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주의 시계 칼럼 #4- 시계로 보는 한국의 소비, 명품, 보여주기 문화

모주에서부곡하와이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17 13:50:01
조회 6950 추천 59 댓글 57



나는 오토마타 갤러리 시작하기전 레딧의 시계 서브래딧에서 활동했다.

오토마타 갤러리로 이전해오면서 여러가지 느낀점이 있지만 (오토마타 갤이 더 재밌다 ㅋㅋ), 그중 가장 눈에 띄었던 것은

한국 시계 문화는 대체로 명품 시계, 특히 롤렉스, 를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것이였다.

그리고, 물론 레딧에도 이런 풍조는 있지만, 오토마타 갤러리는 특히 "그돈씨", "급", 인지도, "ㅇㅇ 인데 ㅇㅇ 차도 되나요", "연봉/직장/등등 ㅇㅇ 인데 ㅇㅇ 차도 됨?" 등등의 글이 많이 올라온다는 것 이였다.


서구,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레딧의 세이코, 카시오 찬양과는 사뭇 분위기가 달랐던 것이다.

특히 카시오는 God-Tier (신계) 라는 찬양을 받으며 카시오 중심의 컬렉션도 많고, 세이코 등 중저가 시계 소비, 개시글이 많았다.


또한 오토마타 갤러리에서 흔히 "롤렉스는 너무 흔하다", 혹은 직장동료, 친구, 아는선배 들이 어떤 시계를 차고 있더라~ 라는 글이 많이 보인다. 

허나 미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나는 명품시계를 본적이 단 두번 뿐이다. 

디렉터 급, 정부쪽에서도 경력이 20~30년이 됬던 매니저의 태그 호이어 링크.

파일럿 출신 동료의 문워치.


명품시계를 찾아보기 힘든 환경에 있는 나는, 한국의 예물 이라는 문화로 명품시계는 "하나쯤"은 있다/있어야 한다 라는 풍조에도 놀랐다.


이러한 차이를 체감해 가던 나는 궁금증이 생겼다.

과연 한국은 정말 명품 시계를 많이 소비할까? 정말 그게 흔할까? 그 이유는 무었일까?


#1장 - 명품 소비 지출 1위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 명품 소비는 1위" 라는 말을 뉴스를 보거나, 인터넷을 하며 들어봤을 것 이다.

특히 명품 가방, 오픈런, 리셀 문화를 비난하며 자주 보이는 이야기다.



2188d777b3856bfe3fe784e14486776f4841d80be290c8e73c2b4bf79903ea6cd399c78f




실제로 대한민국은 인당 연간 명품 소비 금액은 시계 1위이다.

세계 제 1 의 경제 대국인 미국을 약 16% 앞지르는 금액이다.


또한 통계에 따르면 한국 명품 시장은 세계에서 7위 규모이다.



0ebcc032f0c03de864afd19528d5270373d8abf38b98

이 통계에 따르면 명품 시계 시장만 따로 봤을때도 세계 9위 이다.


GDP 로 보면 경제규모가 13~15위권 하는 대한민국의 경제 규모에 비하면 상당히 큰 규모이다


그렇다면 인당 GDP (GDP per Capita) 로 보았을때 한국은 미국에 비하여 어느정도를 명품에 소비하는 것일까?


한국의 인당 GDP는 약 $32,000 이다. 그 말은, 한국인은 평군적으로 연간 소득의 1.0 %를 명품소비에 할애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건 단순 계산을 위한것이므로, 실제 평균 소득과, 근로자 기준으로 하면 다를것이다. 아마 퍼센트가 더 올라가지 않을까?)


미국은 인당 GDP는 약 $76,000. 미국인은 소득의 0.37 % 를 명품에 쓴다는 것이다.


이 단순 계산에 따르면 한국인은 미국인과 비교했을때 소득기준, 약 2.7배 더 명품을 소비한다는 것이다.


이 수치들을 보면서 체감하던 한국 시계 시장은 명품 중심이다, 혹은 한국에는 체감상 고가의 시계가 많다 라는게 어느정도 증명된거 같았다.


#2장 - 롤렉스 열풍, 한국만의 일 일까?


월말, 월초가 되면 롤렉스 구입도 아닌 매장 방문 예약 관련 글로 오토마타 갤이 마비가 된다.


그때마다 "롤렉스 물량 조절 하는거 꼴 보기 싫다", "시계 사줄려고 이 짓까지 해야되나" 등등 롤렉스를 비난 하는 글이 많다.


그 불만에 어느정도 동의 하는 바도 있지만, 롤렉스가 가격 올리려고 물량조절 한다 는 절대 사실이 아니다.

(최근에 롤렉스가 중고 시장에 직접 들어가기는 했지만) 많은 옽붕이들이 착각하는 사실은, 리셀가격이 오른다고 롤렉스에게 금전적으로 이득이 가는것은 없다.

인기모델은 인기 유지를 위하여 수량 조절을 하는건 사실이지만, 이 상황에 가장 큰 이유는 롤렉스를 원하는 수요가 공급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것이다.


실제로 롤렉스는 새로운 공장을 짓는듯 이 상황을 타개하려 노력하고 있고, 이 상황을 마냥 좋게 바라보지는 않을것이다.

(주제에 벗어나는 이야기 임으로 요약하자면, 통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명품시계 소비자들은 재구매 하는 소비자들이 아닌, 인생에 단 한번만 구매하는 소비자 이며, 롤렉스를 구매하지 못하였을 경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오메가 등 다른 브랜드의 시계를 선택한다. 물론 글로벌 통계임으로 한국 시장과는 추세가 다를수 있다. 그래서 롤렉스는 이 많은 구매자를 놓지고 있으며, 무례한 딜러 등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이 가고 있는것을 인지하고 있을것이다)


롤렉스는 혼자 스위스 시계 시장을 매출기준으로 30%를 점유하고 있으며, 2023 년에만 약 124만개의 시계를 판매하였다.

롤렉스보다 더 많은 시계를 판매한 스위스 브랜드는 더 저가의 대중브랜드인 론진, 스와치, 티쏘 뿐이며, 롤렉스의 판매량은 오메가와 까르띠에 판매량을 합친것과 비슷하다.


이렇듯 롤렉스 열풍과 품귀현상은 한국만의 일은 아니다.


그런데 한국 이외의 나라들도 이런 예약 경쟁, 오픈런이 있을까?


적어도 현재 내가 거주하는 미국에는 그런 일이 없다. 예약을 하던 말던 그냥 롤렉스 매장에 들어갈수도 있고, 매장별 기준은 다르지만 어느정도의 대기명단에 이름도 올릴수 있다.

서유럽 상황도 비슷하다는 얘기를 들었다. 몇몇 비인기 모델은 그냥 매장에 들어가서 살수 있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그렇다면 한국의 상황은 왜 그런것일까?

나는 1장의 한국인의 높은 명품 소비와 경제규모 차이가 합쳐져서 일어난 일이라 생각한다.


한국과 미국의 경제 규모차이는 약 20~25배 이다. 인구차이 (약 6배)를 생각한다 해도 큰 규모 차이이다.

나는 미국에서 대도시도 아닌 약 20위권 수준의 도시에 거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권에 롤렉스 매장이 4개가 있다. (대도시인 LA 같은 경우는 도시권에만 18개, 캘리포니아 주에만 32개).

이 수는 대한민국 제 2의 도시라 불리는 부산의 2개 의 두배나 되는 숫자 인 것이다.



3fb2dc23fd9c32b6699fe8b115ef046994a3a015

(사진: 미국 전역의 롤렉스 매장 수)


엄청난 경제 규모차이로 매장과 소비시장 자체는 크지만, 오히려 한국보다 인당 지출량이 적은 미국, 유럽쪽은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 할것이다.

앞서 말했듯 한국은 13위권 경재규모의 시장에서 30권의 소득으로 유럽, 미국과 비교했을때 비교적 작은 시장에서, 미국과 소득대비 2.7배의 지출을 하며 모이니 그 경쟁과 쏠림이 클수밖에 없다.


결론을 말하면 롤렉스 인기와 품귀현상은 세계적이나, 한국은 경제규모 대비 훨씬 높은 수요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때 롤렉스 경쟁, 쏠림 이 더 심한것이다.


#3장 - 이 명품시장의 과열의 이유는 무엇 일까?


흔히 "대한민국은 비교, 보여주기 문화가 강하다" 라는 말을 한다.

대한민국 전반에 쌓인 그 문화의 이유와 영향을 파해지기 보다는 (그럴 능력도 안되고, 괜히 싸움날거 같고..) 이게 시계시장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한국만의 일인지를 알아보겠다.


얼마전 국가별 소비 성향 관련 통계를 본적이 있다 (아쉽게도 그 통계를 다시 찾지 못함...)


그 통계는 소비자들이 소비를 할때 "브랜드", "품질", "가격" 셋중 무엇을 더 중요시 하는가를 국가별로 정리한 통계였다.


통계에서는 신흥국 (중국, 아람에미레이트, 등) 으로 갈수록 품질, 가격 보다는 "브랜드"를 더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고 하였다.

이미 선진국에 든 경우 점점 품질, 가격 등을 더 우선하기 시작하였고.


그래서 나는 한국의 "명품 집착" 은 한국만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중국은 워낙 많은 인구로 통계상 유의미 하게 인당 소비량이 잡히지 않을뿐 중국 명품 소비도 다들 알다싶이 알아준다.

한국도 신흥국중 엄청난 속도로 빠르게 선진국에 진입한 만큼, 아직까지 브랜드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른 신흥국처럼 높을 뿐이다. (물론 정도 차이는 있지만)

또한 지난 몇년사이 가성비, 가심비 등등 새로운 소비트랜드가 떠오른 만큼 대한민국의 소비성향은 과도기에 있는것이 아닌가 싶다.


빠른 성장으로 브랜드에 우선순위가 높지만,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만큼 품질, 가격의 우선순위가 오르기 시작하여 공존하는 과도기.


한국의 장단점으로 여겨졌던 많은 소비 문화가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많이 사라지고 있듯, 곧 이런 문화도 변화하지 않을까?

(예를 들면, 배달 문화 와 브레이크 타임 없이 밤 늦게까지 영업하는 식당. 한국은 다른나라들과 다르게 어디에서는 수많은 배달음식을 공짜로 시켜먹을수 있었고, 모든 식당을 브레이크 타임 없이 밤 늦게 언제든 갈수 있었다. 하지만 인건비 상승과 여러 요인으로, 이런 소비 형태가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다.)


그리고 변화하는 시계 소비 트랜드로 중고 시계 시장이 있다.


이미 일본, 북미, 유럽은 많은 플래폼과 존제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중고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한국 시장, 시계 시장이 규모가 작을 때에는 대인 거래가 주류 였지만, 규모가 커지고 개인거래의 단점이 부각되고 사례가 많아지자, 한국도 점점 중고시장에 들어가는 업체가 생기고 플래폼화 되려는 움직임이 많다. 


이렇게 시계 시장이 변화하듯 명품시계에 과열되있난 한국의 시계 문화도 변화하지 않을까~ 라고 짐작해본다.


#4장 - 중고 시계, 중고차 딜러


한국은 유난히 중고시장을 외면 하고 새제품을 사려 하는 경향이 있는거 같다.

이 풍조는 시계시장에도 나타나는것 같다. (시계 시장은 물론 가짜, 사기 위험이 있다는 특수성이 있지만)


이 이유는 나도 생각해봐도 잘 모르겠으니, 한국사는 옽붕이들이 대답해주길 바란다. 


내가 예측하기로는 한국은 식민지배, 전쟁을 겪은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발전을 했다.

그래서 아마 부모님 세대, 몇년전 의 것, 들은 낡고, 안좋은 것이라는 인식이 국가 전반에 퍼진게 아닐까?

아마 한국 아파트 선호와도 연관이 있는거 같다.

주택 하면 옛날에 지어진 낡은 집, 아파트는 개발되고 새로 지은 좋은집 같이 빠른 발전과 번영을 누리며 자연스럽게 "새로운것은 좋은것" 이라는 인식이 생긴게 아닐까?


(사족: 천천히 발전하고 선진국 반열에 든지 오래된 국가는 오래된것도 오래된것만의 가치가 있다고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은거 같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옛날 음악, 옛날 밴드 음악을 좋아하는 마니아들도 많고, 그것을 듣는다고 이상하게 보지 않지만, 불과 몇년전만해도 한국은 "최신가요 모르면 뒤쳐진 사람" 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젊은 사람이 김건모, 조용필 음악을 들으면 이상한 사람을 취급하고.

허나 요즘 이또한 바뀌는 추세인거 같다. 발전한지 오래된 나라에 진입하고 있는 한국의 변화중 하나 인거 같다)


한국에서는 "중고차는 사면 안되는것" 혹은 "소개팅 남이 벤츠 타고 왔는데 중고라서 실망했어요" 같이 중고차는 안좋은것. 이왕이면 피해야 하는것 같은 인식이 있다.

미국에서는 차를 사면 대부분이 중고차를 생각한다.

오히려 신차를 사는 사람들을 경제감각이 없는 사람 취급하기도 한다. "사자마자 감가 얻어 맞는데 왜 새차 삼?" (이 말은 옽갤에서도 많이 보인다 ㅋㅋ)

보통 3~5년 되서 급격한 감가를 이미 맞은 새차 같은 중고차 사는 사람이 엄청 많다. 


중고차 기피 현상과 비슷하게 한국은 중고시계 기피현상도 큰거 같다.


특히 중고차 딜러 와 롤렉스 라는 꽤 재미있는 인식도 있어서 신기하다.




마치며...


(여기까지 읽었다면) 긴글 읽어줘서 고맙고 의견, 생각 있으면 댓글 부탁함!

여러 의견듣고 재밌게 대화했으면 함!



출처: 오토마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59

고정닉 21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18397
썸네일
[주갤] 의외로 한국보다 더 심한 나거한인 국가
[622]
주갤러(37.19) 03.26 44247 312
218394
썸네일
[싱갤] 90년대 한국 군인들 얼굴....JPG
[65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44001 239
218390
썸네일
[기갤] 개인 유튜브 채널 개설한 배우 안재현 근황
[309]
긷갤러(146.70) 03.26 46667 107
218388
썸네일
[노갤] 당근나라 노트북판놈인데 나한테 뭘바라는거임?
[309]
ㅇㅇ(211.36) 03.26 37720 462
218386
썸네일
[K갤] 찬호신 광주 관중 잘알 ㅋㅋㅋㅋㅋ
[105]
갸갤러(175.223) 03.26 19284 104
218384
썸네일
[중갤] 찢재명이 ㅈㅇㄴ인 이유 가르쳐 준다 좌좀들아
[1064]
데미안말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32056 318
218382
썸네일
[싱갤] 우주에 나가게되면 우리 인간이 겪는 고통증상들
[262]
ㅇㅇ(61.37) 03.26 32204 115
218380
썸네일
[상갤] 닥터후 레전드 작가 모팻 근황.jpg
[124]
ㅇㅇ(112.167) 03.26 24781 142
218378
썸네일
[철갤] 1호선 앞으로 미친듯이 지연될 예정(블라펌)
[475]
철갤러(195.146) 03.26 37170 287
21837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남자는 첫사랑을 잊지 못한다
[504]
ㅇㅇ(221.143) 03.26 60960 763
218374
썸네일
[헬갤] 아이 낳고 후회하면서 문신 지우는 중인 헬스 유튜버.jpg
[569]
헬갤러(85.203) 03.26 57902 620
218370
썸네일
[디갤] 일본여행 사진 (+제주도 조금)
[49]
코드가넘길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7162 31
218368
썸네일
[중갤] 변희재가 생각하는 "펨코가 소나무당에 관심있는 이유"
[331]
련근볶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0699 316
21836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서방이 중국을 죽이고 난뒤 그 결과..jpg
[540]
휘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36134 145
218364
썸네일
[이갤] 아프리카 한류 팬들 사이에서 소소하게 논란이라는 것
[357]
슈붕이(185.191) 03.26 34206 94
218362
썸네일
[카연] 고로시 당하는 솜브라.manhwa
[96]
레순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8905 189
218360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뺑소니 가해자의 실체
[499]
ㅇㅇㅇ(1.239) 03.26 45929 704
218358
썸네일
[무갤] 설상가상 상황 벌어질 수도...'4월 경계령' 확산
[254]
ㅇㅇ(118.43) 03.26 32333 149
218356
썸네일
[대갤] 中, 역겨운 출근 복장 대유행! NYT도 주목한 이유는?
[258]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30949 245
218354
썸네일
[싱갤] 얼탱얼탱 KF-21 미납분담금 1조원 납부 34년까지 미루려는 인도네시아
[404]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4090 207
218352
썸네일
[결갤] 조리원에 있는 와이프 때문에 힘들다.blind
[566]
ㅇㅇ(104.166) 03.26 37020 127
218350
썸네일
[공갤] “수치스러워 못 버티겠다”… 극단적 선택한 늦깎이 신입 공무원
[900]
공갤러(185.112) 03.26 48965 393
21834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전세계에 두 개밖에 없는것
[3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49818 354
218344
썸네일
[기갤] 20대 여성 공사현장 소장
[5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48607 251
218342
썸네일
[국갤] 국힘 "단통법 폐지-청년요금제 도입" (데이터2배 제공)
[588]
헬기탄재매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1431 614
21833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짱구엄마아빠가 식중독에 걸린 이유
[1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30746 254
218336
썸네일
[인갤] 좀비와 게임의 역사를 알아보자
[55]
HighFlyingBird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16238 98
218334
썸네일
[국갤] 중국 "BTS, 블랙핑크보다 이재명이 좋아"
[774]
ㅇㅇ(118.107) 03.26 30827 1227
218332
썸네일
[카연] 호랑이야기 -1부-
[45]
지존박실짱짱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10893 172
218330
썸네일
[리갤] 피지컬로 게임했다고 발끈하는 중년 게이머
[712]
롤갤러(137.184) 03.26 41620 428
21832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에 남아있는 일식 가옥
[196]
따아아아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3823 130
218324
썸네일
[바갤] 퇴사하고 떠나는 힐링 일본 여행기 2 (히로시마 ~ 마쓰야마)
[26]
포YO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6834 21
218322
썸네일
[유갤] 악마 소재 영화가 미국에서 낸 신박한 기록
[86]
호텔선인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3964 65
218320
썸네일
[야갤] 가격올려도 자영업자들 뒈지는 중 ㅋㅋㅋ
[871]
ㅇㅇ(106.101) 03.26 53544 834
218318
썸네일
[싱갤] 유전유전 자식은 부모닮은 배우자를 택한다?
[265]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33577 257
218316
썸네일
[나갤] 어떻게 중앙은행은 흔들리는가
[94]
낭만자산운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18172 82
2183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해외에서 영화로 만들어진 한국의 사건
[169]
전동메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8704 259
218310
썸네일
[야갤] 시어머니와 함께 김치를 담그는 튀르키예(터키) 며느리
[181]
야갤러(106.101) 03.26 16489 246
218309
썸네일
[중갤] 게임업계 긁 레전드...JPG
[352]
헤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44390 293
218307
썸네일
[나갤] [속보] 미국 볼티모어에서 다리 붕괴
[552]
SabreGD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32750 178
21830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메탈3에서 죽는 장면들
[149]
앨리스피즈페이타르베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41623 249
218303
썸네일
[주갤] (유튜브같이보자)미성년자 범죄 면책권 부여하는 대한민국
[223]
주갤러(172.226) 03.26 19622 212
218301
썸네일
[기갤] 돌 전 아기 때린 아빠
[425]
긷갤러(84.17) 03.26 25772 45
218300
썸네일
[판갤] 냉혹한 알리, 딸기도 750g에 천원..국내 플랫폼..기겁의 세계.jpg
[723]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32919 214
218298
썸네일
[한화] 야구부장피셜] 2024시즌 순위예측 (점점확율올라간다 함)
[80]
칰갤러(211.234) 03.26 12137 24
218297
썸네일
[싱갤] 념글간 오타니 기사는 선동이다.jpg
[244]
ㅇㅇ(58.230) 03.26 24075 194
218295
썸네일
[해갤] 카일리 제너가 쏘아올린 ‘미국 팁 문화 근황‘
[309]
해갤러(192.241) 03.26 36651 486
218294
썸네일
[도갤] 한국 건축의 문제점
[446]
도미갤러(121.134) 03.26 28850 466
21829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진화론의 증거, 되돌이 후두신경..jpg
[620]
ㅇㅇ(61.82) 03.26 31671 310
218291
썸네일
[주갤] 와이프에게 차사주고 싸웠습니다.blind
[1083]
주갤러(146.70) 03.26 36584 18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