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5월20일이후 15일간은 소만(小滿)절기.온갖생물 성장하여 조금씩(小)

macmaca1(122.34) 2024.05.19 10:52:33
조회 177 추천 2 댓글 0

2024년 5월 20일은 음력 4월 13일로 소만(小滿). 소만(小滿)은 온갖 생물이 성장하여 조금씩(小) 차오른다는(滿) 뜻. 여름철 작물의 곡식 알갱이가 커지기 시작하는데, 아직 성숙되지 않았기에 소만이라 합니다. 씀바귀와 죽순이 별미라고 합니다.    



[1]. 개괄적 설명.


 


소만(小滿)절기때는 유교에서 최고신 하느님(天, 태극과 연계) 다음의 하위신으로, 오제[五帝. 다신교 전통의 유교에서 조상신 계열로 승천하여 최고신 하느님(天)다음의 하위신이 되심]중의 한분이신, 여름의 신[하(夏)의 제(帝)], 염제(炎帝)께서 다스리는 절기입니다.


 


참고로 예기(禮記) 월령(月令)의 오제(五帝)는 다음분들입니다.


 


춘(春)의 제(帝)는 태호(太皥), 하(夏)의 제(帝)는 염제(炎帝), 추(秋)의 제(帝)는 소호(少皥), 동(冬)의 제(帝)는 전욱(顓頊). 그리고 계하(季夏)의 달인 음력 6월에는 중앙에 황제(黃帝)를 넣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에 따르면 "온갖 생물이 성장하여 조금씩[小] 차오른다는[滿] 뜻"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베이징 관광국의 설명을 일부 빌리자면 여름철 작물의 곡식 알갱이가 커지기 시작하는데, 아직 성숙되지 않았기에 소만이라 한다고 합니다.    


 


[2]. 한국의 사전류들이 정의하는 소만(小滿).


 


1]. 국어사전에 나타나는 소만(小滿).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며, 만물이 점차 생장(生長)하여 가득 찬다고 한다. 양력으로는 5월 21일경이다.


 


.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2].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에 나타나는 소만(小滿).  


 


소만[ 小滿 ]    


 


온갖 생물이 성장하여 조금씩[小] 차오른다는[滿] 뜻이다. 본격적인 여름 날씨로 접어드는 때이다. 모내기를 시작하고 보리 수확을 하는 때로, '보릿고개'를 견뎌 온 사람들에게는 구세주와 같이 반가운 시기이다. 소만 기간에는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 가며 보리가 익는다고 한다. 양력으로는 5월 21일 무렵이다.


 


. 출처: 소만[小滿]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 2011. 5. 23., 정민, 박수밀, 박동욱, 강민경)


 


3]. 한국 민족문화대백과에 설명된 소만(小滿).  


 


정의


24절기의 하나.


 


내용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며, 음력 4월, 양력 5월 21일께가 된다. 태양이 황경 60°의 위치에 올 때이다. 이 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며 식물이 성장한다. 소만 무렵에는 모내기 준비에 바빠진다. 이른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작업들에, 여러 가지 밭농사의 김매기들이 줄을 잇게 된다.


모판을 만들면 모내기까지 모의 성장기간이 옛날에는 45∼50일이 걸렸으나, 지금의 비닐모판에서는 40일 이내에 충분히 자라기 때문에 소만에 모내기가 시작되어 1년 중 제일 바쁜 계절로 접어들게 된다.


옛날 중국에서는 소만입기일(小滿入氣日)로부터 망종까지의 시기를 다시 5일씩 삼후(三候)로 등분하여,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뻗어 오르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고 했다. 씀바귀는 꽃상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뿌리나 줄기·잎은 이무렵 식용으로 널리 쓰인다.


또, 초후를 전후하여 즐겨 시식하는 냉잇국도 늦봄 내지는 초여름의 시절식으로 예로부터 유명하다. 보리는 말후를 중심으로 익어 밀과 더불어 여름철 주식을 대표한다. 소만 무렵 심하게 가무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물 준비를 부지런히 해두기도 한다.


 


. 출처: 소만[小滿]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 두산백과에 설명된 소만(小滿).   


 


소만[ 小滿 ]    


요약 24절기 중 하나로서, 입하와 망종 사이다. 음력 4월중이고, 양력으로는 5월 21일부터 약 15일 간으로 황경이 약 60˚에 있을 때이다. 본격적으로 여름이 되어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베기, 잡초 제거로 바쁜 시기이다.


24절기 가운데 하나로,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드는데, 양력으로는 5월 21일경부터 약 15일 간이며, 음력으로는 4월중이다. 태양의 황경이 대략 60°에 있을 때로, 만물이 점차 생장(生長)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여름에 접어들어, 농사력에서는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베기로 한참 바쁜 시기이다. 옛 중국에서는 소만을 5일씩 3후(三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고개를 내밀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마르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고 하였다.


한국에서는 특히 이 시기에 가뭄이 들기도 해 예로부터 이때를 대비해 물을 가두어 두고 모내기 준비를 하였고, 지난 해 가을에 심은 보리를 베고, 또 웃자란 잡초를 제거하느라 밭매기에 바빴다.


소만이 되면, 산야가 온통 푸른 빛을 띠는데 유독 대나무만은 새로 솟아나는 죽순(竹筍)에 모든 영양분을 집중 공급하느라 누렇게 변하게 된다. 이때 나온 죽순을 채취해 고추장이나 된장에 찍어 먹으면 그 맛이 담백하면서도 구수해 계절식 가운데 별미로 치기도 한다. 그밖에 냉잇국도 이 즈음의 별식으로서, 소만이 지나 꽃이 피면 먹을 수 없게 된다.


 


. 출처: 소만 [小滿] (두산백과)


 


5]. 한국 세시 풍속사전에 설명된 소만(小滿).   


 


소만[ 小滿 ]    


분야계절날짜시절음식관련풍속


절기

여름(음력 4월)

양력 5월 21일경

냉잇국                                  

김매기                                 

정의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양력으로는 5월 21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이 황경 60도를 통과할 때를 말한다. 소만(小滿)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滿]는 의미가 있다.


내용

이때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니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이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다. 이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며 식물이 성장한다. 그래서 맹하는 초여름이라는 뜻인 이칭도 있다.

소만 무렵에는 모내기 준비에 바빠진다. 이른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여러 가지 밭작물 김매기가 줄을 잇는다. 보리 싹이 성장하고, 산야의 식물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며, 모내기 준비를 서두르고, 빨간 꽃이 피어나는 계절이다. 모판을 만들면 모내기까지 모의 성장기간이 예전에는 40➰50일 걸렸으나, 지금의 비닐 모판에서는 40일 이내에 충분히 자라기 때문에 소만에 모내기가 시작되어 일년 중 제일 바쁜 계절로 접어든다. 또한 소만이 되면 보리가 익어가며 산에서는 부엉이가 울어댄다. 이 무렵은 ‘보릿고개’란 말이 있을 정도로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던 시기이다. 산과 들판은 신록이 우거져 푸르게 변하고 추맥(秋麥)과 죽맥(竹麥)이 나타난다.

중국에서는 소만 입기일(入氣日)에서 망종까지의 시기를 다시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뻗어오르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고 했다. 씀바귀는 꽃상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뿌리와 줄기, 잎은 식용으로 널리 쓰인다.

초후를 전후하여 죽순을 따다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묻혀먹는 것도 별미이다. 또한 냉잇국도 늦봄이나 초여름에 많이 먹는다. 보리는 말후가 되면 익기 시작하므로 밀과 함께 여름철 주식을 대표한다.

모든 산야가 푸른데 대나무는 푸른빛을 잃고 누렇게 변한다. 이는 새롭게 탄생하는 죽순에 영양분을 공급해 주었기 때문이다. 마치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어린 자식을 정성들여 키우는 어미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그래서 봄철의 누런 대나무를 가리켜 죽추(竹秋)라고 한다.


관련속담

이 무렵에 부는 바람이 몹시 차고 쌀쌀하다는 뜻으로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 출처: 소만[小滿] (한국세시풍속사전)


 


[3]. 중국의 소만(小滿).


 


1]. 베이징 관광국에 소개된 소만(小滿)  


 


샤오만(小滿, 소만) 소개.


 


소만(小滿 grain buds)은 24절기의 하나로, 여름철 두번째 절기다. 소만은 여름철 작물의 곡식 알갱이가 커지기 시작함을 의미하며, 아직 성숙되지 않았기에 소만이라 한다. 매년 5월 20일에서 22일 사이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60°에 이르렀을 때이다.


 


중국 북방에서는 보리 종류의 여름 작물의 알갱이들이 꽉 차오르기 시작한다. 하지만 성숙된 상태의 대만이 아니기에 곧 소만이라고 부른다.


 


남방지역에서는 관련 속담이 있는데, 소만 시기에 논밭에 물을 채워 놓지 않으면, 논밭이 갈라지게 되고, 망종시기에 이르러 모내기를 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2]. 신화망에 나타난 중국의 소만풍경


 


. 신화망에 나타난 중국의 소만풍경


http://kr.xinhuanet.com/2018-05/22/c_137195216.htm 

 



[4]. 불교는 하느님.창조신에 대항하는 무신론적 Monkey입니다. 실제로 인도창조신 브라만에 대항하여 부처 Monkey가 만든 불교는 그 발상지 인도에서도 불가촉천민계급입니다. 오래 겪어보면 인간이나 침팬치과의 불교 Monkey가 하느님이나 창조신을 이길수는 없습니다.


@ 내용이 많으니, 다음 블로그를 더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글: 수정 (blogger.com)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공지 성균관대 갤러리 이용 안내 [108] 운영자 06.07.25 505249 11
307512 취업 성갤러(221.164) 07:25 9 0
307511 성균관대 복수전공 난이도 어느정도임? ㅇㅇ(211.208) 02:54 13 0
307510 개잡사립대 종특 [4] ㅇㅇ(222.105) 06.09 18 0
307509 6월10일은 음력 5월5일로,유교권 전통명절인 단오절 macmaca1(122.34) 06.08 234 1
307508 우리나라 최초 사립공대 1934 광운대 [2] ㅇㅇ(118.235) 06.08 20 2
307506 국민대, 한국공대 성균관대 한양대 경북대와 함께 미래자동차SW 선도 [1] 성갤러(211.36) 06.05 57 0
307505 2024년 6월 5일은 음력 4월 29일로 망종(芒種). 보리는 익어 먹 macmaca1(122.34) 06.05 85 3
307504 위례 대형 의료복합타운 사업 무산‥PF부실·의료공백 악영향 임정수기자 성갤러(211.202) 06.03 39 0
307503 대학원 장학금 지급일 언제임?! 아싸호랑이(115.145) 06.02 48 0
307501 명문대생들 채팅방 모집 [1] 성갤러(1.243) 06.01 76 1
307500 삼성전자 주식사거라 ㅇㅇ(118.235) 06.01 69 4
307499 위례 대형 의료복합타운 사업 무산‥PF부실·의료공백 악영향 임정수기자 성갤러(211.202) 05.31 51 0
307498 [동영상] 2024 성균관대학교 축제 [2] 성갤러(123.111) 05.31 122 10
307497 우주만물과, 만물의 영장인 인간을 창조하신 유교의 하느님. macmaca1(122.34) 05.31 75 3
307496 2024 성균관대 축제 에스파 공연 동영상 성갤러(123.111) 05.30 121 9
307495 오! 불꽃놀이 성대 축제 환상적이다 성갤러(106.101) 05.30 99 6
307493 간만에 축제가려고하는데 오늘 주점함? 성갤러(106.101) 05.30 61 1
307492 일반인 6시 전에 팔찌 받을 수 있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0 1
307491 오늘 성대에 이 처자들이 옵니까? ㅇㅅㅇ(123.111) 05.30 200 13
307490 언론에서 보도한 성균관대학교 축제 성갤러(123.111) 05.30 158 11
307488 시발 지금 밤양갱 부르는 새끼 뭐냐 성갤러(220.65) 05.29 98 3
307487 새끼들아 성갤러(220.65) 05.29 71 1
307486 성대 축제... 대박!!! 성갤러(106.101) 05.29 175 5
307485 오늘 학교 축제하냐? 성갤러(220.65) 05.29 84 1
307483 축제에 외부인들은 1500명 입장 가능 [2] ㅇㅇ(106.101) 05.28 178 2
307482 굿노트 플래너 속지 6종 그냥 가져가네 성갤러(183.98) 05.28 66 0
307481 성균관대... 이 정도였다니! ㅎㄷㄷ [1] (123.111) 05.28 899 12
307480 30일 성대에 이 처자들이 옵니까? 성갤러(123.111) 05.28 167 3
307479 대학 교육이 중요한 이유 [2부] (123.111) 05.27 51 2
307478 대학 교육이 중요한 이유 [1부] (123.111) 05.27 57 2
307477 수원캠 근처 자취하는사람 성갤러(220.127) 05.27 58 0
307476 한중일. 한일중은 너무 생소한데, 밀어붙이더군요. macmaca1(122.34) 05.27 118 2
307474 성균관대 명륜1가 사이 자취방 양도(혜화역 4번출구 도보 5분거리) [2] seong(112.148) 05.26 72 1
307473 오늘도 어질어질한 토익후기... 성갤러(183.98) 05.26 63 1
307472 2024 성균관대학교 인사캠 축제 '청춘전야' 라인업 성갤러(123.111) 05.24 356 15
307471 우리도 인문 편입 영어 시험 말고 사회 논술로 뽑자 [6] 성갤러(61.75) 05.23 90 3
307470 복무자/대상자, 예비군, 민방위 분들 이미지 꼭 참고 바랍니다. 레알병제모(223.39) 05.23 63 1
307469 나 성대.고대법대 다다녔는데... [3] ㅇㅇ(211.234) 05.23 146 2
307468 현재 성대의 수준은 SKY와 거의 동급입니다 [6] 성갤러(123.111) 05.23 509 21
307465 글로벌 성대라고 불러라. [1] ㅇㅇ(211.205) 05.21 140 2
307464 민족성대 vs 친일서울대(경성제대) [1] 성갤러(121.163) 05.21 85 3
307463 떼창 미쳐버린 성균관대 축제 성갤러(123.111) 05.20 221 8
307462 이게 축제고 이게 라이브지 성갤러(123.111) 05.20 142 7
307461 성대 자연캠 여기에 길 있나요? [2] 성갤러(14.7) 05.20 141 0
307460 우리나라 최초 사립공대 1934 광운대 ㅇㅇ(118.235) 05.20 111 3
307459 성대 축제 무대에 올라온 아이쇼스피드 ㄴㅇㅀ(123.111) 05.20 272 6
307457 반도체 학과 다니는 사람? ddd(14.38) 05.19 80 0
5월20일이후 15일간은 소만(小滿)절기.온갖생물 성장하여 조금씩(小) macmaca1(122.34) 05.19 177 2
307455 엔믹스 무대 뒤지게 잘하네 ㅅㅂ [1] (223.39) 05.18 208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