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9.13부동산 대책으로 부동산업자들 침체되어있을거라고 생각했는데앱에서 작성

ㅇㅇ(125.137) 2018.09.15 08:55:14
조회 185 추천 0 댓글 6
														

(펌글)
안녕하세요 또뵙네요

시장이 워낙 혼탁하여 제가 어느정도 정리를 해줘야 할거같아서 나타났습니다.
많은 무주택자분들이 이제 폭락장 시작이라고 꽹가리 치고 즐거워하시는데요

안타까움을 느끼면서 이 글을 남깁니다.


1. 부동산 가격 결정

여러분들이 굉장히 착각하는건 지금 부동산 집값이 과거에 5억하던게 10억하고 10억한게 20억하고
이런거에 주안점을 두시는데... 부동산 가격은 본질의 가치와 시중에 풀린돈으로 결정되는겁니다.
여러분이 생각해서 비싸다고 거품인게 아니에요. 자꾸 집값을 절대값으로 생각하시는데요 그런 생각으론 돈 절대 못법니다.
지금의 10억 20억을 자꾸 몇년전 잣대로 평가하니 여러분이 실패하는겁니다. 
제 글을 오래전부터 읽은분들은 알것입니다. 예전부터 저는 분명히 수차례 말했죠. '몇달의 시간이 지나면 많은 사람들은 지금의 가격에 적응하고
그 가격에 적응한 사람만이 성공할수있다고요' 
인간이 지금 생태계에서 가장 우위에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새로운거에대한 적응력이 다른 동물보다 우수하기때문이에요
올초에는 작년7월 가격에 미련을 못버리고, 지금 시점에서는 올해 6월달 가격에 미련을 못버리는거... 
더 심한분들은 2014년 가격에 미련을 못버리는분들 계실텐데요. 다 도태됩니다. 

시장의 가격에 적응하고 순응하며 그 가격에서 새로운 방향을 찾는자만이 성공하는겁니다

여러분들은 짧게는 지난 수년간 길게는 수십년간 여러분 부모님세대로부터 이어온 투자 실패자들이에요
그런 유전자를 안고있는분들이 무슨 거품을 운운하는건가요. 자본주의 사회에서만큼은 여러분들은 도태된 낙오된 유전자들일뿐입니다.


강남 집값이 본질의 가치가 20억인데 30억이된거라면 거품이지만요. 그 거품을 결정하는건 무주택자님들이 하는게 아니고 
주택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결정하는겁니다. 본인이 못산다고 다른사람이 못산다고 생각하시는건 굉장한 착각입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지금 가격에 빨리 적응하세요. 
조정이 오든 보합이 오든 하락장이 오든 현재 가격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여러분들에게 기회가 옵니다.


2. 정책이 과연 집값을 잡을까?

지금 집값은 구조적으로 집이 모자르기때문에 오르는거에요. 정부에서 30만호를 공급하니 충분하겠지? 이런 생각은 굉장한 착각입니다.
여러분들 여러분들은 지금 60년대 70년대에 사시는게 아니에요. 정보화시대에 살고있죠. 과거같으면요, 나는 못살아도요 잘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잘사는지 못봐서
참고 살수있어요. 여러분들은 굉장히 불행한시대에 사시는겁니다. 잘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매일같이 인터넷과 각종 매체로 확인하고있고요.
심지어 중산층만 되도 좋은아파트에서 가족들끼리 오손도손 사는 모습을 목격하고있죠. 요즘 사람들은요 과거처럼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사는 사람이 많지 않아요
심지어 돈이 없는 사람들조차 그런걸 참지못하죠. 그래서 서울 서울 하는겁니다
자꾸 집에서 인터넷으로 집값만 알아보지마시고요. 사당역이라도 한번 가보세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서울로 올라오며 퇴근시간엔 경기도로 돌아가는지요
그런 경기도도 이제 9억 10억하는 시대입니다. 

결국 30만호가 서울에 다 공급되도 모자른건데요
심지어 수도권포함이죠. 서울은 많아야 10만일꺼에요. 서울에 무주택자가 50%가량 됩니다. 10만가구로 집값이 잡힐거라 보시는건가요?
심지어 50%중에 아파트 가진 사람은 얼마나 되죠? 네 아파트는 너무나 모잘라요. 

참 답답하네요. 저는요 여러분들이 랠리에 참여하는걸 원하진 않아요.
다만 전 무주택자분들이 현실을 빨리 꺠달았으면 좋겠어요. 여러분들은 개돼지가 맞습니다. 
자꾸 본인이 개돼지가 아니고 똑똑한다고 착각은 그만 하셨음 좋겠습니다.
여러분들은요 부모세대부터 개돼지였어요. 그 유전자 그대로 받은 개돼지들이죠. 

개돼지라도 다같은 개돼지는 아닙니다. 어느 개돼지는 위생관리도 제대로 안되는 더러운 사육시설에서 
식용으로 커가며 죽음을 기다리는 개돼지도있고요.
주인 잘 만나  발쭉벋고 잘수있는 집도있고 죽는날까지 고생안하면서 천수를 누리는 개돼지가 있죠. 

부디 후자의 길을 선택하세요. 
 

3. 정부는 여전히 1주택자에겐 호의적이다.

여러분 이번 정책을 보든 과거 정책을 보든말이죠. 1주택자에게만큼은 정부는 관대합니다.
심지어 강남1주택자에게도 굉장히 관대하게 대하죠.
이게 뭘 의미하는걸까요? 여러분 집사라는거에요. 
자꾸 이번 정책이 어떻게 되냐 마냐 복잡하게 계산들 하시는데요

단순해요. 1주택자는 정부에서 안건든다고 다시 한번 천명한겁니다.

정부는요. 절대 집값 폭등, 폭락을 원하지않습니다. 완만한 상승세를 가장 원하죠.

이번에 혹시 다주택자들 물량이 많이 나오면서 폭락하는거 아니냐 기대하실까바 말하자면요
정부에서 진심으로 집값을 잡고싶었으면 다주택자 양도세규제를 철폐했겠죠. 그런데 왜 안했을까요?
정부가 더 잘아는겁니다. 대부분 다주택자들은 임대사 등록과 지난2-3월에 대부분 똘똘한 한채로 갈아탄걸요.

무주택자님들 지금 정책으로 투기꾼들 좆됐다고 박수치면서 폭락댄스 추시는데요.
투기꾼들은 여러분보다 몇수위를 내다보는분들입니다. 여러분들이 손바닥에서 춤출 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이미 강남 2주택자분들은 대부분이 한채팔고 임대사물건들로 갈아탔습니다. 
광명 동작이 왜 폭등한건지 지금도 이해못하는분들은 답이 없는거고요.

화폐가치의 하락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있습니다.
무주택자는 무면허로 운전하는거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4. 부동산 어렵게 보지마라 

새로운 정책이 나올때마다 돈을 버는사람은요. 이미 정해져있어요. 
무주택자님들 님들은 그런 대갈빡이 안되고요. 그렇게 폭락도 예측잘하고 그랬으면요
왜 폭등은 예상못해서 집을 그동안 안사셨나요?  

이번 규제로 지방부동산은 더 침체가 된다 전세가가 오른다 뭐 이런저런 분석이 많은데요
사실 참 안타까운부분이 많아요. 그래서 그거에 대해서는 저는 아무말 안하겠습니다.
알아서들 하시고요. 제가 해줄수있는말은요. 

무주택자분들 특히 서울에 집 사실려는분들은요. 기회되면 언제든지 사세요.
부동산은 차떼고 포떼면 결국 남는건 입지입니다.
(중략)

//////////
부동산 카페 가보니 이런글이 있더라.댓글 반응은 오바좀 그만떨어라라고 말하긴 하지만 내용자체는 크게 부정안하더라.
9.13대책 내놓은거 보니까 내생각으론 부동산 투기도 한풀꺽일거라고 생각했는데 반응 보니까 그것도 아님.
부동산하는 놈들은 머리꼭대기에서 노는구나...느꼈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4624 공지 경제학이론 마이너갤러리 학습참고자료 v0.01-20230628 [4]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28 2827 2
16506 공지 관리방침 2021.02.09 [3]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9 2309 5
16397 공지 호출용 공지 [7] Utilit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3 860 1
14943 공지 호출용 공지 [78]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06 1334 0
8730 공지 부갤주 모집합니다. [2]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1.24 1026 5
27042 일반 이거 알려주시면 안될가요? ㅠㅠ [5] ㅇㅇ(211.109) 16:39 24 0
27041 일반 계량은 대학원 가려면 어디까지 공부해야됨? [5] 경갤러(115.21) 15:52 31 0
27040 일반 이거 교수 누군지 아는사람 [2] 경갤러(172.226) 12:27 86 0
27039 일반 한번만 더 도와주세요 [2] 경갤러(223.62) 05.29 101 0
27038 일반 비음인 해만을 구함 이란게 무슨소리에요 [6] 경갤러(223.62) 05.29 104 0
27037 일반 한은 공개입행 솔로우문제 [1] ㅇㅇ(211.104) 05.28 201 0
27034 일반 불확실성이 어렵긴해도 재밌는데 [1] 경갤러(58.142) 05.28 179 0
27032 일반 실질 금리 이게 맞을까 [6] 경갤러(119.173) 05.27 110 3
27031 일반 거시 전공은 전망이 안좋다는데 혹시 왜 그런가요? [7] 경갤러(118.44) 05.27 313 0
27030 일반 라그랑지안 질문 있습니다.. 비용극소화,.. [2] 경갤러(121.136) 05.27 113 0
27029 일반 과학 유튜버는 많은데 [8] 경갤러(172.226) 05.27 222 0
27028 일반 FED 의장들 보면 죄다 비범한 양반들인 듯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67 0
27027 일반 궁금한게, 2008금융위기 근본 메커니즘이 뭐임? [3] 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29 1
27026 일반 박사 고민, 프리닥 [11] 경갤러(172.56) 05.27 285 0
27025 일반 미국,유럽 금리 올렸는데 이러다가 망하는거 아니냐? [47] 경갤러(110.9) 05.26 380 11
27024 일반 경제학 초보 질문 있습니다.. [11] ㅇㅇ(110.9) 05.26 205 0
27022 일반 아래 글에 대한 답? [1] 경갤러(223.39) 05.26 140 0
27021 일반 통계관련 가벼운?질문 드립니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71 0
27020 일반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3] ㅇㅇ(1.242) 05.25 227 8
27019 일반 한국은행 입행시험에 동거시 아닌 거시는 얼마나 나오나요? [7] ㅇㅇ(118.235) 05.24 278 0
27017 일반 나심 탈레브 안티프레질 이해하기위해 먼저 볼 책 추천 좀 [10] ㅇㅇ(211.235) 05.24 178 0
27015 일반 석사로 거시쪽 학위만 따면 [2] 석당인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71 0
27014 일반 PPF(PPC) 형태 관련해서 질문좀요 [2] ㅇㅇ(223.39) 05.23 124 0
27011 일반 경제쪽교수가 좋아할만한스펙 [6] 경갤러(119.202) 05.22 519 0
27010 일반 미시 거시 따로공부해도됨? [1] ㅇㅇ(106.254) 05.22 130 0
27009 일반 한증금 경제 필기에서 [2] 경갤러(110.34) 05.22 159 0
27007 일반 영어 공부 [7] 경갤러(203.255) 05.22 196 0
27006 일반 요즘 노벨경제학상 추세가 어때 [5] 경갤러(112.214) 05.22 293 1
27005 일반 경제/금융 책 이 순서대로 읽는 거 어떰??? [2] ㅇㅇ(211.235) 05.22 228 0
27004 일반 직구 질문 [3] 경갤러(121.136) 05.21 102 0
27003 일반 완전보완재 질문좀 [3] 경갤러(58.142) 05.21 111 0
27001 일반 싱가포르 국립대는 경제학박사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5] 경갤러(106.101) 05.21 272 0
27000 일반 비전공자 경제학이론 입문할때는 교양서적이 유리함? [3] 경갤러(221.151) 05.21 131 0
26998 일반 미시 입문 뭐로하지.. [2] 경갤러(203.255) 05.21 145 0
26997 일반 경영학 박사도 학부 경제출신이 유리함? [4] 경갤러(218.156) 05.21 269 1
26995 일반 생산자행동 ㅜㅜ 질문 [2] 경갤러(153.246) 05.20 86 0
26994 일반 가격탄력성이 작다고 할 때 [1] 정여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93 0
26991 일반 인플레이션 관련 영상추천 ZEROZER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103 0
26989 일반 이제 원론 거시 끝낸 학부생입니다 [8] 경갤러(211.192) 05.19 197 0
26988 일반 님dra 먼델프레밍 2국모형 질문점 ㅇㅇ(27.35) 05.19 69 0
26986 일반 대학원 미련 남아.. [12] ㅇㅇ(218.152) 05.19 357 0
26985 일반 솔직히 경제학과가 문과중에 [4] 경갤러(175.122) 05.19 381 0
26984 일반 CES 생산함수 대체탄력성 질문 좀 ㅠㅠㅠㅠ [7] 미시(211.234) 05.19 135 0
26983 일반 계량경제 문제 하나만 풀어주실 분 구함 [1] 경갤러(118.34) 05.19 106 0
26982 일반 비전공자인데 궁금한점 [6] 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08 0
26979 일반 경제학공부하다보면 통계학도 같이 병행해야함? [7] 경갤러(106.101) 05.18 265 0
26976 일반 수요의 가격탄력성 잘 아시는분 계시나요? [2] 경갤러(211.248) 05.18 120 0
26974 일반 장학금 주는 학교 가는 게 맞냐 [16] ㅇㅇ(175.113) 05.18 339 0
26969 일반 이번 직구 규제안 어떻게 생각함? [10] 경갤러(221.168) 05.16 442 9
26968 일반 솔직히 어느학계나 네트워킹이 가장 중요하지 않음? [7] ㅇㅇ(223.38) 05.16 300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