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로봇기업 지분 투자·M&A도 검토, 로봇 전문인력 태부족..모바일에서 작성

%(211.36) 2024.05.12 23:58:32
조회 142 추천 0 댓글 0
														
7fed8272b58769f43fe784e44386776cecc3b8f874c08edf4c62d7b4f203ce029bcecd03




서울대 찾은 삼성 브레인들, 로봇 인재 수혈에 팔 걷었다[삼성전자 로봇사업 재편]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12 18:21

수정 2024.05.12 18:21
장민권 기자

글자 크게글자 작게공유
두차례 특강·채용 상담 "인재 선점"

로봇 전문인력 태부족에 적극 행보

SAIT·SR은 로봇 협력시스템 구축

로봇기업 지분 투자·M&A도 검토
삼성전자가 핵심 개발인력을 로봇 분야에 집중시키는 데 전사적 역량을 투입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삼성전자 연구개발(R&D) 핵심 인력들을 대거 로봇사업으로 재배치한 데 이어 대외 인재 수혈에도 적극 나서는 행보가 뚜렷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내부적으로 미래 기술개발의 투톱인 SAIT(옛 종합기술원)와 삼성리서치(SR)가 로봇 분야에서는 긴밀한 협력시스템을 구축한 것으로도 파악된다.
■로봇인재 태부족, 삼성 팔 걷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로봇 제조 등을 담당하는 생산기술연구소와 SR 로봇센터의 엔지니어들은 지난 2일과 9일 두 차례에 걸쳐 서울대에서 로봇 개발자 특강을 했다. 삼성전자의 로봇 개발자들이 직접 서울대 강연에 나선 건 처음이다. 생산기술연구소는 특강 후 희망자를 대상으로 채용상담도 하는 등 로봇인력 선점 목적이 큰 행사였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주요 대학과 손잡고 로봇인재 양성에 적극 나섰다. 지난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로봇공학 교육트랙(SSRT)'을 개설한 데 이어 올 초 서울대에도 해당 과정을 신설했다. 합격자는 △등록금·학비보조금 지원 △해외 로봇 학술대회 및 전시회 참관 △석사학위 취득 시 추가 전형 없이 삼성전자 디바이스부문(DX) 입사 등이 보장된다.
삼성전자가 로봇 분야 인재 확보에 부쩍 신경쓰는 건 전문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크기 때문이다. 로봇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와 달리 국내 대학·대학원에서 배출되는 로봇 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시장 규모는 2020년 250억달러(약 33조2000억원)에서 2030년 2600억달러(약 345조3000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한국의 지능형로봇 산업에서 부족한 기술인력은 1302명으로 실수요보다 3.6% 적었다. 국내 지능형 로봇산업 인력은 3만4849명으로, 2031년에는 5만711명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됐다.
■로봇사업에 사내 R&D역량도 집중
삼성전자는 로봇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사내 R&D인력도 대거 투입하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의 선행연구를 담당하는 SAIT는 최근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연구에 투입했던 개발인력을 '로봇 인텔리전스' 연구로 전환했다. 막대한 투자에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위축되고, 높은 기술 난도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자 자율주행 연구를 전격 포기한 뒤 로봇 연구에 개발역량을 모으기로 한 것이다. SAIT는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을 비롯한 미래 로보틱스 연구에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로봇 연구의 또 다른 축인 SR 로봇센터도 외부 인력 수혈에 나섰다. 지난해 영입된 미국 엔비디아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매니저 출신 권정현 상무는 현재 SR 로봇센터의 로봇 인텔리전스팀을 총괄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로봇인재 육성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기술 중심 경영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이 회장은 올해 1월 삼성명장 15명과 간담회에서 "기술인재는 포기할 수 없는 핵심 경쟁력"이라며 "미래는 기술인재의 확보와 육성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로봇사업은 이 회장이 미래 먹거리로 낙점했다는 점에서 향후 공격적인 인력 양성과 인재 영입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본격적인 로봇 상용화 시기가 도래하면서 삼성전자가 기술역량 강화에 전방위적으로 힘을 쏟고 있다"며 "향후 레인보우로보틱스처럼 로봇분야 핵심 경쟁력을 지닌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나 인수합병(M&A)도 유력하게 검토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로스쿨 합격, 하나로 잇다! 1타 유닛 패키지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공지 광운대 갤러리 이용 안내 [10] 운영자 21.02.25 3647 1
공지 광운대 캠퍼스 궁금한 늅늅이들을 위해서 잉여력 발산 -1 [41] 티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0 38714 49
공지 광운대 캠퍼스 궁금한 늅늅이들을 위해서 잉여력 발산 -2 [41] 티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1 22970 29
공지 ★☆ 광운대 주변 음식점 & 카페 정리 (11.01.25) ☆★ [100] ;ㅅ;(128.134) 11.01.25 36059 125
150590 채주형 교수님 랩실 광갤러(1.224) 06.24 17 0
150589 상위권대학기준 광갤러(118.235) 06.24 24 0
150588 공대 2티어 한양 광운 성균관 서강 까지 광갤러(221.144) 06.23 34 0
150587 반도체 설계 솔루션? %(117.111) 06.23 68 1
150586 "괜찮아요" 안 괜찮은데 괜찮은 척하는 사람들의 심리 %(117.111) 06.23 29 0
150585 휴대폰이 보관돼 있던 금고를 훔친 용의자의 몽타주, 증거물 휴대폰? %(117.111) 06.23 118 0
150584 광운대학교 김수환 ㅋㅋ ㅇㅇ(175.114) 06.23 42 0
150583 국수영 사탐ㅣ 앉은뱅이 전형간 서열 광갤러(223.38) 06.22 32 3
150581 배터리사 'SK온 구하기' 시나리오만 10여개.. %(211.36) 06.22 84 0
150580 윤도영 2024 대학 순위 [6] ㅇㅇ(211.36) 06.22 128 3
150578 중복 투자가 많았거나 실적이 부진한? 배터리, 에너지 바이오 분야? %(211.36) 06.21 74 0
150577 “이젠 해법을 얘기해봐”... [1] %(211.36) 06.21 58 0
150576 2016년부터 KF-21 AESA 레이다 개발에 참여했다. %(211.36) 06.21 47 0
150575 2025년 2나노 반도체 양산을 목표로 두고 있다. %(211.36) 06.21 41 0
150574 생산 능력에 한계가 나타난 이유는 지난 수년간 전 세계 조선소가 줄어든 %(117.111) 06.19 55 0
150573 [마감임박] 1만6천원 받아가세요 모바일 접속 간단가입(118.128) 06.17 29 0
150572 무제 %(211.36) 06.16 45 0
150571 주식워런트증권의 거래도입이 기초자산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2007 %(211.36) 06.16 35 0
150570 정체성이야말로 최고의 예술이고, 우리 모두가 자신만의 붓을 손에 들고 있 [2] %(211.36) 06.16 86 0
150569 대통령님이라도 거짓 정보에 휘둘리지 않아야 합니다. [3] %(211.36) 06.16 110 0
150568 정보융합학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55 0
150567 정시 이정도면 공대 ㄱㄴ? [2] 광갤러(118.235) 06.16 86 0
150566 광운대 시립대 공대 비교 해서 진학선택 광갤러(115.86) 06.15 129 3
150565 아파트를 지을 때 주로 쓰이는 철근 수요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어서다 %(211.36) 06.14 49 0
150564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여전히 고객사의 피드백을 받아 프로세스를 [5] %(211.36) 06.14 89 0
150563 HBM 시장이 본격 열리면서 테스트 장비와 부품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1] %(211.36) 06.14 99 1
150562 사실 현대차그룹 내 가장 큰 고민은 '점점 늦춰지는 전동화 생태계에.. [7] %(211.36) 06.14 103 0
150561 자체 칩 개발에 뛰어든.. [4] %(211.36) 06.14 86 0
150560 새 협력사를 찾고 있다. 새로운 업체의 식각 기술력도 변수다. %(211.36) 06.14 124 0
150559 6년 후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이 2배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입니다. [2] %(211.36) 06.14 74 0
150558 슈퍼 마이크로는 월가의 대표적 AI 서버 전문업체로, AI 특수를 가장 [2] %(211.36) 06.14 88 0
150557 산유국들의 설비증강과 석유 카르텔의 통제력 상실로 과잉생산이 우려된다는 %(211.36) 06.14 46 0
150556 고성능 순수 전기차 60만대분에 해당하는 양이다. %(211.36) 06.14 49 0
150555 “AI 알고리즘을 이용해 레이더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211.36) 06.14 40 0
150554 매출 비중 1, 2위 애플과 엔비디아의 주문이 급증하면서 최근 호실적을 %(211.36) 06.14 77 0
150553 운전에 필요한 모든 정보, %(211.36) 06.14 57 0
150552 '죽어야 사는 남자'? %(211.36) 06.14 32 0
150551 중동의 석유화학 시설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문을 연다. [11] %(211.36) 06.14 142 0
150550 글로벌 인공지능(AI) 열풍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부족이 이어 [4] %(211.36) 06.14 73 0
150549 “세계는 기술 전쟁 중… R&D 전략 오판은 치명적” %(211.36) 06.14 43 0
150548 삼성전자는 AI 칩셋 발주에서 TSMC에게 ‘뒷전’으로 밀린 업체들을 공 [3] %(211.36) 06.14 84 0
150547 엔비디아의 독점 때문에 AI 반도체 가격이 치솟자, [4] %(211.36) 06.14 69 0
150546 볼보가 생산 공장 이전을 결정한 이유는 관세 정책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 [6] %(211.36) 06.14 62 0
150545 세계 최고 수준의 고밀집 인터페이스 연구에 도전할 계획이다.  [5] %(211.36) 06.14 76 0
150544 2024메가스터디 배치표 [광-명-상-한-가] 미대입시(211.50) 06.13 110 2
150543 차세대 통신 기술 전망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술·서비스 방안도 논의했다고 %(117.111) 06.12 5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