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요즘 경차에도 잘 안 넣는 이 옵션, 최신형 독일 전기차에 들어갔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9.26 10:01:15
조회 367 추천 1 댓글 0
														

폭스바겐 전기차 ID.4
ID.4의 치명적인 단점
한국을 고려하지 않은 옵션



최근 국내 자동차 시장의 새로운 전기차가 등장했다. 국내 제조사가 아닌 독일 제조사 폭스바겐에서 새로운 전기차 ID.4가 국내 출시되었다. ID.4는 폭스바겐의 첫 번째 순수 전기차로 지난 15일 국내에서 출시 행사로 소비자들에게 소개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


ID.4는 출시 당시 국내 소비자들의 반응은 “싼타페 살 돈이면, 차라리 ID.4사도 나쁘지 않겠다”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한 가지 치명적인 단점으로 불리는 것이 있다. ID.4에 적용된 이것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유재희 에디터



ID.4에 사용된
드럼브레이크
요즘 나오는 차량들에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것이 바로 드럼브레이크다. 대부분의 차량들은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하는데, 이번 폭스바겐 ID.4에는 후륜에 드럼 브레이크를 사용한 것이다. 주로 드럼 브레이크는 버스나 트럭에만 사용되고 승용차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브레이크의 종류다.

ID.4에 사용된 드럼 브레이크를 본 네티즌들은 “왜 굳이 브레이크로 원가 절감을 하는 거지?”라면서 “저번 아우디 Q4 E-트론에도 드럼 브레이크 쓰더니 역시나 폭스바겐에도 사용했네”라는 반응들을 보이고 있었다. 이처럼 일부 네티즌들은 저렴한 드럼 브레이크 사용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모습이다.


드럼브레이크를
왜 싫어하는 것일까?
브레이크의 가장 큰 목적은 바로 차량을 제동하는 것이다. 사실 제동력은 디스크 브레이크보다 드럼 브레이크가 제동력 측면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하지만 장점이 있다면 극명한 단점도 있다. 드럼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다르게 외부 오염에 강한 밀폐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밀폐되어 있다는 것은 구조상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인 고속 제동력을 유지할 수 없고 내부 열이 빠지지 못해 베이퍼록 현상도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드럼 브레이크가 디스크 브레이크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무게를 줄여야 하는 전기차에 부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ID.4는 한국 소비자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사실상 드럼 브레이크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큰 문제가 될 사항이 아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판매될 이번 ID.4의 옵션이 한국 소비자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다. 나름 4,000만 원이 넘어가는 전기차에 한국인들이 필수라고 느끼는 통풍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가죽이 아닌 인조 스웨이드를 사용했다.

만약 무더운 여름철에 ID.4를 타고 주행한다면 스웨이드와 맞닿는 등에는 땀이 한가득 찰 것이다. 이외에도 한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2열 열선시트, HUD, OTA 등이 사용되지 않으면서 큰 장점보단 여러 단점이 부각되는 ID.4다.

오토포스트 주요뉴스



▶ 팰리세이드 오너들 최대 난제, 불편한 버튼식 기어로 중립주차 가능할까?▶ 현대기아차에 탑재되는 반자율주행 기능 3시간 연속으로 사용하는 기막힌 방법▶ 중국은 벌써…요즘 전기차들이 500km 가도 거리가 부족하다고 하는 이유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1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853 시작 가격이 20억? 부가티도 성능으로 잡는다는 역대급 전기 하이퍼카 등장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7 2178 2
1852 제니 타이칸은 애교였다, ‘롤스로이스’ 뺨친다는 포르쉐의 개별주문 서비스 수준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7 6537 11
1851 “아직도 한국 아저씨들이 인정하죠” 중고차 시장에서 단종 모델 중 가장 인기 많은 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7 505 2
1850 2026년에 나오는 차가 벌써 계약 마감, 한국 아빠들이 이렇게 돈이 많았다고?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7 3415 5
1849 오랜만에 딱 걸렸다, 안전사양 내수 차별 의심받는 현대기아차의 충격 근황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4 2666 25
1848 “이제 현대차한테도 안된다” 처참한 최신형 일본 전기차의 성능 수준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4 716 2
1847 “제발 눈치껏 해라..” 기아 공장 대규모 파업 예고되자 네티즌들 역대급 분노 [8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4 4597 56
1846 “세금 내시면 됩니다” 12일부터 본격적인 단속 시작되자 전국 운전자들 분노 대폭발 [7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4 5118 13
1845 역시 나 빼고 다 부자,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수입차 이게 사실인가?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4 389 1
1844 사회초년생 뒤집어지게 만든 신형 베뉴 가격, 깡통도 400만 원이 올랐다고? [4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4 4226 5
1843 신형 싼타페 랜드로버처럼 나온다는 소문에 기아, 결국 역대급 디자인 결정 [2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3 3252 6
1842 미국 증시 역사상 최악의 폭락 사태, 잘나가나 싶더니 결국 큰일났다 [3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3 3962 3
1841 아직 비닐도 뜯지 않은 새 전기차, 당장 팔면 딜러가 이정도 벌게 해줍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3 465 2
1840 “열받아서 그냥 차 안 탈게요”, 이제 이렇게 운전하면 ‘무조건 단속’ 됩니다 [7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3 5227 7
1839 하필 또 ‘그 차’네, 제정신인가 싶은 요즘 아빠들의 위험천만한 운전 패턴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3 445 2
1838 포르쉐, 지금 뭐 하는거지? 전기차보다 친환경이라더니 결국 최후 맞이했다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3 3825 1
1837 “그저 한국 아빠들 말만 듣습니다” 문의 너무 폭발하자 결국 역대급 결단 내렸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3 462 1
1836 캐스퍼 비싸다고 욕 잔뜩 먹던 현대차, 결국 ‘이것’ 출시하고 말았다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2 767 2
1835 얼마나 마셨으면…만취 상태로 도난차 운전하다 적발된 연예인의 정체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2 273 1
1834 현대차 못 잡으면 망한다던 르노 코리아, 비장의 카드 결국 초대박났다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2 2746 2
1833 역사상 가장 저평가된 슈퍼카, ‘강남 젠쿱’ 소리까지 듣더니 결국 최후 맞이했다 [2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2 4532 8
1832 한국 출시되면 쌍용차 타턴 아빠들 큰일 난다, 크기 하나로 모든 걸 압도하는 신차 [3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2 3049 3
1831 알아서 피하라고..? 전동 킥보드 운전자들의 역대급 적반하장, 이거 어떡하죠? [3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2 2923 22
1830 그냥 계약 포기합니다… 신형 그랜저 하이브리드엔 빠지는 옵션 사양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2 399 2
1829 아니 내 차는 아직 코빼기도 안보이는데…아이오닉 6 계약자들 분노한 이유 [6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1 5858 8
1828 20년 만에 마티즈 결국 단종, 후속 차종 공개되자 역대급 계약행렬 난리 [2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1 4856 3
1827 비용 절감인가? 가격 인상 거듭하는 테슬라, 이젠 ‘이것’도 빼고 출고합니다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1 1787 6
1826 창사 이래 최대 위기 봉착한 현대차, 결국 수렁 끝에서 구원 받는데 성공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1 336 3
1825 이런건 보이면 무조건 신고하세요! 자동차 뒷면에 레이저 단 운전자의 최후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1 3699 12
1824 자존심도 없어, 결국 현대차한테 밀려버린 일본 자동차 업체가 내뱉은 망언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1 356 1
1823 출시만 하면 대박 난다. 전 세계 자동차 업체들이 앞다퉈 출시하려는 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11 282 2
1822 소비자들만 눈탱이 맞아, 국산차 업체들이 출고난에도 절대 포기 않는 ‘이것’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281 3
1821 이런 게 진짜 급발진 아닌가? 운전자 90%가 무조건 주의해야 한다는 ‘이것’은?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290 2
1820 진짜 세금 아까워 죽겠다, 무고한 운전자만 피해봤다는 공무원의 역대급 만행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243 1
1819 내연기관엔 없던데… 유독 전기차에만 필수라는 ‘이것’, 과연 무엇일까?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314 1
1818 스포츠카도 전기차로 사야 할까? 질문에 업계 관계자들이 내놓은 공통된 대답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222 1
1817 나오자마자 계약한다, 사회 초년생들에게 딱이라는 현대차 신차 포착됐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353 1
1816 레고 장난감인줄…프랑스 대표 차브랜드가 만든 ‘초소형 전기차’의 실물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348 3
1815 이 차는 가격 올려도 할 말 없다, G80보다 싸다는 기아의 플래그십 세단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438 1
1814 현기차 발등에 불 떨어졌다, 결국 ‘이 차’마저 꺾었다는 토레스 근황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240 1
1813 너네 집이 부서져도 이럴래? 건물을 부순 자동차가 처벌을 안 받는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171 1
1812 엑셀 브레이크 또 헷갈려서…벌써 아이오닉 6 전국 1호 사고차 나왔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9 244 2
1811 벤틀리 짝퉁으로 불렸죠, 라떼 시절 사장님들이 사랑했던 국산 대형 세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7 700 1
1810 13년 동안 바뀐 게 뭔데? 마세라티가 내놓은 신차에 네티즌들 분노한 이유 [2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7 3241 2
1809 도둑맞기 싫으면 돈 내라고? 미국서 소송당한 국산차가 또 논란된 이유 [3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7 2494 8
1808 제발 차 좀 팔게 해주세요, 천하의 현대차가 목 빠져라 기다린다는 ‘이것’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7 320 1
1807 제발 보고 좀 배워라, 국내 도입 시급하다는 역대급 음주운전 처벌법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7 2493 12
1806 캐스퍼보다 더 싸다, 1,400만 원만 있다면 살 수 있는 가성비 전기차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7 2656 5
1805 자업자득이지 뭐.. 최근 택시 기사들 제대로 분노하게 만든 ‘이것’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7 2569 7
1804 이젠 하다하다 자동세차 때문에 과태료…운전자들 무조건 조심해야 합니다 [3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6 5971 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