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펌글] 제 8-4편. {특집} 바둑 세계기전 총정리 Final

판타마린 2005.08.15 16:34:28
조회 678 추천 0 댓글 2


TV 바둑 아시아선수권전




제14회 TV 아시아선수권전에서 우승한 이창호 9단




'속기' 라는 룰, 상금규모, 참가인원등 전반적인 이유 때문에 메이저 기전으로 대우받진 못하지만 후지쯔배, 잉씨배와 비슷한 시기에 출범하여 나름대로의 전통이 있는 기전이다.

총 16회가 열린 가운데 일본이 초창기 6연패─다케미야 마사키 9단 4연패─에 힘입어 절반의 우승컵을 획득했고 한국이 5회, 중국이 3회로 메이저 기전과 단체기전에 비해서는 그나마 골고루 나눠먹은 편이다.-_-

※ 삼국의 속기대회(韓─KBS 바둑왕전 / 中─CCTV배 / 日─NHK배) 우승, 준우승자들과 전기대회 우승자, 7인의 토너먼트...

iTV 랭킹전과 좀 닮은 듯도 하다. 물론 상금규모 비율로는 iTV가 월등하지만...-_-
그럼...정규기전은 아니지만...핫브레이크 마스터즈 정도로 비유할 수 있을까...?
흐흠...


◎ 기전규모 ☞ 우승─2백 5십만엔 / 준우승─5십만엔
                     중국에서 개최한 11회, 14회는 우승상금이 1백만엔

◎ 대회규정 ☞ 제한시간 없음 → 속기
                     초읽기─1회~14회(1분 10회), 15회 이후(30초 10회)
                     덤─개최국 마음대로(14회까지 5집 반)

◎ 진행방식 ☞ 7인 토너먼트(전기 우승자+각국 대표 2명)
                     결승 단판승부
                     시드─전기 우승자 본선 2회전 진출권 부여

◎ 주최 / 후원 ☞ KBS * NHK * CCTV

◎ 대회 우승자 / 준우승자 명단

제01회 ─ 다케미야 9단(日) / 사토루 9단(日)
제02회 ─ 다케미야 9단(日) / 이창호 9단(韓)
제03회 ─ 다케미야 9단(日) / 차오다위옌 9단(中)
제04회 ─ 다케미야 9단(日) / 조훈현 9단(韓)
제05회 ─ 요다 9단(日) / 서봉수 9단(韓)
제06회 ─ 오다케 9단(日) / 첸위핑 9단(中)
제07회 ─ 이창호 9단(韓) / 조훈현 9단(韓)
제08회 ─ 이창호 9단(韓) / 유창혁 9단(韓)
제09회 ─ 위빈 9단(中) / 왕리청 9단(日)
제10회 ─ 요다 9단(日) / 마샤오춘 9단(中)
제11회 ─ 요다 9단(日) / 이창호 9단(韓)
제12회 ─ 조훈현 9단(韓) / 이창호 9단(韓)
제13회 ─ 조훈현 9단(韓) / 목진석 9단(韓)
제14회 ─ 이창호 9단(韓) / 조훈현 9단(韓)
제15회 ─ 저우허양 9단(中) / 미무라 9단(日)
제16회 ─ 위빈 9단(中) / 송태곤 7단(韓)



Next ─────────────────────────────────────




중환배 세계바둑선수권전




작년에 대만에서 잉씨배에 이어 또다른 세계기전을 만들어 내었는데 그것이 바로 이 중환배이다.

그런데 이 대회는 여러가지 말들이 많았다.

말로는 메이저성 기전을 표방하고 있지만 규모나 마케팅이 형편없었던 것이다.
투자는 별로 하지 않으면서 홍보특수나 거두려는 상술이라고 욕을 많이 먹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대만이 설치는 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는 중국측에서 불참통보를 내리고...
사실 중국이 참가하지 않는다는 것은 양적으로 딸리는 대회가 되고 마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한국이 있으니 질적으로는 딸릴 것이 없지만...병풍도 필요하지 않겠나.^^

안일한 대회 운영으로 비롯해 반쪽짜리 세계기전으로 시작한 중환배.
초대 대회는 박영훈 9단이 대만대표로 출전한 왕리청 9단을 꺾고 우승을 차지해 약간 네임밸류에 모자르는 국제기전 2관왕이 된다.

※ 린하이펑, 왕리청, 장쉬 등은 원래 대만출신이나 도일하여 일본에서 명성을 누림

부디 다음 대회부터는 주최측에서 신경을 썼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_-

음...겜TV 쯤 되려나...?-_-a



◎ 기전규모 ☞ 우승─200만위안[臺](7천 2백만원) / 준우승─70만위안[臺](2520만원)

◎ 대회규정 ☞ 제한시간─모든 대국 개인당 3시간
                     초읽기─1분 5회
                     덤─6집 반

◎ 진행방식 ☞ 본선 16강 토너먼트
                     결승*준결승 단판승부
                     시드─한*중*일 각 3명, 대만 5명, 특별초청 2명
                              2회부터는 전기 우승자*준우승자에게 시드 부여

◎ 주최 / 후원 ☞ 대만기원 / 臺 중환주주유한공사, 美 JP모건

◎ 대회 우승자 / 준우승자 명단

제1회 ─ 박영훈 9단(韓) / 왕리청 9단(臺)



Next ─────────────────────────────────────



타이다배 한*중*일 최고수 대항전



작년에 개최된 이벤트성 기전.

안그래도 바쁜 이창호 9단의 행보를 더욱더 혹사시킨 대회이기도 하다.
한국 바둑팬들은 한국기원에 엉망진창인 이창호 9단의 스케줄에 대해 항의하기도 했지만...-_-

결국 이창호 9단은 하라는 대로 고스란히 다할 수밖에 없었다.
아니 원래 이창호 9단이 워낙에 불평이 없는 기사라...쩝.

하여튼 한국기원...잊지 않겠다...-┏

제1회 대회에서는 한국의 이창호 9단과 일본의 요다 9단, 중국의 콩지에 7단이 삼합을 벌여 이창호 9단이 우승을 차지했다(요다 9단 부전승 결승 진출).



◎ 기전규모 ☞ 우승─2만달러 / 준우승─1만 5천달러 / 3위─1만달러

◎ 대회규정 ☞ 제한시간 : 1회전─제한시간 없이 매수 30초내 착수(1분 고려시간 10회)
                                    결승전─개인당 3시간, 초읽기 1분 5회
                     덤─7집 반

◎ 진행방식 ☞ 한 * 중 * 일 한명씩 초청 / 토너먼트 방식
                     추첨으로 한명은 부전승으로 결승 직행(-_-...)
                     단판승부

◎ 주최 / 후원 ☞ 중국바둑협회 * 텐진 경제기술개발구 / 텐진 타이다사

◎ 대회 우승자 / 준우승자 / 3위 명단

제1회 ─ 이창호 9단(韓) / 요다 9단(日) / 콩지에 7단(中)



Next ─────────────────────────────────────




96 세계최강 결정전



96년에 타이다배처럼 한*중*일 대표 한명씩 출전하여 벌이는 대항전이 열렸다.

이름하여 세계최강 결정전.
말그대로 삼국의 명인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세명의 기사가 벌이는 승부.
(이창호 9단은 국수(國手) 타이틀 보유자로서 참가. 한국의 명인타이틀은 좀 비중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그냥 무작위로 대표를 뽑은 타이다배와는 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오히려 타이틀을 가진 기사들간의 대표전이라는 점에서 TV바둑 아시아컵과 비슷하다.


2002년 KTF Bigi 4대 천왕전과 닮은 듯 하다.



◎ 기전규모 ☞ 우승─1억원 / 준우승─6천만원 / 3위─4천만원

◎ 대회규정 ☞ 6개월동안 한*중*일을 돌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두번씩 총 6번의 대국
& 진행방식     을 치르는 풀리그 형식
                     제한시간─개인당 4시간
                     덤─5집 반

◎ 대회결과 ☞ 이창호 9단(韓) 4전 전승 우승
                     다케미야 9단(日) 2승 2패 준우승
                     마샤오춘 9단(中) 4전 전패 3위





※ 이외에도 신사배(서봉수 9단(韓) 우승), 한*중 천원전 같은 대회들이 있지만 생략.^^



Next ─────────────────────────────────────



Part. 셋 :  세계 단체 기전





SBS배 세계최강결정전




제1회 SBS배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국 선수단




국제 단체전이라고는 80년대 중반부터 이어져 오던 중*일 슈퍼대항전이 고작이던 시기에 드디어 바둑 좀 두는 삼국이 모두 참가하는 국가 대항전이 열리게 되니 바로 SBS배이다.

이후 이 대회는 진로배로 스폰서를 바꾸어 열리게 된다.

※ SBS배(1회) → 진로배(5회) → 농심신라면배(현재 6회) : 엠겜 팀리그 방식(연승제).
    스폰서만 바뀜. 우승국만 상금이 있음. 준우승, 꼴등은 한푼도 업ㅂ음.


◎ 기전규모 ☞ 총 규모─약 3억원(우승─1억원)

◎ 대회규정 ☞ 제한시간─개인당 10분, 초읽기 40초 3회
                     덤─5집 반

◎ 진행방식 ☞ 1, 2차전으로 나눠 진행
                     하루에 두판씩 진행
                     한*중*일 각 5명씩 출전

◎ 주최 / 후원 ☞ SBS 서울방송

◎ 대회 우승국 / 준우승국 ☞ 대한민국 / 중국
                                    ※ 유창혁 선봉 3연승, 위빈*린하이펑*서봉수 2연승
                                        4장 서봉수의 마무리 2연승, 한국은 조훈현(주장)이 남음



↓↓↓↓↓↓↓↓↓↓↓↓↓↓↓↓↓↓↓↓↓↓↓↓↓↓↓↓↓↓↓↓↓↓↓↓↓↓↓↓↓↓↓↓↓↓↓↓↓↓↓↓↓




진로배 세계최강결정전





제3회 진로배 우승국 한국팀 대표 선수단의 모습





중일 슈퍼대항전과 같은 방식의 최초의 삼국 대항 시합이었던 SBS배는 다음해부터 진로의 후원을 받는 대회로 재출범하게 된다.

사실상 달라진 것은 없다. 단지 스폰서만 바뀌었을 뿐. 진로배가 5회로 중단된 후 바둑팬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 힘입어 농심이 새로 이 세계최강결정전의 후원을 맡으며 그 명맥을 유지해가게 된다.

※ 1장─선봉 / 2장─차봉 / 3장─중견 / 4장─부장 / 5장─주장으로 명명합니다.^^

죽~무난히 우승을 차지하던 한국은 5회에서 90년대 들어 잠잠하던 서봉수 9단이 차봉으로 나서 중*일의 대표기사들을 상대로 파죽의 9연승을 일궈내며 한국의 우승을 견인했다.
이 연승기록은 아직까지도 최고의 기록으로 남아있다(단체기전 1회당 연승).

서봉수 9단은 자기보다 '강하다'고 생각이 되면 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너지는 편이나, 자기보다 그리 강하지 않다고 여겨지면 당시 이름을 날리던 마샤오춘이건 뭐건 간에─특히 서 9단은 중국기사들의 천적으로 이름을 날렸다─기냥 우습게 생각하는 되게 솔직한 맛이 일품인 기사이다.
그런 그가 정말 강한 기사라고 인정한 사람이 있었는데 대표적인 기사가 바로 이창호와 조치훈이다. 물론 조훈현 9단도.
(조훈현 9단은 서봉수 9단의 평생의 라이벌이었기에 조*서의 반상 외 심리전은 바둑팬들의 또하나의 이야기거리었다.^^)



◎ 기전규모 ☞ 1회~3회(총─3억 5천만원 : 우승─1억원)
                     4회~5회(총─5억 5천만원 : 우승─20만달러 ≒ 당시 한화 1억 5천만원)

◎ 대회규정 ☞ 제한시간─모든대국 개인당 1시간
                     초읽기─1분 1회
                     덤─5집 반

◎ 진행방식 ☞ 단체전 연승제 / 한*중*일 각 대표 5명 / 1일 1국
                     3회부터 연승상금 도입(3연승시 1만달러, 이후 1승마다 1만달러씩 추가)

◎ 주최 / 후원 ☞ (주)진로

◎ 대회 우승국 / 준우승국 명단 & 특별사항

제1회 ─ 대한민국 / 일본 ... 차오다위옌 3연승, 유창혁*린하이펑*서봉수 2연승
제2회 ─ 대한민국 / 일본 ... 요다 5연승, 서봉수 4연승, 조훈현 2연승
제3회 ─ 대한민국 / 일본 ... 미야자와*이창호 4연승, 녜웨이핑*조훈현 2연승
제4회 ─ 대한민국 / 중국 ... 천린신*이창호 3연승, 유창혁*차오다위옌 2연승
제5회 ─ 대한민국 / 중국 ... 위빈 2연승 후 서봉수 9연승 게임 끝



↓↓↓↓↓↓↓↓↓↓↓↓↓↓↓↓↓↓↓↓↓↓↓↓↓↓↓↓↓↓↓↓↓↓↓↓↓↓↓↓↓↓↓↓↓↓↓↓↓↓↓↓↓




농심신라면배 세계최강결정전





제6회 농심배 우승 한국─이창호 9단 마무리 5연승─상하이 대첩!!





유일한 메이저 국가대항성 기전인데다가 인기도 엄청났던 진로배가 1997년 제5회를 끝으로 중단되자 많은 바둑팬들은 아쉬움을 금할 길이 없었다.

그러나 얼마 후에 농심이 바둑에 관심을 돌리며 이 대회를 이어가겠다고 하자 많은 바둑팬들의 아쉬운 한숨은 이내 발랄한 기쁨으로 바뀌었다.

6회까지 진행된 이 기전은 모조리 한국이 우승하는, 후원업체나 삼국의 바둑열기에나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심각할 수도 있는 흥행 저조의 원흉(?)을 안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엄청난 인기를 구가한다.

연승제라는 룰에 따르는 드라마틱한 승부─특히 이번 6회에서 절정을 이룬다─가 관전자들의 마음을 설레게 했으며 오직 우승국에만 1억 5천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는 점, 3연승부터 시작되는 연승상금은 기사들의 투지를 자극하는 좋은 요소가 되었다.

이른바 '잘하는 놈이 장땡' 인 이 룰은 다소 식상했던 그동안의 기전들에 비해 독특한 특징으로 자리잡으며 농심배의 인기에 한몫을 하였다.

지나치게 한국의 독무대가 계속되자 농심측은 중국측에 홍보가 안된다며 울상을 짓기도 했지만...오히려 이번 상해대첩으로 인해 '불패라면'을 만들겠다고 새로운(?) 홍보 마케팅을 추진하기도했다.

기사들이 대국하는 뒷면에는 빨간~ 배경에 이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보인다.

중국의 바둑열기에 힘입어 대부분은 국제기전은 중국에서 열리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러한 농심측의 들이대기는 중국 전역으로 생중계되며 막대한 홍보 이익을 챙기게 된다.
그런데도 배부른 소리라니...-_-

어쨌든 이 대회의 화룡점정은 이창호 9단의 마무리 5연승에 힘입은 <상해대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때는 바둑을 잘모르는 사람도 기뻐하던 모습을 보며 흐뭇해했던 기억이 있다.^^

바둑팬들에게는 월드컵보다 더한 감동을 안겨주었던 이 농심배를 난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 기전규모 ☞ 총 규모─8­억원(우승 : 1회─1억 2천만원 / 2회 이후─1억 5천만원)

◎ 대회규정 ☞ 제한시간─모든대국 개인당 1시간
                     초읽기─1분 1회
                     덤─6집 반

◎ 진행방식 ☞ 단체전 연승제 / 3회전으로 나누어 진행 / 한*중*일 대표 5명 참가
                     2회부터 연승상금 도입─3연승시 천만원, 이후 1승마다 천만원씩 추가

◎ 주최 / 후원 ☞ 일간스포츠 / (주)농심

◎ 대회 우승국 / 준우승국 명단 & 특별사항

제1회 ─ 대한민국 / 중국 ... 창하오 3연승, 목진석*요다*이창호 2연승
제2회 ─ 대한민국 / 일본 ... 최철한 3연승, 창하오*조훈현 2연승
제3회 ─ 대한민국 / 중국 ... 뤄시허 3연승, 최철한*위빈*이창호 2연승
제4회 ─ 대한민국 / 중국 ... 후야오위 5연승, 박영훈 4연승, 고바야시*이창호 2연승
제5회 ─ 대한민국 / 일본 ... 고바야시*원성진 3연승, 장쉬*왕레이*이창호 2연승
제6회 ─ 대한민국 / 중국 ... 이창호 5연승, 저우허양*다카오 2연승




Next ─────────────────────────────────────




CSK배 바둑 아시아대항전





제1회 CSK배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국─이창호, 유창혁, 조훈현, 이세돌, 박영훈




SBS배 → 진로배 → 농심신라면배로 이어지는 세계바둑최강전이 한*중*일 삼국만 출전하는데 비해 CSK배는 한*중*일*대만의 네 국가가 경합을 벌이는 단체기전이다.

세계바둑최강전이 연승제방식인 반면에 CSK배는 1회─토너먼트전, 2회부터는 4개국 풀리그 형식으로 치러졌다.

하지만 1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바둑최강전에 비해 올해 5월 4회가 개최되는 이 단체기전은 아직까지는 큰 인기를 얻고 있지는 못하다.

우승상금으로만 보자면 세계바둑최강전보다 나으며 2위에게도 상금을 준다는 점이 상대적인 이점이기는 하지만...뭐 시간이 조금만 더 흐른다면 한중일이 한번씩 사이좋게 우승한 이 대회가 인기궤도의 안정선상에 오를 수 있을 것이다.



◎ 기전규모 ☞ 총 규모─7억 3천만원 : 우승─2천만엔 / 준우승─1천만엔

◎ 대회규정 ☞ 제한시간─1회 개인당 3시간, 2회 이후 개인당 2시간
                     초읽기─1분 5회
                     덤─1회(5집 반), 2회 이후 6집 반

◎ 진행방식 ☞ 국적별 5인 구성 / 4개국 풀리그(1회만 4강 토너먼트)
                     1회전 추첨결과에 의해 3회전까지 대국 순번 정함
                     주장이 흑백을 가리고 그 다음 순번따라 흑백을 번갈아 쥠(○●○●○)
                     2회전 이후는 순번 변경이 가능함(대회 당일 10시까지 순번 제출)
                     참가국─韓 中 日 臺

◎ 순위결정 ☞ ① 총 승점─팀간 승패
                     ② ↑ 동일시 총 승수(팀 대국자들의 승수)
                     ③ ↑ 동일시 주장전부터 차순위 대국자까지의 승패 비교

◎ 주최 / 후원 ☞ 오키나와현 * CSK / CSK

◎ 대회 성적 순위 & 특별사항

제1회 ─ 韓 / 臺 / 中 / 日 ... 한국 10전 전승 우승!!(토너먼트)
제2회 ─ 日 / 韓 / 中 / 臺 ... 일본 3승 / 한국*중국*대만 1승 2패(순위결정방식)
제3회 ─ 中 / 韓 / 臺 / 日 ... 중국 3승 / 한국 2승 1패 / 대만 1승 2패 / 일본 3패










일본아...독도는 대한민국 영토걸랑? 헛소리 좀 작작해 (+++─_-)







※ 제9편은 '{특집} 바둑 세계기전 총정리' 의 완결편으로 업그레이드 통합판으로 올릴 예정입니다.^^

※ 이미지는 한국기원, 타이젬, 사이버오로, 이창호 공식 홈페이지, 조훈현 공식 홈페이지, 유창혁 공식 홈페이지에서 퍼왔습니다.

www.leechangho.comData 방과 통계 분석 전문가 아르마다님/전날의 섬님의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 한국기원의 기전*기사정보를 참고하였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6171 이 바둑 백이 왜 이긴 건가요..;; [2] ㅁㄴㅇㄹ(211.224) 09.01.24 278 0
6170 고바야시류 질문입니다 [15] 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24 406 0
6167 안녕하세요 저가 좋은방송을 발견했어요 [1] 가시방석(211.199) 09.01.23 129 0
6166 흐음.... 바둑바둑.. .(121.161) 09.01.23 58 0
6164 바둑연간수입목록과 이창호의 차. [3] 필립위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23 475 0
6162 바둑 잘 하고 싶은데 ㅠㅠ 바둑왕(121.124) 09.01.23 77 0
6158 콩지에 애인도 이쁘듯 [1] (121.182) 09.01.22 276 0
6157 아 랜드킴ㅋㅋㅋㅋㅋㅋㅋ미친닼ㅋㅋㅋㅋㅋㅋㅋㅋ 랜드김(211.207) 09.01.22 120 0
6156 바둑 뉴바인데 스승해줄분 없나여 [6] 활성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22 213 0
6155 정말 인터넷으론 바둑을 못두겠네요............... [2] 듣보잡그림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22 269 0
6153 2페이지로 넘어간 3831번 간단한 사활2탄 글 정답공개 [1] 옥상호출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21 128 0
6152 입문한지 얼마안된 초보입니다... [10] (119.65) 09.01.21 301 0
6151 이창호의 실수 [1] chacha(118.176) 09.01.21 314 0
6150 이세돌 오늘 삼성화재배 우승 축하합니다... 빠끄음(115.139) 09.01.21 137 0
6149 이 바둑이 왜 두기 어려운 바둑임????????????????? [7] 셲쓰쎾씨머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21 385 0
6148 바투를 보는데... [1] 엘레?(211.59) 09.01.21 209 0
6147 애들이 정석대로 안둬,,, [3] 큰북(118.40) 09.01.21 239 0
6145 계룡산 도사(道士)가 나타나 프로 김태현에게 바둑을 청하다 (조남철) [4] 큰곰유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21 268 0
6144 우메자와 유카리 5단의 미모는 여전하네요^^ [4] 둥근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20 678 0
6141 한가지 포석만 사용하면 실력이 늘지 않겠죠??? [4] 빠끄음(211.251) 09.01.20 221 0
6139 존나 큰 바둑판에 4명이 한꺼번에 두는 그런 바둑있으면 재밌겠다 [3] aa(125.141) 09.01.19 220 0
6138 바둑책 질문 [3] syun(218.238) 09.01.19 188 0
6137 오늘 KBS 조훈현 해설 허허(203.235) 09.01.19 210 0
6136 바둑 잘하는법? [3] batoo(125.135) 09.01.19 285 0
6134 영현아 보고있니?? 홍패 09.01.19 44 0
6133 횽들아살려주세요 [3] 몰라 ㅠㅠ(61.35) 09.01.18 96 0
6131 형들 창하오가 바둑실력이 어느정도임? [2] 죽어도쌍방울(121.64) 09.01.18 298 0
6130 18연승~~!!! 1단에서 3단으로 워프탔습니다.ㅋㅋㅋㅋ [1] 惡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8 170 0
6129 바둑을 배우기 위해... [1] 지나가는 人(203.128) 09.01.18 303 0
6128 바둑할사람 [1] 트윙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7 99 0
6127 간단한 사활 2탄 [11] 옥상호출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7 205 0
6126 오랜만에 간단한 사활 [2] 옥상호출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7 147 0
6124 이번 정관장배 일본 주장으로 나온누님 누구임??? 하악 완죤 내취향 [2] 큰북(118.40) 09.01.16 308 0
6122 박지은 9단은 버릇 좀 고쳤으면 [4] gma(121.151) 09.01.15 532 0
6121 머리풀겸 오목하실분 코시(121.127) 09.01.15 44 0
6120 사이버오로 4단이면 [2] 큰곰유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5 274 0
6117 오로바둑에서 6단이면 잘두는건가요? [10] ㅁㄴㅇㄹ(211.42) 09.01.14 1266 1
6116 바둑입문하는데 인강vs입문책 [2] 마기스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4 255 0
6113 체스, 장기하다가 바둑하니 힘듭니다.... [5] 천년일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4 403 0
6112 혹시 타이젬 같이 바둑하면서 알려주실분있나요.,.? [4] 마기스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4 139 0
6109 아버지랑 바둑두는데 자꾸 져요 [3] Epik Hig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2 229 0
6108 가토 마사오가 쓴 바둑교과서 라는 책 어떤가요?? [5] ㅎㅇㅂ(218.48) 09.01.12 294 0
6107 으워어. 바둑두는 사람들은 도인이란 말인가. [10] 스피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1 519 0
6106 입문서를 찾아보니까요... [3] 초보ㅇ...(222.237) 09.01.11 292 0
6104 7연승 + 60승 도달 ㄳ 惡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0 104 0
6103 이창호 九단이 무릎팍도사에 나가도 좋을 것 같지 않나요? [9] ㅁㄴㅇㄹ(124.54) 09.01.10 671 0
6102 체스와 바둑 어느 것이 더 어려울까? [6] 입산수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10 486 0
6101 바투 참 재밌는데 해설자말입니다. [13] 박기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09 738 0
6100 형님 동생님 기우님들 봐주세요. [3] 나야나(59.28) 09.01.09 113 0
6099 사석지정 어떻게 하는건가요 ;ㅁ; [1] ㅁㄴㅇㄹ(211.199) 09.01.09 38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