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세계화의 재구성: 세계화가 저물가 기조를 만들지는 않았다?앱에서 작성

낭만자산운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19 11:10:01
조회 11053 추천 46 댓글 58

23bcc322e4c375aa61b8d9f801d92d29eee0127860da25fa8d70a08cb42c58

2bb4d733f7d707f751f2e9e746837402005c7c68219a3f154dc8f621815c080c5d3aae6bb4daba6ace25bd55

세계화가 지금까지 물가안정기 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인식은 널리 퍼져있는 상황이다

1dafdf22f0d13db4518fc4bc15d41b14f09c410a112d42a389bab5e15832890d7f0d96731bcef0d1d65b14efd01280ed1f469d

왜냐하면 원자재를 비롯한 생산요소를 비교적 저렴한 다른 국가로부터 대체함으로써 물가에 하방압력을 미쳤다는 사실은 대단히 직관적인 사실이기 때문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5cfb1b4c2c403550c899b44ff12db87bf4e727e91139e0057c4

실제로 중국의 WTO 가입 이후 GVC(Global Value Chain)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왔고 대침체 이후 Slowbalization(세계화 정체) 국면으로 진입하긴 했지만 세계화의 영향력은 여전하다

2010년 이후 GVC 성장이 둔화하다 못해 하락하는 그래프를 올려두고 무슨 정체냐고 할수있을테지만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3decab6b3c6c4014e179a98d50b8476eb9044fcfdfa3609600fd78d9b91

위의 그래프가 단순히 무역 통계로만 집계해서 무역 통계로만 세계화의 정도를 측정하는 건 한계가 있기에(Grabner et al. 2018)

정량적 세계화 지수, 제도적 세계화 지수를 모두 포함한 KOF 세계화 지수를 보면 세계화는 감소하지 않고 정체됐다고 나타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5cfb6b6c4c403550c899b4d5f0e8052b5d037b04f683c6b5745fc

Auer 외의 연구에 따르면, 원자재나 노동력 등 국내외 생산요소 대체성의 증가는 GVC의 발전으로 설명된다

생산요소 대체성이 증가하게 되면 국내 경제여건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약해지고, 그 결과 저물가 기조가 형성됐다는 것이 이러한 인식을 뒷받침하는 사실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ab6b3c2c403550c899bfa74d9d1b827786d08b6b99b05ebf864

실제로 Bianchi&Civelli의 연구에서는 국내 유휴생산력에 따른 산출갭과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ab7b7c9c403550c899b354af23ebbd5a80e8216bc48a5e54729

글로벌갭 간의 관계를 비교해봤을때 (실업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필립스곡선이 평탄화돼 세계화가 저물가 기조에 기여했음을 보여줬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9b2b5c2c403550c899bef1c6ff773819823c482aa1ea701e333

Ahmad&Civelli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3b7c7c403550c899b68e6b322695d4b19cebc05d000e3731a

하지만 Milani의 연구에서는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이 '무시할만큼 작은 수준'으로 결론지었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ab4c3c403550c899b755a6f54387b0963af16c23258c135a0

Mikolajun&Lodge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은 원자재 가격에 대해서는 설명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대인플레이션에는 제한적인 설명력만 가졌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8bbb7c9c403550c899b65c06e08ef94e368d0c51580c7ffd9f2

데이터를 '02 Q1부터 '14 Q3까지 한정했을 경우 설명력은 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4ceb0b2c2c403550c899b77b059e3b07b71fef34024117cd0d966

Lodge&Pérez 외의 연구에서도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9b2b7c9c403550c899b297aefa291d17afa3d8b17abf5360caf

CPI 상승률을 변수로 했을 경우, Forbes의 연구에서는 GVC가 CPI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Core CPI에는 설명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9b6b6c8c403550c899b59938fbfb0c507993f20abcf177be7c0

Forbes의 다른 연구에서는 43개국의 1990년 Q1부터 2017 Q4까지의 인플레이션을 순환 요인과 추세 요인으로 분해하고 세계화가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을 다시 분석한 결과

순환 요인에서 세계화의 설명력은 유의했으나 추세 요인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기대인플레이션이 강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8b0b2c7c403550c899b6537fc1092827453d7a216bf98045d61

이같은 혼재된 연구결과들이 의미하는건 무엇일까?

다시 Lodge&Pérez의 연구로 돌아가서, 저자들은 재화의 추세 인플레이션과 서비스의 추세인플레이션을 나눠봤을때 세계화는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8b1b6c3c403550c899b9a9515ea7d74eb5300403499d17e95

재화의 추세 인플레이션에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으나 서비스의 추세 인플레이션에는 양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어째서 세계화가 서비스 추세 인플레이션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3deceb3b3c6c403550c899b5d3ac73eb26695d25bd71ca8219df356

한편 Eo 외의 연구에서는 '90s 이후 재화 추세 인플레이션은 0% 내외에서 좁게 변동하는 반면 서비스 추세 인플레이션은 3% 이상으로 형성돼있었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eb7b6c3c403550c899b86a6e3661a1addf756d1fb22c14a6a88

이로부터 추세 인플레이션을 설명하는 건 재화가 아닌 서비스 인플레이션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fb5b2c4c403550c899bd75c9682d3f620da7ee53f4e742d8b26

또한 Adbith 외의 연구에 따르면 Core Goods, 근원 재화 물가는 국외 경제여건과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b83d2d3cfbab6c0c403550c899b18eccdc0f8074038c48eaa573e06e3de

Core Services, 근원 서비스 물가는 국내 경제여건과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으로이 주요한 결정요인인것으로 분석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9a04483d2d7cbb4b6c3c403550c899b7df9750d70a0cabde84dd193e81e3c6f

마지막으로 Kamber&Wong의 연구는 선진국 및 신흥국 7개국, 21개국을 대상으로 추세 인플레이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대인플레이션이 추세 인플레이션의 지배적인 설명력을 가졌다는걸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갭이 필립스곡선 평탄화에 미친 영향을 제한적이거나 작은 수준으로 결론짓는 연구들도 통계적으로 음의 영향을 보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 세계화는 저물가기조에 기여한건 사실이다

하지만 세계화가 지배적인 요인은 아니었으며, 잘 고정된 기대인플레이션이 지배적인 요인이었다는게 이 글의 결론이다


출처: 나스닥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6

고정닉 19

1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38477
썸네일
[케갤] 2024년 케이팝갤러리 상반기 결산 이슈요약
[82]
리아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2704 77
23847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군첩들도 당황하게 한 해병.jpg
[530]
슨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0697 427
238474
썸네일
[리갤] 실시간 라이엇한테 쪽팔리게 박제당한 T1 근황.....
[580]
ㅇㅇ(45.14) 06.11 48989 1400
238473
썸네일
[새갤] 탈북 어민 강제북송 재판서 통일부 직원 “국가안보실이 주도”
[381]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4148 261
238471
썸네일
[싱갤] 착한 정치적 올바름...모음....jpg
[251]
ㅇㅇ(175.119) 06.11 25865 51
238470
썸네일
[걸갤] 어도어가 빌리프랩에 브랜드 침해라고 주장한 증거들
[1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9670 217
238469
썸네일
[야갤] 독일차는 왜 정비하기 어렵게 만들까?.jpg
[3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3135 69
238466
썸네일
[중갤] "애 낳을 거라고? 마취제 같이 쓰면 앞으로 '불법'임 ㅋㅋ"
[926]
시마시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30504 576
238465
썸네일
[이갤] 독일 집앞에 황동판이 있는 이유...jpg
[270]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0894 53
238463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나라를 위해 일생을 바친 개국공신의 최후
[413]
ㅇㅇ(115.41) 06.11 21545 117
238462
썸네일
[새갤] "액트지오 체납 실수, 계약 당시 몰라 죄송"…진화 나선 정부
[277]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2934 80
238460
썸네일
[야갤] 배우들이 키스신을 찍기 전에 준비하는 것들.jpg
[13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35264 56
238459
썸네일
[미갤] 6월 11일 시황
[41]
우졍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0669 32
238457
썸네일
[F갤] 8년전의 스페인 GP
[51]
막스퍼슈타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1452 90
23845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어릴때 제임스본드와 같이 일한 썰
[132]
ㅇㅇ(211.107) 06.11 26209 238
238451
썸네일
[카연] 달에 가기 위한 낭만과 세금 넘치는 뻘짓들 (재
[48]
비둘기덮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9706 49
238449
썸네일
[이갤] 대한민국 사회가 행복하지 않은 이유
[566]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9117 183
238445
썸네일
[야갤] 의외로 일뽕이 많은 국가...JPG
[510]
포흐애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3314 378
23844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손님들이 돈까스를 남기는 이유
[392]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39826 209
238441
썸네일
[이갤] [미제 사건] 일본 3대 실종사건 1편. 이시이 마이 실종사건.jpg
[4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1031 29
238439
썸네일
[디갤] 빛이 좋으니 바로 나가버려 1편 (12장)
[8]
carb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855 7
238437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범죄자가 말했던 것 중 가장 슬펐던것
[157]
언어장애있는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8915 65
238435
썸네일
[메갤] 사무라이 시대가 시작된 진짜 이유(1)
[25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4625 111
238433
썸네일
[야갤] 삼합회, 여배우 유가령 납치 폭행 사건
[279]
ㅇㅇ(45.84) 06.11 25831 172
238431
썸네일
[이갤] 비만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기
[526]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34174 206
2384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나만을 좋아하는 팬
[143]
담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1431 147
238427
썸네일
[이갤] 대한민국 축구 주장의 근황
[33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5457 526
238424
썸네일
[위갤] 위증리) 기원 증류소 투어(feat 차량 바사삭)
[72]
LiverArchi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3483 43
238422
썸네일
[야갤] 다른곳보다 메탄 배출 15배.. 온실 가스 줄줄 샌다는 이곳.jpg
[17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4079 84
238420
썸네일
[이갤] 길들여져있는 가공식품을 줄이는 방법
[290]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36978 61
23841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생각자체를 하면 안되는 이유
[509]
ㅇㅇ(117.111) 06.11 45501 91
238414
썸네일
[유갤] 최근 방송에 나온 한국 그림계의 거장이 될 것 같은 남학생
[433]
ㅇㅇ(185.114) 06.11 37171 293
2384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좆소고양이(좋았쓰!!) 만화모음9.manwha
[187]
까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2735 239
238410
썸네일
[야갤] 최대 규모 작전 펼친 이스라엘군, 가자 주민 수백명 희생.jpg
[43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4870 103
238408
썸네일
[야갤] "'골룸' 수준 탈모였는데..", 반가워할 소식 전해졌다.jpg
[2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36114 136
238404
썸네일
[야갤] 소분 힘들어도 "큰 거 주세요", 달라진 소비자들.jpg
[37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6781 189
23840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나치즘은 좌파사상.jpg
[1016]
ㅇㅇ(110.12) 06.10 28550 421
238400
썸네일
[이갤] 반박부터 하는 애들 특징..jpg
[8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7147 291
238398
썸네일
[군갤] 소련제 총검의 쓸모없는 기능
[83]
357Ma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1726 90
23839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게임 리뷰촌 - '아이작의 구속' 편
[66]
노무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5224 47
238394
썸네일
[야갤] 스압)18년만에 범인검거한 노원주부살인사건
[178]
야갤러(211.234) 06.10 19882 190
238392
썸네일
[야갤] 군인 사망...셀프 탄원서 제출함...jpg
[433]
ㅇㅇ(121.133) 06.10 40162 409
238390
썸네일
[야갤] "해외출장, 일단 예약해", 줄줄 새는 국민 세금.jpg
[2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6268 205
238388
썸네일
[카연] (ㅇㅎ) 기후재앙과 저출산을 걱정하는. manhwa
[89]
새만화금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9322 225
238386
썸네일
[싱갤] 일본에서 민폐짓 했던 어느 유튜버 근황
[2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57271 320
238382
썸네일
[이갤] 3명 죽이고 무기징역받은 한국의 연쇄살인범..JPG
[234]
leel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8068 162
238380
썸네일
[야갤] "이게 불법이 아니라고요?", 날벼락 맞은 개미들 '폭발'.jpg
[27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40840 141
238378
썸네일
[대갤] 日교원단체, 오사카 엑스포 초대 단호히 거절... 이유는 가스폭발
[15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8718 181
238376
썸네일
[메갤] 일본인에게 한중일 이미지에 대해서 질문했다
[5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5211 259
238374
썸네일
[싱갤] 고전고전 달리는 버스에서 짜장면 시켜먹기...jpg
[248]
빠요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5852 27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