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총선 끝나면 시작된다고 여러차례 말했다.앱에서 작성

DUP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12 10:45:02
조회 27540 추천 233 댓글 486

7fed8272b58669f73cef84e745856a2d57bbb3d0215dcd4b785cfe2b237c

7fed8272b58669f73cef84e147806a2ddbc8ddf31b847b1058d949a7d532

7fed8272b58669f73cef84e046846a2d48bf7a914ff191e3b255d99c8e49

7fed8272b58669f73cef84ec42876a2db54e78a6ca8ea2c46c6daa8c2211



모든 불쌍한 인간을 위해 기도하고 살아서 보자

- dc official App


왜 다들 침울해있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7cea8174bd806bf437ee98a518d6040320958e5debdc140c60


7cea8174bd806bf437ee87fb06df231d8b80ba14e977621cedb2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neostock&no=5096957




축제는 이제 시작인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총선 끝났으니 집값 오른다?…부동산 전문가들 '충고'


국회의원 선거 이후 부동산 시장 회복세가 이어질 지 관심이 쏠린다. 최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가격 반등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정책 불확실성도 제거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금리 변동, 공급 부족,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등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변수가 여전한 만큼 단기 바닥을 다지면서 박스권 내에서 가격 조정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전·월세 시장과 공급 축소에 따른 변동성 확대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서울 선도 단지는 회복세 ‘완연’

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첫째 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전보다 0.02% 오르며 2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간 하락한 것과 정반대 움직임이다. 지난주 서울 25개 자치구 중 18개 구가 상승세로 전환했다.

시장 반등의 선행지표로 쓰이는 거래량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824건으로 저점을 기록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1월 2568건, 2월 2471건을 기록한 뒤 지난달 2810건을 보이고 있다. 실거래 등록 기한이 한 달인 점을 고려하면 지난달 거래량이 3000건을 넘을 가능성이 높다.

서울 내 선도단지는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2차는 최근 전용 196㎡가 80억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9단지 전용 156㎡는 28억원, 성동구 성수동 장미아파트 전용 53㎡는 16억55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의 상승 랠리가 지속하고 있다. 서울 전세 가격지수는 87.5로 46주 연속 상승세다. 지난해 4월 8억원대였던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전용 84㎡ 전셋값은 최근엔 10억원 중반대까지 올랐다. 1년 새 20%가량 상승한 셈이다.

일부에선 서울 내 아파트 거래를 막았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도 나온다. 정부의 시장 규제 완화 방침에 맞춰 서울시가 실효성 검토에 나선 상태다. 선거 불확실성이 사리진 만큼 규제 완화가 본격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전셋값도 올해 서울 입주 물량 감소 속에 상승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전세 시장·금리·공급 절벽이 ‘변수’

전문가들은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한 회복세는 정책 변수보다 시장의 영향이 크다고 설명한다. 당분간은 급격한 등락보단 박스권 속에서 조정이 있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지금은 매물이 많아 소화 과정을 거치는 중”이라면서도 “향후 금리 변동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요동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도 “거래량이 아직 평년에 미치지 못하고 시장 추세가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보긴 이르다”고 했다.

총선 이후 야당의 정책 반영으로 장기적으로 전세시장과 매매시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총선에서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유지 공약을 내세운 야당이 승리하면서 과거와 같은 전세시장 불안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 세제 역시 다주택자 규제 완화를 앞세운 여당과 달리 월세 중심 세제 지원을 강조한 야당 정책이 힘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전세시장이 더 위축되면 공급 축소로 전세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부족한 주택 공급도 시장 회복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민간 중심으로 공급 확대에 방점을 둔 정부·여당의 주택 공급 대책이 법 개정 지연으로 막히게 되면 2~3년 후 주택공급 절벽이 현실화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 분양보다 기본주택(임대주택) 100만가구 공급을 강조한 야권의 기조에 따라 향후 분양주택 공급이 줄어들 가능성이 더 커졌다”며 “시장 침체와 맞물려 2~3년 뒤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매매가격 급등 가능성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압승에 '부동산 규제완화' 좌초 위기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04df1d1d7c8bbb6c3c4044f1790936d1bc9e53203d9e2ee9a58ebd20194b0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04df1d1d7c8bab6c6c4044f179093208c710b5ede979d9189e12d3d491f328b




다주택자 갭투기 십새끼들 멸망 ㅅㅅㅅㅅㅅㅅㅅ

내년에도 세금 폭탄 ㅅㅅㅅㅅㅅㅅㅅㅅㅅㅅ


“각주만 규제완화 이어지나”…250만호 주택 공급도 초비상


[헤럴드경제=서영상·박자연·박로명 기자] 22대 총선이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나면서 부동산시장에 미칠 파장도 주목받고 있다. 야당이 큰 의석수 차이로 이기긴 했지만, 현 의석수에서 큰 변화가 없는 만큼 시장의 흐름을 급변하게 할 큰 파급력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지난 2년 동안 정부가 적극적으로 규제완화 기조를 이어오긴 했지만, 의회의 벽에 막혀 이렇다할 성과를 보이지 못해왔던 만큼,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같은 정책 흐름이 이어지며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면서 규제 완화 입법 작업이 지연되며 중장기적으로 250만호의 주택 공급에 일정 부분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그동안 부동산 시장 논리가 국회 이슈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경향은 많지 않았었다”면서 “오히려 현 시점에서는 금리 등 시장논리가 더욱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여당이 부동산 규제를 입법과정을 통해 풀어야 하는데 총선에 패배한 상황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소야대’ 상황이 이어지는 만큼 현 정부가 꾸준히 추진해온 세제개편과 임대사업자 활성화 제도는 당분간 어려워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다주택자 취득세 인하, 종부세 폐지 등 세제개편안은 국회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현재와 같은 여소야대 상황에서는 실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는 1·10 부동산 대책에서 지방의 준공후 미분양 주택 대책으로 임대주택을 활용하면 원시취득(신축건물) 취득세 최대 50%까지 감면하고 구입시 1가구 1주택 적용을 내놨지만 법 개정사항이라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를 유예하고 공시지가를 낮춰 보유세 부담을 낮추는 것처럼 규제 완화 작업에서 시행령 등 ‘각주’만을 손대야 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 정책에 제동이 걸리며 최근 그나마 살아나는 주택 시장에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까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윤 연구원은 “기둥뿌리는 못 건드리고 나뭇가지만 건드리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면서 “최근 살아나는 부동산 시장이 상승 탄력을 받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에서 주장해온 250만호 주택공급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등을 통해 주택 공급을 유도하고 있는 만큼, 정비사업의 규제 완화가 막힐 경우 주택 공급에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원자재가 급등에 따른 사업성 악화로 정비사업이 올스톱 위기까지 처해 있어 전문가들은 민간 개발 사업자들의 활성화를 위한 여야의 특단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를 사실상 손놓고 있다”면서 “도시개발사업 민간 사업이 다시 한 번 주택 공급 주체로 돌아오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시장에서 지금 가장 큰 문제가 공급 부족”이라면서 “3기 신도시 공급물량도 대폭 확대해 35만호 수준에서 60만호 수준으로 늘려 공공주택 등으로 공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천 부동산 상승 전환 ㅎㄷㄷㄷㄷ


7ced8076b5826ef03beb98bf06d6040396b6a8b579e4be5bf6

7ced8076b5826ef237ee98bf06d604031cc463c62deaf2a491

7ced8076b5826ef536eb98bf06d604030381c11f10dda5c0cee5

7ced8076b5826ef03cee98bf06d60403db680ae2004f4c9fcf38

7ced8076b5826ef33bea98bf06d604035b6599d66c50058219

7ced8076b5826ef33dec98bf06d604030c8b0934a0ecc0fb16

7ced8076b5826ef03cef98bf06d60403e23a5b302e3191e60f

7ced8076b5826ef33fef98bf06d60403e964156ece75fb2ae4

7ced8076b5826ef53be998bf06d60403b9228b506e1b9e01d3

7ced8076b5826ef33de698bf06d60403940f676fa619b48bc5

7ced8076b5826ef23aec98bf06d604035f3c5f0dccec744a87b0

7ced8076b5826ef33de998bf06d60403ad008c9530dfe10edd

7ced8076b5826ef03fe698bf06d604035efffb4ae9763a69bf73















지난주 송도 실거래 수준


ㅎㄷㄷㄷㄷ 미친


아 송도는 인천 아닌가?


부자감세 ㄷㄷㄷ


0490f719bd806cf220b5c6b011f11a39f6f21b013d5fc36046

ㄷㄷ




출처: 주식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33

고정닉 46

3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26082
썸네일
[헬갤] 가수 김종국의 3박 4일 미국 여행 브이로그.jpg
[104]
헬갤러(185.114) 04.24 23789 90
226080
썸네일
[싱갤] 뉴욕 맨해튼에서 자차로 출퇴근하면 벌어지는일.jpg
[144]
ㅇㅇ(121.167) 04.24 39530 190
226078
썸네일
[기갤] 이종섭 황상무 때 얼마나 난리였냐면 (한동훈
[1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8886 220
226072
썸네일
[이갤] 요즘 수요가 많다는 1인용 캠핑카
[310]
제주도조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8134 67
2260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sm흑역사
[81]
ㅇㅇ(210.90) 04.24 33467 159
226062
썸네일
[기갤] 여행 싫어하는 신혜선
[172]
긷갤러(211.234) 04.24 28968 87
226060
썸네일
[기음] 호주의 국민 간식 클라쓰
[165]
ㅇㅇ(85.203) 04.24 34219 120
226055
썸네일
[공갤] 스압) 국제파 조직 <파타야 살인사건>
[106]
ㅇㅇ(175.119) 04.24 19403 262
226047
썸네일
[필갤] [나의여행지] 대만 가오슝
[19]
쿠쿠르비타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6501 18
226043
썸네일
[갤갤] 사이버펑크2077 안드로이드 구동 영상
[110]
110.1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0177 88
22603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시상식에서 일침날리는 코미디언ㄷㄷㄷ
[170]
ㅇㅇ(211.58) 04.24 39451 435
226036
썸네일
[식갤] 솔직히 우리 집에 갤주가 온 적이 있다
[54]
맥시멀리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7169 80
226032
썸네일
[이갤] 2년 동안 씹힌 요청을 1시간 만에 들어주게 한 방법..jpg
[6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4277 245
226030
썸네일
[싱갤] 문신 지우기로 결심한 사람
[373]
직무매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57385 331
226028
썸네일
[미갤] 지브리 여캐 순위.....jpg
[197]
금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7368 100
226026
썸네일
[주갤] 일본아내가 남편 사랑하는 이유 feat.동탄한녀
[278]
ㅇㅇ(61.75) 04.24 50690 467
226024
썸네일
[야갤] 하이브, 프로젝트 1945 발견...민희진 독립 해석 ㄹㅇ...jpg
[327]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2406 185
226022
썸네일
[기갤] 다 같이 여행 가서 구하라 생각하는 카라 멤버들
[166]
긷갤러(146.70) 04.24 22717 83
226020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조선시대 전공에 눈이 멀어 중국인 수백명을 학살한 조선군 장교.
[307]
조센왕조실록(210.95) 04.24 36352 238
226018
썸네일
[중갤] 솔로지옥에 러브콜 보냈는데 거절당한 곽튜브..jpg
[20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5843 303
226014
썸네일
[부갤] 대한민국 경제가 망하고 사람들이 금융문맹인 이유
[241]
부갤러(125.133) 04.24 40455 234
226012
썸네일
[여갤] 민희진의 어도어 탈취 시나리오 정리
[493]
ㅇㅇ(175.198) 04.24 39920 559
2260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과 많이 다른 미국 PC방
[239]
ㅇㅇ(115.140) 04.24 41748 205
226008
썸네일
[U갤] 복싱 무패 챔피언 크로포드: 레슬러>복서인 이유
[224]
ㅇㅇ(1.216) 04.24 15871 145
226006
썸네일
[히갤] 데이터) 마블의 새출발<어벤져스:엔드게임>5주년..gif
[124]
ㅇㅇ(175.119) 04.24 18327 31
226004
썸네일
[야갤] PC방에서 100시간동안 살아본 유튜버
[552]
야갤러(45.84) 04.24 51148 212
22600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공개된 뉴진스 정산금액
[6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65259 269
226000
썸네일
[비갤] 려시) 살찐 뚱뚱한 사람들이 살 못빼겠다는 이해가 안되네
[671]
ㅇㅇ(121.190) 04.24 40816 400
225999
썸네일
[미갤] 사회생활 만렙찍은 이승우.jpg
[24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3546 346
225997
썸네일
[싱갤] 어지간히도 할 짓이 없는 수학자들.jpg
[340]
Ad_Astr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44313 310
225994
썸네일
[교갤] 내년 공무원연금 적자, 세금 10조 투입해 메운다.
[678]
교갤러(211.36) 04.24 28369 339
225993
썸네일
[카연] 트라팔가르 해전 만화 - 3.5화 특별편 (전열함 해부)
[31]
쿵박쿵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6554 68
225991
썸네일
[자갤] 내 차에 위치추적기가 달려있다.jpg
[162]
차갤러(185.239) 04.24 25961 174
225990
썸네일
[오갤] 또 또 희귀템, 포르쉐와 베네수엘라
[86]
샤오바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2606 53
225988
썸네일
[싱갤] 충남학생인권조례 폐지 확정
[466]
고추안서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8094 192
225987
썸네일
[컴갤] 모니터 살때마다 이상하다 생각하는 것 중 하나
[371]
ㅇㅇ(45.128) 04.24 39416 387
225985
썸네일
[일갤] 이번 도쿄 여행 갔다온 사진들
[54]
ExTr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8135 45
225984
썸네일
[기갤] 새로 시작한 예능 첫 게스트로 이광수 나와서 행복한 유재석
[211]
긷갤러(81.17) 04.24 22739 52
22598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연애 튜토리얼.manhwa
[17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6102 141
225981
썸네일
[이갤] 죽어라 운동해도 살이 안빠졌던 이유.jpg
[9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54339 447
225977
썸네일
[근갤] 하반기에 뭐 터지나본디
[313]
주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41418 169
225975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트럼프가 코로나로 미국을 좆망시킨 과정.jpg
[59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5218 211
225974
썸네일
[기갤] 신동엽 "인성이 쓰레기 같은 사람은 언젠가는 다 걸린다"
[433]
ㅇㅇ(106.101) 04.24 37086 277
225972
썸네일
[블갤] 자애의 괴도, 아키라의 지팡이 총을 만들어보자
[70]
DBshotg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0160 80
225971
썸네일
[중갤] 김흥국 “목숨 걸어도..국힘, 총선뒤 감사 연락 한 통 없었다” 토로
[396]
시사이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3418 294
22596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성인페스티벌 6월 개최확정
[66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5132 680
225966
썸네일
[무갤] 나거한 2023년 경제성적
[542]
조선인의안락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0730 192
225965
썸네일
[로갤] [2023 / 자전거 일본일주] 5 - 일본 최동단 네무로 도착
[12]
탕수육부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050 18
225963
썸네일
[싱갤] 황당황당 선생 결혼식에 뷔페음식 먹을려고 초대하지도 않은 15명 제자들
[728]
캐논변주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31918 241
225960
썸네일
[주갤] "길이 80cm 애완 코브라 가출" 김제시 엄마들 불안 호소
[378]
주갤러(139.28) 04.24 27934 1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