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주의 시계 칼럼 #4- 시계로 보는 한국의 소비, 명품, 보여주기 문화

모주에서부곡하와이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17 13:50:01
조회 6969 추천 59 댓글 57



나는 오토마타 갤러리 시작하기전 레딧의 시계 서브래딧에서 활동했다.

오토마타 갤러리로 이전해오면서 여러가지 느낀점이 있지만 (오토마타 갤이 더 재밌다 ㅋㅋ), 그중 가장 눈에 띄었던 것은

한국 시계 문화는 대체로 명품 시계, 특히 롤렉스, 를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것이였다.

그리고, 물론 레딧에도 이런 풍조는 있지만, 오토마타 갤러리는 특히 "그돈씨", "급", 인지도, "ㅇㅇ 인데 ㅇㅇ 차도 되나요", "연봉/직장/등등 ㅇㅇ 인데 ㅇㅇ 차도 됨?" 등등의 글이 많이 올라온다는 것 이였다.


서구,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레딧의 세이코, 카시오 찬양과는 사뭇 분위기가 달랐던 것이다.

특히 카시오는 God-Tier (신계) 라는 찬양을 받으며 카시오 중심의 컬렉션도 많고, 세이코 등 중저가 시계 소비, 개시글이 많았다.


또한 오토마타 갤러리에서 흔히 "롤렉스는 너무 흔하다", 혹은 직장동료, 친구, 아는선배 들이 어떤 시계를 차고 있더라~ 라는 글이 많이 보인다. 

허나 미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나는 명품시계를 본적이 단 두번 뿐이다. 

디렉터 급, 정부쪽에서도 경력이 20~30년이 됬던 매니저의 태그 호이어 링크.

파일럿 출신 동료의 문워치.


명품시계를 찾아보기 힘든 환경에 있는 나는, 한국의 예물 이라는 문화로 명품시계는 "하나쯤"은 있다/있어야 한다 라는 풍조에도 놀랐다.


이러한 차이를 체감해 가던 나는 궁금증이 생겼다.

과연 한국은 정말 명품 시계를 많이 소비할까? 정말 그게 흔할까? 그 이유는 무었일까?


#1장 - 명품 소비 지출 1위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 명품 소비는 1위" 라는 말을 뉴스를 보거나, 인터넷을 하며 들어봤을 것 이다.

특히 명품 가방, 오픈런, 리셀 문화를 비난하며 자주 보이는 이야기다.



2188d777b3856bfe3fe784e14486776f4841d80be290c8e73c2b4bf79903ea6cd399c78f




실제로 대한민국은 인당 연간 명품 소비 금액은 시계 1위이다.

세계 제 1 의 경제 대국인 미국을 약 16% 앞지르는 금액이다.


또한 통계에 따르면 한국 명품 시장은 세계에서 7위 규모이다.



0ebcc032f0c03de864afd19528d5270373d8abf38b98

이 통계에 따르면 명품 시계 시장만 따로 봤을때도 세계 9위 이다.


GDP 로 보면 경제규모가 13~15위권 하는 대한민국의 경제 규모에 비하면 상당히 큰 규모이다


그렇다면 인당 GDP (GDP per Capita) 로 보았을때 한국은 미국에 비하여 어느정도를 명품에 소비하는 것일까?


한국의 인당 GDP는 약 $32,000 이다. 그 말은, 한국인은 평군적으로 연간 소득의 1.0 %를 명품소비에 할애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건 단순 계산을 위한것이므로, 실제 평균 소득과, 근로자 기준으로 하면 다를것이다. 아마 퍼센트가 더 올라가지 않을까?)


미국은 인당 GDP는 약 $76,000. 미국인은 소득의 0.37 % 를 명품에 쓴다는 것이다.


이 단순 계산에 따르면 한국인은 미국인과 비교했을때 소득기준, 약 2.7배 더 명품을 소비한다는 것이다.


이 수치들을 보면서 체감하던 한국 시계 시장은 명품 중심이다, 혹은 한국에는 체감상 고가의 시계가 많다 라는게 어느정도 증명된거 같았다.


#2장 - 롤렉스 열풍, 한국만의 일 일까?


월말, 월초가 되면 롤렉스 구입도 아닌 매장 방문 예약 관련 글로 오토마타 갤이 마비가 된다.


그때마다 "롤렉스 물량 조절 하는거 꼴 보기 싫다", "시계 사줄려고 이 짓까지 해야되나" 등등 롤렉스를 비난 하는 글이 많다.


그 불만에 어느정도 동의 하는 바도 있지만, 롤렉스가 가격 올리려고 물량조절 한다 는 절대 사실이 아니다.

(최근에 롤렉스가 중고 시장에 직접 들어가기는 했지만) 많은 옽붕이들이 착각하는 사실은, 리셀가격이 오른다고 롤렉스에게 금전적으로 이득이 가는것은 없다.

인기모델은 인기 유지를 위하여 수량 조절을 하는건 사실이지만, 이 상황에 가장 큰 이유는 롤렉스를 원하는 수요가 공급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것이다.


실제로 롤렉스는 새로운 공장을 짓는듯 이 상황을 타개하려 노력하고 있고, 이 상황을 마냥 좋게 바라보지는 않을것이다.

(주제에 벗어나는 이야기 임으로 요약하자면, 통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명품시계 소비자들은 재구매 하는 소비자들이 아닌, 인생에 단 한번만 구매하는 소비자 이며, 롤렉스를 구매하지 못하였을 경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오메가 등 다른 브랜드의 시계를 선택한다. 물론 글로벌 통계임으로 한국 시장과는 추세가 다를수 있다. 그래서 롤렉스는 이 많은 구매자를 놓지고 있으며, 무례한 딜러 등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이 가고 있는것을 인지하고 있을것이다)


롤렉스는 혼자 스위스 시계 시장을 매출기준으로 30%를 점유하고 있으며, 2023 년에만 약 124만개의 시계를 판매하였다.

롤렉스보다 더 많은 시계를 판매한 스위스 브랜드는 더 저가의 대중브랜드인 론진, 스와치, 티쏘 뿐이며, 롤렉스의 판매량은 오메가와 까르띠에 판매량을 합친것과 비슷하다.


이렇듯 롤렉스 열풍과 품귀현상은 한국만의 일은 아니다.


그런데 한국 이외의 나라들도 이런 예약 경쟁, 오픈런이 있을까?


적어도 현재 내가 거주하는 미국에는 그런 일이 없다. 예약을 하던 말던 그냥 롤렉스 매장에 들어갈수도 있고, 매장별 기준은 다르지만 어느정도의 대기명단에 이름도 올릴수 있다.

서유럽 상황도 비슷하다는 얘기를 들었다. 몇몇 비인기 모델은 그냥 매장에 들어가서 살수 있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그렇다면 한국의 상황은 왜 그런것일까?

나는 1장의 한국인의 높은 명품 소비와 경제규모 차이가 합쳐져서 일어난 일이라 생각한다.


한국과 미국의 경제 규모차이는 약 20~25배 이다. 인구차이 (약 6배)를 생각한다 해도 큰 규모 차이이다.

나는 미국에서 대도시도 아닌 약 20위권 수준의 도시에 거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권에 롤렉스 매장이 4개가 있다. (대도시인 LA 같은 경우는 도시권에만 18개, 캘리포니아 주에만 32개).

이 수는 대한민국 제 2의 도시라 불리는 부산의 2개 의 두배나 되는 숫자 인 것이다.



3fb2dc23fd9c32b6699fe8b115ef046994a3a015

(사진: 미국 전역의 롤렉스 매장 수)


엄청난 경제 규모차이로 매장과 소비시장 자체는 크지만, 오히려 한국보다 인당 지출량이 적은 미국, 유럽쪽은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 할것이다.

앞서 말했듯 한국은 13위권 경재규모의 시장에서 30권의 소득으로 유럽, 미국과 비교했을때 비교적 작은 시장에서, 미국과 소득대비 2.7배의 지출을 하며 모이니 그 경쟁과 쏠림이 클수밖에 없다.


결론을 말하면 롤렉스 인기와 품귀현상은 세계적이나, 한국은 경제규모 대비 훨씬 높은 수요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때 롤렉스 경쟁, 쏠림 이 더 심한것이다.


#3장 - 이 명품시장의 과열의 이유는 무엇 일까?


흔히 "대한민국은 비교, 보여주기 문화가 강하다" 라는 말을 한다.

대한민국 전반에 쌓인 그 문화의 이유와 영향을 파해지기 보다는 (그럴 능력도 안되고, 괜히 싸움날거 같고..) 이게 시계시장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한국만의 일인지를 알아보겠다.


얼마전 국가별 소비 성향 관련 통계를 본적이 있다 (아쉽게도 그 통계를 다시 찾지 못함...)


그 통계는 소비자들이 소비를 할때 "브랜드", "품질", "가격" 셋중 무엇을 더 중요시 하는가를 국가별로 정리한 통계였다.


통계에서는 신흥국 (중국, 아람에미레이트, 등) 으로 갈수록 품질, 가격 보다는 "브랜드"를 더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고 하였다.

이미 선진국에 든 경우 점점 품질, 가격 등을 더 우선하기 시작하였고.


그래서 나는 한국의 "명품 집착" 은 한국만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중국은 워낙 많은 인구로 통계상 유의미 하게 인당 소비량이 잡히지 않을뿐 중국 명품 소비도 다들 알다싶이 알아준다.

한국도 신흥국중 엄청난 속도로 빠르게 선진국에 진입한 만큼, 아직까지 브랜드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른 신흥국처럼 높을 뿐이다. (물론 정도 차이는 있지만)

또한 지난 몇년사이 가성비, 가심비 등등 새로운 소비트랜드가 떠오른 만큼 대한민국의 소비성향은 과도기에 있는것이 아닌가 싶다.


빠른 성장으로 브랜드에 우선순위가 높지만,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만큼 품질, 가격의 우선순위가 오르기 시작하여 공존하는 과도기.


한국의 장단점으로 여겨졌던 많은 소비 문화가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많이 사라지고 있듯, 곧 이런 문화도 변화하지 않을까?

(예를 들면, 배달 문화 와 브레이크 타임 없이 밤 늦게까지 영업하는 식당. 한국은 다른나라들과 다르게 어디에서는 수많은 배달음식을 공짜로 시켜먹을수 있었고, 모든 식당을 브레이크 타임 없이 밤 늦게 언제든 갈수 있었다. 하지만 인건비 상승과 여러 요인으로, 이런 소비 형태가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다.)


그리고 변화하는 시계 소비 트랜드로 중고 시계 시장이 있다.


이미 일본, 북미, 유럽은 많은 플래폼과 존제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중고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한국 시장, 시계 시장이 규모가 작을 때에는 대인 거래가 주류 였지만, 규모가 커지고 개인거래의 단점이 부각되고 사례가 많아지자, 한국도 점점 중고시장에 들어가는 업체가 생기고 플래폼화 되려는 움직임이 많다. 


이렇게 시계 시장이 변화하듯 명품시계에 과열되있난 한국의 시계 문화도 변화하지 않을까~ 라고 짐작해본다.


#4장 - 중고 시계, 중고차 딜러


한국은 유난히 중고시장을 외면 하고 새제품을 사려 하는 경향이 있는거 같다.

이 풍조는 시계시장에도 나타나는것 같다. (시계 시장은 물론 가짜, 사기 위험이 있다는 특수성이 있지만)


이 이유는 나도 생각해봐도 잘 모르겠으니, 한국사는 옽붕이들이 대답해주길 바란다. 


내가 예측하기로는 한국은 식민지배, 전쟁을 겪은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발전을 했다.

그래서 아마 부모님 세대, 몇년전 의 것, 들은 낡고, 안좋은 것이라는 인식이 국가 전반에 퍼진게 아닐까?

아마 한국 아파트 선호와도 연관이 있는거 같다.

주택 하면 옛날에 지어진 낡은 집, 아파트는 개발되고 새로 지은 좋은집 같이 빠른 발전과 번영을 누리며 자연스럽게 "새로운것은 좋은것" 이라는 인식이 생긴게 아닐까?


(사족: 천천히 발전하고 선진국 반열에 든지 오래된 국가는 오래된것도 오래된것만의 가치가 있다고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은거 같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옛날 음악, 옛날 밴드 음악을 좋아하는 마니아들도 많고, 그것을 듣는다고 이상하게 보지 않지만, 불과 몇년전만해도 한국은 "최신가요 모르면 뒤쳐진 사람" 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젊은 사람이 김건모, 조용필 음악을 들으면 이상한 사람을 취급하고.

허나 요즘 이또한 바뀌는 추세인거 같다. 발전한지 오래된 나라에 진입하고 있는 한국의 변화중 하나 인거 같다)


한국에서는 "중고차는 사면 안되는것" 혹은 "소개팅 남이 벤츠 타고 왔는데 중고라서 실망했어요" 같이 중고차는 안좋은것. 이왕이면 피해야 하는것 같은 인식이 있다.

미국에서는 차를 사면 대부분이 중고차를 생각한다.

오히려 신차를 사는 사람들을 경제감각이 없는 사람 취급하기도 한다. "사자마자 감가 얻어 맞는데 왜 새차 삼?" (이 말은 옽갤에서도 많이 보인다 ㅋㅋ)

보통 3~5년 되서 급격한 감가를 이미 맞은 새차 같은 중고차 사는 사람이 엄청 많다. 


중고차 기피 현상과 비슷하게 한국은 중고시계 기피현상도 큰거 같다.


특히 중고차 딜러 와 롤렉스 라는 꽤 재미있는 인식도 있어서 신기하다.




마치며...


(여기까지 읽었다면) 긴글 읽어줘서 고맙고 의견, 생각 있으면 댓글 부탁함!

여러 의견듣고 재밌게 대화했으면 함!



출처: 오토마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59

고정닉 21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21137
썸네일
[주갤] 요즘 급변하는 결혼시장에 분노하는 블라녀들.jpg
[738]
ㅇㅇ(211.234) 04.06 51773 1098
221136
썸네일
[카연] 싱글벙글 3대 300밖에 못치는 마망.manwha
[74]
비밀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28958 72
22113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40분만에 제주도 여행하기...jpg
[124]
빠요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24912 236
221131
썸네일
[야갤] [poll] 강남 살고 싶다는 딸을 본 아빠.jpg
[79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50746 134
2211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옛날 사람들이 신성시하던 동물 특징
[249]
ㅇㅇ(220.123) 04.06 42863 424
221127
썸네일
[냥갤] 털바퀴 뒤에 숨는 캣맘
[222]
냥갤러(118.235) 04.06 25981 624
221126
썸네일
[야갤] 죽기 직전 고래 보자, 맨몸으로 달려든 어부들.jpg
[32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44550 122
221125
썸네일
[상갤] 통역사가 말하는 통역하기 어려운 표현
[355]
ㅇㅇ(149.28) 04.06 42181 210
221123
썸네일
[야갤] 육사 총동창회 "민주당 막말" 입장문 ㄷㄷㄷ
[454]
ㅇㅇ(45.128) 04.06 34193 873
2211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군대 간 어린왕자 만화
[1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35315 275
221117
썸네일
[멍갤] 몽골 유목민들이 가축을 지켜줄 댕댕이를 선택하는 방식.JPG
[274]
멍갤러(176.113) 04.06 32639 370
2211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귀여운 포켓몬 만화 모음.manhwa
[187]
BlackWolfStudi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35940 203
221110
썸네일
[주갤] 1박2일 예전꺼 외국인이 느끼는 한국여자.jpg
[451]
ㅇㅇ(125.132) 04.06 61738 1407
221108
썸네일
[야갤] 튀르키예 국제커플의 벚꽃 데이트
[278]
야갤러(106.101) 04.06 47591 405
221106
썸네일
[미갤] 미용실에서 직업 체험하는 EBS 연습생 펭수..jpg
[10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27195 58
22110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대피소글의 진실을 알아보자
[152]
ㅇㅇ(121.182) 04.06 34870 358
221102
썸네일
[기음] 일본 북해도산 가리비와 국산 가리비의 차이
[219]
기갤러(146.70) 04.06 30417 246
221100
썸네일
[카연] ㅇㅎ) 남성향에선 행복할 수 없는 여마왕 2화
[342]
.실장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38508 445
221098
썸네일
[싱갤] 푸바오 환송행사 오열 영상 본 냉혹한 일본인들 반응
[78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52777 485
221096
썸네일
[해갤] 섬그레디신 푸바오한테 한마디 떳네요 ㅋㅋ
[135]
해갤러(172.225) 04.05 24580 223
22109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원하는건 뭐든지 살수있던 정신나간 시절
[219]
나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52863 264
221090
썸네일
[스갤] "착하면 호구된다” 에 대한 대도서관의 생각
[756]
스갤러(212.103) 04.05 50617 371
221088
썸네일
[카연] (생명과학_시리즈) 고수맛 유전자의 진실.manhaw
[131]
사이토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16648 163
221086
썸네일
[이갤] 방송사의 의도적 행동이라고 망상하는 스윙스
[254]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36158 65
22108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무고죄 대처 Manga
[385]
레이퀀스뱅큐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27589 426
221082
썸네일
[부갤] 타워팰리스 인테리어 하는 작업반장이 받는 하루 일당
[239]
ㅇㅇ(120.138) 04.05 32132 98
221080
썸네일
[인갤] (용량)하얀쥐 게임 프리즘 요약만화
[80]
하얀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15537 94
2210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톰과 제리에서도 거르는 나쁜짓
[220]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46396 353
221076
썸네일
[야갤] SLBM 탑재 가능 잠수함 '신채호함' 해군에 인도.jpg
[2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16820 116
22107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전세계 지진 위로에 中 "감사"...격분한 대만
[299]
으앙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36169 303
221070
썸네일
[디갤] 사진위에 그림 그려버리기
[38]
Geonseu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12532 56
221068
썸네일
[중갤] 스타크래프트 미구현 더미데이터 모음
[203]
테이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37519 190
221066
썸네일
[싱갤] (충격) 이스라엘의 이란 영사관 폭격, 상관없다는 미국과 영국
[3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25895 108
221064
썸네일
[리갤] 페이커 수호하는 더쿠 롤 지식..jpg
[652]
ㅇㅇ(223.39) 04.05 46196 923
221062
썸네일
[미갤] 이발소에서 머리 잘라본 후기 ㄷㄷㄷ.jpg
[2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41823 261
221056
썸네일
[해갤] 올리버쌤 딸이 어린이집에서 혼난 이유
[376]
해갤러(84.17) 04.05 44158 603
221054
썸네일
[야갤] 밤하늘 가른 불덩이…또 떨어진 중국 우주쓰레기.jpg
[15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23582 229
221052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인도서 난리난 한국의 인종차별 영상.JPG
[1178]
으앙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55705 403
221050
썸네일
[카연] 불멸의 기사
[92]
희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18371 185
221046
썸네일
[국갤] 부산대 학생들 '과잠 시위' "막말 장예찬 지지한 총학회장 사퇴하라"
[276]
ㅇㅇ(175.200) 04.05 28726 298
221044
썸네일
[이갤] 동물원을 탈출해 뉴욕시의 자유의 상징이 되어버린 수리부엉이 '플라코'
[256]
슈붕이(185.114) 04.05 26588 183
221042
썸네일
[야갤] 박원순 성범죄 피해자, 입장 발표...JPG
[702]
ㅇㅇ(217.138) 04.05 43789 990
22104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세계 최강 너드들....
[15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43592 82
221039
썸네일
[국갤] ‘불법 대출’ 아파트 판다더니… 양문석, 역대 최고가에 내놨다
[278]
헬기탄재매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23402 466
221037
썸네일
[이갤] '투표소 대파 금지' 직격한 이재명 대표
[703]
진짜대통령1이재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25935 157
22103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UFC 시청만으로 일진 참교육.manhwa
[238]
ㅇㅇ(222.235) 04.05 32735 385
221034
썸네일
[야갤] 쿠팡 알바 너무 힘들어서 하루만에 탈주한 탈북자
[575]
야갤러(146.70) 04.05 50649 310
221032
썸네일
[코갤] 중국인 집주인 전세사기 먹튀 하고 출국
[686]
ㅇㅇ(220.121) 04.05 30243 432
221031
썸네일
[디갤] (15장 webp)밤의 봉은사
[29]
아사히펜탁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6967 21
221030
썸네일
[주갤] 페미 패는 상남자 떴다ㅋㅋㅋㅋㅋㅋ응원 드가자잇
[904]
ㅇㅇ(39.7) 04.05 54470 124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