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장편연재] 파라오 19. Itjitawy : 역병의 도시 밑을 굴러가는 스노우볼

통사람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12.29 13:24:59
조회 315 추천 1 댓글 4
														


viewimage.php?id=2ab2d727e9de07a561b3d9bb0f&no=24b0d769e1d32ca73cec87fa11d0283141b58444220b0c04398ccb2aecd206e562e575557855fa444bc8fa6e01c077d8df3932391a356f6660fefbae42d7d1a75bd0a91af3c40371




파라오 연재 모음






통합 미션... 이지만 전쟁은 없는 19번째 미션.

인구 목표 : 7500(고급 장원 6채)
문화 등급 : 60
번영 등급 : 60
기념 등급 : 33(스핑크스, 중형/소형 벽돌 피라미드)
왕국 등급 : 85

인구는 일반저택 4라인, 장원 1라인으로 구성하면 달성 가능하다.


생산 식량 : 곡물, 상추, 석류, 육류
생산 원료 : 점토, 갈대, 아마, 석회암

파피루스와 아마사를 수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금적인 여유를 예상했지만
왜인지 모르게 생각보다 상당히 빡세게 초반을 보내야만 했다.

보리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보리나 맥주를 수입해야 하는데
나는 Buhen과 무역로를 터서 보리와 맥주를 수상무역으로 수입하긴 했지만
돌이켜 보면 그냥 Kharga와 육로로 무역을 하는게 더 나았을거 같다는 생각도 든다.
보리 수입량이 2500인데 이 미션에서 필요한 맥주는 1년에 2100개 정도 되니까
굳이 Buhen과 무역로를 트지 않아도 충분이 조달은 가능하다.
폭풍 같은 랜덤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양쪽으로 갈라져 배치된 지형

이 도시에 굴러갈 스노우 볼 중 하나다


일단 이쪽은 총 라인 3개를 올릴 예정인데 두개만 먼저 그어주고
갈대와 가까운 곳에 파피루스 생산단지를 준비해준다.


이쪽은 2라인을 올릴 예정이고 그 중 하나는 순환구조로 구성했다.


이주해오는 주민들


일단 초반에는 파피루스를 팔아먹도록 하자


적절한 타이밍에 식량공급도 준비


갈대밭이 아주 넓은 것도 아니고 아주 가까운 것도 아니어서 파피루스 생산 주기가 애매하다.


아마 농장과 함께 곡물 농장을 축축 늘리면서 소 농장을 지어두자


왜냐하면 고기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 미션에서는 도기, 점토, 벽돌, 육류, 석회암, 아마사, 곡물 등 버라이어티하게 물건을 요구한다.

만들고 있다면 기간 내, 혹은 기간 이후에라도 대응할 수 있겠지만
꼭 기간 내에 대응해야겠다 싶으면 수입을 해서 대응을 하도록 하자.


요구를 들어주면 왕국 등급이 오르는 것 외에도 푼돈이지만 돈을 준다.

다만 육류와 아마사는 수입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
그나마 아마사는 조금 시간이 지난 뒤에 아마사 생산이 잘 될쯤 요구를 해서 상관 없는데
육류는 초반에 한 세번정도 요구를 하기 때문에 미리미리 생산해야 대응할 수 있다.


여튼 육류를 생산하게 된 김에 장원라인에 들어갈 두번째 식량은 육류로 하기로 정했다.
이전에 소 농장이 몇번 나오기는 했지만 식량으로 써보지 않아서 시험 삼아 써보기로 했다.
그리고 이게 후반부에 게임을 터뜨릴뻔 한 스노우볼의 시작이 된다.


이쪽도 곡물 농장을 지어주는데 소농장이 돌아가기 위해서는 곡물농장에서 나온 짚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실 소농장은 엥간하면 식량으로는 운영하지 않는게 좋은 품목이다.
물론 목초지라는 위치의 제한 없이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토지 상태가 좋지 않은 목초지의 농장보다 모자랄 수 있는 연 600이 안되는 생산력에
짚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량의 곡물농장이 필요하다는게 문제가 된다.

이번 미션의 경우를 생각하면 장원라인의 장원에 사는 인구가 1200명인데
1년에 장원라인에 고기를 공급하려면 3600의 고기가 필요하다.
그런데 짚 100을 넣어야 고기 100이 나오므로 결국 3600의 짚이 필요하다는건데
그럼 범람평야 기준으로 36개의 농장이 돌아가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물론 목초지의 곡물이 경우 연 2회 추수하니 갯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긴 하지만
이 미션의 경우 목초지가 범람평야 주변에 소량 붙어 있어서 같이 라인을 짜기가 애매하진다.


이쪽에 피라미드를 지을까 말까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결국 다른 곳에 지었다.

언제나 내 선택이 그렇듯 좋지 않은 선택이었다.


꾸준히 늘려주는 곡물농장


피라미드는 이쪽에 짓기로 했는데 결과적으로 아까 위치가 좀 더 적절했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이건 단순히 피라미드의 위치 뿐만 아니라 위에 언급한 식량문제와도 연관이 있는 케이스다.


이쪽라인도 슬슬 발전을 시작하면서 동시게 벽돌 생산도 진행해주자.


오락시설을 밖으로 빼지 않고 라인 안에 집어 넣어보았다.

라인 밖으로 빼면 안정성은 증가하지만 일꾼이 더 많이 필요해지고 라인 밖에 공간이 필요하며
반대로 라인에 포함시키면 순환로 때문에 라인의 불안정함이 커진다.

가운데 장원라인을 집어 넣으려고 하다보니 라인을 빼는 위치가 애매해질거 같아서 라인 안에 포함을 시킨건데
결과적으로 이번 미션에서는 좋지 않은 선택이었다.


이제야 막 직공소가 올라간 상황

초반에 이상하리 만큼 일꾼 확보가 잘 안됐다.
내가 너무 피라미드를 의식해서 테크를 늦게 올린건가....


초기 석회암 생산 위치


적당한 타이밍에 육류도 생산중지를 해서 일꾼을 확보해주자


이쪽도 일단 채굴단지를 만들어줬다.


이번 미션에서는 저장소에 물건을 쪼개서 보관하기로 했다.

라인이 다섯개인데다 문화등급 요구치가 높기 때문에
각 라인마다 저술학교와 시체안치소를 깔고 가서 파피루스, 아마사를 원활하게 공급해줘야 한다.
때문에 해당 상품을 보관하는 저장소를 확보해서
요구사항이 발생하면 아무나 출동할 수 있게 상황을 만들어뒀다.


초반에 인구를 너무 적게 받아서 석회암을 많이 못 파놨다.


일단 테크를 올리면서 일꾼을 확보하는 상황


이 미션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역병.

일단 시작은 수질오염이 발생했다는 식으로 메세지가 뜬다.


문제는 여러가지 상태 패널을 돌려봐도 어디가 문제인지 알 수 없다는거다.
일단 어디가 문제인지가 좀 드러나야 일시적으로 의료소를 늘리든 뭘 하든 할텐데
막상 의료소, 약제소 패널을 보면 딱히 문제가 없는 상황


결국 아무 것도 모른 채 역병에 쳐 맞아야 한다.


일단 역병이 발생하면 역병 감염자가 도로를 활보하고 그 도로에 있는 주거지를 감염시켜 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역병이 발생한 주거지를 최대한 빠르게 밀어줘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역병에 당했던 집들 아니랄까봐 그래픽까지 깨지고 지랄이 났다.


시발 뭐 딱히 이용률이 크게 떨어지는 것도 아닌데....


혹시 물 패널로 넘어가면 알 수 있을까 싶었는데 그것도 아니다.


이번에는 이쪽에 역병이 돌았다.

아직도 역병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인할 수는 없지만 대충 조건은 이런거 같다
일단 수질오염이 뜬 상태에서 의료소 이용이 부실하거나 식량공급이 되지 않을 때
전부는 아니고 어느정도의 확률로 발생하는게 아닌가 싶다.

일단 이쪽은 식량공급이 안되는 상태에서 트리거가 터졌다고 본다


이쪽의 경우에는 각 라인 가장 앞에 주택이 하나씩 있는데
식량공급을 받아서 발전했음에도 한번씩 역병이 터진 이력이 있다.

이유를 생각해보면 의료소 근무자가 바로 주택가로 향한다면
근무자의 보행거리로 가장 앞의 주택에 닿을 수 있는데
반대로 먼저 가게 되면 거리를 손해 보면서 의료소 근무자가 입구까지 닿기가 빡세진다

여기에 오락시설의 갈림길까지 더해지면 그곳에서 헤메느라 거리의 손해가 커지고
그럴 수록 입구까지 근무자가 오기 점점더 빡세지고 의료소의 적용을 받기 힘들어진다.

결국 이 케이스는 저장소 라인의 순환구조에다 의료소를 설치하는 것으로 쇼부를 봤다.


그리고 기존의 석회암 채굴 지역은 식량 공급이 애매하니 
원래 있던 순환라인 근처로 옮겨서 진행하기로 했다.

사실 이것도 지랄인게 맨 처음 할까 고민했던 지역에 했으면 거기서 식량을 생산하니까
식량공급+짚공급+벽돌공급+석회암공급 모두 가능한 상황이었음
그럼 지랄 맞게 옮기고 자시고 지랄 안해도 됐겠지....


여튼 늦은건 늦은거고 빨리 지읍시다.


식량은 적절하게 과생산 중


뭐하느라 캡쳐했는지는 모르겠는데 아마 역병 돈다고 뜬 모양이겠지


4라인 증설

저 가장 앞에 있는 주택도 한번 역병에 터졌었다.


원래는 쌓아놓은 석회암도 많고 건설 길드도 많아서 한번에 주르르륵 끌고 갔어야 했는데
인구를 제대로 확보하지 않은 탓에 그러지 못하는 상황


장원 라인도 일단 사람은 받아서 라인만 돌려 놓는다


아마사 요구가 들어왔다


거 시발거 전투도 없는 지역에 이런 축복 말고 건설 축복을 내놓으라고


벽돌생산을 빡시게 했는데 사실 벽돌은 그렇게 많이 안들어간다.
차라리 석회암을 좀 더 일찍하는게 나았을 수도 있다.
아니면 석회암을 수입으로 좀 땡겨 놓든가


뒤늦은 테크업


그리고 뒤늦은 석회암 물량 확보


아니 싯팔 왜 자꾸 뜨냐고 시발거....


인구가 남는다 싶으면 장원 테크도 타준다


장원에 공급할 소농장에 공급할 짚을 생산하기 위해 농장을 늘리는 중


소농장은 7개까지 돌려야 1라인에 공급이 가능하다.


최대한 남는 자리 없이 곡물 농장을 집어 넣는다


또 돌았나보네 시발거


이쪽 라인도 발전을 시켜주면서


장원 쪽도 인구를 모으며 폭풍 성장 중


오락도로 빵꾸난 문화도를 떼우기 위해 등장한 디즈니 랜드

저기에 역병 도는거 아닌가 하고 존나 조마조마 했음


어느새 완성된 피라미드 스핑크스


이제 부족한건 왕국등급과 인구 뿐이니 뇌물 먹여놓고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시장에 맥주가 떨어진 상황... 그래도 뭐 이제 200명만 더 채우면 되는데...


???


???

갑자기 아래지역에 맥주가 안돌아서 주택들이 빠그라지기 시작한다.


일단 급하게 저장소를 하나 더 지어서 맥주를 입수하게 하고
기준에 적게 수입하던 맥주를 대량으로 수입해서 숫자가 확보되게 했는데
어떻게 보면 본질적인 문제는 그게 아니었다.


이 도시의 근본적인 문제는 바로 이 물가 인근에서 비롯되고 있었다.

일단 맥주생산을 비롯해서 꽤 많은 물품 제작소들이 놀고 있었는데
이건 저장소 쪼개기 운영에서 비롯된 문제였다.
처음 생각은 말한것처럼 어디서 물건이 필요하면 아무나 대응할 수 있으면 좋겠다였는데
결과적으로 발생한 현상은 저장소 직원들이 가까운 곳이 아닌 아무데나 가버린다는데 있었다.
위쪽에 있는 저장소의 아마를 아래쪽 직공소에 옮기고
당장 아마를 공급해줬으면 좋겠는데 저 멀리 있는 맥주 공장에 보리를 가져가는 중인 상황인 것이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문제는 바로 나루터에 있었다.
일단 지금 나루터 근처에 빽빽하게 있는데 각종 저장소 직원들과 
곡물, 짚 운반자, 시장 상인, 무역 상인 등 아주 다양한 사람들이 반대편으로 건너가려 하고 있다.
그런데 나루터는 한번에 한명만 이동이 가능한 상황인데다 이번 미션은 강 폭도 넓으니
결과적으로 위쪽과 아래쪽의 물류 흐름이 원할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저장소 쪼개기와 잘못된 산업단지 구성도 원인이지만
더 큰 문제는 식량을 단일화 했다는데 있다.
식량을 단일화하고 저장소, 곡창이 모두 차면서 갈 곳을 잃은 곡물 운반자들이
어디 한 곳이 비었다하면 우르르 몰려가고, 다시 빈곳으로 우르르 가다보니
나루터의 정체가 더욱 심해질 수 밖에 없었다.

여기서 제일 좋은 방법은 양쪽에 다른 식량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원에 공급할 두번째 식량만 곡창의 확보 명령으로 확보하면 됐다.
그렇다면 왜 그렇게 하지 않았는가???

바로 두번째 식량으로 육류를 선택했고 그래서 짚을 공급해야했고
그래서 곡물농장이 많이 필요했고 그래서 식량이 단일화 된 것이다.

그러니까 두번째 식량을 육류로 선택한 스노우볼이 구르고 구르고 굴러서 지금의 병목현상을 만든 것이다.

게다가 피라미드를 짓은 위치를 옮긴 이유 중에도 짚으로 벽돌도 만들고 육류도 뽑아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짚을 운반하는 근무자가 서로 크로스가 나버려서 먼길을 돌아갈까 우려가 된다는 것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두번째 식량을 육류로 선택한 것은 여려모로 좋지 않은 선택이었다는 것이다.



어떻게 했는지는 모르지만 저 인파를 뚫고 맥주를 구해온 저장소 근무자


집이 쪼그라 드나 했는데 다시 복구가 됐다.


빠르게 빤스런....


347개월....

초반 안정화가 너무 늦었고 후반에는 나루터 호러쇼까지 펼쳐지면서 시간이 너무 지연됐다.


등급 현황


거의 풀로 채워놓은 오락시설


통상적으로 임금은 30 선이지만 이 미션에서는 40 이상으로 올라간다.
하지만 장원 빽으로 걷은 세금으로 충분히 커버하고도 남는다.

후반부가 되면 주력 상품인 파피루스와 아마사를 수출하기 어려운데
4라인 일반저택에 1라인을 장원으로 돌리면 연간 필요한 파피루스가 근 2500이고
시체안치소와 장원에 들어가는 아마사가 3300 정도가 된다.
아마사야 농장이 빈 곳이 있으니 찍어내면 되지만
파피루스는 갈대 수입이 애매해서 작업장 5개도 돌다 말다 하기 때문에 
오히려 수입을 해야 하기도 한다.


평온해 보이지만 역병과 퇴화의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는 위험한 도시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1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6200 장편연 야무웃! 아이돌인 내가 섀도우런 세계관으로 이세계 빙의 전생?(2-6) [5] ㅇㅇ(121.101) 21.01.02 105 1
26199 일반 Wandersong (1) - 꿈 [2] 제미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2 139 2
26198 장편연 야무웃! 아이돌인 내가 섀도우런 세계관으로 이세계 빙의전생?(2-7수정) [2] ㅇㅇ(121.101) 21.01.02 76 0
26196 단편연 중붕이가 만들고 있는 겜 연재하면 보냐? - 4 갤용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2 88 0
26195 장편연 야무웃! 아이돌인 내가 섀도우런 세계관으로 이세계 빙의 전생? (2-5) [1] ㅇㅇ(121.101) 21.01.02 88 1
26193 단편연 중티마 온라인 - 둔기 전사 알쳄 - 2 ㅇㅇ(183.101) 21.01.01 152 5
26192 단편연 중티마 온라인 - 둔기 전사 알쳄 - 1 [1] ㅇㅇ(183.101) 21.01.01 234 2
26191 일반 스탈린과의 섹스를 피해라!!! .review [3] 배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1 255 2
26190 장편연 야무웃! 아이돌인 내가 섀도우런 세계관으로 이세계 빙의 전생? (2-4) [1] ㅇㅇ(121.101) 21.01.01 75 1
26189 단편연 중붕이가 만들고 있는 겜 연재하면 보냐? - 3 [2] 갤용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1 117 0
26188 장편연 파라오 20W. Iken : 아 시발, 10분 러쉬 매너 좀 [2] 통사람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1 265 1
26186 단편연 중붕이가 만들고 있는 겜으로 연재하면 보냐? [1] 갤용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31 74 0
26185 게임칼 [게임추천글]이스8 - 라크리모사 오브 다나 털케이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31 164 2
26184 일반 꺼드럭만과 뇨끼할배 소식 : 단또 업그레이드! [5] Caoh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31 160 3
26183 장편연 fm19 #66 - 발동 걸리기 시작한 경주?? [SOD]휴지도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31 65 3
26182 장편연 야무웃! 아이돌인 내가 섀도우런 세계관으로 이세계 빙의 전생? (2-3) ㅇㅇ(121.101) 20.12.31 84 1
26181 연재모 야무웃! 아이돌인 내가 섀도우런 세계관으로 이세계 빙의 전생? 2 ㅇㅇ(121.101) 20.12.30 111 0
26179 장편연 야무웃! 아이돌인 내가 섀도우런 세계관으로 이세계 빙의 전생? (2-2) [1] ㅇㅇ(121.101) 20.12.30 110 1
26178 일반 뱀파이어 더 마스커레이드 연재 못하겠엉 [7] ㅇㅇ(220.86) 20.12.30 195 1
26177 단편연 중붕이가 만들고 있는 겜 연재하면 보냐? - 2 [1] 갤용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9 124 3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