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에도시대 영국인의 일본인 검술 평가

복갤러(121.137) 2024.05.15 15:45:06
조회 198 추천 0 댓글 0





일본에 거주하는 영국인들은 되도록 일본인과의 싸움을 피하라는 경고를 받았다. 만약 일본인과 근접전을 해야 한다면 그들은 세이버를 사용하는 대신 리볼버에 의존했다. 이것은 상무정신이 강했던 당시의 서양인들에게는 모욕적이며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실이었다.


"일본에 거주하는 사람은 반드시 권총을 소지해야 했다. 하지만 권총을 손에 들고 있으면서도 칼을 든 일본인에게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말하자면 콜트 리볼버는 우리가 구할 수 있는 것 중 최악의 무기다. ... 베기 성능의 중대한 결함 때문에, 우리의 칼은 직전에 미리 공들여 칼날을 갈아놓지 않으면 열 번 중 아홉 번은 공격에 실패한다."


​'on Military Equipment,'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1879





영국인이 손에 권총을 들고 있다고 해도, 일본인의 칼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대적할 수 없다고 여겨졌다. 발도술은 일본 에도시대에 중시된 검술이었고, 일본에 거주하는 영국인들과 미국인들도 그것에 감탄했다.


"그들은 칼집에서 칼을 뽑는 동시에 위력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다. 경험이 부족한 사람은 스스로 안전하다고 생각한 거리에서 칼을 맞게 된다."


​Rev. J. G. Wood, 『The Natural History of Man』, 1870




"숙련된 일본 검사는 칼을 뽑는 순간 상대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힐 수 있다. 공격자가 실수를 하지 않는다면 방어할 기회는 없다고 보면 된다. 내가 들은바에 의하면 일본인에게 난도질당한 어떤 수병은 한번 베일 때마다 팔다리가 하나씩 잘려나갔다고 한다."


Alexander Michie, 『The Englishman in China』, 1900





권총을 들고 있다고 해서 일본 무사를 상대로 안전을 보장 할 수는 없었다. 영국 장교가 목격한 하나의 사례에서, 가슴에 총을 맞은 상태에서도 일본 무사는 두 명의 적을 살해하는데 성공했다.


​"... 콜트 리볼버의 작은 탄환구경과 지나친 관통력에 대해 지적하자면, 이건 내가 직접 목격한 것인데, 한 일본인은 콜트 리볼버로 가슴에 총알 두 방을 맞은채 반격해서 두 명의 유럽인을 살해하기도 했다. 희생자 중 한 사람에게 열여섯 개의 상처를 입혔으며, 하나하나가 치명적인 것이었다."


​'on Military Equipment,'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1879








여기서부터는 조선시대 일본 검술 평가 

ㅡㅡㅡㅡㅡㅡㅡ





오랑캐(후금) 군사는 돌격전을 벌여 마구 덤비는 데만 능할 뿐이고


예리한 검을 활용하는 데는 도저히 왜놈만 못하다.


-조경남 『난중잡록 정묘년』



 


 






우리 수군 다섯이 왜나라 소년 검사 한명을 당해내지 못한다.


-이순신 『난중일기』




 


 





왜적은 실로 상대하기가 어려우니 그 이유는 무엇이겠는가?


왜적은 철환(조총)을 비 오듯 퍼붓는데 한번 맞기만 하면


곧바로 쓰러지고 근접해서는 칼을 사용하는데,


그 검술이 지극히 기이하니 이들은 참으로 상대하기 어려운 적이라고 하겠다.


-조익 『포저집』



 


 






훈련대장 유혁연이 말하기를,


"검술은 천하 어디에도 있지만 일본 것이 최고입니다.


우리 나라는 홀로 전하고 익히는 자가 없어 신의 마음이 항상 분하기 그지 없었습니다.


신의 아랫사람(김체건) 중에 배울 수 있는 사람이 있으니,


이 사람을 보내 검을 배우게 하면 어떠하겠습니까?"


하니, 상이 말하기를, "보내라" 하였다.


-『승정원일기』 숙종 5년(1679) 7월 27일




 


 





칼을 쓰는 묘리는 왜인들이 최고이다.


왜의 달인인 아이스 히사타다(愛洲移香)의 검술을 카게류(陰流)라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군교(軍校)인 김체건이 일찍이 사신을 따라 일본에 들어갔다가


그 방법을 배워 와서 지금까지 유전하니, 이른바 왜검이라는 검술이다.


-『병학지남연의』 (왜검은 조선의 군용 무술 교본인 무예도보통지에 실렸다)





 


 


 




병조가 아뢰기를 "칼을 잘 쓰는 것이 단병전에서의 가장 중요합니다.


일본과 절강성은 이것으로써 천하의 강병을 만들었습니다."


-『인조실록』 1630년 1월 6일





 





이번에 귀순한 왜인(항왜) 중에는 검을 잘 쓰는 자도 있고 창을 잘 쓰는 자도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검술이 전해 오지 않았는데, 이는 만세에 유익한 일이다. 


-『선조실록』 1594년 7월



 







항왜(투항한 왜군)들이 칼을 잘 써서 우리 나라 살수를 보고 아이들 놀이와 같다고 하였고,


이들은 칼과 총을 주조하는 법을 안다 하는데


이들 왜인을 어찌하여 머물러 두고 이들의 기술을 배우고 익히지 아니 하는가?


-『선조실록』 1594년 8월 2일





 


 





비망기로 일렀다.


"우리 나라 습속은 남의 나라의 기예를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고 더러는 도리어 비굴하게 여긴다.


왜인의 검술은 대적할 자가 없다. 훈련도감에 이르러 배우도록 하라."


-『선조실록』 1594년 12월 27일





 


 




정원에 전교하였다.


"전세가 위급한 창졸들간에 단병으로 접전하는 데 있어서는 검술만한 것이 없다.


앞으로는 모든 군사들로 하여금 검술을 익히게 하고,


시재할 때에도 검사를 충분히 뽑도록 해야한다."


-『선조실록』 1596년 12월 5일





 


 





이미 칼을 빼들고 접전해 와서 갑자기 헤어날 수가 없었다.


이때 명의 이여송이 인솔하던 군사는 모두 북방의 기마병으로


화기가 없고, 짧고 무딘 칼을 가지고 있었다.


적의 보병들은 모두 3, 4척이나 되는 긴 칼(노다치로 추정)을 가졌는데 날카롭기가 비길 데 없었다.


그들과 충돌하여 싸울 적에 좌우로 후려치니


사람과 말이 모두 쓰러져 그들의 예봉을 감당할 자가 없었다.


-유성룡 『징비록』 벽제관 전투 (명나라 기병대가 칼든 왜군 보병들의 기습에 대패함)



 







그들(왜군)의 무기는 칼과 총을 제일로 친다.


칼을 찬 자는 반드시 길고 짧은 두 개의 칼을 차서 긴 것은 치거나 찌를 때 사용하고,


짧은 것은 던져서 남이 뜻하지 않은 사이에 맞히면 당장 죽지 않는 자가 없다.


-신유한 『해유록』


 


 


 


 


 




백광언 등은 적(왜군)이 눈앞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육박해 들어가 도전했는데,


묘시부터 사시에 이르기까지 적병이 잠복하고


나오지 않자 오시에 이르러 아군이 해이해졌다.


이때 왜적이 풀 속에 엎드려 무릎으로 전진해 와 검을 휘두르며


일제히 일어나 아군 가운데로 쳐들어오니,


왼쪽에서 목 베고 오른쪽에서 찍어대고 하여


아군의 전사자가 부지기수였다.


이지시, 백광언, 고부 군수 이광인, 함열 현감 정연 등이


모두 이 전투에서 피살되어 대군의 기세가 꺾였다.


-조경남 『난중잡록 임진년 상』



 


 






왜군이 칼을 휘두르는 사이에 칼등으로 칼날을 받아쳐서 결국 다치지는 않으니,


그 교묘하게 피하는 기술과 능숙하게 부딪치는 기술은 완연히 백원의검법이 있습니다.


그들이 믿는 것은 장검(長劍)과 철환(鐵丸) 입니다.


근접 무기가 신묘하여 사람마다 검객이 아닌 자가 없고,


기계의 정밀함도 펼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철환은 비가 내리듯이 쏟아지고 칼은 숲이 서 있는 것과 같으나,


총을 쓰는 것은 칼을 쓰는 것에 비해 자못 뒤떨어집니다.


-정탁 『약포집』 1593년 8월 15일. 명나라 유생 호환에게 보낸 편지





 


 





홍병구가 병조의 말로 아뢰기를


"유성룡은 제찰사가 되어 오랫동안 절강병법(북방 유목민족의 기마병 보다, 남부 왜구를 상대하는데 적합한 척계광의 병법)의 진중으로 있으면서 육박전을 벌일 때


검술보다 중요한 것이 없음을 익히 보았기 때문에


검술을 긴요하게 사용하는 계첵을 선조께 고하였습니다.


그러자 선조께서 매우 옳게 여기시어 금위 하는 장사들에게 모두 검술을 익히게 하였습니다"


-『승정원일기』 1629년 4월 14일






 


 




병조가 아뢰기를


"어느 전투이건 간에 승부는 모두 단병(短兵)으로 육박전을 벌이는 데에서 결판이 납니다.


왜병과 호병을 보면 모두 검술을 알고 있습니다.


육박전을 벌일 즈음에 네 가지 기예(창, 활, 총, 기마술)가


모두 쓸모 없어지게 되면 반드시 차고 있는 칼을 가지고 사생을 결단하려 덤빕니다.


-『인조실록』 1628년 9월 29일





 


 





왜군들은 전투시에 멀리 있으면 총을 쏘아 맞히고.


가까이 있으면 칼을 뽑아 돌진하니 이 때문에 천하에 그 칼끝을 당할 자가 없었다.


그래서 명나라의 척계광 장군이 왜를 방어함에 있어


총으로 총을 대적하고 검으로 검을 대적하도록 하였으나,


여전히 왜적의 검술을 대적 하기에는 부족하여


반드시 낭선과 창으로 방패와 칼을 옹호 하도록 하였다.


-최기남 『무예제보번역속집』 (척계광은 칼든 왜구 1명을 상대 하기 위해, 명나라 병사들이 다굴치는 집단 전술을 고안해 냈다)





 


 


 





명나라 군에서 백고초기(白高招旗)를 세우면


각 도수(刀手)는 모여서 대기하는데,


모두 갑옷을 입는다. 북 소리가 들리면 몸을 날려


왜도(倭刀)의 용법대로 머리를 낮추어 말의 다리를 베고,


몸을 일으켜 말의 머리를 베는 두 가지 도법(刀法)을 익혔다.


-『무비지』





 


 


 




왜이(倭夷)는 보통 호접진(蝴蝶陣)을 치는데,


전투시에는 부채를 휘두르는 것으로 호령을 삼는다.


한 사람이 부채를 휘두르면 무리들 모두가 칼을 춤추며


일어나 공중으로 칼날을 번뜩이며 재빨리 휘두른다.


우리 병사들이 정신없이 바라보고 있다가는 한 칼에 베여 버린다.


칼은 위를 공격하는 척하면서 아래를 공격하기 때문에 막기가 어렵다.


표창과 단도는 자루를 드러내지 않고 갑작스럽게 던지는 까닭에 예측할 수 없다.


-『주해도편』 왜국사략



 


 







왜나라가 만드는 칼인데 단련이 정교하며 만듦새가 가볍고


예리하니 다른 지방의 칼이 이에 미치지 못한다.


검신의 빛나는 광채가 눈을 쏘아 보는 사람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며,


검술은 좌우로 도약 하는데다 기이한 방법으로 공격 의도를 숨기니 눈으로 헤아릴 수 없다.


-『단도법선』 단도설(单刀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p.s


"조선군은 성안의 호랑이 이다."


임진왜란때 조선군은 필드에서는 약한편이었고(몇몇 승리가 있긴 하지만) 수성전이 특기였다고 함


임란 3대 대첩을 보면 행주대첩,진주대첩 둘다 수성전 이고 한산대첩은 해전이니..


전국시대였던 일본과 평화시대였던 조선의 차이인듯


조선도 초기에는 군사력이 정말 쌨었는데 그걸 쭉 유지 하기가 어려웠다 함


근데 이순신 장군님 보면 알 것 같은게..


소규모 국지전이 아닌 대규모 전면전에서는, 개개인의 무력 보다 지휘관의 전략전술이 더 중요한듯 하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공지 복싱 갤러리 이용 안내 [156] 운영자 05.11.03 70935 120
816280 복싱 4개월동안 훅도 못배웠는데 손절이 맞음?? [3] ㅇㅇ(110.70) 01:49 25 0
816279 내 잘생긴 얼굴과 멋진 쉐도우를 봐라 [2] 복갤러(31.171) 01:26 30 2
816278 추감기 이거 진짜 대박이네.... ㅇㅇ(211.219) 01:11 33 0
816277 스파링 중 배 맞은거 [1] ㅇㅇ(211.235) 00:30 59 0
816276 한국인이 올림픽에서 복싱 금메달따면 [2] ㅇㅇ(125.180) 00:16 54 0
816274 카넬로 vs 에드가 벌랜가 10월 루머 DUKE NUKE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9 17 0
816273 메쓰든 스파링이든 하는 ㅅㄲ들 제발 좀 봐라 [11] 복갤러(223.38) 06.21 92 1
816272 가성비 헤드기어 ㅊㅊ 좀 [5] ㅇㅇ(218.148) 06.21 43 0
816271 동체급기준 어떤체형이 사기캐임? [1] 노바사랑나라사랑(118.235) 06.21 40 0
816270 복싱 3개월차 스파링28회 [7] 복갤러(106.102) 06.21 56 0
816267 정권 자주 다치는데 글러브 바꿔볼까.. [4] 말리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7 0
816265 국내 타격기 투기종목에서 헤비급은 김형규가 재능은 원탑인거 같다 [1] 복갤러(210.103) 06.21 61 0
816264 맨주먹으로 레슬러랑 붙는다고 하면 [1] 복갤러(210.123) 06.21 78 0
816263 영춘권 도장 아직도 있네 김무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8 0
816262 이 정도로 일본 이기겠냐? 결잘못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3 0
816261 파퀴아오 <- 지금 보니까 ㄹㅇ 멕시칸 킬러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92 0
816260 러닝 효과를 쉐도우로 갈음할 수 있나요? [6] 복갤러(121.166) 06.21 111 1
816259 복린이입니다. 복싱에서 보통 가장 재밌는 체급이 어디인가요?? [6] 복갤러(163.152) 06.21 97 0
816258 님들 mma식 타격은 주먹쓸때 [7] ㅇㅇ(182.225) 06.21 102 0
816257 복싱 입문자인데 1개월 16만원이면 괜찮음? [2] 복갤러(211.179) 06.21 94 0
816256 불가리아 여자랑 결혼한 한국남자들 [5] ■x(118.235) 06.21 80 1
816255 키보드워리어 김승연 유튜브 복싱쇼츠 써먹을만함? [5] ㅇㅇ(168.126) 06.21 133 0
816254 국대한테 pt도 받는중임 [1] ㅇㅇ(222.234) 06.21 68 0
816253 줄리엔강 실력이면 한달 안에 한챔 가능하지 않냐? [1] 복갤러(121.172) 06.21 72 0
816252 채력저질이 복싱장 가기전에 몸 어떻게 만듦 [5] ㅇㅇ(223.39) 06.21 104 0
816251 한국 아마복싱 쓰레기인거 다들 알지? [7] ㅇㅇ(211.119) 06.21 214 16
816250 서울에 괜찮은곳 있음? [6] 복갤러(223.62) 06.21 66 0
816249 라이트플라이급은 인재풀 적음? [1] ㅇㅇ(118.235) 06.21 45 0
816248 4개월 복린이인데 살 굳이 안빼도될까요 [3] ㅇㅇ(221.165) 06.21 62 0
816247 ufc 박준용 , 페더급 가면 챔프 먹을텐데 [5] ■x(118.235) 06.21 94 1
816243 스파링 쎄게충은 똑같이 쎄게 해줘야 사고가 안남 [5] 복갤러(106.101) 06.21 194 2
816242 복싱 등록하고 평범해 보이는 사람이 ㅈㄴ 쎄서 놀라는 새끼면 [2] 복갤러(172.225) 06.21 168 2
816241 줄리엔강이 20살때부터 복싱했으면 한챔 가능함? [6] ㅇㅇ(61.80) 06.21 100 0
816240 고석현은 ufc 갈 사람이니까 국내 복서들이 지는건 당연함 [2] 복갤러(110.8) 06.21 126 0
816239 1:1 싸움에서 엥간하면 안지고 싶은데 어느정도여야 됨? [11] 복갤러(223.39) 06.21 155 0
816238 체육관 꼴불견 참교육한 썰 ㅇㅇ.txt [5] 복스(210.104) 06.21 209 3
816237 스파링 후 다친 사람 안타깝구나 나도 할말있다. [14] 복갤러(182.208) 06.21 244 10
816236 갈비뼈 금간지는 어케아냐? [8] ㅇㅇ(118.235) 06.21 92 0
816235 프로테스트 나가는 복붕이들 많네 ㅎㅎ [15] ■x(118.235) 06.21 196 1
816234 원래 오래다니면 회비할인해줌? [2] 어어(223.38) 06.21 79 0
816233 양놈들 꼬추 물컹물컹해? [5] 복갤러(172.219) 06.21 118 0
816232 근데 프로가 ㅂㅅ이어도 프로는 프로임 [5] 복갤러(118.235) 06.21 162 3
816230 21살에 복싱 시작해도 되냐? [4] ㅇㅇ(118.235) 06.21 111 0
816229 가로훅 손등쪽 전완근도 단련되야되나 [2] 복갤러(58.127) 06.21 58 0
816228 10억분의 1그램 오스타린 파워.gif 복갤러(211.36) 06.21 76 0
816226 89년생 반남박씨 전라디언 박광진만 클릭 [5] ■x(118.235) 06.21 78 2
816225 2개월차 복린이인데요 샌드백 맛깔나게 치고 싶은데 복갤러(112.184) 06.21 48 0
816224 2대 1 싸움(야차클럽) 복갤러(172.219) 06.21 45 0
816223 오픈핑거 글러브 쓸 때는 붕대 감냐 안감냐 복갤러(1.245) 06.21 2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