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물질의 불연속성과 질량의 상대성간의 연관성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19 22:02:45
조회 86 추천 0 댓글 1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물리학자들은 거시는 불연속으로 변화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미시의 불연속 변화는 받아들였죠.


그 이유가 뭘까요? 바로 현상적으로 미시의 불연속 변화인 양자도약 현상이 자명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이죠. 하지만 빛의 속도가 절대속도이기 때문에 거시나 미시나 불연속으로 변화한다는 것이


제 설명이었죠. 그럼 왜 전자의 불연속성이 그렇게 두드러질까요? 바로 임의의 질량의 기준이 있을때 그 기준과의 거리에 따라


질량체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기준일때의 질량이 100kg인 a란 사람이 있다고 해보죠.


그럼 다른 사람이 기준일 경우 a의 질량은 100kg이 되지않고 그 이하가 되버립니다. 만약 a의 질량이 90kg이라고 할 경우 10kg의 질량은


공간화가 되어버렸다는거죠. 그리고 기준에게 가까워질수록 a의 공간화 되었던 질량이 다시 질량화가 되어 100kg에 가까워지고,


멀어질수록 질량이 더욱 공간화가 되어 질량이 줄어듭니다. 마찬가지로 전자의 질량은 너무나 작기 때문에 질량이 조금이라도 공간화가 되어버리는


순간 입자성을 상실해버리게 되고 공간과 구별이 되지 않게 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미시적인 입자일수록 불연속성이 두드러진다는 거죠.


하지만 여기분들은 질량이 상대적이란 제 설명을 받아들이려하지 않아서 오늘은 그와 관련된 설명을 하나 더 해볼까합니다.


조금 이해하기 어려울수있으니 잘이해해보시길 바랍니다.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시간이 변화하지 않아요. 시간이 흐른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란거죠. 예를들어 제가 서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당신이 저와 1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는데 당신이 변위하여 저에게서 10미터 멀어졌고


또 100미터 멀어졌다고 해보죠. 그런데 당신이 변위하는 동안 사실상 시간이 변화하지 않고 위치만 변위한거란겁니다.


즉, 당신과 제가 1미터 떨어진 곳에서 동시에 불연속으로 존재했던 순간(시간대)이 있었고 마찬가지로 10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저와 동시에 존재한


순간이 있었고 100미터 떨어진 순간에도 저와 동시에 존재했던 순간이 있었을 뿐이란거죠. 그럼 이것을 다음과 같이 해석할수도 있게 됩니다.


1. 당신과 제가 같은 지점에서 위치했었다고 가정하고 시간이 흐르지 않는 동안 당신만 그 지점에서 1m 변위했다.


2. 당신과 제가 같은 지점에서 위치했었다고 가정하고 시간이 흐르지 않는 동안 당신만 그 지점에서 10m 변위했다.


3. 당신과 제가 같은 지점에서 위치했었다고 가정하고 시간이 흐르지 않는 동안 당신만 그 지점에서 100m 변위했다.


즉, 1번과 2번, 3번 모두 저와 당신이 같은 위치에서 존재하기 시작해서 저는 그 위치에서 위치를 이동하지 않았지만


당신의 위치만 시간이 변하지 않는 동안 각각의 위치로 변위다고 생각할수도 있다는 겁니다.


빅뱅의 한점에 모든 것이 뭉쳐있었다는 설명과 비슷하긴 합니다만, 정확히는 당신의 위치가 제 기준으로 어디에 위치하던


시간이 변화하지 않으니 저렇게 해석할수있다는 겁니다. 다시 말해서 당신의 위치가 제 위치를 기준으로 어디에 있던지,


처음의 당신의 위치와 제 위치는 같았다고 가정하고 그 위치에서 시간이 변화하지 않는 동안 당신의 위치만 1m, 10m, 100m의


위치 변화한 뒤 당신과 저의 위치가 공간상에 정해진다는거죠. 물론 제 기준이 아닌 당신을 기준으로는 설명이 정반대가 됩니다.


이것을 디지털 미디어인 영화상의 변화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수있어요. 디지털 영상은 누누히 말하지만 불연속변화죠.


위의 1, 2, 3을 각각의 사진이라 생각해보면 총 3장의 사진이 있는 셈이죠. 또 그 3개의 사진의 시간은 모두 같아요.


그런데 제가 당신이 멀어지는 것을 보는 구도라고 한다면 당신은 화면상에서 점점 작게 보이게 됩니다. 그럼 과연 뭐가 변화한걸까요?


바로 질량말고는 변할수있는게 없다는 겁니다. 빛의 속도는 절대속도인데 시간은 모두 같고 현상적으로는 중력만 변화한다는거죠.


따라서 변화했다고 할수있는 것이 질량 외엔 없기 때문에 기준과의 거리에 따라 질량이 상대적이란 겁니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선 당신의 위치가 변화뿐만아니라 어떤 변화에도 우주의 시간이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수있어야 합니다.


즉, 시간대의 개념에선 우주의 시간은 고정되어있습니다. 우주가 시작도 끝도 없이 시간이 절대적인 시간대의 연속체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기때문입니다. 이는 우주의 대칭성이 완벽하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즉, 우주는 변화하는 것처럼 보여도 변화하지 않는다는거죠.




아래는 질량의 상대성을 쉽게 이해해보는 사고실험입니다.


먼저 질량이 100kg인 물체와 질량이 1000kg인 물체가 동시에 불연속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해보죠.


그 둘은 동시에 존재했다가 존재하지 않았다가 존재했다가 존재하지 않았다가가 반복된다는 겁니다.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하려면 질량이 가진 에너지가 질량이 아닌 상태로 바뀌었다가 다시 질량이 되어야 합니다.


저는 그 경우 질량이 공간화가 된다고 했었죠.


그럼 그 경우 질량이 서로 다른 물체가 '동시'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100kg의 질량의 에너지가 만든 공간이 질량화가 되는 것보다 1000kg의 질량의 에너지가 만든 공간이 질량화가 되는 것이 더 빨라야 합니다.


이렇게 아주 간단하게 상대론에서 설명하는 중력가속도가 설명되죠.


즉,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물체가 불연속으로 동시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질량이 더 큰쪽의 공간의 질량화가 더 빨라야 하고


그것이 중력가속도의 차이로 연결된다는 겁니다. 이런 간단한 사고 실험조차도 못하고 제 설명이 틀렸다고 하는 것들은


과연 사고력을 가진 것들인가 아니면 그냥 돌덩이인가 혼란스러울 정도입니다. 똑똑한 척은 다하면서 말이죠.


그게 이곳 물갤의 전공자들의 수준이란게 참 불쌍하고 말이죠. 적극적으로 제 설명을 비난만하는 것이 아닌 침묵하는 부류도 마찬가지고 말이죠.


다시 말하지만 제 주장의 핵심은 간단합니다.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질량이 상대적이다이고 그게 틀렸다고 하려면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질량이 상대적이 아닌 절대적이라는 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해보면 되는 겁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사고력만 있다면 제 설명이 옳다는 것을 쉽게 알수있다고 누누히 이야기 했지만


결국 제 설명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그 자체에 거부감을 갖고 있기 때문인것이죠.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면 과학을 하지 말길 바랍니다. 저도 사실 제 이론을 감정적으로는 굉장히 싫어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증명이 끝났기 때문에 거부하지 못하고 받아들이고 있을 뿐입니다.


어떤 이론이던 그 이론의 공리하에서는 현상과 상관없이 절대적으로 옳습니다.


수학이 현상과 상관없이 공리안에서 옳은 것 처럼 말이죠. 그런데 물리학이란 현상과 일치하는 이론이 옳은 이론인 것이고 말이죠.




빛이 절대속도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바로 기준이 달라져도 항상 같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런 불변(절대성)을 가진 것이 공리에 새롭게 추가될수록 '(에너지의) 대칭성'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기존에 불변인줄 알았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즉, 상대속도를 가질줄 알았던 빛이 절대속도라면 기존에 불변이라 생각했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게 상대론에서의 길이의 (수축)가변입니다. 그런데 저는 변화가 불연속이라고 했고 그로인해 시간이 불변이 되면


마찬가지로 기존에 기준이 바뀌어도 불변이라 여겼던 것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죠. 그리고 이를 시각적으로 자명하게 보여주는 영상이 있습니다.




위의 영상처럼 매순간 모든 것이 정지해있다고 가정된 상황에서 포커스(기준)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크기는 크게보이거나


작게보이게 되는데 결국 상호작용이 임의의 기준과의 거리에 따라 상대적이게 될 경우 그 상호작용의 상대성으로 인한 어떤 현상이


발생해야합니다.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란 것이죠. 즉, 기준에 따라 질량이 다르다는 것이 질량의 상대성의 의미란 것이죠.


즉, 초등학생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제 이론입니다. 또 뉴턴역학과 상대론도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했고 말이죠.


그럼 이곳의 사이비는 중학교 수준의 대우도 모르는 걸 보면 초등학교 수준도 안되는 인간들이라는 걸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406023 고등개념서에 개념만 갖고는 문제가 안풀리는데 문제어케푸냐 333(223.39) 05.05 58 0
406022 까마귀님 [1] 수갤러(211.234) 05.05 80 3
406021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 수보@두퍀조커(175.117) 05.05 49 0
406020 초등 확률 질문 [6] ㅇㅇ(223.38) 05.05 74 0
406019 화욜날 큰병원서 ㄷㄷ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40 0
406018 미분의 짝은 ??????????? 수갤러(210.96) 05.05 64 2
406017 미분과 X분 .........!!!!!!!!!!! 수갤러(210.96) 05.05 61 1
406016 미분과..................!!!!!!!!!!!!!!!!!!! 수갤러(210.96) 05.05 46 1
406015 수 하하하ㅏ하하 수갤러(175.195) 05.05 44 1
406014 미세먼지 장기나 각 기관에서 잘 안빠져 [6] 수갤러(49.170) 05.05 76 2
406013 비전공자인데 수학 딥하게 하는사람 있어? [5] 수갤러(220.117) 05.05 233 0
406012 만 나이로 바꼈지만 [1] ㄷㄷ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65 0
406011 코끠리 대학 빨리 와. 너가 그리워 제발와줘 [3] ㅇㅇ(211.59) 05.05 73 1
406010 왜 극한을 꼭 하나의 수로만 생각해야되는거지? [21] 수갤러(211.187) 05.05 190 2
406009 ㄷㄷㄷ [2] 수갤러(211.234) 05.05 47 0
406008 이거 미세먼지도 염두해둬야 돼네 [8] 수갤러(49.170) 05.05 91 1
406007 이거 문제가 좀 이상한 것 같은데..? [1] 수갤러(180.226) 05.05 137 0
406006 글 찾아보면서 느낀 건데 [4] 코끼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05 1
406005 그분 사칭인가본데 [2] 코끼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81 0
406004 미정계수의 결정에서 미정계수는 [32] 수갤러(221.150) 05.05 132 0
406003 이거 치환의 결과가 왜 이렇게 되는 걸까 [3] 수갤러(118.235) 05.05 88 0
406002 수학은 이래서 좋아요 [9] 수갤러(58.127) 05.05 155 2
406001 형아들 헬프! [2] 수갤러(203.229) 05.05 78 0
405995 ∄mother(triva) [6] ㅇㅇ(211.234) 05.05 99 0
405990 명제들을 연결시켜서 증명을 한다면 [14] NEM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46 0
405989 문득 궁금해진거 있는데 ㅇㅇ(125.186) 05.05 59 0
405988 어려운 수학문제를 아무리 생각해도 몰라서 답을 보면 [2] 석1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11 0
405987 작수 미적 28번 [1] 수갤러(175.124) 05.04 103 0
405986 수상? 수하? 질문이요 [5] 수갤러(61.43) 05.04 87 0
405984 역사에 남는 수학자가 되고싶으면 어떤분야가 좋음? [3] 수갤러(1.235) 05.04 97 0
405983 빅5라고 해도 연간 순이익이 300억원을 넘는 곳이 없고, 아이 수보@두퍀조커(175.117) 05.04 60 0
405982 확률 문제 풀어줄 똑똑한사람? [7] 수갤러(223.39) 05.04 92 0
405981 수학상 이차함수 킬러문제 어케품? [10] 수갤러(211.58) 05.04 279 1
405980 8나누기 3←이거 나머지 2면 뭐 잘못된거아님?????? [5] ㅇㅇ(115.41) 05.04 117 0
405979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특검법 [1] 수보@두퍀조커(175.117) 05.04 43 0
405977 코끼릐 [2] 수갤러(211.234) 05.04 60 0
405976 밑글 보니까 진짜궁금한게 파이는 루트 몇일까 [2] 수갤러(175.210) 05.04 93 0
405975 쿠키릐 [4] 수보@두퍀조커(175.117) 05.04 58 1
405974 수학관데 우리학교만 2학년때 해석학 안나가나? [16] 수갤러(211.234) 05.04 148 0
405973 아닌가 사칭인가 [1] 코끼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64 0
405972 인스타 라방키고 [4] 코끼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91 1
405971 내가 밤새우면서 맛이 갔던 게 언제였지 [5] 코끼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82 0
405969 이거 풀이좀 해줄사람 있?? 수갤러(58.237) 05.04 111 1
405968 서울 청담동의 한 고급 한식당에서 450만 원어치 저녁 식사를 했다는 수갤러(121.134) 05.04 105 0
405967 틀딱들아 오랜만 시골수학자(24.5) 05.04 54 0
405965 모든 무리수는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16] 수갤러(121.163) 05.04 131 0
405964 모든 '수식으로 된 수학문제'는 기하문제로 바꿔 풀수 있음? [3] 석1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13 0
405961 기하학은 개론서가 없나? [2] 수갤러(14.40) 05.04 92 0
405960 오일러 vs 가우스 듀라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60 0
405958 문신은 웬만하면 잘 안씻기는 스티커로 하십시다 [19] 수갤러(49.170) 05.04 130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