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IT 허브 한국, 부산에 최대 데이터센터 건립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1.11.04 23:04:33
조회 474 추천 0 댓글 6



 


 
-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내 8만 9710㎡에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단지’건립





○ 데이터센터, 지역적 위치 중요

LG CNS가 건설하는 데이터센터는 완공되면 국내 최대 규모의 단일 데이터센터가 된다. 이 데이터센터는 총면적 13만3000m² 규모로, 지금까지 국내 최대였던 KT 목동 데이터센터의 규모(총면적 6만4076m²)를 훌쩍 뛰어넘는다. 이에 앞서 KT는 최근 일본 소프트뱅크와 손잡고 올해 10월까지 이 지역에 서버 1만 대가 들어가는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설치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외국 기업이 한국을 데이터허브로 인정하는 첫 사례로 화제를 모았다. 이처럼 최근 부산 부근에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속속 들어서면서 앞으로 이 지역이 아시아의 데이터허브로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데이터허브가 주목받는 건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지역적 위치가 여전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인터넷 서비스를 전 세계에 제공하는데 이때 해저케이블을 통해 국가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이는 최대 용량이 제한돼 있어 미국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를 아시아에서 요청할 경우 서비스의 속도와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또 지진이나 폭우에 따른 침수, 건물 화재 등 데이터센터에 물리적인 피해가 생길 때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데이터센터가 ‘백업’ 역할을 한다면 피해도 최소화한다.

이런 이유로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회사는 세계 각국에 데이터센터를 분산한다. LG CNS는 이번에 새로 짓는 데이터센터를 100% 외국 기업에 임대할 계획이다. 지경부 정보통신산업과 강창묵 사무관은 “부산을 데이터허브로 만들기 위해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한국이 유리한 이유

지금까지 아시아에서 데이터허브로 주목받았던 곳은 일본과 홍콩, 싱가포르, 대만 등이었다. 모두 정보기술(IT) 산업이 일찍 발달하고 지리적으로 태평양과 맞닿아 있는 지역이란 특징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수년 동안 대만과 일본에서 연이어 발생한 지진이 이런 구도를 뒤흔들었다.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기 위해선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필수적인데 이 두 나라가 해저 케이블 단절로 인터넷 연결에 수차례 지장을 겪었기 때문이다. 또 홍콩과 싱가포르는 땅값이 비싸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새로 건설하기가 쉽지 않다.


반면 부산은 1990년 이후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전국적으로 183번 발생할 동안 단 한 번도 지진이 일어나지 않았을 정도로 지반이 안정돼 있다. 또 국내로 들어오는 해저케이블 11개 중 10개가 이 지역으로 유입되고 일본과는 불과 25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데다 중국 및 동남아시아와 태평양을 연결한다는 지리적 장점도 갖췄다. 김대훈 LG CNS 사장도 “부산은 그야말로 천혜의 입지조건을 자랑한다”며 지리적 위치가 가장 큰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땅값도 상대적으로 싼 데다 한국의 통신 인프라가 세계적인 수준이라는 것도 장점이다.

부산은 해저통신케이블 육양국(해저 광 케이블이 육지로 올라오는 지점)으로써 국제 IX(Internet eXchange) 노드가 위치하고 있어 사실상 우리나라 해외 입출 데이터 트래픽의 90%가 넘나드는 글로벌 네트워크 흐름상의 길목이다. 이 때문에 부산은 해외 기업들이 가장 눈여겨보는 지역이다.


LG CNS의 한 관계자는 "해저케이블이 올라오는 육양국와 익스체인지 노드들이 부산지역에 있다"면서 "거기에 저렴한 국내 전기료와 우수한 네트워크인프라, 일본과 중국 사이의 지리적인 이점, 우수한 인재 등 아태지역 데이터센터 허부로 상당히 매력적인 곳이 부산"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IT기업이 공조해 부산시를 글로벌 IT 허브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이는 지난 5월 정부가 발표한 ‘클라우드 정책 5대 과제’의 하나인 ‘글로벌 IT 허브’로써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육성하겠다는 정책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지식경제부는 부산 미음지구에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단지’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행정적, 재정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LG CNS 부산데이터센터는 2012년 12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LG CNS와 부산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강자인 홍콩, 싱가포르를 뛰어넘는 경쟁력 있는 글로벌 데이터센터를 구축함으로써, 일본 기업과 글로벌 인터넷 기업을 비롯한 국내외 고객들에게 클라우드 서비스와 재난복구(Disaster Recovery) 서비스 등 IT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러한 LG CNS와 부산시의 노력은 지역 균형발전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LG CNS 김대훈 사장은 “LG CNS 부산데이터센터는 LG CNS의 클라우드 서비스 역량과 부산이 가진 천혜의 입지조건을 바탕으로 명실공히 대한민국 국가대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글로벌 IT의 중심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국내는 물론, 글로벌 기업에 차별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공지 도시 갤러리 이용 안내 [247] 운영자 09.11.12 177976 154
2318915 과거의 일도 미래의 일도 생각하지 않는다 피자2021(58.235) 09:05 11 0
2318914 티웨이 또 지랄났노 유럽뉴선 폐지해야될즛 수기작성(인천제외)(118.235) 08:58 11 1
2318913 철학이끌린다 경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7 10 0
2318912 왜태어났는가에대한 대답은 경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5 21 1
2318911 무인도에 한권만들고갈수있다면 챙겨갈 책 경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1 18 0
2318910 안녕? 미라이의 준사법기관or법관 경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9 17 0
2318909 출근하시는분들시선이 두려워 일찍나가려 경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8 21 0
2318908 반도체회사 대구에 2조투자! 확정! [1] 대구(106.101) 08:47 18 2
2318907 자 조성진 쇼팽틀고 시작해보자 경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12 0
2318906 좆자 경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14 0
2318905 강남 수서까치마을아파트 재건축, 리모델링 추진현황 뿜배(211.234) 08:34 12 0
2318904 대한민국에서 오뎅을 하루에 제일 많이 파는 분식집. [1] oo(113.52) 08:32 36 2
2318903 중국 서울보다 큰도시가 7개정도인듯 도갤러(61.42) 08:20 29 0
2318902 완장있는 미니갤 하지마라 피자202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24 0
2318901 서울경기 지고 대구경북 뜨네 [1] G(106.102) 08:09 39 3
2318900 난 대학생활하면서 서울에 신물나서 다시는 서울못감 [2] 미나즈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31 1
2318899 울산은 전기에 미친놈들임 ㅇㅇ(168.235) 07:57 27 0
2318898 안양시민이 바라보는 부산 해운대 [2] 회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4 52 1
2318897 유사강간과 준강간의 차이가 뭐고? [1] 피자2021(58.235) 07:39 25 0
2318896 충남계룡은 코스트코 세곳 다 30분이면 가네 [1] ㅇㅇ(211.199) 02:44 65 0
2318895 이젠 대구하면 미식천국, 음식성지로 굳어졌음. [4] 도갤러(113.52) 02:42 134 10
2318893 요즘도 청주견 오냐? [1] ㅇㅇ(106.101) 00:53 84 1
2318892 인천의 축복은 ㅇㅇ(172.226) 00:47 91 1
2318891 아무리봐도 2025년 APEC은 여기서 그냥 해야할듯... [2] ㅇㅇ(121.189) 00:42 173 6
2318890 성남이란 명칭의 유래되는곳 [2] ㅇㅇ(106.101) 00:40 74 2
2318889 다양한 남자들이 거쳐가고있는 보톡스부작용 여자 ㅇㅇ(39.119) 00:30 92 1
2318887 경상도에서 만든 휴대폰쓰는것들이 쌍도하고있네 [2] (118.235) 00:04 100 3
2318885 이제 11시 됐네... 내 차례다 ㅇㅇ(112.157) 06.17 89 0
2318883 대전 코스트코까지 원정뛰는 절라도 씹광주년들 ㅋ ㅇㅇ(113.52) 06.17 99 6
2318882 절라도 씹광주에는 없는 대전 명물음식. [1] ㅇㅇ(113.52) 06.17 129 2
2318880 절라도 씹광주에 관광객이 전혀 안가는 이유. ㅇㅇ(113.52) 06.17 82 5
2318878 대구의 별미맛집 ㅇㅇ(219.251) 06.17 68 0
2318876 수영역 [4] 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65 8
2318875 바이오특화단지 유치 `한마음' ㅇㅇ(110.76) 06.17 74 0
2318874 경상디언이 고향을 속이는 이유 [1] 도갤러(106.102) 06.17 126 4
2318873 유명한 사찰에 갈 때마다 느끼는건데 ㅇㅇ(219.251) 06.17 64 1
2318872 대전보다 볼것없는 절라도 씹광주 ㅇㅇ(113.52) 06.17 59 2
2318871 복도식 아파트 성혜(211.205) 06.17 51 0
2318870 절라디언들이 고향 속이는 이유 ㅇㅇ(113.52) 06.17 68 3
2318869 전라디언들은 왜 이리 고향을 속이는거냐 [1] ㅇㅇ(218.235) 06.17 89 3
2318868 (진지) 여행자거리.jpg 훈남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86 0
2318867 그대가 웃으면 좋아 ㅇㅇ(112.212) 06.17 53 3
2318866 대구경북 출입금지 [1] 도갤러(106.102) 06.17 109 3
2318864 중국이 아니고 경상도라예 잘 봐주이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20 4
2318863 일베광역시 대구 퍼포먼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03 4
2318862 전라도에 가본적없고 갈일도 없다는 새끼가 전라도만 찾고있노ㅋㅋ [4] 도갤러(104.28) 06.17 121 3
2318861 솔직히 광주 스타필드도 현실성있겠냐 도갤러(118.235) 06.17 64 0
2318860 (르포) 미리 가본 대구도시철도 1호선 - 경산 하양 [1] 부산 산동네(223.39) 06.17 114 2
2318859 솔직히 광주에 더현대 생기면 신세계 경쟁력없지 도갤러(118.235) 06.17 59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