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 사람 귀는 중음역 공명장치라니까... 특히 낮은 음량일수록 심해짐ㅋㅋㅋ

ㅇㅇ(99.242) 2024.01.19 17:42:55
조회 1287 추천 11 댓글 39
														

사람의 귀는 생물학적인 이유로 인해서 2~5kHz 대역에 엄청 민감함.

이에 대해 여러가지 썰이 있는데 대체로 귀의 구조상 그 대역에서 공명이 일어나서 작은 소리도 훨씬 크게 증폭돼서 들리고

그 대역이 야생에서 생존시 필수적인 정보가 가장 많이 포함된 대역이라서 그렇게 진화를 했다는데...

뭐 진실 여부는 수백만년 진화과정을 직접 두눈으로 목격한 놈이 없으니 아무도 모르는 거고ㅋㅋㅋ


암튼 인간의 청력은 특히 음량이 낮을수록 다른 대역에 비해서 2~5kHz가 훨씬 더 민감해 짐.

어찌 생각해 보면 당연함. 야생에서 작은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잘 들을려면 플랫한 응답특성 따위가 중요한 게 아니고

유용한 음향정보가 가장 많은 대역을 잘 들을수 있어야 생존에 유리할테니까

그 대역을 귓속에서 최대한 공명시켜서 민감하게 잘 캐치하는 놈이 적자생존으로 살아남았겠지.

박쥐는 작은 곤충을 잡아먹고 공중을 날아댕기니까 유용한 음향정보대역이 모기 날갯소리 등과 같은 초고음역일거고...

인간은 박쥐보다 훨씬 몸집이 크고 땅위를 걸어댕기니까 초고음역보다는

나뭇잎 밟는 소리나 눈 위에 발자국 사각거리는 소리, 풀잎 스치는 소리가 더 중요하겠지..

그래서 외이도의 길이나 귓바퀴의 구조도 2~5kHz의 공명을 최대화해서 크게 들리게 하는 쪽으로 진화했을 거고...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f0056ea866a5742de35040f

Familiar sounds audiogram


사람의 목소리도 대략 중음역대에 분포돼 있는데 대략 1kHz를 중심으로 그보다 낮은 쪽은 모음정보 중심, 높은 쪽은 자음정보가 지배적이라고 함.

특히 1~5kHz 대역에 자음정보가 집중돼 있는데, 이건 귀의 구조가 그 대역에서 공명이 일어나기 쉬운 구조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실제로 사람의 말소리를 식별하는데는 모음보다 자음이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함.

교통전광판이나 상품브랜드 같이 짧은 길이로 즉각적인 정보를 전달할 때는 모음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음.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8710a5843648245009df5ed47de4f3ae402312004a8d10977d

Brand names without vowels


암튼 이런 저런 생물학적 이유로 인해서 사람의 귀는 2~5kHz 대역에 특히 민감함.

그런데 스피커에서 특성을 논할 때 보통 1미터 거리에서 2.83V, 즉 8옴 부하시 1와트를 기준으로 삼고 있음.

딱히 음향학적인 근거에 의한 기준이라기 보다는 그냥 SI단위로 1이라는 숫자가 표준으로 잡기 편해서 그런걸거고,

이 정도 조건에서 대부분의 스피커는 80~90dB 내외의 음량을 발생시킴.

80~90dB 정도의 음량 기준으로 플랫하게 마스터링된 음원을 실제로 집에서 들을때는 대부분 그보다 훨씬 작은 소리로 듣게 되는데,

이때 거진 대부분 2~5kHz 대역이 두드러진 느낌을 받게 됨. 왜냐하면 소리가 작아질수록 사람의 귀가 그 대역이 점점 더 민감해 지니까..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8710a5843648245009df5ed47de4fdf8477647051e8711dcc7


가끔 한번씩 공연장의 현장감을 느끼기 위해 80dB 이상으로 들을수는 있어도 평상시 쾌적하게 듣는 음량은 보통 60~70dB 이하임

밤에는 그것도 넘 큰 음량이고 아파트 거주자는 층간소음 문제로 사실상 낮에도 70dB 넘어가면 부담스러움.

그래서 여유롭지 않은 현실 청취환경과 충분히 크지 않은 현실 감상음량 수준을 감안하면

다른 기기들은 평탄하게 만들더라도 최종적으로 스피커쪽에서는 2~5kHz 대역을 살짝 낮게 튜닝한 경우가 더 편안하고 자연스러움.

앰프나 소스기기들은 한 시스템에 여러대가 서로 물려있고 버튼 하나로 바로 바로 전환이 돼야 하니까 최대한 평탄하게 서로 기준을 맞춰야겠지만,

스피커는 어차피 마지막단이고 대부분의 경우는 즉석에서 바로 바로 전환해서 들어야 할 이유가 없으니까

청취자의 귀에 좋게 들리면 되는거지 굳이 평탄성이라는 산업적 기준에 얽매일 필요가 없음.


비슷한 이유로 BBC dip이라는 트릭이 한때 영국계 스피커 등에서 일반적이었고 요즘도 여러 하이엔드기기에서 비슷한 경향이 많이 발견됨.

실제로 해외 오디오 커뮤니티에서는 이런 경향을 두고 각자 나름대로 가설도 세우고 여러가지 해석도 난무하는 상황이고

이런 V자 곡선을 소재로 삼아서 배트맨을 닮았네 어쩌고 하면서 아재개그도 치고 놈ㅋㅋ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c5f53e8816e0041de073a42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f5603ebd26d5047deac016f

B&W 805 D4 Frequency Response (US$8,500/pair), 출처: Audio Science Review Forum

실제로 하이엔드 스피커의 주파수특성곡선을 따다가 등청감곡선상의 어느 레벨에 겹쳐놓으면

절대값 자체는 좀 차이가 있더라도 경향은 상당히 비슷하게 맞아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걸 반드시 우연의 일치라고만 볼수는 없음.

이런 식으로 V자형 튜닝된 스피커에서 좀 낮은 음량으로 재생한다면

플랫하게 세팅된 시스템에서 80~90dB 음량으로 듣는 것과 얼추 비슷한 밸런스감을 느낄 수 있으리라 예상 가능.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35007e0d4695641de7a900a

등청감곡선과 B&W 805 D4 주파수응답곡선을 겹쳐 본 모습. 경향이 상당히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사실 90phon 라인에 맞췄으면 더 잘맞았을거 같은데 걍 90phon 라인 그려진 그래프를 찾기 귀찮아서...ㅋㅋㅋ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20403e1836b5746de298f55

Focal Grande Utopia EM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8710a5843648245009df5ed47de8fca91e2744511ff4d8bd0d

Focal Grande Utopia Frequency Response (US$139,999/pair), 출처: Hi-fi News


또한 꼭 V자형 튜닝이 아니더라도 엥간한 집한채값을 넘어가는 초 하이엔드급 고가 스피커들의 측정데이터를 봐도 대부분 플랫과는 거리가 멀고 그래프만 보고 억대의 가격표를 짐작하는 것은 불가능. 여기서도 2~3kHz 대역에 큰 딥이 존재. 그리고 10kHz 후반대는 인간의 청력이 많이 저하됨을 감안한 듯 큰 폭의 부스트가 확인되고 있다. 저역대는 측정치 자체가 뭔가 좀 이상한데 Hi-fi News라는 매체가 그렇게 얼토당토 않은 허접한 매체는 아니니 걍 인정하고 넘어가자.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8710a5843648245009df5ed47db3acac147411534841ccbcbf

Wilson Master Chronosonic, US$685,000/pair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8710a5843648245009df5ed47db3aefa4725475c4d984bd19d

Wilson Chronosonic XVX Frequency Response, 출처: Stereophile


앞에서 예를 든 현재 환율로 한조에 2억짜리 포칼유토피아나 7억이 넘어가는 윌슨 마스터 크로노소닉 같은 초고가 하이엔드 스피커도

주파수특성은 측정자마다 제각각이고 개나 소나 지가 맞다고 박박 우기는 상황이라 어떤 측정이 정확하다고는 말 못하지만

그 어떤 측정치를 봐도 플랫과는 전혀 거리가 멈.


포칼 그랜드 유토피아같은 경우는 사람 키보다 훨씬 높게 쌓아올려진 5덩어리의 독립박스에 개별적으로 유닛이 장착돼서

Eq처럼 각 유닛별 독립조정이 가능하고, 각각의 박스들도 고정나사를 돌려서 상하 지향각 & 초점거리 미세조정이 가능한데도

그 어떤 측정 데이터를 봐도 결코 평탄하지 않음.

즉 하이엔드 모델이라 해서 더 플랫한거 절대 아니고, 측정치 그래프 하나가 플랫하다고 반드시 모든 음량, 모든 위치에서 좋은 소리는 더더욱 아님.


스갤러나 일반인들이 장난감같은 마이크와 무료소프트웨어로 방구석에서 며칠 깨작깨작해서 플랫하게 다리는게 가능한 것이 주파수특성이라면,

포컬이나 윌슨같은 레전드급 하이엔드 메이커는 스갤러보다 무식해서 몇억짜리 플래그쉽 모델의 주파수특성을 플랫하게 만들 줄 몰라 저런 식으로 출시하고,

그걸 구입하는 매니아들은 돈이 썩어나고 지능이 침팬지 수준이라서 50만원짜리 입문기만도 못한 꾸불꾸불한 특성의 스피커를 3억 4억씩 주고 산다는 건가?ㅋㅋ


사실 간단한 Eq 조작으로 싸구려 스피커의 응답을 플랫하게 만드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님.

엥간한 싸구려 스피커스탠드 하나 값도 안되는 페블 V3 같은 폐급도 약간의 손질만으로

위의 억대급 하이엔드와 얼추 비슷한 수준의 플랫한 응답특성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음.

다만 그렇게 만든 플랫이 넓은 시공간적, 음량적 범위에서 일관되게 플랫한 것도 아니고 측정조건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큰 의미를 둘수 없다는 거.

또 간단한 측정치 몇개로 스피커의 미묘한 음질특성을 정확히 표현할수도 없는 일이고..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b5356bd846a0141de2b0d67

이건 며칠 전에 내가 직접 페블 V3 하나 주문해서 박스 뜯자마자 막바로 맛폰에 무료앱 깔고 1미터 거리에서 측정해 본 거고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a570bedd36a0743de45ef3a

이건 같은 스피커 통 따서 안에 흡음재만 약간 채워넣고

윈도우 기본설정에서 베이스만 75Hz에서 9dB정도 올려준 뒤에 측정거리를 30cm로 바짝 붙여서 재 본거임.

간이로 측정한 것이라 정확도는 높지 않겠지만 두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확실히 경향은 보임.

그래프 보면 알수 있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측정시는 두어군데 피크만 살짝 잡힐 뿐 딱히 딥도 없고 훨씬 플랫해짐

Eq 전혀 안먹이고 베이스 부스트만 했는데 이 정도라면 각잡고 Eq좀 먹이면 100Hz 이상은 거진 완벽에 가까운 플랫도 가능할듯.

사실 맘만 먹으면 저음역도 더 끌어올릴수 있는데 청감상으로 디스토션이 넘 심해져서 이 정도에서 쇼부 본거고

싸구려 서브우퍼 하나만 달아주면 초저역대까지 플랫하게 끌어올리는거 일도 아닐듯.

근데 그게 무슨 의미가 있나? 어차피 들리는 소리는 페블인데..ㅋㅋㅋ


자잘한 주름은 어차피 측정옵션에서 스무딩을 얼마나 하느냐 몇번 측정해서 평균값을 내느냐 등에 따라 매번 달라지는 거고

이 상태로도 전체적인 밸런스는 고가의 기기 못지않게 꽤나 평탄함.

무조건 평탄한 응답만이 최우선이라면 페블이 앞에서 말한 1천만원짜리 B&W 805 D4 보다 저역 일부분 제외하고는 못할게 없음.

귀에 좀 가까이 세팅해주고 크로스오버 넣어서 페블저역 커팅하고 Eq로 좀 다려주고 싼마이 서브우퍼만 하나 붙여주면 805 쳐 바르겠지..ㅋㅋ

근데 그게 뭔 소용이냐고... 그래봤자 페블 소리인데..ㅋ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480305e985310543de9f20c9


Edifier MR4 같은 보급기에도 뮤직모드가 있고 모니터 모드가 있듯이,

기준음량에서 플랫하면 그보다 많이 낮은 실제 현실환경의 생활음량에서는 저음고음이 많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저음과 고음을 약간 부스트를 해 줘야 자연스럽게 들림.

요즘은 거의 사라졌지만 옛날 리시버에는 대부분 loudness 스위치가 달려 있었음.


그리고 MR4 정도 크기의 작은 스피커는 일단 플랫 여부와 무관하게 무조건 저역은 좀 다스려 줘야 됨.

대부분의 소형 스피커들이 저음을 자기 능력보다 약간 과장하려는 쪽으로 세팅이 돼 있기 때문에 측정상 플랫에 가깝더라도 음질적으로는 무리가 많음

앤드류 존스가 말했듯이 사이즈, 저음한계, 능률, 이 세가지는 절대로 동시에 충족안됨.

2fae8274a5d42aa37faad3bb15c8642fc5452a7666efd9d6c22fe2b1c47fb1a5d801bf87dcd5

Pioneer SP-BS22-LR Frequency Response, 출처: Sterephile


BS22 우퍼사이즈가 4인치이고 박스 부피가 11리터임. 능률은 85dB.

MR4 비슷한 급의 같은 4인치 유닛 사용한 소형 모니터들이 대부분 통사이즈가 BS22의 절반도 안됨. 그러면서 저역한계나 능률도 BS22대비 별로 안떨어짐.

물리학을 거스를 정도의 대가의 작품이 아니라면, 측정치 자체가 엉터리든가 아니면 음질적으로 손실 감수하고 뭔가 무리를 해서 저역을 끌어올렸다는 소리임.

심증적으로는 측정이 대부분 엉터리라는 쪽에 한표 주고 싶지만(물론 본인들은 심혈을 기울여서 진지하게 측정했겠지만ㅋㅋ) 물증은 없고,

그게 아니라면 통울림이나 Helmoltz 공진, 포트공진 기타등등 오만가지 공진 작렬 불가피.

통 따고 흡음재 유무 확인해서 충분하지 않다면 이빠이 투척은 필수.

제대로 만든 스피커라면 MR4 사이즈 정도만 되도 한 손으로 들기에 부담스러울 정도의 무게라야 정상임.

판두께가 충분히 두껍지 않다면 박스보강도 필수.

08b9d920ecd72ae6438d82f538de64184fa404e4969acc20e13f9908fb03866b2e2b9be00c155170ca7b5b

Edifier MR4 Frequency Response (no Eq), 출처: Audio Science Review

10만원대 이하의 소형 스피커라면 유통비용 운송비 판매마진 세금 수입통관 기타등등 감안해 보면 제작원가는 좌우 한조에 2만원 3만원

해외 직구로 7만원이면 현지 생산원가는 2만원 절대 못넘음

그 가격에 박스 2개 우퍼 2개 트위터 2개 그리고 크로스오버, 내장앰프에다 포장박스까지 해결해야 함.

우퍼 가격은 아마도 공장원가로 끽해야 개당 2~3천원 미만이라고 봄. 트위터는 한 1천원, 박스는 한 3~4천원??

흡음재 충분히 보충하고 박스보강도 좀 해주고 저음양감 손실 감안해서 Eq 걸어서 50~60Hz 전후를 부스팅 해보면

가격대의 한계로 인해 Xmax에 여유가 없어 높은 음량의 저음에서 우퍼가 대부분 삑사리남.


얇은 판떼기로 대충 싼마이로 만든 작은 통안에 4인치 드라이버 박아넣고 무리하게 저음 뽑아낸 스피커를

흡음재 보충 및 박스보강 없이 Eq만으로 통울림이나 각종 공진을 잡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음.

주파수특성은 Eq로 플랫하게 만들수 있지만 음색적으로는 절대 안잡힘.

그거 할수 있으면 갤질 때려치고 당장 스피커회사 하나 차려라 대박난다.


이때 기준은 측정치가 아니라 철저히 음색 기준으로 튜닝해야 됨.

벙벙한 느낌이나 통울림, 속도감 이런 건 주파수응답특성이나 디케이 등등 만으로 정확히 측정 안됨.

엄밀히 말하면 측정이야 되겠지만 수십년 경력의 전문 스피커 설계자가 아닌 다음에야 측정치만 보고 정확히 판단 내린다는게 어불성설임.

일반인이 흉부 엑스레이 셀카 찍어보고 암 진단내린다는 소리나 똑같음.

측정상으로는 통울림이 있을 때 더 평탄하게 측정될수도 있고 통울림을 잡으면 소리가 넘 빈약하게 들리기도 함.

어쩔수 없는거임 크로스오버 걸어서 저역 깎고 서브우퍼 달등가 그것도 싫음 걍 참고 살등가.

이걸 굳이 Eq 걸어가지고 어거지로 다려놓고

"측정치가 저역까지 평탄하게 쭉쭉 뻗는다.. 해냈다 해냈어... 이 정도면 수백만원 이하는 개 쳐바름ㅋㅋ"

뭔 개콘 찍는 것도 아니고ㅋㅋ


그리고 일반적으로 소형 모니터들이 크기가 작고 청취거리가 가까운 편이라

대체로 대형기보다 1m 거리에서 측정상으로는 플랫한 응답이 얻어지기에 유리한 경향이 있는 것도 사실임.

그런데 높이가 2미터가 넘는 대형기를 1m 앞에서 듣는다는 것 자체가 상식적으로 말이 안되는 설정이고

글타고 현실에 가깝게 3~4미터 거리에서 측정을 하면 오만가지 룸어쿠스틱스가 다 들어갈텐데 그것도 말이 안되는 비교이고..

이렇게 생각해 보면 1W@1m 같은 획일적 기준이란 것 자체가 무슨 의미가 있나 싶기도하고..

딱히 무슨 음향학적 근거라기 보다는 걍 어쨌거나 기준은 필요하니까 그냥 편의상 정한거라고 봄.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e0450eb82390644de2f7858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ea7ea28537504aae4700e3ec185206e1863b5747de525c21

어차피 스피커라는 물건은 모든 위치, 모든 거리, 모든 각도에서 주파수특성이 계속 달라지는 거고

플랫한 특성이라는 것은 걍 주어진 측정조건의 어떤 특정 음량, 특정 위치에서의 측정치가 우연찮게 더 평탄하게 나온다는 거지

그게 스피커 전체의 성능 측면에서 더 낫고 못하고를 판단할수 있는 기준은 전혀 아님.


viewimage.php?id=3eadd527eed72ab5&no=24b0d769e1d32ca73de987fa11d028319b15983a4fe17b29dcc6f7288b8f46f961e2071bbce3cb7e4dc3848710a5843648245009df5ed47de1f8f21f72115d4e6985bf79



결론


사람의 귀는 플랫한 측정용 마이크가 아니라 적자생존의 야생에서 살아남기 위한 중음역대 공명장치에 가까움.

특히 음량이 작아질수록 불필요한 저역이나 초고역보다는 생존에 필요한 음향정보가 많이 담긴 중역대 공명이 훨씬 더 두드러짐.

산업표준으로서의 1W@1m = 80~95dB라는 조건은 실제 생활청취용으로는 너무 큰 음량임

음악 감상용으로 쾌적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장시간 노출시 청력에도 좋지 않음.

이 기준에서 아무리 플랫하게 측정이 되더라도 실제 생활음량으로 줄여서 감상시에는 인간청력 특성상 저음 고음 다 죽어버리고 중음역대만 강조돼서 들림.

귀에는 전혀 플랫하지 않게 들리면서 플랫하다고 정신승리를 해봐야 자기최면에 불과함ㅋㅋ

작은 음량에서 듣는 소리의 밸런스감은 90dB 수준의 플랫한 세팅과는 전혀 느낌이 다르다.

소형 모니터 사이즈 스피커는 어차피 근접청취용이라 청취 위치에서 측정치가 플랫하게 나오기에 더 유리하기도 하고
실제로 저가형 소형스피커를 과도한 저음튜닝 등으로 측정치만 억지로 끌어올린 경우가 많지만 실제 들어보면 이런 저런 문제가 많음.
물리적 한계를 거스르는 무리한 튜닝으로 만들어진 플랫은 큰 의미가 없다. 심하게 들쑥날쑥한 경우가 아니라면 측정치 보다는 실제 음색이 중요.
음색을 결정짓는 많은 요소들이 몇가지 제한된 측정법으로는 잘 나타나지도 않고, 나타난다고 해도 일반인이 그래프 몇개로 판독할수 있는 성격이 아님.
오디오질이란 건 어차피 각자 자기 조건에 맞는 최적의 소리를 추구하는 거임.
플랫이라는 건 하나의 산업적 표준일 뿐이지 어차피 음량이나 청취조건에 따라 계속 변하는게 응답특성인데
의미도 없는 특정위치 특정조건에서의 플랫에 너무 집착할 필요 없음.
그보다는 스피커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무리없이 충분히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하고 튜닝하는게 플랫한 그래프보다 훨씬 더 중요.
튜닝으로 잘 해결이 안되는 문제는 어줍잖게 측정이니 Eq 보정이니 하지말고 물리적 대안을 먼저 찾아보자.

한줄 요약

귀의 특성도 제대로 이해 못하면서 무턱대고 플랫만 외치면서 마이크 들이대고 Eq로 마구 조지는 건 선무당이 사람잡는 행위임. 그게 그렇게 간단한 문제면 몇억짜리 하이엔드 메이커들은 스갤러보다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해서 플랫하게 안만드냐?ㅋㅋㅋ




추천 비추천

11

고정닉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354544 🔊 이비인후과 왔는데 뭐 물어볼까 큐ㅠㅠㅠㅠㅠㅠ [4] UNHAPPYㅡREF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59 0
354543 🔊 결국 스피커는 음압 크게 낼 수 있는게 장땡 아님? [13] ㅇㅇ(112.161) 02.03 237 0
354542 🔍질문 스탠드 이런 거 어떰?? [4] 쫵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63 0
354541 🔊 스피커 여러개 쓰는사람 있음? [6] ㅇㅇ(61.78) 02.03 153 0
354539 🔍질문 (진지) 친구들과 모임, 여행에 들고다닐만한 블투 스피커 [2] 훈남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53 0
354538 🔊 역시 측정+귀로 들어봐야 하는군요 [15] ㅇㅇ(220.86) 02.03 218 1
354537 🔊 DBR62 온지 일주일됬는데 앰프가 없네.. [4] ㅇㅇ(59.27) 02.03 246 1
354536 🔊 백구 한마리 키우는 두두오 햄들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792 18
354535 🔊 인피니티162 >> debut6.2가면 업글? [1] 2121(27.163) 02.03 131 1
354534 🔍질문 10만원 이하에서 mr4 vs 2.1채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60 1
354533 🔊 스피커 LR 간격 얼마가 최대임? [7] ㅇㅇ(203.251) 02.03 176 1
354532 🔊 웨이브 가이드 없는 스피커 대체적으로 고음 먹먹함 [4] ㅇㅇ(39.7) 02.03 198 1
354530 🔊 벨라 측청치 왜이러냐 ㄷㄷ 엘락 벨라 폭망...? [11] 아미르에린(115.22) 02.03 593 3
354529 🔍질문 혹시 이거 xlr 옆에는 5.5단자인가요? [1] ㅇㅇ(39.116) 02.03 111 0
354528 🔊 엘락 바로 안팔아도 될것 같다! [17] 비엘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459 3
354527 🔊 5만원에서 dbr62로 넘어가니깐 차이가 나긴나네 ㅇㅇ(124.49) 02.03 189 0
354526 🔍질문 이큐나 디락후 얼라인 다시할 때 딜레이 풀고 측정함? [2] ㅇㅇ(223.39) 02.03 92 0
354525 🔊 brir? 재밌는게 많네 [1] ㅇㅇ(112.161) 02.03 108 0
354524 🔊 pc fi로 kef lsx2 쓰고 있는데 업글 고민인데.. [14] ㅇㅇ(211.221) 02.03 430 0
354523 🔊 입문용 저렴이 스피커 찾아다녔을 때 ㅇㅇ(118.235) 02.03 215 0
354521 🔊 싱크로니 t600이 단 돈 600 [7] cco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19 0
354520 🔍질문 이정도면 고막 터지려나?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94 0
354519 🔊 엘지 번들이어폰과 함께하는 스피커파이 한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26 0
354518 🔊 방구석 bose201 [1] ㅇㅇ(101.235) 02.03 73 0
354516 🔊 아시안컵 축구 호주전…! [1] 람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47 3
354515 🔊 내가 현실에서 듣는 소리가 뒤틀린 소리인 것 같음 [23] UNHAPPYㅡREF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312 0
354514 🔊 크리에이티브 t20 II 후기 [2] ㅇㅇ(14.38) 02.03 347 1
354513 🔊 음상통일도 말도안되는 개소리인 이유가 [3] ㅇㅇ(124.62) 02.03 205 0
354512 📉인룸 rew 에서 주파수 종속 윈도우 설정을 잘 해야 되겠네 [1] ㅇㅇ(112.161) 02.03 116 0
354511 🔊 동축스피커도 바이럴이다 [3] ㅇㅇ(124.62) 02.03 287 0
354510 🔊 족뉴비 첫 스피커 샀음 [5] 갓날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75 0
354509 🔍질문 라이브 엔지니어 [6] ㅇㅇ(116.44) 02.03 130 0
354508 🔊 애초에 디락으로 보정할꺼면 뮈하로 측정치를 보냐ㅋ [7] ㅇㅇ(124.62) 02.03 255 4
354507 🔊 내일 청음회 장소가 어딘가요? [2] cocoachoc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69 0
354506 🔍질문 id4 mk2 vs UAD volt 1 vs 스칼렛 솔로 4세대 [14] ㅇㅇ(222.236) 02.03 282 0
354504 🔊 Hi-fi 와 pa의 차이점도 모르는데 측정치를 논한다라 ㅇㅇ(124.62) 02.03 106 0
354503 🔊 나사는 아트다 [4] 안뇽(223.38) 02.03 154 0
354502 🔊 lsx2는 두부랄 수준에서 정리됨? [3] ㅇㅇ(223.38) 02.03 274 0
354501 🔊 걍 스테레오 측면에 스피커 한조 더 배치하고 ㅇㅇ(112.161) 02.02 84 0
354500 🔊 엘락 청음회 가서 스붕이 만나면 뭐라고 인사함?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30 0
354499 🔊 스갤 여고생님들 선 구매 질문좀요!! [2] ㅇㅇ(175.196) 02.02 115 0
354498 🔊 왜 아무것도 안 달라졌는데 오류가 사라지지 UNHAPPYㅡREF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63 0
354497 🔊 내일 엘락 현장가서 [5] 참된십것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49 0
354496 🔍질문 VB-CABLE 루프백 향상된 오디오 사용 질문 [6] UNHAPPYㅡREF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84 0
354495 🔊 개인적으로 최악의 월넛 [21] 블루베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83 0
354494 🔍질문 MR4 최저가 자주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11 0
354493 🔊 엘락 AMT 동축 맛있어보인다 [13] 09876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48 0
354492 🔊 근데 내일 엘락 청음회 의미 있음? [5] ㅇㅇ(175.196) 02.02 230 0
354491 🔊 병신인가봄 UNHAPPYㅡREF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75 0
354490 🔊 우리나라에선 뒤통수 짧은 것도 큰 스펙 중 하나인듯 ㄹㅇ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73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