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국민연금으로 보는 출산율 체감.Fact모바일에서 작성

trader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04 00:55:01
조회 41030 추천 487 댓글 728
7cea8174b2816df13de998a518d60403acfb0d27c0c0b92c44





100만명씩 태어나던 세대를

지금 50만명따리 애들이 설거지 해야됨(90년대생)

이러면 1명당 2명 부양해야됨

국민연금 소득 대체율이 50프로임(월급의 절반)

1명당 2명 부양해야 되는데 월급 100프로 다 뜯겨야함

국민연금 없어도 어차피 세금 부어야 돼서 좆되는건 마찬가지





근데 진정한 문제는

이 90년대생 애들 부양해줄 세대는 더 빡세짐
20만명이 50만명 부양해야됨 (1인당 2.5명)




그 다음은 진짜 절멸인게



출1산율 0.6이니까 여자 10만명당 6만명 낳는다매
그러면 남+녀 20만명이서 6만명 낳는다는거 아냐

6만명이 1년에 50만씩 태어났던 90년대생 설거지도 시켜줘야함ㅋㅋ 거의 10배 씹ㅋㅋ

90년대생부터는 못받음 80년대생이 아마 마지노선일듯

80년대생 씨발 최악의 출1산율 쓰레기 세대 다 죽이면 갓한민국 성장률 5프로 가능

국민연금과 세대 간 갈등


최근 합의된 국민연금 개혁안에 2030대의 분노가 하늘로 치솟고 있습니다.


a16711aa372a69e87eb1d19528d5270300b2e2c8071816


젊은 세대의 입장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는 둥 시민 대표단이 미리 내정되어 있었다는 둥, 온갖 의혹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노후에 누릴 수 있는 연금제도에는 크게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이 있습니다. 기초연금은 선별적 복지입니다. 대상자와 부양의무자의 소득인정액을 봅니다. 소득인정액에는 일반적인 소득 뿐만 아니라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포함됩니다. 소득인정액이 만 65세 중 하위 70%를 넘는 경우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과거 재산소득이라는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금융자산은 물론이고 자가, 자차도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한편 기초연금의 재원은 세금입니다. 국민연금과 달리 존속을 두고 말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국민연금은 (거의)보편적 복지입니다. 소득에 따라 대상 여부를 나누는 기초연금과 달리 모든 고령자가 수혜 대상입니다. 국민연금의 기원은 유럽식 복지국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2차전쟁 이후 피폐해진 사회에서, 국가가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구호와 함께 다양한 사회안전망이 형성됩니다. 공적연금제도는 1889년 독일에서 최초로 시행되었으며, 복지국가 사상에 힘입어 전세계로 확산됩니다. 국민연금의 연금액이 소득에 따라 비례적이긴 하지만, 수혜자에 차별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편적 복지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죠.


7fed8171b58569ff3cee86e343836a3747ff36b3c4bcdb8edaa5c7991916


보험·연금은 위험을 헤지하는 수단입니다. 생명보험은 사망위험을 헤지하고 차보험은 교통사고 위험을 헤지하죠. 국민연금은 다소 어색한 '장수'라는 위험을 헤지합니다. 소득창출 능력을 상실한 고령층에 일정 수준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돈 없이 삶을 비참하게 마무리할 위험을 줄여줍니다.


국민연금은 오래 살수록 이득입니다. 죽을 때까지 나오기 때문입니다. 오래 살수록 연금을 더 많이 수령하죠. 최근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고령화가 연금 재정의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급개시연령 상향 당시 당시 기대수명은 75세였던 반면, 현재는 의학과 생활수준 진보로 83세입니다. 한편 국민연금 수급개시연령은 당시 60세에서 현재 63세입니다. 본래 15년만 받던 것을 지금은 20년씩 받고 있습니다. 1인당 수급 총액이 평균적으로 33% 증가한 것입니다.

보험은 보험사와 가입자 간의 확률게임입니다. 정보를 드러낼수록 손해보는 전투죠.


0fbcc923f69f0cae6bb0c4b01b9f3433919d17bc9b0c0c1235b350


보험료는 위험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보험 가입 시 뿐만 아니라 가입 중에도 위험이 증가하면, 보험료가 인상되는 등 보험가입자에게 불리하도록 계약이 수정됩니다. 반면 국민연금은 수명증가로 인한 장수위험 급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2007년 마지막으로 모수개혁이 이루어진 후로 2024년 5월 지금까지도 손 대지 못하고 있습니다.


KDI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현행 보험료율 9% - 소득대체율 40% 체제에서, 올해 국민연금 수령을 시작한 1961년생의 기대수익비는 2가 넘습니다. 100만원을 내면 200만원 넘게 돌려받는다는 의미입니다. 1992년 이후 세대는 이미 기대수익비가 1 미만으로, 낸 보험료보다 덜 돌려받게 됩니다. 지금보다 보험료율이 2배 인상되어도 2004년 이후 출생자의 기대수익비는 1 미만이라는 암담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7fedf576c3f319f23defe9e74683706dfad3607a32f555f7d17a79f6940bfa497b151fe44ee5fb9f


해외의 공적연금은 한참 전에 합리화를 마쳤습니다. 캐나다는 보험료율 11.9% - 소득대체율 33.3%, 일본은 보험료율 18.9% - 소득대체율 36.4%로서 한국의 최근 개혁안과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영국과 독일은 연금 수급개시연령을 67세로 상향했습니다. 이것이 국민연금의 원 도입 취지인 ‘요람에서 무덤까지’에 알맞습니다. 고성장 시기에는 9%씩 걷어 40%로 돌려주는 일이 가능하지만, 저성장 시기에는 지속 불가능한 체제죠. 국민연금은 국민의 삶을 국가가 보장하기 위해 만든 제도인데 지금처럼 국민이 걱정하는 것이 말이 되지 않습니다.


신용화폐 시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채권자에게 손해를 가져옵니다. 10년간 1억원을 빌릴 때, 인플레이션이 있다면 10년 뒤 1억원은 지금의 1억원보다 실질가치가 낮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여 채무자(정부)의 실질 부담을 채권자로 전가하는 것을 인플레이션 조세라고 부릅니다.


현재 국민연금은 세금입니다.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 현황을 보면 국채 비중이 16%가량입니다. 여기에 지방채, 공공기관 발행 채권, 주금공 발행 MBS 등을 합하면 공공분야 채권이 대략 26%쯤으로 파악됩니다.

24b0d719e6dd36b26bb1c28a1fc52130b81fb022467d99bacbddf920dac324928330

국민연금이 세금인 이유는 적자국채를 국민연금이 일부 받아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추구하고 있지만, 관리재정수지는 오래 전부터 적자였습니다. 통합재정수지는 정부의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지표입니다. 관리재정수지는 여기에 국민연금, 고용보험기금 등 사회보장성기금의 수지를 뺀 지표입니다. 나라 곳간을 헤아리는 데 관리재정수지가 훨씬 정확합니다.


a16711aa372a76b660b8f68b12d21a1dd581da32c2


국민연금은 국채의 주요 매수주체로서 재정적자를 일부 감당합니다. 정부예산 일부에 국민연금의 돈이 포함된 셈입니다.


정부가 빚을 내는 것 그 자체로는 문제가 없습니다. 재정건전성을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로 계산하는 것에는 두 가지 함의가 있습니다.


a16711aa372a6ae87eb1d19528d527034d783f3bbe

먼저 분자인 국가채무가 감소하면 재정이 건전해집니다. 그리고 분모인 GDP가 증가해도 재정은 건전해집니다. 여기서 GDP는 명목으로 계산하므로, 인플레이션은 재정건전성에 도움이 됩니다. GDP가 국가채무보다 많이 증가하면 재정은 자연스럽게 안정되죠. 문제는 국채로 조달한 예산을, GDP가 적자국채를 초과하여 증가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가입니다. 흔히 정부 지출에는 구축효과가 있다고 하죠. 아래 방정식의 민간부문에서 집행되어야 할 투자(I)가 정부부문(G)으로 이동하면 동일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더욱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고, 외려 민간부문은 수축되는 것을 말합니다.


a16711aa372a6be87eb1d19528d527033985d25a22ac


국채가 안전자산이고 자산 형성을 돕는다고 홍보하지만, 인플레이션 조세라는 측면을 보면 내 부를 똥으로 만드는 설거지 수단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요새 정부는 부동산시장 안정화에 수십조를 때려박고 있습니다. 국가경제에서 건설산업의 특징으로 광범위한 벨류체인에 기인한 레버리지효과가 있습니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음에도 성장에 기여하는 비중이 높은데, 선진국일수록 건설투자의 성장 기여도는 점차 감소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동일 경제규모에서 GDP대비 건설업의 비중이 높은 기형적인 구조입니다.


a16711aa372a6ee87eb1d19528d5270394ad4e7a33fe


최근 발표된 GDP 자료에서 건설부문이 경제성장률을 까먹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죠.


a16711aa372a6de87eb1d19528d52703032a83ffe57a97


현재 주택가격은 무주택자 및 젊은 세대에게 그림의 떡입니다.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이 26으로 글로벌 중위수(11.9) 대비 2배가 넘습니다. 무주택자 입장에서 요즘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수십조를 때려박으며 그 재원으로 국민연금 즉, 월급이 쓰이는 것을 보면 실소가 터져나옵니다. 내가 열심히 일할수록 내집마련의 꿈이 멀어지는 꼴입니다.

국민연금은 소득재분배 기능이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계산식을 보면 전체 근로소득과 본인의 근로소득을 1:1로 평균합니다. 본인 소득이 낮으면 연금액이 평균 수준으로 높아지고 소득이 높으면 연금액이 평균 수준으로 낮아지도록 평준화합니다.


a16711aa372a6fe87eb1d19528d52703c44d0770da


또한 소득 창출이 가능한 노동자에게 걷어 소득이 없는 고령층에게 나누어줍니다. 문제는 재산격차입니다. 젊지만 집이 없는 근로소득자와 전월세를 내주는 자산보유자 고령층 중 누가 더 취약계층인지는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건전성을 위해서라도 물가를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문제는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에 주거비가 빠져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는 집값 상승에 의한 인플레이션을 전월세만 제한적으로 반영합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주거비가 CPI의 30%에 육박합니다. 한때 CPI에서 자가주거비가 잡히지 않으면서 문제시됐죠.


상품가격 상승만 인플레이션이 아닙니다. 자산가격 상승도 인플레이션입니다. 자산가격 상승은 부의 효과(Wealth Effect)를 통해 소비에 영향을 미칩니다. 많은 나라에서 자산가격인플레이션은 용인하면서 자산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아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가계자산 중 주식의 비중이 40%를 차지하기 때문에 나스닥이 급락할 경우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하하죠. 그 결과 최근 미국의 버핏지수는 180%에 육박합니다. 우리나라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주거비를 제외함으로서 집값 상승을 방치합니다. 그렇게 젊은 계층에게 수도권 부동산은 그림의 떡이 되어버렸습니다. 또한 부동산은 대부분 고령층이 보유했습니다. 일찍 태어나서 먼저 집을 사놓지 않았으면 부동산 시장은 접근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의식주는 삶의 필수 요소인데 말입니다.


a16711aa372a60e87eb1d19528d527039e47f16ba294


이것은 현대사회의 계층 간 장벽이 되었습니다.


1d8fe574b5806af639ed83e74e89756d3602e4a67e98c86c8b51e8bd1d577e779b38f177f650e6


현재 국민연금은 고갈 위기를 방치한 채 젊은 계층을 착취하는 구조입니다. ① 빈자의 주머니를 털어 부자에게 주며, ② 국가가 국민의 안녕을 보장하는 취지와 반대로 국민이 국가의 안녕을 책임지게 된 것이 현 국민연금 제도의 불합리함입니다.




출처: 미국 주식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87

고정닉 83

44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26696
썸네일
[카연] 여자아이 봉득칠과 월세.manhwa
[59]
냐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4605 144
22669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세계의 기네스 기록촌 근황 2부
[153]
Laur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0314 133
226692
썸네일
[주갤] (블라) 난임지원금 마저 더 달라는 한녀들.jpg
[1374]
주갤러(211.220) 04.27 34785 650
226688
썸네일
[로갤] 로붕이 현직 캐나다.. 온세상이 로싸갤이다
[93]
제로_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4178 80
226685
썸네일
[미갤] 빠니보틀&곽튜브가 유튜버 시작하면서 자신감 있던 이유.jpg
[2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9624 123
22668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장애인 주차구역 좁다고 민원 넣자 아얘 없애버린 성남시
[391]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3919 150
226681
썸네일
[야갤] "소중한 사람이 탔다"... 비행 중 청혼한 기장.jpg
[2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5462 101
226680
썸네일
[야갤] 걸그룹 네이처 하루 본국 일본에서 유흥업소호스티스 소문
[234]
ㅇㅇ(219.248) 04.27 34128 144
226678
썸네일
[새갤] 이회창, 김대중의 의외의 접점 - 장면(張勉) 박사
[113]
한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2506 73
226676
썸네일
[해갤] 오늘자 워크맨 ㅋㅋㅋㅋㅋ.jpg
[239]
해갤러(211.234) 04.27 55770 339
226675
썸네일
[인갤] 백영웅전 - 고전에 매몰된 게임
[110]
ㅇㅇ(59.4) 04.27 16664 104
226673
썸네일
[야갤] 뉴욕 난민들, 대낮 호텔 앞에서 집단 난투극.jpg
[4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9991 293
226671
썸네일
[일갤] 정보,여행기)아오모리-오이라세 계류 여행기
[17]
뚜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7918 21
226670
썸네일
[카연] (실화)자퇴해서 대학까지 가는 만화(1)
[74]
Kimkka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6611 48
226666
썸네일
[탈갤] 단풍국 풍경사진 쿨타임 돌아서 또 올려주러옴
[36]
단풍곰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9355 45
2266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제주 해녀학교 졸업생.jpg
[497]
딸근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9639 165
226663
썸네일
[블갤] 평일의 솔라억실리아 미러전
[17]
리오그란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9567 33
226661
썸네일
[일갤] 불고기로드 엔딩에 나오는 일철 한번 분석해봄
[97]
타봐요호쿠리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8691 62
226660
썸네일
[엠갤] 피식대학 오피셜) 찐따의 고백은 배설이다
[488]
ㅇㅇ(118.91) 04.27 38408 430
22665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0년 만에 반토막 나버린 지방직 공무원 경쟁률
[424]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2833 81
226656
썸네일
[철갤] EVO Japan 기대되는 한국 라인업 분석
[97]
철갤러(1.11) 04.27 16354 99
226655
썸네일
[디갤] 조금만 보여줄게
[273/1]
김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4122 56
226653
썸네일
[전갤] 와 방수원 나 이거 처음 봄
[79]
도영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6498 235
226651
썸네일
[인갤] 소울류 '게'임 '어나더크랩트레져' 후기
[1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4071 98
226647
썸네일
[야갤] "백수생활이 질리지가 않아서 걱정이에요".jpg
[7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67085 573
226645
썸네일
[유갤] 약과가 너무 맛있다는 스페인 친구들
[516]
ㅇㅇ(45.84) 04.27 41292 104
226643
썸네일
[일갤] 기타큐슈에서 먹은 음식들 보고가(스압주의)
[60]
에노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9943 44
226641
썸네일
[토갤] 루머 기반으로 알아보는 토탈워 제작팀 근황
[89]
브라우닝자동소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23923 51
226639
썸네일
[프갤] (스압) 22년 전 스맥다운에서 벌어진 일.jpg
[100]
프갤러(118.40) 04.27 24584 167
22663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AV배우랑 사귀면 좋은 점
[349]
나무미끄럼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95059 601
226635
썸네일
[이갤] [약혐] 이토 준지 - 달팽이 소녀
[217]
곰나으리(110.11) 04.27 37669 284
226633
썸네일
[L갤] 로운 동성애 연기 발언.jpg
[226]
ㅇㅇ(45.92) 04.27 38486 83
226631
썸네일
[유갤] 해변가에 떠내려온 잘려있는 발
[215]
ㅇㅇ(146.70) 04.26 37447 170
226627
썸네일
[디갤] 요즘 북촌 한옥마을 충격 근황. webp
[115]
지칸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45044 85
226625
썸네일
[케갤] [단독]"노예계약 아니다" 하이브의 해명...주주간계약 살펴보니
[907]
버랜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36472 239
22662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1만원짜리 부대찌개
[205]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49611 194
226621
썸네일
[육갤] 요즘 군대 2년 갔다왔다고 하면 듣는 말
[578]
ㅇㅇ(46.165) 04.26 54632 323
226619
썸네일
[로갤] 줄스 바스, 아서 랜킨 주니어. 추억이 된 두 애니 감독 작품들 소개
[13]
그수(58.236) 04.26 10434 8
226617
썸네일
[부갤] 중국 2026년 경제성장률 3%대로 하락
[477]
ㅇㅇ(59.3) 04.26 36203 270
226615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주갤러들에게 분노한 한베 커플 유튜버
[800]
미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31804 321
226613
썸네일
[이갤] 미국에서 흑인 과잉진압 논란중...jpg
[91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42519 348
226611
썸네일
[도갤] 2전 2패한 쥐의 도시 뉴욕(쥐와의 전쟁)
[169]
ㅇㅇ(146.70) 04.26 19104 97
226609
썸네일
[주갤] ??: 매매혼 하지 말라노!! feat.한방언니
[293]
주갤러(122.47) 04.26 34147 703
22660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키 172cm 흑인의 점프력
[410]
따아아아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37355 217
226603
썸네일
[유갤] 일본 찐 술집에 들어간 유튜버
[233]
ㅇㅇ(149.34) 04.26 51327 78
226601
썸네일
[야갤] 야스를 좋아하는...여교사 ㄹㅇ...jpg
[720]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110272 1717
226599
썸네일
[싱갤] 우울우울 우리나라가 행복할수 없는이유
[656]
ㅇㅇ(59.12) 04.26 46475 713
226597
썸네일
[디갤] 일본 다시 가고 싶다
[185]
YURUC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18667 76
226595
썸네일
[이갤] 꼭 경험해야 할 유럽의 환상적인 12가지 성문화
[2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38701 200
226593
썸네일
[탈갤] (※※※발암주의!!!!)여성징병에 대한 좆86과 90년대생 한녀의 입장
[945]
가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32074 43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