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一般] 각 언어에 맞는 폰트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특히 한국어·중국어·일본어에서

ㅇㅇ(114.71) 2023.12.27 11:00:28
조회 527 추천 8 댓글 8
														

현재 전 세계 문자의 전산화를 담당하는 표준 코드 체계는 유니코드(Unicode)이다. 유니코드의 표준을 규율하는 민간 단체인 유니코드 콘소시엄에서는 유니코드를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유니코드에 대해 ?
어떤 플랫폼,
어떤 프로그램,
어떤 언어에도 상관없이
유니코드는 모든 문자에 대해 고유 번호를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컴퓨터는 숫자만 처리합니다. 글자나 다른 문자에도 숫자를 지정하여 저장합니다. 유니코드가 개발되기 전에는 이러한 숫자를 지정하기 위해 수백 가지의 다른 기호화 시스템을 사용했습니다. 단일 기호화 방법으로는 모든 문자를 포함할 수 없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 연합에서만 보더라도 모든 각 나라별 언어를 처리하려면 여러 개의 다른 기호화 방법이 필요합니다. 영어와 같은 단일 언어의 경우도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글자, 문장 부호 및 테크니컬 기호에 맞는 단일 기호화 방법을 갖고 있지 못하였습니다.
이러한 기호화 시스템은 또한 다른 기호화 시스템과 충돌합니다. 즉 두 가지 기호화 방법이 두 개의 다른 문자에 대해 같은 번호를 사용하거나 같은 문자에 대해 다른 번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모든 컴퓨터(특히 서버)는 서로 다른 여러 가지 기호화 방법을 지원해야 합니다. 그러나,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호화 방법이나 플랫폼 간에 전달할 때마다 그 데이터는 항상 손상의 위험을 겪게 됩니다.
유니코드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유니코드는 사용 중인 플랫폼, 프로그램, 언어에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숫자를 제공합니다. 유니코드 표준은 Apple, HP, IBM, JustSystem, Microsoft, Oracle, SAP, Sun, Sybase, Unisys 및 기타 여러 회사와 같은 업계 선두주자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유니코드는 XML, Java, ECMAScript(JavaScript), LDAP, CORBA 3.0, WML 등과 같이 현재 널리 사용되는 표준에서 필요하며 이는 ISO/IEC 10646을 구현하는 공식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많은 운영 체제, 요즘 사용되는 모든 브라우저 및 기타 많은 제품에서 지원됩니다. 유니코드 표준의 부상과 이를 지원하는 도구의 가용성은 최근 전 세계에 불고 있는 기술 경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유니코드를 클라이언트-서버 또는 다중-연결 응용 프로그램과 웹 사이트에 통합하면 레거시 문자 세트 사용에 있어서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납니다. 유니코드를 통해 리엔지니어링 없이 다중 플랫폼, 언어 및 국가 간에 단일 소프트웨어 플랫폼 또는 단일 웹 사이트를 목표로 삼을 수 있습니다. 이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손상 없이 여러 시스템을 통해 전송할 수 있습니다.

출처

‘이론상으로는’ 단일한 기호화 시스템으로 전 세계 모든 언어의 문자들을 표현한다는 얘기이다. 이론상으로는. 그런데 유니코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한자(漢字) 등의 이체자(異體字, ideographic variants)들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한자의 경우 뜻(훈·訓)과 소리(음·音)은 같은데 글자의 모양(형·形)이 다른 글자들이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이런 글자들을 이체자라고 한다. 예를 들어 ‘나라 국’ 자의 경우 정체자인 國, 속자(俗字)·약자(略字)에 속하는 国 등 여러 이체자가 존재한다(이것 말고도 아주 많다.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두 개만 제시했다). 유니코드에서는 國과 国처럼 모양이 확연히 다른 이체자들은 다른 코드를 부여해서 구분을 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 별 문제가 없다. 그런데 유니코드 콘소시엄은 미세한 차이가 있는 이체자들은 그냥 차이를 무시하고 한 코드로 부여해 놓아 버렸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 한자 문화권에서는 국가마다 한자 자형이 다르다. 물론 정체자/간체자나 구자체/신자체 같은 차이도 있지만 그보다 훨씬 미세한 차이를 지닌 이체자들이 각국에서 쓰이고 있다. 한국이냐 중국(본토)냐 대만이냐 홍콩이냐 일본이냐… 등등 나라/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다음은 그 예이다.

a14004aa3706b4589e340f519c04d46c55bde77f1a50ccea6ae35d5db2a194f3a8131369385ade0891

유니코드 내에 같은 코드를 할당 받은 문자임에도 형태가 다른 예를 생각나는대로 위 표에 정리해 보았다. 한국어는 한국의 폰트를, 중국어(간체)는 중국 본토의 폰트를, 중국어(정체)는 대만의 폰트를, 일본어는 일본의 폰트를 써야 그 글을 읽는 독자들의 이질감·위화감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사람들이 볼 일본어 문장에다가 한국어 폰트를 사용해서 評(평론할 평) 자를 써 놓으면 일본 사람들이 읽을 줄은 알지만 글자 모양이 이상하다고 여긴다. 또 한국이나 대만 사람들한테 龜(거북 구) 자를 보여주는데 위 표에 나와 있듯 중국 본토의 폰트를 사용해서 출력해 주면 글씨가 왜 이렇게 이상하게 생겼냐고 따질 것이다.

이런 문제는 애초에 유니코드 콘소시엄이 유니코드에 한자를 정리할 때 너무 무신경하게 미세한 이체자를 구분하지 않아 생긴 문제다. 아무튼 유니코드 콘소시엄의 무신경한 처사 때문에 우리는 컴퓨터로 여러 언어를 입력할 때 폰트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사실 유니코드의 이체자 문제는 동아시아 언어·문자에서만 나타나는 건 아니다. 다음과 같은 사례도 있다.

a14004aa3706b4589e340f519c04d46f6c33ae014e1ac4a0cc3ba9ca7713c8

반각 역슬래시(\, U+005C)는 원래 용도와 달리 한국어나 일본어 폰트에서 자국의 화폐 기호 형태로 렌더링하는 경우가 흔하다. 물론 모든 폰트가 그런 건 아니지만 상당히 많은 폰트가 이러고 있다. 원칙대로라면 위 표에 나와 있듯이 유니코드에 들어가 있는 반각 원화(₩, U+20A9)와 반각 엔/위안화(¥, U+20A9)를 쓰는 게 맞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잘 안 지켜지고 있다. 어쨌든 반각 역슬래시(\, U+005C)는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나름의 이체자가 쓰이는 셈이다. 그리고 말줄임표(…, U+2026)는 동아시아의 폰트는 대개 가운뎃점(·) 세 개를 연달아 찍은 형태로 렌더링하지만 서유럽 언어용 폰트는 그냥 온점(.) 세 개를 연달아 찍은 형태로 렌더링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도 동아시아와 서양 간 이체자가 발생한 경우라고 볼 수 있겠다.

그리고 특정 국가라기보다는 폰트마다 렌더링이 다른 문자도 있다. 다음이 그 예이다.

a14004aa3706b4589e340f519c04d46e992f2de265976d2fb3ea04deb183b737ddb41aec5fbdf8

위 글자는 베트남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인데, 폰트에 따라서 맨 위의 악센트가 찍히는 위치가 조금씩 다르다(베트남에서 선호되는 글자는 2번인 듯하다. 베트남어를 아시는 분의 확인 바란다). 아무튼 이거 말고도 유니코드에는 이체자 문제가 아주 많다. 일단 컴퓨터로 외국어를 입력할 때 가능하면 폰트까지 고려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고 기억해 두면 좋다.

추신: 유니코드 콘소시엄에서도 동아시아 국가들의 반발에 하도 시달렸는지 현재는 뒤늦게 폰트가 아닌 문자 코드만으로 이체자를 구분하는 기술을 도입하고는 있다. Ideographic Variation Sequence( I V S )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문자를 한자 뒤에 삽입하면 적절한 이체자로 렌더링하게 해주도록 하는 건데 아직 이 방식을 완전히 지원하는 폰트가 많지 않다. I V S가 일반화될 때까지는 그냥 언어에 따라 일일이 폰트를 다르게 지정해 주는 게 낫겠다. 참고로 유니코드의 한자 이체자 정보는 한 일본인이 개설한 GlyphWiki라는 사이트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추가: 웹페이지(HTML, CSS)에서 언어별 폰트를 다르게 지정하는 방법은 이 글을 참고하도록 하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5e5c875b49c28a8699fe8b115ef046cae79d4

CC BY-ND 4.0에 따라 복사 및 공유됨, 출처 https://54.180.173.169/why-should-we-use-language-specific-fonts/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5635 일반一 마침 낮에 갑자기 桟/機 생각나서 검색했었는데 [6] ㅇㅇ(121.66) 01.09 201 0
15634 일반一 베트남도 한자문화권임 [18] ㅇㅇ(125.185) 01.09 603 9
15633 일반一 2급 공부하는데 책에 支가 다룰 지라고 나와있는데요 [3] ㅇㅇ(210.117) 01.09 163 0
15632 일반一 한국형 한자 간략화 작업(가제 '표준체') ㄱ계열 試案 [24] ㅇㅇ(115.125) 01.09 289 4
15631 일반一 [2] ㅇㅇ(211.177) 01.09 182 0
15630 질문質 한국인 20대 평균 한자실력은 어느정도인가요? [11] 신서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322 0
15629 일반一 같은 획수인데 복잡해 보이고 쉬워 보이는 거 있는듯 ㅇㅇ(211.177) 01.09 101 0
15626 일반一 이런 재밌는 한자 더 없음?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231 0
15625 일반一 漢字 공부하기 前에 보거라. [15] ㅇㅇ(223.39) 01.09 322 3
15624 질문質 한자공부하며 세상을 바라보며 생긴 질문 [5] ㅇㅇ(180.64) 01.09 167 2
15623 일반一 刊 대신 千+刂를 쓰기도 했네 [4] ㅇㅇ(121.66) 01.09 172 1
15621 일반一 제일 못생겼다고 생각하는 한자 [9] ㅇㅇ(121.163) 01.09 235 0
15620 일반一 한자 잘하면 어디 취직함?? 어떻게 돈 벌음?? [7] 보갤러(27.119) 01.09 231 0
15618 질문質 여기서 왜 臣이랑 浚만 小字로 쓴 거 [5] ㅇㅇ(221.146) 01.08 196 0
15617 질문質 한문에서 대답하는 거 [1] ㅇㅇ(219.249) 01.08 130 0
15616 일반一 초딩 글씨체 평가좀 이 정도면 나도 잘 쓴다고 생각하는데 [5] 창문(122.43) 01.08 241 2
15615 질문質 제가 1급 한자능력검정시험 통과하려는데 질문 하나만 하겠습니다.. [4] 덕뿌루(123.98) 01.08 194 0
15614 일반一 어문회도 책을 ebook으로 팔았으면 좋겠노 [2] ㅇㅇ(182.220) 01.08 169 0
15613 일반一 상공회의소 문제 복기본 블로1그로파는애들 경찰신고가능? [4] ㅇㅇ(180.64) 01.08 169 1
15612 일반一 이거 무슨글자임? 한국 한자 맞냐 [8] ㅇㅇ(175.119) 01.08 264 0
15610 일반一 어문회 1,2,3급이 각 중/일/한 상용한자 커버하는 꼴이네 [3] ㅇㅇ(133.206) 01.08 252 1
15609 일반一 염주에 이 한글자 써젔는데 무슨 글짜임? [2] 고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8 182 0
15608 일반一 2024년도 修能으로 보는 문해력과 교육문제 [1] ㅇㅇ(61.101) 01.08 439 11
15606 일반一 漢字의 起源과 傳來 [3] 보갤러(27.119) 01.08 177 1
15605 일반一 이게 뭐냐? [7] ㅇㅇ(61.254) 01.08 178 0
15604 일반一 난 왜 어문회가 문어회로 읽히냐 [3] ㅇㅇ(59.16) 01.07 145 0
15603 일반一 상공 3급 공부하려니까 정말 애매하네 [2] ㅇㅇ(114.201) 01.07 160 0
15602 일반一 곧 입대하는데 천자문 외울 수 있다고 보시나요? [10] ㅇㅇ(58.232) 01.07 188 2
15601 일반一 인간의 뇌에는 한계가 있을까? [3] ㅇㅇ(218.148) 01.07 184 1
15600 일반一 한갤 투표) 나의 급수는? [2] ㅇㅇ(218.148) 01.07 186 0
15599 일반一 工 이체자 뭔가 슈츠슈타펠같이 생겼음 [5] ㅇㅇ(182.220) 01.07 203 0
15598 일반一 한자의 훈을 고유어로 바꾸어 보았다 [11] ㅇㅇ(223.39) 01.07 406 12
15597 질문質 한국어문회 문제 질문이요 ㅇㅇ(118.235) 01.07 83 0
15596 일반一 흔히 퍼트려진 잉글랜드어와 한문 사이 오번역어들 [13] asdfqwer(49.164) 01.07 394 6
15595 일반一 이거 무슨한자인지 알려줄분 [2] ㅇㅇ(211.109) 01.07 174 0
15594 일반一 완장!!! [2] ㅇㅇ(120.142) 01.07 148 2
15593 일반一 훈독하면 안 되는 이유 [3] ㅇㅇ(211.177) 01.07 194 0
15588 일반一 工의 예서 [4] ㅇㅇ(211.177) 01.06 203 1
15587 일반一 覺 學 ㅇㅇ(211.177) 01.06 158 0
15586 일반一 현대에 工 이체자가 쓰인 사례 [8] ㅇㅇ(121.66) 01.06 262 4
15585 일반一 이게 뭔 한자임? [4] ㅇㅇ(211.221) 01.06 197 0
15584 질문質 臼왼쪽→l丨로 하면 學 필순 [3] ㅇㅇ(58.140) 01.06 150 0
15582 일반一 일본은 之 3획/4획 둘 다 인정되나 보네 [3] ㅇㅇ(121.66) 01.06 169 0
15581 일반一 중국어고문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ㅇㅇ(223.62) 01.06 161 0
15580 질문質 뭔 뜻인가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6 145 0
15579 일반一 사후청심환 이란말 욀케웃기지ㅋㅋ ㅇㅇ(180.64) 01.06 105 0
15578 일반一 교재추천 부탁드립니다 [2] 한문공부히거싶러요(112.150) 01.06 164 1
15577 일반一 옛날에도 '피습범'을 쓰긴 썼네 [2] ㅇㅇ(121.66) 01.06 206 1
15575 일반一 음의미상 글자들도 [5] ㅇㅇ(211.177) 01.06 131 0
15574 일반一 어문회의 의미 [2] ㅇㅇ(211.177) 01.05 26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