했을 때 초전도 현상의 징후가 확인됐다. 물질의 자기적 특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카오 교수 연구팀은 "한 장소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물질을 측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더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해외 학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지난해 7월 알렉산더 이튼 영국 케임브리지대 양자물질그룹 연구원의 연구팀은 2주 동안 SECUF의 극저온에서 30T 초전도 자석과 20T 초전도 자석을 둔 실험실을 사용해 '우라늄 디텔루라이드3'이라는 특이한 초전도체가 가진 전자적 특성을 밝혀냈다. 이튼 연구원은 사용한 실험실에 대해 "하고 싶었던 실험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라고 말했다.

SECUF에선 초전도 현상에 대한 연구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초고속 레이저를 사용해 반도체의 특성을 연구하고 또 다른 연구자들은 파악하기 어려운 물질의 양자 상태를 추적하고 있다.

청 교수는 "SECUF가 국내 및 해외 연구자 모두에게 개방돼 있다"며 "하지만 올해는 실험실을 사용할 연구자에게 더 많은 시간을 주기 위해 선발 과정을 더 엄격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알리 반구라 NHMFL 사용자기술지원장은 "SECUF는 단일 장소에서 측정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하며 획기적인 발견 가능성을 크게 높인다"며 "전 세계의 연구자들이 SECUF를 이용하고 있지만 중국이 SECUF로 상온 초전도를 찾는 데 있어 다른 나라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태그 뉴스


<img src='https://image.dongascience.com/Photo/2024/03/1709798385429.jpg' alt='과학기술 한국 제친 중국…'해외 젊은인재' 유인에 돈 풀었다' style='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top; width: 140px; height: auto; min-height: 100%;'>
과학기술 한국 제친 중국…'해외 젊은인재' 유인에 돈 풀었다

<img src='https://image.dongascience.com/Photo/2024/01/17066824914002.jpg' alt='중국·사우디 수학자들, '인용 카르텔'로 인용수 높였나…학계 파장' style='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top; width: 140px; height: auto; min-height: 100%;'>
중국·사우디 수학자들, '인용 카르텔'로 인용수 높였나…학계 파장

<img src='https://image.dongascience.com/Photo/2024/01/17056326656146.jpg' alt='' 中,='' 코로나19='' 발생='' 발표='' 2주='' 전='' 바이러스='' 존재='' 알았다''='' style='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top; width: 140px; height: auto; min-height: 100%;'>
"中, 코로나19 발생 발표 2주 전 바이러스 존재 알았다"

<img src='https://image.dongascience.com/Photo/2024/01/17055411591339.jpg' alt='中 연구진 '치사율 100%' 코로나바이러스 만들었다' style='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top; width: 140px; height: auto; min-height: 100%;'>
中 연구진 '치사율 100%' 코로나바이러스 만들었다
#중국#초전도#초전도체#SECUF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50433 서강대서 '퀄컴 이노베이션 어워드' 개최…3년간 100명..2016 %(211.36) 05.13 76 0
150432 삼성메디슨이 사실상 첫 인수합병(M&A)..프랑스 소재, Sonio.. %(211.36) 05.13 157 0
150431 애플과 포항공대(포스텍)가 손을 잡고 대학 안에 세웠다. %(211.36) 05.13 146 0
150430 “미국의 송전 인프라 대부분은 1950~1960년대에 건설됐다” [1] %(211.36) 05.13 130 0
150429 간단 검색으로 부품 식별이 어렵거나, 희망하는 차종 정보가 없을 경우.. %(211.36) 05.13 81 0
150428 중견련 부회장이 직무대행, 부회장? 부해장??????????? [1] %(211.36) 05.13 102 0
150427 신제품 개발 단계부터 부품 원가를 사전에 예측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211.36) 05.13 84 0
150426 김박사넷, [2] %(211.36) 05.13 124 0
150425 소프트뱅크는 TSMC와 생산 계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1] %(211.36) 05.13 125 0
150424 최면 관련 범죄, 또는 관련 피해.... 언론기사를 접해보시는것이.... [2] %(211.36) 05.13 91 0
150423 이 때문에 미국은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동맹의 자본과 기술을 끌어들여 [7] %(211.36) 05.13 104 0
150422 ‘약 7만5340㎡ 면적 처리시설 설치…’매립 처리 계획’........ %(211.36) 05.13 68 0
150421 [차세대 유니콘](31) 글로벌 생성형 AI 4위 오른 ‘라이너’.. %(211.36) 05.13 77 0
150420 로봇기업 지분 투자·M&A도 검토, 로봇 전문인력 태부족.. %(211.36) 05.12 127 0
150419 국민대, 과기정통부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 선정 %(211.36) 05.12 69 0
150418 속도보다 방향… SK, 반도체·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그린 에너지 [1] %(211.36) 05.12 89 0
150417 네이버가 보유한 A홀딩스 지분 일부를 7월 초까지 사들이겠다고, [6] %(211.36) 05.12 105 0
150416 고려아연, 송도에 2000억 들여 R&D센터 세운다 %(211.36) 05.12 114 0
150415 [단독]'자이' 어떻게 생각하세요?…이미지 타격에 브랜드 리뉴얼 검토 [1] %(211.36) 05.12 111 0
150414 삼성전자가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한 포석을 두었다는 분석 %(211.36) 05.12 93 0
150413 제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고 R&D 투자 확대 %(211.36) 05.12 69 0
150412 the Ukrainian military says.. [13] %(211.36) 05.12 84 0
150411 급하게 성남에서 택시타고 가천대 가는데 광갤러(223.38) 05.12 58 0
150410 SK하이닉스 측은 로이터를 통해 화웨이가 규제 대상에 포함된 뒤에는.. [1] %(211.36) 05.12 90 0
150409 “AI의 발전으로 테크 산업이 가장 중요한 변곡점에 도달한 지금, %(211.36) 05.12 61 0
150408 동북 4구, 구리시, 오산시 등 여러 지역 내 10개가 넘는 거점 센터들 [1] %(211.36) 05.12 159 0
150407 GH·양주시, '양주·광운 첨단IT융합연구소' 설립 MOU 체결 %(211.36) 05.12 69 0
150406 ● 가천대 , 대기업 취업 현황 광갤러(61.79) 05.12 60 1
150405 이공계 전공자의 ‘경제-경영인증제’, 인문계 전공자의 ‘IT인증제’ %(117.111) 05.12 69 0
150404 왜 계속 가천대만 깝침???? ㅇㅇ(223.38) 05.11 68 3
150403 4264t 규모 플랜트 모듈이 베트남에서 미국으로 운송되고 있다. [1] %(117.111) 05.10 88 0
150402 11 ㅇㅇ(211.176) 05.09 54 0
150401 GAA는 트랜지스터의 채널과 게이트가 4면에서 맞닿게 하는 기술로, [2] %(117.111) 05.08 150 0
150400 대만 R&D 센터 설립, 3㎚ 이하 개발 역량..첨단 패키징 설계 기술. %(117.111) 05.08 88 0
150399 ‘패스트트랙 사건’ 검찰이 직접 수사…강제수사 돌입하나? %(117.111) 05.08 89 0
150398 사건발생시?????????? %(117.111) 05.08 51 0
150397 2024년 6월 3일(월)부터 인터넷 방화벽 정책을 변경할 예정입니다. %(117.111) 05.08 75 0
150396 "AMD, 엔비디아보다 AI 수혜 더 클 수도" %(106.102) 05.08 124 0
150395 “SW교육 핵심은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면서 알고리즘을 배우는 데 있다" %(106.102) 05.08 69 0
150394 개방형 OS PC 환경이 갖고 있는 `시장 딜레마` 문제를 해결한다. [1] %(106.102) 05.08 99 0
150393 ☞운영체제(Operating System·OS), 소프트웨어 생태계. [1] %(106.102) 05.08 135 0
150392 경상남도 사천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106.102) 05.08 102 0
150391 내년도 공급까지 계약이 끝날 정도로 필수 AI 메모리로 부상했다. %(106.102) 05.08 59 0
150390 나스닥 5대 빅테크가 모두 자체 AI 칩 개발에 나서.. [4] %(106.102) 05.07 126 0
150389 AI는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결코 AI가 거짓말을 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 [1] %(106.102) 05.07 109 0
150388 최근 수 년간 이 사이클은 무너졌고, 새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3] %(106.102) 05.07 109 0
150387 언제까지 끌어안은 채..?, 그렇다고 당장 전부 새로운 기술로? [7] %(106.102) 05.07 202 0
150385 미국뿐 아니라 중국 공군 역시 무인 무기 보유에 속도를 내는 상황이다. %(106.102) 05.07 55 0
150384 [전문가 칼럼] 차세대통신 6G 미래상과 7대 기술 목표 %(106.102) 05.07 120 0
150383 “전면 재시공 결론을 내렸다는 것은 어떻게든 입주민들 피해가 없게, %(106.102) 05.07 15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