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황룡사 9층 목탑 창작 (stud.io, 미니피규어 스케일)

레고전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04 13:45:02
조회 5486 추천 100 댓글 73

어느 날 문득 스튜디오로 황룡사 9층 목탑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든 건 1월이었음

나름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고건축이 아닌가 싶어 작례를 찾아봤는데 의외로 몇 건 정도밖에 확인이 안 되어서, 이참에 제대로 한 번 만들어보자는 생각이 들었음

그래서 콧바람도 쐴 겸 이세를 다 만들고 나서 경주도 한 번 다녀왔음


이번 창작의 목표는 크게 2가지였는데, 어차피 스튜디오는 부품이 무한이니 만드는 김에 미니피규어 스케일로 크게 만들기 였고, 또 하나는 구조적으로 정확하게 만들기였음

비록 가상의 모델이긴 하지만 이 정도 크기와 정확한 구조까지 구현한 건 본인이 처음이 아닌가 싶음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46ef0f6bb8c3c2103fcb9e29899a5579051dbfb0cffd0c4176e167aa97fcb

사진은 황룡사지 바로 옆에 있는 경주역사문화관에 전시된 황룡사 9층 목탑 최종 복원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계획안)임

경주시는 꽤 오래 전부터 황룡사의 복원을 추진해왔는데, 유네스코의 제동으로 한 번 엎어졌다가 특별법 제정으로 다시 추진하는 대신 일단 천천히 진행해나가는 듯함

본인은 이 복원안을 기준으로 모델링을 했음


7cf3c028e2f206a26d81f6e744807d698ac8

황룡사 9층 목탑은 645년 완공된 거탑으로, 주위 9개 나라를 이겨낸다는 의미에서 9층으로 지어졌다고 전해짐

동아시아에 존재했던 수많은 목탑 중 정확한 높이 기록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목탑인데, 사리기 내함에 새겨진 찰주본기에 따르면 그 높이가 225척이었음

다만 이 225척이라는 높이가 창건 당시의 고려척에 의하면 81m이고, 찰주본기가 만들어진 당시의 당척에 의하면 67m 정도라 정확한 높이를 알 순 없음


7ff3c028e2f206a26d81f6e742807265b320

다만 목탑 터의 크기를 고려한 비례관계와 기록의 맥락 등을 고려하였을 때 고려척을 기준으로 계산한 81m가 더 많은 지지를 얻고 있고, 제시된 복원안 역시 81m를 기준으로 삼고 있음

모델에선 미니피규어의 키가 대략 4cm고, 사람의 평균적인 키를 170cm 정도로 두어 약 1:42 스케일로 만들어 전체 높이는 대략 2m에 이름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46ef0f6bb8c3c2207f8b8ec9998a55790519d8ff917ae170dc1b1bcf1cd1b


7ef3c028e2f206a26d81f6e64383746f45c4

황룡사 9층 목탑보다 높았다고 주장되는 거탑으로는 대표적으로 일본 도다이지 목탑과 중국의 영녕사 목탑이 있는데, 도다이지 목탑의 경우 높이가 100m에 이르렀다고 주장되나 기단 한 변 길이가 15m 정도로 황룡사 9층 목탑보다 7m나 짧아 신빙성이 떨어짐

영녕사 목탑의 경우 높이가 130m가 넘었다고 추정되며 기단 역시 한 변이 38m에 이르렀지만 완전한 자립 목구조가 아니라, 안에 흙을 채워넣었다고 함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46ef0f6bb8c3c2207f8b8ec9998d40dd118aba3359a8a0cc6e224457e3973865f38


79f3c028e2f206a26d81f6e745827c6941d4

따라서 황룡사 9층 목탑은 당대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목탑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높음

다만 독보적인 1위라고 말하기는 어려움

터가 북한에 있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구려 청암리사지의 목탑 역시 높이가 80m 이상으로 추정되고, 통일신라 시기 남원 실상사에서 황룡사 9층 목탑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기단이 발견되었음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46ef0f6bb8c3c2102f8b9ec9c99a5579051d348d8caa6da35e24b0e49269b


7fec9e36ebd518986abce8954783776b2508d4

황룡사의 복원안은 주심포 양식을 채택했음

황룡사 9층 목탑이 백제 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지어졌다는 기록이 있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자 백제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지어진 일본 호류지 5중탑은 하앙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하앙 구조도 유력한 안으로 제시되었지만 어째서인지 기각된 모양임


78f3c028e2f206a26d81f6e74688716529f2

크기가 클수록 작업량은 많아지지만 만들기는 쉽기 때문에 만드는 과정 자체는 대체로 무난했지만, 선자연과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처마선을 만드는 게 가장 어려웠음


7bf3c028e2f206a26d81f6e4448276688d06

높이가 16m 정도에 이르렀던 상륜임

상륜은 겉보기엔 고층 건물의 첨탑과 그 위에 달린 피뢰침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전혀 아님

피뢰침 자체가 18세기에 이르러서야 서구에서 발명된 물건이라, 경주 시내 독보적인 높이의 건축물이었던 황룡사 9층 목탑은 서 있는 내내 낙뢰 피해를 입었음

낙뢰로 인한 수리는 여러 번 있었고, 고려 초에는 탑이 완전히 무너져 다시 지어야 했음

이는 전근대 모든 목탑의 한계이고, 목탑이 많이 남은 일본조차 대부분은 재건한 것들임

1300년을 견뎌온 호류지 목탑이 기적 같은 경우


7af3c028e2f206a26d81f6e74380746a352d

황룡사 9층 목탑은 고려 시대 몽골군의 침입으로 완전히 불타 사라짐

이때 황룡사 전체가 불타 완전한 폐사지가 되었는데, 제아무리 불교 국가인 고려라 해도 전란으로 온 국토가 쑥대밭이 된 와중에 개경에서 한참 떨어진 지방의 거찰을 복구할 여력은 없었음


75f3c028e2f206a26d81f6e7438676642b19

다만 고려가 근성으로 목탑을 다시 지었다 해도 고려를 뒤이은 조선은 강력한 숭유억불 정책을 펼쳤기 때문에 얼마 지나지 않아 낙뢰로 다시 무너지거나 유생들이 파괴했을 가능성이 높음

고려 말 해안가에서 극성이었던 왜구 역시 큰 위협이었을 것임

고려시대만 하더라도 한국엔 수많은 목탑이 세워져 있었지만 대부분 전란이나 숭유억불 정책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석탑 정도만이 남아있는 게 현실임


74f3c028e2f206a26d81f6e44389716c3a89

스튜디오 렌더링이 생각보다 색감이 좀 어둡게 나오는 거 같음


7ced9e36ebd518986abce89547827465b08dfe

황룡사 9층 목탑은 누각 형식이었기 때문에 이렇게 꼭대기 층으로 올라가 외부 발코니에서 밖을 내려다보는 게 가능했음


7cec9e36ebd518986abce89544837265e3505a

처음 만들 때는 1층이랑 2층 만들 땐 고생 좀 하고, 어차피 그 위는 아래층에서 만들어놨던 공포, 창살, 문, 처마, 지붕을 그대로 재활용하면 되니 얼마 안 걸릴 거라고 생각했는데 탑이 위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보니 생각보다 바꿔야 할 게 많아 시간 절약이 크진 않았음


7cef9e36ebd518986abce8954783756fc92dbb


7cee9e36ebd518986abce8954481716acd202f

모델링하면서 서까래와 부연 끝에 금색 크롬 부품을 꽂아놨는데, 조선시대에나 유교의 영향으로 장식을 절제했던 거지 화려한 불교 문화가 꽃피운 신라에선 일일이 금동 장식을 꽂았음

이는 동궁과 월지 출토 유물에서 명확히 확인됐는데, 신라 시대 유적 실물 복원에 전혀 반영이 되지 않기 일쑤임

일본 건물 같다면서 고증상 맞는 주칠 단청이 아닌 천편일률적인 조선식 상록하단 단청을 칠하는 것과 함께 가장 큰 비판점임


7ce99e36ebd518986abce8954485706fdb60ea

구조적으로는 실물 복원했을 때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일단 사용 부품 수가 198752개에 이르고 실제로 구할 수 없는 색의 부품도 대량으로 사용했기에 실물 복원은 불가능함

본인도 처음엔 아무리 많아야 한 5만 개 쓰이겠지 했는데 내부 구조 다 만들고 하다 보니 부품 수가 말 그대로 치솟았음


7ce89e36ebd518986abce895478670687b0cc7

기단

기단 초석은 위에만 다듬었을뿐 옆면은 거친 그대로 썼다는 점을 반영해 초석 모양을 다 똑같게 만들지 않았음

다만 심주와 그 주위 16개 초석은 보이지 않는 부분이라 초석을 표현하지 않았음


7fed9e36ebd518986abce89547827c6cdc6d3f

모델링을 할 때에는 이렇게 한 층씩 나눠서 만든 다음, 최종적으로 합치는 방식을 사용했음


7ceb9e36ebd518986abce89544847d6ec63c0b

다만 일반적인 인식과 다르게 실제로 구조적인 한 층은 위 사진과 같음

황룡사 9층 목탑은 적층식 구조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됨

일반적으로 1층의 기둥이 꼭대기까지 연결되어 있고, 가장 가운데 기둥인 심주가 가장 구조적으로 중요할 것이라 생각하기가 쉬움

하지만 한 층씩 끊어서 단단한 구조체를 만들고, 그것을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것이 더 안정적이라고 함

또한 심주는 맨 꼭대기 상륜만을 지지할 뿐, 그 외의 구조적 역할은 하지 않음


7cea9e36ebd518986abce8954484716c1c554e

여기에 창살과 문, 기와와 부연 등을 제거하면 위와 같은 모습이 됨

저 빽빽한 격자 위에 납작한 격자판을 올리고, 그 위에 윗층 기둥을 꽂아넣음으로써 다음 층이 만들어지게 됨


7ce59e36ebd518986abce8954388746f3179b8

해체하면 위와 같음

층의 바닥은 생략함

가장 아래 격자판 위로 기둥이 서 있고, 그 기둥이 다시 2개 격자판으로 연결됨

그 위로 공포가 올라가고, 빽빽한 격자판이 다시 한 번 층을 단단히 결속함

옆으로 빼놓은 커다란 판은 요즘 건물의 천장 마감재라 할 수 있는 개판으로 공포 위에 올라가 격자 구조를 가림


7ce49e36ebd518986abce8954482706f16a02f

원래 계획은 이 9층 목탑을 시작으로 중금당, 동, 서금당, 강당, 회랑, 종루, 경루, 중문까지 해서 황룡사 메인 가람을 만들어보는 것이었음

그런데 이 스튜디오라는 게 참 할 말은 많은데 진짜 사람 열받게 한 적이 많아서 실제로 할진 모르겠음




출처: 레고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00

고정닉 23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25082
썸네일
[디갤] 2024 오늘자 오네 슈퍼레이스 사진 모음
[53]
오들오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0871 27
225081
썸네일
[야갤] 환자 버린 전공의 대신 환자 지킨 참의사 사망..
[477]
ㅇㅇ(193.37) 04.21 40910 764
225079
썸네일
[카연] 소꿉친구가 듀라한이 돼서 나타난. manhwa
[302]
날걔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2671 231
225077
썸네일
[해갤] 아스날 vs 울버햄튼 골모음...gif
[56]
애슈버턴그로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8153 90
225076
썸네일
[코갤] 이준석 "尹지지층은 가정주부·무직…질적으로 안좋아"
[1597]
ㅇㅇ(61.85) 04.21 31702 526
225074
썸네일
[중갤] 한동훈 페이스북
[601]
자유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3992 905
22507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감성 쩌는 포켓몬 카드 일러스트.jpg
[152]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0651 135
225071
썸네일
[더갤] snl 박지원 ㅈㄴ 웃기네ㅋㅋ
[49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46545 565
225069
썸네일
[기갤] 강기영이 뽑은 이성에게 설렐 때
[9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6317 95
225066
썸네일
[키갤] 킹짱후 시즌2호 리드오프 홈런@@@@@.webp
[143]
김혜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5288 263
225064
썸네일
[세갤] 요이치 증류소 투어
[28]
77ㅏ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7168 19
22506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약물로 인해 뒤바뀐 미국 생태계..jpg
[343]
ㅇㅇ(61.82) 04.21 56538 566
225061
썸네일
[만갤] 싱글벙글 일본에서 잘팔리는 안드로이드 폰
[274]
ㅇㅇ(121.147) 04.21 38735 100
225059
썸네일
[기갤] 지온 밋업 D-8 기념 아크릴 레나 제작기
[68]
키붕이(183.105) 04.21 8925 80
22505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지도자들의 그림실력
[283]
ㅇㅇ(211.172) 04.21 23660 106
225056
썸네일
[카연] 한강에 사는 인어와 마주친 만화 -2-
[52]
리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1602 101
225054
썸네일
[싱갤] 의외로 작고 귀여운 전차.......jpg
[19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43695 119
225052
썸네일
[디갤] 스캔했으니 디지털인 교토 사진
[11]
「아이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7575 22
225049
썸네일
[일갤] ~북규슈 구석구석 투어~ 1화 : 북규슈 아님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5359 20
225047
썸네일
[싱갤] 싱기방기 우리나라의 연령별 범죄곡선
[5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44137 721
225046
썸네일
[자갤] ㅈ같은 교통위반 신고할 때 꿀팁..jpg
[1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9282 311
225042
썸네일
[싱갤] 내국인 / 외국인이 평가한 제주도 여행 (2023년)
[1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6289 24
225040
썸네일
[카연] 바다거북 탐정과 어느 모텔의 안전수칙 (완결편)
[45]
염승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0382 109
225038
썸네일
[유갤] 반전영화의 대가 M.나이트 샤말란..근황...jpg
[223]
ㅇㅇ(175.119) 04.21 28344 108
225036
썸네일
[싱갤] 늦둥이 낳고 입양한 엄마
[186]
모카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2778 176
225034
썸네일
[주갤] 오피셜) 한국, 저출산으로 이미 망했다.jpg
[272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79993 2134
22503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국에서 한 번쯤 가볼만하다는 곳
[405]
ㅇㅇ(58.127) 04.21 36212 132
225028
썸네일
[필갤] [나의여행지] 참가에 의의를 두는 샌프란시스코
[15]
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9769 16
225026
썸네일
[새갤] 미친놈들 전성시대, 재보궐로 당선된 영국 이슬람빠 “조지 갤러웨이”
[105]
천하람의햄버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8043 84
22502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조선시대 과거 시험 난이도
[1334]
ㅇㅇ(211.172) 04.21 64449 470
225022
썸네일
[해갤] 해병대 훈련소 특A급 아쎄이.......JPG
[219]
ㅇㅇ(223.39) 04.21 41006 368
225021
썸네일
[박갤] 일본 부동산 시장을 노린 한국기업
[1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4411 82
225018
썸네일
[싱갤] 기묘기묘 이상하게 생긴 저격총 (영화 자칼의 날 1973)
[8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5868 118
225017
썸네일
[중갤] 20세기 역사를 바꿔버린 책.jpg
[336]
ㅇㅇ(110.12) 04.20 40299 184
225015
썸네일
[기갤] 잘생겨서 여고 교생실습 거부 당했던 신현준 과거
[3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7488 341
225011
썸네일
[싱갤] 장문)트젠수술 하고싶다는 아빠
[413]
막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5398 52
225010
썸네일
[카연] 어릴때 결혼약속하는 만화 (채색버전).manhwa
[67]
윤등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1600 217
225006
썸네일
[부갤] 정보글) 대출 낀 영끌이가 망하는 구체적인 과정.jpg
[218]
ㅇㅇ(39.124) 04.20 38206 282
225005
썸네일
[유갤] 동양인이 백인을 절대 이길수 없는 이유...JPG
[1398]
환송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61257 654
22500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취두부 튀김 먹는 맛있는 녀석들.jpg
[186]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3941 95
225001
썸네일
[디갤]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62]
otoh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9229 38
225000
썸네일
[이갤] 중국이 중진국 함정 확정인 이유...jpg
[7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1892 464
224998
썸네일
[싱갤] 110년 전 남자들의 책임감과 기사도 정신...jpg
[532]
ㅇㅇ(115.92) 04.20 35111 115
224996
썸네일
[부갤] 한국은 이미 악순환이 시작됐다. 서울에 전부 다 있어서 출산율이 떨어지는
[810]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7145 220
224995
썸네일
[카연] 지방발령 히어로!!! 18
[20]
준한준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2270 50
224993
썸네일
[싱갤] 꼴릿꼴릿 본인작품을 리뷰하는 av배우 jpg
[202]
ㅇㅇ(211.235) 04.20 75600 141
224990
썸네일
[주갤] [블라] 국결하려는 알파남에게 발악하는 블줌마들.jpg
[800]
주갤러(211.220) 04.20 44860 1003
224988
썸네일
[유갤] 잘만든 아시아..MCU(마블)...슈퍼히어로....jpg
[154]
ㅇㅇ(175.119) 04.20 21749 53
224986
썸네일
[중갤] 총선결과 여소야대에 정신이 나가버린 전한길
[1008]
축리웹염탐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7453 1209
2249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본인 데뷔곡을 싫어했던 아이돌 밴드맨..jpg
[1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0994 3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