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산 산동네 롯데 떠나라

ㅋㅋ(118.41) 2011.12.02 21:19:09
조회 55 추천 0 댓글 0

롯데 ‘부산 기업’ 옛 말…시민들 “롯데 떠나라”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 부산 경실련 차진구 사무처장 인터뷰
newsdaybox_top.gif2011년 12월 01일 (목) 10:08:19변주리 기자 btn_sendmail.gifjuriworld@naver.comnewsdaybox_dn.gif

[시사서울 변주리 기자] 부산 시민들의 무한 애정을 받던 롯데가 홈구장에서 ‘미운털’이 박혔다.

대기업의 기업형슈퍼마켓(SSM) 진출로 영세 자영업자들이 설 자리를 잃고 있는 가운데 롯데가 초대형 마트 입점을 추진하는가 하면, 공공매립지에 아파트를 짓게 해달라며 떼(부산롯데타운 주거시설 허용 요구)를 쓰고 있어 지역 주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특히 롯데는 부산의 허파인 백양산의 환경생태를 위협하는 골프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면 롯데백화점이 문을 연 이듬해 1997년 부산 향토 백화점인 서면 태화쇼핑이 부도가 나는 등 이미 부산의 상권은 모두 롯데의 영향력 하에 들어간 상황이지만, 롯데는 지역 경제에 이바지를 하기는커녕 부산에서 벌어들인 자금을 고스란히 서울 본사를 살찌우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에 부산 지역 시민단체들은 롯데 기업을 감시하고 지역에 이바지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게 하겠다며 지난 7월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를 발족하기에 이르렀다. <시사서울>이 운동본부 참가 단체인 부산 경실련의 차진구 사무처장에게 자세한 얘기를 들어봤다.

부산에서 번 돈 고스란히 서울 본사로

마트·아파트·골프장…돈 되면 뭐든지

향토업체 입점비율 타사의 절반 수준

  
 ▲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 발족 기자회견 <사진=민주노동당 부산시당> 
 

△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가 발족 된 이후 롯데측의 반응은 어떠했나.

- 롯데측에서는 여전히 별로 신경 쓰지 않는 분위기다. 운동본부를 발족하기 이전에도 개별 시민단체들이 현지법인화와 대형마트 및 SSM 입점 저지를 요구해왔지만, 지금까지도 롯데측에서는 “고용측면에서 부산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고 장학사업도 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 부산시의 ‘뜨거운 감자’인 ▲부산롯데타운에 주거시설 도입 ▲롯데마트 입점 ▲백양산 골프장 건립 등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 부산롯데타운에 주거시설을 도입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해선 권한이 있는 해양항만청에서 허가를 내주지 않아 보류상태에 있다. 한때 부산시와 중구가 ‘부산롯데타운’에 아파트들이 대거 들어설 수 있도록 지구단위계획을 변경을 허용, 롯데가 초대형 아파트를 대거 지을 수 있게 됐다는 언론 보도가 났지만, 최종 권한은 해양항만청에 달려있다.

롯데는 부산롯데타운 기공식만 2,3차례나 했는데, 이는 주거시설을 허용해주지 않으면 2014년 완공 예정인 10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을 짓지 않겠다는 압박용으로 보인다. 지금은 어쨌든 롯데마트 입점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건물을 짓고 있는 상태다.

백양산 골프장 건립과 관련해서는 롯데건설은 그동안 어떤 사업을 시작하면 본사에서 이사급에 준하는 담당자를 내려 보냈는데, 지금은 공석인 상태다. 최근 롯데건설이 인천에 건설하려고 했던 계양산 골프장이 사실상 백지화 되면서 함께 주춤한 상황이다. 하지만 롯데의 숙원상업인 만큼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며 조만간 움직임을 보이지 않을까 한다.

△ 최근 롯데백화점 부산 본점이 ‘향토기업 기(氣)살리기’ 프로젝트를 몇 차례 진행했다.

- 자세한 내용은 잘 모르지만 부산에 적을 두고 있는 중소업체를 한시적으로 입점 시켜 특설 매장을 꾸린 것이다. 최근 부산에서 롯데가 부산 영세상인을 힘들게 한다는 비판 여론이 일자 부산 민심을 무마하기 위한 홍보 효과를 보기 위한 것이라 생각한다.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가 최근 비판 여론에 따라 부산 향토업체 입점수를 늘리기는 했지만, 다른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향토업체 비율이 50~60%인데 반해 롯데는 10~20%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아직까지 턱없이 부족한 수치다.

△ “롯데가 부산지역 소비상권을 장악하면서 알맹이는 본사로 올려 지역 경제를 고사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있다.

- 법인이 서울에 있는 롯데는 부산에서 얻은 매출을 모두 서울로 보내고 있다. 주거래 은행도 신한은행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 카드사용이 늘어나면서 결제 금액도 모두 서울로 가고 있다. 만약 롯데가 부산 지역의 은행을 이용했다면, 그 많은 결제 금액으로 부산 지역 은행들이 중소기업에 대출을 해 줄 수도 있는데 그렇지 못해 아쉽다.

△ 인터넷 게시판을 보면 특히 부산 시민들 중 롯데자이언츠 팬들이 롯데에 대한 실망이 큰 것 같다.

- 롯데자이언츠에 대한 부산시민의 애정이 큰 만큼, 롯데가 구단에 투자를 하지 않으니 불만이 생길 수밖에 없다. 부산 시민들은 롯데가 워낙 연봉 협상을 짜게 하니까 이대호 선수가 이적 결심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부산에 적을 둔 롯데 기업은 롯데호텔밖에 없다. 롯데가 롯데호텔을 부산법인으로 둔 것도 정부의 외국인투자유치 활성화 방침에 따라 지방세를 면제받기 위해 일본 롯데 자금을 끌어다 쓴 것이다. 이렇듯 롯데는 부산 기업도 아닌데 사회적 기여도 없으면서, 부산 시민들의 롯데자이언츠에 대한 애정을 등에 업고 생색을 내고 있다.

△ ‘정신차려 롯데! 부산시민운동본부’는 지난 7월 발족했지만, 토론회 개최 이외에 공식적 활동이 뜸한 상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처음 운동본부를 발족할 당시, 민주당을 비롯한 야4당의 부산시당이 주도를 하게 됐다. 기존에는 시민 세력이 주도해서 운동본부를 이끌어 가려고 했으나, 정치인들이 개입을 하면 운동본부의 활동에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의 생각이었다.

하지만 정치인들은 정치 이슈가 있을 때만 활동을 하는 경향이 있어 운동본부 활동이 뜸해졌다. 주관사가 정당인만큼 우리가 나서기는 어려움이 있고 개별 단체별로 현지법인화 운동과 대형마트 및 SSM 입법저지 활동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286730 확실히 도시계획이 깔끔하면 빌딩도 산다. [16] .(121.150) 12.01.16 385 0
286726 183.101이부러워하는삶.. [2] ㅋㅋ(1.243) 12.01.16 99 0
286724 전국 도시 재정문제 [2] J_제이(175.244) 12.01.16 242 0
286718 아 기분좋다 거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6 89 0
286717 울산에 동성로 처럼 로드샵 비슷한 거리가 삼산에 있냐 성남동에 있냐? [127] (220.88) 12.01.16 452 0
286715 울산 ktx역 앞에 시내버스 다니냐? [11] (220.88) 12.01.16 495 0
286714 이번주에 울산 갔다 와봐야겠다 [30] (220.88) 12.01.16 197 0
286713 울산 솔직히 포항보다 별로다 [2] 거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6 220 0
286712 울산 대공원에 그래서 무슨 시설이 있어? [20] (220.88) 12.01.16 198 0
286710 도갤 부산인은 필독 [12] I♡B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6 262 0
286709 대구 동성로 롯데영플라자 임마(220.88) 12.01.16 135 0
286707 부산에 도심공원 1개 밖에 없지 않냐? [2] 임마(220.88) 12.01.16 147 0
286706 어제 대구갔었음 [7] +C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6 287 0
286705 대구 도심속 오아시스 수성못 유원지 [4] 임마(220.88) 12.01.16 237 0
286704 대구 두류공원 도심공원의 최고봉 [65] 임마(220.88) 12.01.16 520 0
286703 대구 중구 소재 대형 도심 공원 4개 있는거 맞다 [18] 임마(220.88) 12.01.16 238 0
286702 솔직히 대구는 도시 크기에 비해서 많이 삭막한건 사실이지 [17] (183.101) 12.01.16 339 0
286700 서울메이트~ [3] ㅇㅇㅇ(180.64) 12.01.16 198 0
286698 부사닌이 말하는 부산 도로망 [1] 임마(220.88) 12.01.16 206 0
286696 대구가 삭막하긴 머가 삭막하냐? [6] 임마(220.88) 12.01.16 212 0
286694 대구위성 구미,칠곡,경산 14년간 20만 증가할동안 대구는 그대로 유지 [13] 벽지파워(175.201) 12.01.16 245 0
286692 롯데백화점 평촌점 [16] ㅎㅎ(211.58) 12.01.16 359 0
286690 대구가 평지라서 평지가 아닌 도시에 비해서 특별히 더 발달된 뭐가 있냐? [93] (183.101) 12.01.16 383 0
286689 지방일반시번화가 탑 단계택지임 [10] ㅎㅎ(125.179) 12.01.16 204 0
286687 국내최고 평지도시는 익산임 뉴욕런던서울(220.73) 12.01.16 168 0
286686 ㅎㅎ 쥐2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5 24 0
286684 나 3월달부터 이 더러운 도갤 끊는다 [2] I♡B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5 137 0
286683 울산의 포스 [2] 해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5 99 0
286682 1979년 대구 동대구 버스터미널 [4] 임마(220.88) 12.01.15 316 0
286681 부산급행버스 요금 1700원 [3] (221.157) 12.01.15 254 0
286673 인교동에 있었던 이병철이 만든삼성상회 [1] (221.157) 12.01.15 146 0
286668 대구 동성로 대구백화점 본점 건물이 1969년에 완공되었으니 43년 ;; [3] 임마(220.88) 12.01.15 282 0
286666 대구 동성로 대구백화점 본점 1970년대 풍경 [2] 임마(220.88) 12.01.15 339 0
286665 대구 동성로 대구백화점 본점 1990년 풍경 [13] 임마(220.88) 12.01.15 455 0
286664 대구 동성로 현대백화점 임마(220.88) 12.01.15 255 0
286663 대구 동성로 롯데백화점 임마(220.88) 12.01.15 251 0
286662 대구 동성로 롯데영플라자 [1] 임마(220.88) 12.01.15 204 0
286661 대구 지하철 [6] 듀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5 212 0
286650 대구 보다 평지 넓은 도시 있냐? [14] (220.88) 12.01.15 421 0
286648 해운대 일반집안에서 찍으 사진 [3] 이런(121.144) 12.01.15 323 0
286647 도갤에서 보기 힘든 부산 동래구 [8] ㅇㅇㅇ(1.177) 12.01.15 277 0
286645 한국 평지 도시 갑은 어디냐? [27] (220.88) 12.01.15 580 0
286638 아오 ktx운행하는 전주역이네..호남전라장항선이 익산이 아닌 전주에서 [1] 전일슈퍼가맥(1.216) 12.01.15 167 0
286636 부산 상공 [5] ㅋㅋ(220.88) 12.01.15 291 0
286635 서울 상공 [7] ㅋㅋ(220.88) 12.01.15 358 0
286633 부산이 산동네라고 까는 것들.....서울 사람 아님.. [14] 위트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1.15 251 0
286631 이번에 새로오픈한 스타벅스커피 전주2호점인 전주 중앙점 [7] 전일슈퍼가맥(1.218) 12.01.15 638 0
286629 내가 울산에서 부동산이랑 현금 300억 넘게 있는 부자 아자씨를 만난적이 [3] (183.101) 12.01.15 207 0
286628 우리나라 세울때까지 꾸준글달린다 [2] 내앞으로(121.172) 12.01.15 41 0
286626 도갤에 울산인 해봐짜 딸랑 2명 밖에 없잖아 ㅋ [2] ㅇㅇ(220.88) 12.01.15 7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