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콘테스트] [아정콘] 그 많던 구라미 알은 누가 다 먹었을까??

Tontit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3.21 12:41:35
조회 1785 추천 28 댓글 23
														


*긴급


나 여성123상12위242시대라고 썼다고 음란물로 글 삭제되고 일주일 차단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새로 고닉파고 옴





아나반티드의 야스법하면 떠오르는건 역시 거품집이지!

베붕이, 버붕이, 펄구람, 금꿀구람 등 갤에서만 인지도가 있는 모든 아나반티드들은 모두 거품집을 지어서 산란을 하는 것이 바로 아붕이의 상식이다.


7cf3da36e2f206a26d81f6e040817364

야생베타 헨드라의 거품집과 매달려있는 치어들


거품집은 아나반티드(Anabantid)들의 종특 산란법으로 버블네스트빌딩(Bubble nest building)이라고도 하며, 이런 산란법을 가진 종들은 버블네스트빌더(Bubble nest builder)라고 해. 자세히는 타액과 대기 중 공기를 섞어 작은 기포방울로 작은 둥지를 만들고 그 사이에 알을 붙이고 부화한 치어가 난황을 다 소비하고 자유롭게 유영할 때까지 거품둥지 아래서 지키는 산란 방식이야. 거품집은 일반적으로 수면에 짓는다고 많이들 알고 있지만, 그 외에도 수초잎 뒷면, 갑각류가 파놓은 구멍 안 등 종별로 다양하게 장소를 선호하고, 어항에서 사육할 때는 수면의 부상수초나, 토분 등으로 거품집을 만들 장소를 제공해줄 수 있어.


아나반티드 외에도 드렁허리(근데, 얘도 아나반티드류(Anabantaria)라서 넓은 의미의 아나반티드임), 폴립테루스 중 일부, Hepsetus odoe(아프리칸 파이크카라신의 일종), 일부 갑옷메기류(Callichthyidae), 전기뱀장어와 일부 개구리류에서도 발견할 수 있대


근데, 이 번식방법이 아나반티드의 특색인 것 맞지만, 모든 아나반티드가 이런 번식방법을 가진 것은 아니야.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아나반티드(아나반티드류에서 드렁허리, 찬나, 난두스를 제외한 아나반티드아목)의 번식방법은 다음과 같아.


7ff3da36e2f206a26d81f6e44688766f55


아나반티드들은 약 4가지 산란 방법을 가지고 있어.

1. 방치 산란

2. 둥지 산란

3. 거품집 산란(버블네스트빌딩)

4. 구중부화(마우스브루딩)


하나씩 살펴보면,


방치 산란은 원시적인 산란방식으로 말그대로 방치하는 산란법이야. 부상성 알은 대충 마구잡이로 뿌려두고 부모개체는 아무도 돌보지 않아. 아나바스(Anabas), 산델리아(Sandelia), 크테노포마(Ctenopoma), 헬로스토마(Helostoma) 4개 속 23종이 이러한 번식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체 아나반티드아목 중 약 13%를 차지해.


둥지 산란은 수초들을 엮어 수면에 둥지를 짓고 거기에 산란하는 방식으로 거품집 대신 풀로 둥지를 짓는다고 보면 돼. 이 둥지는 수컷이 지켜. 자이언트구라미 속(Osphronemus)의 4종이 이런 번식법을 가지고 있으며 약 2%를 차지해. 그외에 찬나류 중 이러한 번식법을 가진 종들이 많아.


거품집 산란은 위에서 말한대로 거품집을 지어 산란하고 역시 수컷이 알을 지켜. 수염달린 구라미들(Trichogaster, Tirchopodus), 피그미구라미류(Trichopsis), 리코리스구라미(Parosphromenus), 버들붕어류(Macropodus, Pseudosphromenus, Malpulutta), 벨론티아(Belontia), 미크로크테노포마(Microctenopoma), 버마초콜릿구라미(Parosphaerichthys)가 이러한 번식법을 이용하고, 베타(Betta) 속의 일부도 거품집을 지어. 총 10개 속 84종으로 약 48%가 이러한 번식법을 이용해.


마지막으로 구중부화가 있어. 시클리드나 아로와나만 마우스브루더를 하는 줄 알고 있던 갤럼들이 많을텐데, 아나반티드에도 마우스브루더가 많다. 대표적으로 초콜릿구라미류가 마우스브루더야. 초콜릿구라미 속(Sphaerichthys)과 그 근연종인 파이크헤드 속(Luciocephalus), 프레일구라미(Ctenops), 그리고 베타(Betta)가 있다. 총 4개 속 64종이 마우스브루더고 이는 약 37%에 해당 돼.


위에 거품집 산란 단락에서 거품집의 대명사가 베타인데 무슨 '일부' 소리를 하는건가 미친건가 싶은 아붕이들도 있었니? 왜 일부소리를 했냐면, 사실 베타는 거품집보다 마우스브루더가 더 많기 때문이야. 베타 속은 총 75종이 있는데, 그 중에 거품집을 짓는 종은 오직 18종 뿐이고 나머지 57종은 마우스브루더야. 이렇게 고정관념이 무섭다.


여기서 아정콘의 주제를 발표할게.


주제는 「마우스브루더 구라미들」이야.


7ef3da36e2f206a26d81f6ed4683726d

알을 물고 있는 초콜릿구라미


경골어류 442개 과 중 오직 89(21%)개의 과에서만 부모개체 혹은 부모개체 중 한 쪽이 알과 치어를 보살핀다고 해. 그리고 그 중 구중부화(이하 마우스브루딩)는 오직 9개의 과에서만 관찰할 수 있으며, 그는 아래와 같아


동갈돔과(Apogonidae) 부성 마우스브루더(paternal mouthbrooder)

바다동자개과(Ariidae) 부성 마우스브루더(paternal mouthbrooder)

동자개과(Bagridae) 오직 Bagrus meridionalis 한 종만이 양성 마우스브루더(biparental mouthbrooder)

키클라과(Cichliidae) 시클리드. 일반적으로 모성 마우스브루더(maternal mouthbrooder)

칸나과(Channidae) 찬나 안드라오 등 부성 마우스브루더(paternal mouthbrooder)

꼼치과(Liparidae) 부성 마우스브루더(paternal mouthbrooder)

후악치과(Opistognathidae) 부성 마우스브루더(paternal mouthbrooder)

오스프로네무스과(Osphronemidae) 베타, 초콜릿구라미 등 부성 마우스브루더(paternal mouthbrooder)

골설어과(Osteoglossidae) 아로와나 등 부성 마우스브루더(paternal mouthbrooder)


마우스브루딩은 가장 전문적으로 진화된 번식방법이라고 이야기 할 수있는데, 그 이유는 단지 번식행동과 산란소의 차이에 국한되지 않기 때문이야. 어류의 번식전략에 맞춰 알은 진화되어왔어. 코리도라스는 점착성 알을 산란하고, 테트라는 점착성이 없는 알을 흩뿌리며, 드워프구라미는 부상성알을 산란해. 하지만, 마우스브루더는 그 이상이야. 마우스브루더를 택한 종들은 큰 입 혹은 육아낭이 발달된 큰 턱을 가지고 있으며, 알은 비슷한 크기의 다른 어류들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크고 그 수가 적어. 이는 산란수가 적기때문에 생식력의 감소로 나타나는데, 살을 주고 뼈를 친다는 말처럼 적은 알로 확실히 생존할 수 있는 치어를 방출하는 것이 이 번식방법의 핵심이야. 이 큰 알은 그대로 큰 난황이 되기에 긴 시간동안 치어는 천천히 난황을 흡수하며 자유유영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같은 크기의 다른 종들에 비해 훨씬 큰 치어를 방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비슷한 크기(6cm)의 드워프구라미(Trichogaster lalius) 암컷이 최대 700개(보편적으로 2~4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는 반면, 바일란티구라미(Sphaerichthys vaillanti) 암컷은 오직 100개 미만(보편적으로 4~60개)의 알을 낳을 수 있어. 하지만, 드워프구라미의 치어가 2~3mm 겨우되는 미물로 태어나는 반면, 바일란티의 치어는 5mm 이상 크기의 치어로 태어나고 자유유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컷의 입속에서 방출되기에 생존률이 비교할 수 없을정도로 높아. 사육으로 비교하면 드워프구라미 치어는 브라인도 못 먹는 크기로 자유유영을 시작하고, 바일란티의 치어는 자유유영을 시작하자마자 브라인학살자 쌉가능이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하는데 이 기간동안 수컷은 아무것도 먹지 못한다. 무정란인 죽은 치어를 먹는다고는 하는데, 그것도 초기 2~3일에 국한되고 이후는 내리 굶으며 치어를 키워내기에, 가끔 수컷이 치어를 케어하는 도중에 아사하거나, 치어를 방출하고 나서 기력이 소진되어 죽기도 해. 그리고 사육할 때의 가장 큰 단점은 어리숙한 수컷은 초기에 알을 그냥 삼켜버려. 이를 식란(食卵)이라고 부른다. 다른 물고기에서도 식란은 종종 발견되지만, 그런 애들은 알을 싹 뺏어서 인공포육해주면 되지만, 마우스브루더하는 애들은 일단 알을 인공적으로 뺏는데, 반드시 물고기에 데미지가 가기 마련이야. 숙련된 기술이 있다면, 데미지가 덜하긴 하지만, 초보자는 알을 뺏다가 부모개체를 죽일 수도 있다.


마우스브루딩에 대한 설명은 이쯤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오늘의 주제인 마우스브루더 구라미 7종을 소개할게.

마우스브루더 구라미들은 모두 루키오케팔루스 아과(Luciocephalusinae)에 속해.



79f3da36e2f206a26d81f6e446817068e585


루키오케팔루스 아과에는 파이크헤드속(Luciocephalus) 2종, 초콜릿구라미속(Sphaerichthys) 4종, 크테놉스속(Ctenops) 1종, 버마초콜릿구라미속(Parasphaerichthys) 2종이 있으며, 이중 버마초콜릿구라미속 2종을 제외한 7종이 마우스브루더 구라미임.


이 분기군은 약 2,500만년 전 신생대 올리고세 말기에 다른 구라미들에서 분리되었어.


버마초콜릿구라미는 버블네스트빌더에 암수성적이형도 수컷이 화려한 등 다른 종들과 조금 구분되기에 제외했어. 하지만, DNA 분석, 알 표면의 나선형 글곡, 체형 등을 통해 다른 3개 속과 같은 분기군을 구성한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해.



78f3da36e2f206a26d81f6ec4f85706a

초콜릿구라미의 알 현미경 확대


이 7종의 특징으론 마우스브루더를 한다는 특징 외에도 성별이형이 없거나 암컷이 수컷보다 더 화려하고 크기도 크다. 보통 물고기들이 수컷이 훨씬 화려한데 이 종들에서 그런건 없는 이야기야. 그리고 번식이나 서열싸움이나 모두 암컷이 주도하고 수컷들은 모두 찌끄레기 찬밥신세임. ㅠ 그야말로 퀸에 걸맞는 구라미가 아닐수가 없다. 그 극단적인 예가 바일란티구라미.. 붕어색 수컷과 현대미술작품 같은 암컷이다..



7bf3da36e2f206a26d81f6e44e89776f28


​한 종씩 알아보도록 하자.


순서는 친숙한 순서대로?


스파이리크티스 Sphaerichthys


7af3da36e2f206a26d81f6e44586766eef


스파이리크티스속은 초콜릿구라미(S. osphromenoides)로 대표되며, 4~9cm 사이의 소형구라미들 4종으로 이루어져 있어. 말레이반도와 수마트라, 보르네오, 그리고 그 사이의 작은 섬들에 분포하고 있고, 국가로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분포하지만, 한국에서는 인도네시아 수입으로만 만나볼 수 있다.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sphaira는 공, ichthys 물고기의 합성어야. 즉, 동그란 물고기라는 의미인데, 초콜릿구라미가 동글동글한 걸 생각해보면 왜 이런 이름이 부여졌는지 알 수 있을거야.


이종들은 모두 산성(pH3.0~6.0)의 연수(Gh 0~1), TDS 0~70의 극단적인 환경에서 서식한다. 이는 모다? 잘죽는단 소리다. 일단 pH가 높으면 죽음. 경도가 높아도 죽음. 그리고 얘네들이 사는 극단적인 산성수와 영양가 없는 물은 자연적으로 여러 세균, 기생충, 곰팡이의 번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자연상태에선 굳이 면역력을 기를 필요가 없다. 그렇기에 온갖 질병에 감수성이 높고 취약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간과하는 사실이 있는데 거의 모든 아나반티드는 육식성어류이고 초콜릿구라미들도 자연에선 수서곤충이나 새우등만 잡아먹고 사는 미세포식자(Micro predator)이기에 사료를 별로 안좋아한다. 그래도 사료를 아예 거부하는건 아니라서 순치는 쉽다. 근데 베타나 다른 구라미들이 모두 동남아 양식장 출신인 것과 다르게 얘네들은 위에서 나열한 마우스브루딩의 비효율성 때문에 전량 야생채집 개체들이 수입되는데, 그래서 사료순치가 기본적으로 안되어 있음. 그리고 야생채집 개체의 특성상 삐쩍 말라있어서 무리하게 굶기며 순치하다간 싹 죽여먹을 수 있다. 브라인이나 달웜, 실지가 좋고, 그게 없으면 냉짱이라도 주자!


기타 사육팁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자~!

https://blog.naver.com/karekano26/222596832727


초콜릿구라미들은 4종 모두 낙엽에 의태하는 생존전략을 가지고 있어서, 기분과 상태에 따라 색이 휙휙 바뀜. 그래서 겉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얘가 죽겠구나 살겠구나를 알 수 있다.


여담으로 초콜릿구라미의 염색체수는 어류라고 믿겨지지 않을만큼 적다고 한다. 2n=16(n이 아니라 2n 맞음)으로 베타가 2n=42, 수염구라미류가 2n=46인 것에 비하면 매우 초라하기 그지없다. 그래서 잘죽는 것일지도 모름..


초콜릿구라미 Sphaerichthys osphromenoides CANESTRINI, 1860


75f3da36e2f206a26d81f6e44786706475

분포 : 말레이반도, 수마트라, 보르네오(인도네시아령 서보르네오 칼리만탄 바랏, 말레이시아령 북보르네오 사라왁), 방카섬, 빈탄섬 등

체장 : 4~6cm

적정 수온 : 26~30°C

적정 pH : 3.5~6.5

번식 : 부계 마우스브루더

암수구별 : 암컷은 턱이 날렵하고 지느러미가 길며 화려하다. 수컷은 육아낭이 있어 턱이 둥글다.

국내 유통 상황 : 주기적으로 수입이 되는 편이나 초기 축양과정에서 탈락이 많아 구하기 쉽지 않다. 주로 건기가 시작되는 가을~겨울 시즌에 수입이 된다.

가격 : 3,000 ~ 6,000원

IUCN red list 멸종위기 등급 : 정보 부족 DD ▽ 감소 중


한동안 붐이었던, 초콜릿구라미다. 초콜릿구라미는 가장 널리 분포하고 가장 흔한 종인데, 분포지가 반도와 섬이라 모두 바다로 갈라져 있기에 동네마다 색이 다르다. 근데 산지 꼬리표를 달고 수입되는 종이 아니라 랜덤성이 있음.


74f3da36e2f206a26d81f6e34680726b


그리고 가장 흔한 종이지만, 거의 모든 초콜릿구라미의 서식지는 아주 짙은 블랙워터임. 게다가 값이 싼종이라 현지에서 취급이 개판이다. 그래서 아이러니하게도 초콜릿구라미들 중에 가장 싸지만, 가장 잘 죽는다.


아 참고로, 초콜릿구라미의 종명인 osphromenoides는 자이언트구라미와 닮았다라는 뜻이야. 유어를 보면 뽀족한 입이나 지느러미 모양, 체형이 상당히 닮았다.


7ced9e2cf5d518986abce8954e82766a33

엑소돈 자이언트구라미 유어 https://www.aquariumglaser.de/en/tag/gourami/


초콜릿구라미도 암컷이 더 화려하고 암컷이 수컷에게 구애하는 물고기임. 여기도 페미 저기도 페미임.


7cec9e2cf5d518986abce895458874653ead




셀라타넨시스구라미 Sphaerichthys selatanensis VIERKE, 1979


7cef9e2cf5d518986abce8954784726d9513a6

분포 : 보르네오 (인도네시아령 남보르네오 칼리만탄 슬라탄, 칼리만탄 틍아, 칼리만탄 바랏), 벨리퉁섬(수마트라의 부속도서)

체장 : 4~5.5cm

적정 수온 : 26~30°C

적정 pH : 3.5~6.5

번식 : 부계 마우스브루더

암수구별 : 암컷은 턱이 날렵하고 지느러미가 길며 화려하다. 수컷은 육아낭이 있어 턱이 둥글다.

국내 유통 상황 : 아주 레어하게 수입이 되며, 가격편차가 매우 크다. 종종 초콜릿구라미로 오인되어 수입되곤 한다.

가격 : 4,000 ~ 15,000원

IUCN red list 멸종위기 등급 : 준위협 NT


1979년, 초콜릿구라미의 남부 보르네오 아종으로 발표되었다가 2000년대 초반에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었다. 처음 발견지가 남부 보르네오(Kalimantan selatan)이어서 셀라타넨시스라는 종명이 붙었음. 두 종을 같이 사육할 때, 두 종은 서로에게 성적인 어프로치나 싸인을 전혀 보내지 않기 때문에 자연적 교잡을 불가능할 것으로 보여.


7cee9e2cf5d518986abce8954486706b575b

초콜릿구라미와의 차이점은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매우 많은데, 가장 큰 것은 셀라타넨시스의 체색이 훨씬 연하고 무늬가 훨씬 번잡스럽고, 몸 가운데에 흰색 가로줄이 들어간다. 또한 검은 눈물처럼 눈 아래 검은줄이 있는 것도 특징적이다. 초콜릿구라미도 스트레스발색 시 눈 아래 검은줄이 나오고, 또한 기분이 좋을 때, 개체 중에 불완전한 흰 가로줄이 나오는 경우가 있으나, 셀라타넨시스의 발색이 훨씬 연한 것으로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성숙한 셀라탄넨시스는 지느러미에 붉은색, 푸른색 다양한 발색이 올라오는데 초콜릿구라미보다 그 색이 확연히 비비드하기에 보는 즐거움이 있다. 근데 귀여운 맛은 좀 떨어짐.


셀라타넨시스는 다양한 커먼네임이 있는데, 미니초콜릿구라미(초콜릿구라미보다 조금 더 작게 큰다.), 체리레드초콜릿구라미(비비드한 색이 올라온다.), 크로스밴드초콜릿구라미(가로줄과 세로줄이 교차된다.)가 그것이다.


암수구분, 번식, 사육은 초콜릿구라미와 완벽히 똑같다.


7ce99e2cf5d518986abce8954382716f16



바일란티구라미 Sphaerichthys vaillanti PELLEGRIN, 1930


7ce89e2cf5d518986abce8954f85716c39

분포 : 보르네오 (인도네시아령 서보르네오 칼리만탄 바랏의 카푸아스 강 상류 센타룸 호수와 그 인근 지류)

체장 : 5~7cm

적정 수온 : 25~30°C

적정 pH : 4.0~6.5

번식 : 부계 마우스브루더

암수구별 : 암컷은 빨강색과 청록색이 섞인 매우 화려한 발색이 나오고 수컷은 수수하다.

국내 유통 상황 : 최근 들어 안정적으로 수입이 되고 있으며, 가격도 점점 좋아지고 있다.

가격 : 7,000~15,000원

IUCN red list 멸종위기 등급 : 위기 EN ▽ 감소 중


퀸 오브 구라미, 구라미의 얼굴마담, 성격파탄자

발색부터 성격까지 구라미의 여왕님 그 자체이시다.

바일란티라는 깐지나는 이름은 발견자인 레옹 베이앙(Léon vaillant)에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처음에 베이앙이 이 종을 보르네오의 산지에서 발견했을 때, 이미 알려져있던 인도의 프레일구라미(Ctenops nibilis)이라고 보고했다고 한다. 실제로 두 종은 유어기에 비슷하게 생겼다. 하지만, 끝까지 똥고기로 죽는 프레일과 다르게, 바일란티는 창대한 발색을 선보인다.


7ceb9e2cf5d518986abce895478172687901


바일란티의 가장 큰 특징은 아무래도 암컷의 발색에 있다. 모든 자연계의 동물은 암컷은 유아기의 모습에서 번식을 위한 생식소나 기타 부속기관의 발달정도로 성성숙을 끝내나, 수컷은 구애와 경쟁을 위한 기관을 발달시킨다. 공작의 날개, 사자의 갈기, 사슴의 뿔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인간 또한 다르지 않아서. 여성은 출산과 육아를 위한 자궁과 유선, 골반의 발달이 2차성징이나, 남성은 생식선 외에도 근육과 수염, 체모가 발달한다. 사람은 수염이 사자의 갈기와 공작의 날개 같은 역할인 것이다. 근데, 바일란티는 동물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수컷이 유어의 모습에서 번식을 위한 정소와 육아낭의 발달이 이루어지고, 암컷은 난소의 발달과 함께 화려한 발색과 장미빛의 붉은 눈을 가지게 된다. 사실 이렇게 좆만한 물고기가 이렇게 화려한 것도 목숨을 건 일인데, 이렇게 화려할 필요가 있나 싶기도하다.


그리고 바일란티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번식의 주도권과 구애, 싸움과 서열 역시도 암컷이 차지한다. 그야말로, 여성시대, 가모장사회에 딱 걸마는 여걸들이다.


7cea9e2cf5d518986abce8954787776a926a


그리고 바일란티는 성격이 파탄나있다. 싸움이 매우 격렬하고 구라미들이 숨기보다 의태하는 것을 생존전략으로 취했기에 괴롭힘 당하는 개체는 하루종일 숨지도 못하고 쳐맞는다.. 꼴보기 싫을정도로 쳐맞기때문에.. 바일란티 사육에는 꼭 한쌍씩 사육해야한다. 암수도 크기가 얼추 맞아야지 싸우지 않고 평화롭게 지낸다. 다른 초콜릿구라미들이 5마리 이상 그룹사육이 권해지는 것과 달리 바일란티는 꼭 쌍으로 키우시라.. 근데 쌍으로 키워도 수컷이 알을 무는 순간 암컷이 조팬다.. 자기 알을 물고 있음에도 빨리 그 알을 삼킬 수 있도록 하루종일 조패니까 번식시에는 수컷을 분리하는 것이 좋다. 단, 수컷이 암컷보다 월등히 크고 힘이 쎌 경우 수컷이 알을 물어도 암컷이 덤비지 못한다.


아 그리고 바일란티의 발색은 포란여부에 의한 것이야. 보통 발색이 오락가락하는 물고기들의 발색이 서열이나 상태에 좌우되는 것과 달리, 바일란티는 그 주체가 암컷이기에 암컷의 포란상태에 의해 발색이 달라져. 그래서 서열이 낮은 암컷인데도 발색이 빵빵한 경우도 많다. 그리고 이 발색이 생각보다 오래 유지되는데, 번식을 못할 경우 계속 색이 유지돼. 그리고 산란 후 색이 빠지더라도 밥 잘 주다보면 2주 내외로 다시 포란하며 색이 회복된다.


7ce59e2cf5d518986abce8954380706c2e



아크로스토마구라미 Sphaerichthys acrostoma VIERKE, 1979


7ce49e2cf5d518986abce8954288776b34

https://www.tfhdigital.com/tfh/mar_apr_2019/MobilePagedArticle.action?articleId=1463293

분포 : 보르네오 (인도네시아령 중앙보르네오 칼리만탄 틍아)

체장 : 6~8cm

적정 수온 : 25~30°C

적정 pH : 3.5~6.5

번식 : 부계 마우스브루더

암수구별 : 수컷은 꼬리자루에 검은색 혹은 흰색 라인이 있으며, 암컷은 라인이 없고 배에 검은색 혹은 흰색의 도트무니가 나온다.

국내 유통 상황 : 과거 수입이 한두차례된적이 있으나 인기가 적어 수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가격 : 독일 공구 10,000원

IUCN red list 멸종위기 등급 : 취약 VU


가장 크고 가장 수수한 종이다. 화이트초콜릿구라미, 라지초콜릿구라미, 자이언트초콜릿구라미, 블랙테일초콜릿구라미로 불리고 아크로스토마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뽀족한(Acro-) 입(Stoma)라는 뜻이야.


2010~2021년 사이에 수입기록은 전무하며, 2000년대 중반에 개인수입으로 들어온적 있다.


정보는 많지 않고 사육기록도 많지 않으나, 초콜릿구라미 4종 중 가장 덜 예민하며, 성격도 가장 온순하다고 한다.


사실상 이 종부터는 사육경험이 없어서 카더라에만 의존해서 정보글을 쓰고 있다.


수입해주세요.. 제발..


7fed9e2cf5d518986abce8954483706fa8ae

https://www.prazer.jp/fish-data/3718/



루키오케팔루스 Luciocephalus



7fec9e2cf5d518986abce89547827d6d8f3d

루키오케팔루스 속은 파이크헤드 속이라고 불린다. 왜냐하면 속명자체가 강꼬치고기(Pike)를 뜻하는 Lucius(그리스어 Lykos)와 그리스어로 머리를 뜻하는 Kephale의 합성어이기 때문이야. 진짜 닮긴 했어. 그리고 엘리게이터 가아와도 닮았다. 일본에서는 악어와 닮았다고 크로커다일 피쉬로 불리고 있어.


7fef9e36ebd518986abce8954280716c7a01

https://www.fieldandstream.com/articles/fishing/2014/04/northern-pike-predators-how-fish-locally/


이렇게 구라미임에도 구라미가 아니라 여러 몬스터피쉬들을 닮았다보니 구라미 중 가장 이질적으로 생겨서 구라미가 맞나 싶기도 한데.. 과거에는 생김새 때문에 아나반티드 아목이 아니라 루키아오케팔루스아목 루키오케팔루스과(Luciocephalinae)로 별로도 분류됐던적도 있었는데, DNA 분석과 알 모양, 번식행태 등으로 밝혀진 사실로는 의외로 초콜릿구라미와 매우 가까운 친척이하고 한다. 초콜릿구라미속과 파이크헤드속은 서양배 모양의 알을 낳는데, 알 표면에 나선형 굴곡이 있는 것으로 다른 구라미들과 구분할 수 있다고 해.


파이크헤드에는 2종이 속하고 모두 생긴대로 어식성이 매우 강한 종들이야. 사육시에는 생이새우나 작은 물고기로 사육을 하는데 굉장히 예민하고 질병에 취약한 종이기에 물고기를 주는 것은 질병 리스크가 좀 있다고 해. 순치한다면 냉짱까지는 드셔주신다고 한다. 어식성이 있기에 입에 들어갈만한 고기들과는 절대 합사 불가능.




7feb9e2cf5d518986abce895478071685d16

https://www.youtube.com/watch?v=q2Etxqgjpi0&ab_channel=fishopolis88


어식성 외에도 파이크헤드들은 굉장한 참피인 것으로도 유명하다. 초콜릿구라미 들과 서식지가 겹치고 실제로도 같이 서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말은 얘네들도 모두 산성(pH3.0~6.0)의 연수(Gh 0~1), TDS 0~70의 극단적인 환경에서 서식한다. 이는 모다? 잘죽는단 소리다. 일단 pH가 높으면 죽음. 경도가 높아도 죽음. 그리고 얘네들이 사는 극단적인 산성수와 영양가 없는 물은 자연적으로 여러 세균, 기생충, 곰팡이의 번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자연상태에선 굳이 면역력을 기를 필요가 없다. 그렇기에 온갖 질병에 감수성이 높고 취약한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육시에는 최소 pH 5.5 전후로 맞춰주어야하고 26°C 이상의 고온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생먹이만 쳐먹으면서 고온에 살고 게다가 수질악화에도 예민한데, 수류를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 이상한 성격 탓에 과여과는 필수이고, 그와 동시에 수류를 잡는데에도 신경써야한다고 해. 그냥 구라미 중에 제일 사육이 까탈스럽다라고 생각하면 될 듯. 초콜릿구라미 류의 번식은 개껌처럼 하는 유럽의 고인물 사육자는 pH4.1~4.5 사이에서 키우면서 번식도 했는데, 잘살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전멸했다고 한다..


말레이반도, 수마트라, 보르네오와 그 사이의 섬들에서 서식하며, 국가로는 태국(최남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브루나이에 서식하고, 주로 인도네시아 수입으로 들어와. 하지만, 주로라고해도 국내에 수입전적이 몇 번되지 않아.


번식방법이나 번식행동은 초콜릿구라미와 같이 수컷이 알을 무는 마우스브루더이고, 성적이형성이 거의 없어서 암수구분은 어렵다. 성숙한 암컷이 알배가 차서 더 통통한 몸을 가진다 정도?

자이언트 파이크헤드 Luciocephalus pulcher J. E. Gray, 1830


7fef9e2cf5d518986abce8954f80706f20

https://www.aquaportail.com/genre-luciocephalus-1256.html

분포 : 말레이반도(태국 남부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수마트라, 보르네오(브루나이부터 사라왁, 칼리만탄 바랏과 그 접경 칼리만탄 틍아까지 서부에 널리 분포한다.), 방카, 벨리퉁 등

체장 : 12~18cm

적정 수온 : 25~30°C

적정 pH : 3.0~6.0

번식 : 부계 마우스브루더

암수구별 : 수컷은 체형이 가늘고 얄쌍하며, 성숙한 암컷은 난소로 인해 두툼한 체형이다.

국내 유통 상황 : 과거 수입이 한두차례된적이 있으나 수입 시 생존율이 높지 않아 수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가격 : 19,000 ~ 33,000원

IUCN red list 멸종위기 등급 : 저위험 LC


이름에 간지나게 자이언트가 붙긴했으나, 아래에 소개할 페퍼민트파이크와 크기가 그렇게 차이나진 않아.


종명인 pulcher는 라틴어로 아름답다는 뜻인데, 찬12나 펄1크2라와 그 어원이 같다.


7fe99e2cf5d518986abce8954e87776533

https://www.aquaticrepublic.com/common/species.php?species_id=5551

https://www.aquariumglaser.de/en/


야생에선 두 가지 타입이 있는데, 측면이 선으로 된 타입과 점으로 된 타입이야. 전자는 수마트라와 보르네오, 후자는 말레이반도와 싱가포르에 서식하는 것 같음.


이 어려운 것에 비해선 화려한 맛이 적어서 자료가 그렇게 많지 않다.



페퍼민트파이크 Luciocephalus aura H. H. Tan & P. K. L. Ng, 2005


7fe89e2cf5d518986abce8954f88716c17

https://www.youtube.com/watch?v=aCdazXdU_co&ab_channel=LeopardAquatic

분포 : 수마트라 동남부, 보르네오 (인도네시아령 중앙보르네오 칼리만탄 바랏, 칼리만탄 틍아)

체장 : 12~15cm

적정 수온 : 25~30°C

적정 pH : 3.0~6.0

번식 : 부계 마우스브루더

암수구별 : 수컷은 체형이 가늘고 얄쌍하며, 성숙한 암컷은 난소로 인해 두툼한 체형이다.

국내 유통 상황 : 과거 수입이 한두차례된적이 있으나 수입 시 생존율이 높지 않아 수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가격 : 19,000 ~ 33,000원

IUCN red list 멸종위기 등급 : 위기 EN


사실상 파이크헤드의 얼굴마담이다. 그저 옆구리에 청록색 반점이 있을 뿐인데, 그 모습이 은하수나 보석을 보는 것 같아. 종명인 aura는 그 아우라가 맞다. 후광, 광채 대략 이런 뜻이야.


자이언트파이크가 1830년에 발견된 틀딱 중에 틀딱인데 반해 페퍼민트는 2005년에 발견된 파릇파릇한 신종이고, 여러 정보사이트 들에는 수마트라에만 서식한다고 되어 있으나, 보르네오 서부에서 중부, 남부까지 폭넓게 분포하고 있어.

자이언트파이크헤드와의 동정포인트는 옆구리이 수많은 Pearl이지만, 유어기때는 이 색이 없이 자이언트파이크처럼 검은색 줄처럼 보이기 때문에 구별이 안돼.


크테놉스 Ctenops



7fe59e2cf5d518986abce8954780756c3623

크테놉스는 라틴어로 빗(Cteno)과 눈(Ops)를 합성한 것으로 빗모양의 눈이라는 뜻이야.

이 속에는 프레일구라미 1종 1속이니까 그냥 밑에서 설명할게.


프레일구라미 Ctenops nobilis MCCLELLAND, 1845



7fe49e2cf5d518986abce8954f88736e11

https://www.aquariumglaser.de/en/fish-archives/ctenops_nobilis_en/' target="_blank">https://www.aquariumglaser.de/en/fish-archives/ctenops_nobilis_en/

분포 : 인도 북동부, 방글라데시, 네팔, 부탄

체장 : 8~10cm

적정 수온 : 15~30°C

적정 pH : 5.0~7.5

번식 : 부계 마우스브루더

암수구별 : 수컷은 체형이 가늘고 얄쌍하며, 성숙한 암컷은 난소로 인해 두툼한 체형이다.

국내 유통 상황 : 아주 레어하게 수입이 되거나 인도공구에서 리스트가 뜬다.

가격 : 7,000 ~ 14,000원

IUCN red list 멸종위기 등급 : 준위협 NT


종명은 고귀한, 귀족이란 의미고 그 노블과 어원이 같아. 그래서 프레일구라미 외에도 노블구라미나 노빌리스구라미로 불리기도 해. 인도에 살아서 인디언구라미라고도 불리고. 근데 왜 이런 똥고기한데 그렇게 고귀한 이름이 붙었는지는 모를 일이네.


프레일구라미는 겉보이기에는 바일란티나 아크로스토마랑 똑같이 생겼는데, 왜 얘보다 파이크헤드랑 더 가깝냐면, 유전자와 알의 해부학적 구조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야.


프레일구라미의 알

7cef8268efc23f8650bbd58b3680726eb635a7

프레일구라미도 알 표면에 나선형 굴곡이 있지만, 얘는 거기에 원뿔형 가시까지 잔뜩 달려있다. 저 가시의 용도는 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


프레일구라미는 인도의 갠지스강과 브라마푸트라강 유역에서 살고 있어. 이 지역은 열대가 아닌 아열대의 극단적인 몬순기후로 그 서식지는 계절에 따라 극심하게 환경이 변한다고 해. 우기에는 15°C까지 떨어졌다가 건기에는32°C까지 오르고 수질도 수질도 편차가 있지만 중성전후의 약한 경수라고 한다. 물질 오래한 사람들은 여기서 알 수 있을거야. 아 얘 졸라 사육이 쉽겠다.. 이렇게 야생에서 강하게 큰 프레일구라미는 순다지역에의 깜장물에서 온실속 화초처럼 키워진 다른 애들에 비해 사육이 쉽다고 한다. 수질에도 민감하지 않으며, 온도도 그렇게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고 해.


단지 한가지 단점이 있는데.. 사육한 아붕이들의 증언에 의하면 성격이 존나 좆같아서 서로를 죽일정도로 싸운다고 한다. 그럼 그렇지.. 얘네들한테 단점이 없을 순 없겠지..


부계 마우스브루더로 번식 방법은 초콜릿구라미와 비슷하다고 한다. 성적 이형성은 거의 없는데 수컷이 조금 더 붉은 빛이 진하고 암컷은 알이 차서 배가 빵빵하다고 하네.


0ea9d528eac22beb60b0d4bc1ad83702fd02dd693c83d333349bf93a160fd48ffb

https://www.aquariumglaser.de/en/fish-archives/ctenops_nobilis_en/



1e989d23b5876bf06bed85f84787226b0d2dc235c2d7331622479562b9b06bc55444a3524808032a260bbeced8e2ff23ba697fc7f8f18a


7종의 크기 비교는 아래와 같아. 가장 큰 파이크헤드는 가장 작은 셀라타넨시스를 잡아먹을 수 있지 않을까?


마지막으로 번식을 알려줄게.. 번식이라고 해도 내가 사육하고 번식해본 초콜릿구라미, 셀라타넨시스, 바일란티에 한정된 글이야.


​번식을 위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아.


1. 성숙한 암수

수컷은 조금 미성숙해도 번식을 할 수 있는데, 암컷은 무조건 성숙해야지 번식이 이루어 지는 것 같아. 우리집에선 생후 8개월 된 F1이 번식을 한적이 있는데, 대충 생후 7~10개월 사이부터 번식이 가능한 것 같아.


2. 생먹이

필수는 아닌데, 생먹이를 주로 먹일 경우, 포란과 성숙이 빠르고 번식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


3. pH 5.5

사실 이 종들의 번식 트리거는 다 필요없고 pH야. pH가 높으면 아무리 성숙했다고 해도 번식까지 이루어지기가 힘들어. 꼭 깜장물일 필요는 없으나 꼭 산성의 연수일 필요는 있다.

만일 pH는 적정수준까지 내려준다면 애들이 갑자기 공격적으로 변하고 구애와 페어링을 자주 관찰할 수 있어.

pH는 낮을수록 좋지만, 너무 낮으면 환수할 때마다 업다운이 심해 쇼크가 올 수 있어서 pH5.0~5.5를 적정수준으로 잡고 사육하는 것이 좋아.


4. 수온 28℃

인도네시아 대학의 초콜릿구라미 양식을 위한 실험을 진행한적 있었어.

24±1℃ / 27±1℃ / 30±1℃ 의 세 가지 수온조건에서 번식과 치어 성장을 비교하는 골자였는데, 결과는

27±1℃가 가장 베스트라고 한다. 그리고 24±1℃에선 폐사나 컨디션 저하가 관찰되었다고 해.


5. TDS < 70

독일의 사육자에 의하면 TDS가 너무 높을 경우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해. 무정란일 경우 수컷이 그대로 삼켜버리니 지속적인 식란이 관찰된다면, 수컷이 미성숙하거나 TDS가 너무 높아서 수정이 안됐거나 둘 중 하나다.


​6. 산란장소 확보

얘네의 산란장소는 대단하지 않아. 그저 페어링과 산란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바닥에 주어지면 됨. 수초가 너무 빽뺵하게 심어졌거나, 저서어종이 너무 활개치는 환경에선 산란이 이루지지 못해.


산란행동은 다음과 같아.



1. 구애

구애는 쌍방으로 이루어져. 암컷은 지느러미를 펼치고 화려함을 자랑하고, 수컷은 턱의 육아낭을 한 껏 부풀리고 자신이 얼마나 많은 알을 품을 수 있지를 자랑하지.

초콜릿구라미 구애


2. 페어링

구애를 통해 서로의 사랑을 확인했다면, 그 다음은 페어링이야. 별건 없고 바닥에서 서로 빙빙 돌면서 산란각을 잡는다.

보통 페어링이 목격됐으면 그날이나 다음날에 산란이 이루어져. 근데 아직 미성숙하거나 산란각이 안보이면 계속 페어링만하고 산란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셀라타넨시스 페어링


3. 산란

산란은 조명의 여부나 낮밤의 여부와 상관없이 이루어진다.

어쩔 때는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간밤에 산란을 했던적도 있고, 어쩔 때는 아침에는 분명 밥 잘 먹었는데 오후에 산란을 했던 경우도 있었다.

나는 산란을 찍어둔 영상이 없어서 아래의 일본인 사육자의 영상으로 대체한다.

산란은 암수가 돌다가 갑자기 암컷이 한 번에 산란을 주루룩하고 그와 동시에 수컷이 방정을 하며, 그 후 수컷이 알을 주어서 입에 넣는다. 가끔 멍청한 수컷이 어리버리하면 암컷이 그 알을 다시 먹는 경우가 있긴해.



이 산란행동은 파이크헤드도 동일하다.




4. 마우스브루딩

수컷은 알을 입에 품고 약 10~21일간 입속에서 알을 부화시키고 난황을 소비시킨다.

이 알을 품고 있는 기간은 사육온도와 수컷의 능숙함에 따라 다른데, 대체로 27℃ 전후로 사육한다면 만 14일이면 치어는 난황소비까지 완벽하게 끝내고 브라인을 먹을 수 있는 사이즈가 된다.


78ec9e2cf5d518986abce8954185776e06

78ef9e2cf5d518986abce89547867c68c4f2


알을 물고 있는 수컷은 그저 턱아래가 부푸는 수준이 아니라 아가미 가까이까지도 알이 그득차서 아감딱지가 들리기에 안쪽 붉은 아가미가 보일정도가 된다. 그리고 수컷은 주기적으로 턱과 아가미를 움직이며 알을 굴리고 산소를 공급해주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그 모습이 딸꾹질을 하는 것 같다.

셀라타넨시스 알 굴리기

시간이 지날수록 무정란을 삼키는 건지 자기가 양육가능한 만큼만 케어하는건지 모르겠으나 알을 계속 삼켜 점점 턱이 줄아드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보통 다른 마우스브루더를 하는 물고기들이 아주 큰 입을 가진 것에 비해 초콜릿구라미들은 작은 입을 가지고 있기에 알을 억지로 뱉게 해서 인공부화를 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기에 그냥 수컷에게 맡기자.


​5. 치어 털어주기

이건 개인의 선택사항인데, 나는 14~15일이 되었을 무렵 치어를 털어준다.

치어는 14일이 경과한 순간부터 자유유영을 시작하며 브라인을 먹을 수 있지만, 간혹 수컷들은 더 늦게 치어를 방출하려고 한다. 이런 장기적인 마우스브루딩은 수컷과 치어에게 모두 악영향을 주기에 치어를 털어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초콜릿구라미들이 입이 매우 작기에 치어를 털어주는 것 매우 힘들고 이 종들은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하기에 자칫 죽일 수도 있으니 숙련자들만 하시길..

0490f7a9390d36ab7ba8c5a258d62d3b64904694f648a596e38bd7a147


사실 치어를 털어준다고 해도 모든 치어를 100% 털어주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치어 털어주기는 치어를 다 확보한다는 목적보다는 수컷에게 자극을 주어 치어를 빨리 뱉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6. 치어 키우기

치어를 키우는데는 뭐가 필요없다. 치어는 구피치어만한 크기로 태어나 이미 브라인을 매우 잘먹을 수 있기에 열심히 브라인만 급이하면 된다. 그리고 베타치어에 비교해도 치어가 크기에 그 탈락이 훨씬 적어서 안정적으로 치어를 키워올릴 수 있다. 물론, 얘들도 초콜릿구라미라서 수질이 바뀌면 전멸한다.


7ceb8170b7836ff738ec82e3419f2e2d5e059513d70d79cd14d1f541

3주된 초콜릿구라미 치어


그리고 개인적인 경험으로 동남아 어종들은 남미어종들과 달리 F1이 야생개체에 비해 크기나 발색, 체형이 뒤떨어지는 것은 없고 가끔 부모개체보다 화려한 개체가 나오기도 한다. 문제는 F1도 부모개체처럼 수질에 예민하기에 한국수질에 적응되는 모습은 찾기힘들다. 수입스트레스만 없을 뿐 F1이라고 크게 사육이 쉽지는 않


0490f7a9390d2cbe7ab5ceb458d62d3b3b050631b741061938bb6cfd47

8주된 바일란티 유어


녀러분 구라미 하세요 구라미!



끝!



출처 -


Britz, Ralf, Michael Kokoscha, and Rüdiger Riehl. "The anabantoid genera Ctenops, Luciocephalus, Parasphaerichthys, and Sphaerichthys (Teleostei: Perciformes) as a monophyletic group: evidence from egg surface structure and reproductive behaviour." Japanese Journal of Ichthyology 42.1 (1995): 71-79


Rüber, Lukas, et al. "Evolution of mouthbrooding and life‐history correlates in the fighting fish genus Betta." Evolution 58.4 (2004): 799-813.


Rüber, Lukas, Ralf Britz, and Rafael Zardoy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ary diversification of labyrinth fishes (Perciformes: Anabantoidei)." Systematic Biology 55.3 (2006): 374-397


Abu-Almaaty, Ali, et al.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and cytogenetic analysis of three fish species of family Osphronemidae." Egyptian Journal of Aquatic Biology and Fisheries 21.2 (2017): 1-15


Nur, Bastiar, Sawung Cindelaras, and Nina Meilisza. "INDUKSI PEMATANGAN GONAD IKAN GURAMI COKELAT (Sphaerichthys osphromenoides Canestrini, 1860) MENGGUNAKAN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DAN ANTIDOPAMIN." Jurnal Riset Akuakultur 12.1 (2017): 69-76.


AZIS, CINDY YUANITA. KELANGSUNGAN HIDUP DAN PERTUMBUHAN IKAN GURAMI COKLAT (Sphaerichthys osphromenoides) PADA SUHU YANG BERBEDA. Diss. Universitas Airlangga, 2016.


http://redlist.org/


https://www.fishbase.se/


https://www.seriouslyfish.com/


http://www.timetree.org/


https://www.aquariumglaser.de/

추천 비추천

28

고정닉 18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366510 일반 전경수초도 파워샌드빨 잘받음? [1] ㅇㅇ(125.242) 22.04.05 86 0
366509 일반 20하이에 네오이탄 계속 쏴줘도 되는거임?ㄷㄷ 부지런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73 0
366508 일반 수초항은 이것도.. 저것도... 다 필요할꺼야...? [12] 최소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966 8
366506 일반 시발 바사 스펀지 괜히 샀네 [2] 커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231 0
366505 일반 이끼따위 두렵지 않은 조합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97 1
366503 일반 새우로 붓이끼 박멸 가능하냐? [12] 인생내인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294 0
366502 일반 골든볼 라미네지 피부에 무슨 병인가요? ㅠㅠ [5] ㅇㅇ(175.196) 22.04.05 168 0
366501 일반 말미잘어항 받침 조립 다했다 [9] 쪼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81 3
366500 일반 2자광폭 금어항 여과기 [4] dd(182.212) 22.04.05 149 0
366498 일반 질문 [5] ㅇㅇ(125.242) 22.04.05 58 1
366497 질문 플로엑셀 투여법 좀 알려줘 [6] 인생내인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215 0
366496 일반 트리밍해따 고무심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46 0
366495 일반 새우 먹이 뭐 먹임? [9] 기기l괴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68 0
366494 일반 미니가재 ㅈㄴ재밌네ㅋㅋ [4] 시워언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266 0
366493 일반 시발 바테리 ㅈㄴ 아쉽네 [4] 커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32 0
366492 일반 원목다이 튼튼한건 알겠는데 못사겠음 [14] ㅇㅇ(125.242) 22.04.05 288 0
366491 분양 [무분] 아피스토그라마 트리파시아타 한쌍 분양보냅미당 [12] 물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265 3
366490 일반 조졌다.. 어항 물 샌다!!! [12] ㅁㄴㅇ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781 15
366487 일반 오늘의 바테리 나나 [3] 커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48 0
366486 일반 니들 정리 잘하는구나 [4] BlastF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35 0
366485 일반 요즘 찬나수입 얘네 이쁘던데 [14] ㅇㅇ(112.147) 22.04.05 282 0
366482 일반 물고기 처음에는 밥 조금 줘야해? [7] 나눈표범(218.209) 22.04.05 136 0
366481 일반 구피중에는 핑크키티가 제일이쁜거같음 [1] 물린이입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250 1
366480 질문 이것도 이끼야? [7] 인생내인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25 0
366479 일반 아 2자광폭항 어종 추천 앙망 [7] 기기l괴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31 0
366478 일반 님들 수조용품 어캐정리함?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01 0
366477 일반 베붕이 밥은 얼마나 줘야 함? [10] ㅇㅇ(14.55) 22.04.05 98 0
366475 일반 오 찬나 금지어 언제 풀림???? [1] Antono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38 0
366474 일반 찬나 빌런 갔어....? Antono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98 0
366473 일반 아갤러 이번달 필구 도서 [7] 아이둘포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09 0
366472 일반 난주 수조 사이즈 2자소폭 [5] dd(182.212) 22.04.05 151 0
366471 일반 몰리 따라하는 금붕어 ㅋㅋ [7] 물린이입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70 1
366470 일반 와.. 식물값 물질에비하면 장난없네 [13] 영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280 0
366468 일반 정글플랜츠 라비시아 [3] 버지니아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06 2
366466 일반 다음 어항은 이거 둘 중 하나로 해야지 [4] 물린이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16 0
366465 일반 트윈스타 600ec 아까 7만원에 찾았다고 했는데 [4] 상도동날다람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51 0
366463 일반 물고기 그림 보고가라 [6] 단호박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08 3
366462 일반 난 도도한 물고기가 좋더라 [6] 불고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78 0
366461 일반 찬나대신 복어는 어떰 [2] 재능없는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11 0
366460 일반 와이파이 디머 왔다 [4] 보라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31 0
366459 일반 찬나 이것도 알아보니까 좀 빡쌔네... [8] ㅇㅇ(180.66) 22.04.05 216 0
366458 일반 새우 치비머냐 [2] 줘팸애호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41 1
366457 일반 자반에 며루치만한 애들 몇마리부터 과밀? [5] ㅇㅇㅇ(49.167) 22.04.05 149 0
366456 일반 수제타모 만들기 [9] MEDA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439 8
366455 일반 아기찬나 ㅇㅇ(112.147) 22.04.05 78 2
366454 일반 베타 키우면서 이중인격자 되는듯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910 11
366453 일반 주렁주렁 겉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44 0
366452 일반 찬나는 마성의 어종인가 재능없는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14 0
366451 일반 진짜 이 코리들 정체가 뭐지 [9] BlastF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188 0
366449 일반 밥 이틀에 한번주는데 [3] ㅇㅇ(220.77) 22.04.05 9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