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자동차 추격 연출을 재미있게 구성하는 방법

d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7 16:45:02
조회 16308 추천 68 댓글 112


고전기 헐리우드 영화에서는 주목할 만한 차량의 추격 연출이 많지 않다.

당시에는 서부극이 크게 인기를 끌었기에 차량 보다는 말이나 마차를 탄 추격 연출이 많았다.


차량의 추격 연출이 말과 마차의 추격 연출과 뚜렷하게 차별화 된 특징이 있을까?

답은 그렇다.


그리고 그 특징은 의외로 고전기 헐리우드 영화에서 보인 자동차 추격 연출에서도 찾을 수 있다.


라울 월쉬의 "background to danger (1943)"의 추격 씬을 보자.




이 추격전에서는 최근 영화의 자동차 추격전에서도 나오는 원형적인 장면들이 나온다.


다음 짤들을 보자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c28e7b095226dff7b780cd0d272f5f6e5c714f1c2d3341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c28e7b095226dff7b780cd08707d0a6c012c444e28983d


위 짤들은 서부극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질주하는 피사체가 90도 가까운 측면에서 화면의 대각선 가까운 방향으로 빠져나갈 때

배경과 피사체간의 극적인 변화 때문에 피사체의 움직임에 역동성이 생긴다.


완전 측면에서 보이는 자동차가 화면에서 크게 보이면서 배경과의 관계가 타이트해지고

대각선 방향으로 보이는 자동차가 화면에서 작게 보이면서 배경이 매우 크게 보인다.


이에 대해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ouvellevague&no=1517442&s_type=search_name&s_keyword=ddd&page=1)


그런데 이 방식은 앞서 언급했듯 서부 영화에서도 많이 쓰이는 것이라서 자동차만의 특별함이라고 할 수 없다.

그렇다면 다음 짤을 보자.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c28e7b095226dff7b780cd09217e5f3f067f4fc541fd5f


위 짤을 보면 자동차가 도로에서 이리 저리 회전하고 미끄러지면서 화면에 어떤 불안감을 조성한다.

또한 자동차를 탄 인물의 시점에서 마치 흔들리는 것 같은 도로가 보인다.

이것이 오늘날에도 널리 쓰이는 자동차 추격전의 시그니처다.


서부 영화에서 비교적 일정한 방향으로 달리는 말/마차와 달,리 자동차는 급회전의 묘사를 적나라하게 보인다.


다음 짤을 보자.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c28e7b095226dff7b780cd597221586a57714585e093a4



이 짤에서 먼저 번, 짤과 차별화 된 점은 이 짤에서는 달아나는 자동차를 맹렬히 추격하는 시점의 장면들이 보인다는 것이다.

추격하는 사람들의 시점에서 보인 배경부터 이리 저리 화면에서 급회전 되어 보이는 것도 모자라,

여기에 더해 추격 받는 차까지 급회전으로 보이기에 관람자는 그야말로 얼이 빠지게 된다.


이런 연출은 고전기 헐리우드 (1925~1950년대) 에서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이런 정신 없는 연출은 1960년까지도 많이 없다.


개인적으로 1960년대 영화 중 가장 현란(?)한 자동차 추격 연출을 보인 영화는 "the italian job" (1960) 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영화의 자동차 추격전은 월쉬의 영화 같은 얼이 빠지는 광경은 없다.


다음 짤들을 보자.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c28e7b095226dff7b780cd0c242b5c6d0279115cb35d4d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c28e7b095226dff7b780cd03727c0f3a517b15d8c685d7



"the italian job" 후반부에서 보인 자동차 추격전은 차가 계단으로 내려가거나 물에 빠지거나 별의별 광경이 나오지만

자동차들이 향하는 방향이 비교적 일정해서 혼란이 느껴지기보다 오히려 정돈 된 느낌이 든다.


두 번째의 짤의 다음 두 컷을 보자.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86dc280dedb6f99766277b8f6cff7f7210b57c6b633724ced76211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86dc280dedb6f99766277b8f6cff7f7012e02ea1998deb2efe3295



화면 전경에 진한 회색(?)색깔의 경찰차가 화면 후경에서 보이는 두 대의 차량을 가로막는다.

화면의 스릴을 살리려면 후경의 자동차들의 경찰차에 밀접하게 붙어 급회전을 한다거나, 어떤 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할텐데

두 번째 장면에서 보듯이 도망치는 차량(후경의)들은 경찰차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여 안전하게 이 상황을 빠져나간다.


위 연출에서 보듯이 아무리 자동차가 다니는 장소를 색다른 곳(계단이든, 강가이든)으로 설정해도

쫓고 쫓기는 자동차간의 관계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어떤 긴박함이 제공되지 않는다.


"the blues brothers (1980)" 의 한 짤을 보자.


viewimage.php?id=23b2c530e0de34a378bed1a013&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1ddcfb4dec3ff1517817662957429964ec28e7b095226dff7b780cd0b7a29586c5c7c47f59bb2ad


이 짤에서는 도주하는 챠량과 이를 가로막는 경찰차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거미줄처럼 재수 없게 꼬이는 경찰차들의 모습이 처절하게 보인다.

이 짤의 장면간 관계는 언뜻 보면, 정신 없는 것 같지만 상당히 체계적으로 이뤄져 있다.


1


7cf3da36e2f206a26d81f6e64783716dc9


2


7ff3da36e2f206a26d81f6e74585716c41


3


7ef3da36e2f206a26d81f6e643887c6505


4


79f3da36e2f206a26d81f6e14487736a20



위, 장면들에서 가장 집중해서 볼 것은 도주인들의 차와 이를 측면으로 가로막는 경찰차의 밀접한 관계다.

1번 장면에서 도주자의 차는 경찰차와 충돌을 피하기 위해 경찰차와 평행이 되도록 움직이다.

그런데 2번 장면에서 1번 장면과 반대 방향에서 (가상선을 넘어서) 도주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1번 장면에서 도망자들은 화면 왼쪽을 향하는데 2번 장면에서 도망자들은 화면 오른쪽을 향한다.


굳이 가상선을 넘어서 보인 이유는 도주자들을 뒤쫓는 경찰 차들이 도주자들을 가로막는 경찰 차와 충돌해

박살나는 광경을 제대로 보이기 위해서 일 것이다.


3-4번 장면의 관계를 잘 봐라.


3번 장면에서 도망자들은 2번 장면의 방향과 동일하게 화면 오른쪽으로 슬쩍 빠져나가고

이들을 잡기 위해 추격하는 경찰차들이 제어를 못해 차가 뒤집혀서 자기편 (가로막는 경찰차)과 충돌하고

다른 경찰차들까지 연쇄적으로 박살 나는 광경이, 일단 '차 앞쪽'에서 보이기에, 화면에서 차가 뒤집히는 광경이 시원하게 보인다.

이는 앞서 언급한 대로 카메라가 가상선을 넘었기 때문이다.

만약 카메라를 1번 장면의 축에서 보였다면 차가 뒤집히는 광경이 4번 장면처럼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그랬다면 뒤집힌 차가 화면의 후경에서 보여, 4번 장면에서 전경에서 보인 차처럼 처절하게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물론 위 짤에서도 차가 뒤집힌 광경이 후경에서도 보인다.

그런데 이건 전경에서 보인 차들이 연속적으로 뒤집히는 광경에 정당성(?)을 보이기 위해서 활용된 것이다.

아래 장면들을 비교해보자.


5


79f3da36e2f206a26d81f6e64e847c6b8e



6


78f3da36e2f206a26d81f6e14581776a1c


7


7bf3da36e2f206a26d81f6e642887364b7


여기서 5번 장면은 1번 장면과 동일한 축에서 보인다.

따라서 추격하는 차가 뒷면에서 보이고 차가 뒤집히는 광경이 화면 후경 쪽에서 보인다.

화면 후경에서 보이는 이유는 3~4번 장면에서 앞선 차가 이미 앞면에서 보였기 때문에

새로운 차가 다시 뒤집히는 광경을 보이려면 그저 차량을 앞면에서 계속 보이기 보다는 차량의 후면과 교차해서 보이는 것이

더 극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5번 장면의 후경에서 뒤집힌 차는 6번 장면에서 4번 장면과 같은 축에서 앞면에서 보이고, 방향이 화면 전경 쪽을 향한다.

그리고 7번 장면에서 뒤집힌 차가 화면을 가득 채우며 5번 장면과 극적인 대비를 이룬다.


이렇게 자동차들이 슬라이딩 하듯이 이러 저리 움직여 다른 차들도 연쇄적으로 뒤집어지거나 그 관계가 꼬여버리는 광경은

자동차 추격 장면에서 최상의 쾌감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런 광경을 잘 보이려면 장면간의 인과관계를 잘 살펴야한다.


이것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관람자가 도대체 추격전에서 뭐가 벌어지고 있는지 인식하기 어렵게 한다.

"baby driver(2017)" 의 한 짤을 보자


79f3d72fe3f206a26d81f6e04f827165a0cf


이 짤에서는 빨간 차가 급회전하여 슬라이딩으로 멋지게 주변 장애물을 벗어나가는 광경이 보인다.

그러나 이건 장면간의 인과관계가 이상해서 관람자에게 어떤 혼란을 유발한다.


다음 장면들을 비교해보자


 1


7bf3da36e2f206a26d81f6e74f857d6d25


 2


7af3da36e2f206a26d81f6e742807d6b21


 3


75f3da36e2f206a26d81f6e64689736e7c


 이 짤에서 1~2번 장면 연결은 문제가 있다.

불필요한 피사체를 강조해서 관람자를 헷갈리게 만들기 때문이다.

빨간 차의 시점(1번 장면)에서 진로 차단을 하는 것 같은 트럭이 (살짝 움직이는 상태에서) 근거리에서 보이기에

관람자는 다음 장면에서 당연히 이 트럭과 빨간 차가 충돌하거나 그 직전까지 가는 광경을 예상할 것이다.


 그러나 2번 장면에서는 그런 자연스런 예상과는 전혀 다른, 생뚱맞은 광경이 나온다.

2번 장면에서 보인 트럭이 1번 장면의 트럭과 모양이 얼추 비슷해서

관람자는  1, 2번의 트럭을 동일한 것으로 보고 '저 트럭이 언제 저곳으로 이동했지?' 와 비약을 느낄 수 있다.


 사실, 2번 장면에서 트럭은 1번 장면의 트럭과 다르다.

그러나 관람자는 2번 장면에서 트럭과 빨간차의 밀접한 관계를 예상할 것이기에

이 장면에서 크게 보이는 트럭을 진로 차단하는 트럭이라고 볼 확률이 높다.

이는 결국, 관람자에게 혼란을 안겨 줘 곧이어 이어질 '진짜' 진로 차단하는 트럭과 빨간 차량의 관계를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게 만든다.  


 그런데 곧 이어질 장면(3번)조차 그 자체로 문제가 있다.

사실, 1번 장면의 트럭은 3번 장면의 후경에서 작게 보이는 트럭이다.

그러나 관람자는 이 트럭의 관계를 동일한 것으로 지각하기 어렵다.

1번 장면에서 빨간 차량의 시점에서 가로막는 트럭은 근접해서 보이는 반면, 3번 장면의 트럭은 자세히 보지 않으면

동일한 것으로 지각하기 힘들 정도로 멀리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관람자의 관점에서는) 3번 장면에서 빨간 차량이 급회전 슬라이딩해서 그 트럭을 피할 어느 정도의 공간이 인과관계로 성립되기 힘들다.

앞서 언급한 대로 1번 장면에서는 이 둘의 관계가 밀접한 근거리로 보이지만, 3번 장면에서 오히려 거리가 멀어진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1번 장면에서 보인 차량의 밀접한 근거리 관계는 실제로는 좀 더 멀리 떨어진 관계라서 슬라이딩할 공간이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관람자의 관점에서는 3번 장면의 빨간 차량과 가로막는 트럭과의 관계가 1번 장면의 관계보다 떨어져 보이기에

이걸 순차적인 관계로 지각할 수 없고, 그렇기에 1, 3번 장면의 트럭이 동일한 것으로 인식될 수 없을 것이다.


 왜 이렇게 관람자의 관점에서 인과관계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연결이 나왔을까?


 우선, 영화를 만드는 이들이 장면간의 빠른 전환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장면간 관계를 제대로 지각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장면을 전환 시켜서 장면간 인과관계의 부실함을 대충 넘긴다

덧붙여 이러한 차량 추격 장면은 여러 날에 걸쳐 나눠서 찍는 경우가 많기에,  만드는 사람들부터 장면 간의 인과관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확률도 클 것이다.


 그러나 이런 연결을 고수하면 제대로 된 자동차 추격 장면을 즐기기 힘들 것이다.

아무리 관람자가 장면간의 관계를 신경 쓰지 않아도

2번 장면과 같은 생뚱맞게 강조된 트럭의 모습은 관람자에게 혼란을 유발해

관람자가 도대체 이 씬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조차 인식하기 어렵게 한다.


 다음 글에서는 "baby driver"의 오프닝 추격 시퀀스를 전반적으로 다뤄서 어떤 문제가 계속 발생되는지 논해보겠다.








출처: 누벨바그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68

고정닉 25

2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3379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다시보는 대한민국 해군 레전드 사건
[208]
수성4가마오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8203 317
233793
썸네일
[카연] 스페인에서 미국인들이랑 클럽간 썰 (1)
[55]
헬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014 82
23379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베가 없어서 논란 생긴 학교
[377]
ㅇㅇ(114.203) 05.24 46279 384
233788
썸네일
[야갤] 축제에 남자아이돌 온다고 난리난 경희대 상황.jpg
[295]
야갤러(211.234) 05.24 33395 232
233787
썸네일
[코갤] 문다혜, 靑 경호원과도 수천만원 돈거래…檢, 집 구입에 쓴 정황
[233]
ㅇㅇ(107.191) 05.24 14753 358
233785
썸네일
[유갤] 외국인들끼리 한국인 특 얘기하는데 다 맞말임.jpg
[185]
ㅇㅇ(149.34) 05.24 30047 154
233784
썸네일
[야갤] 음주 뺑소니 김호중 유치장 이동 ㄹㅇ...jpg
[308]
슈화(착한대만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3696 176
23378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보호필름촌
[149]
ㅇㅇ(211.106) 05.24 33077 200
233781
썸네일
[새갤] 목숨 걸고 정치해야하는 멕시코, 선거 앞두고 후보 암살에 유세장 붕괴까지
[183]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5548 83
233779
썸네일
[야갤] 경찰, 장예찬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검찰 송치
[188]
ㅇㅇ(222.100) 05.24 17699 332
233778
썸네일
[이갤] 키가 198cm인 여중생...jpg
[79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47415 257
23377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의 해녀를 만난 이탈리아 미슐랭 셰프들
[261]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2030 285
233773
썸네일
[미갤] 김준호가 말하는 장동민과 유세윤의 차이점.JPG
[1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790 123
233772
썸네일
[일갤] 오늘자 포스테코글루가 말하는 일본축구
[189]
ㅇㅇ(211.107) 05.24 12063 187
233770
썸네일
[기음] 세계에서 제일 비싼 1kg당 28만원짜리 새우 먹방 후기.jpg
[236]
기갤러(185.114) 05.24 27816 88
23376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여성징병제 공익 만화.manhwa
[302]
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016 170
233767
썸네일
[야갤] 생활비 월 900도 부족하다는 아내와 퐁퐁남.jpg
[67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5143 585
233766
썸네일
[중갤] 명조 채팅 금지겜 모음..jpg
[134]
ㅇㅇ(58.127) 05.24 26436 227
233765
썸네일
[기갤] 오늘자 한동훈보고 배운 범죄자ㄷㄷㄷ
[612]
ㅇ ㅇ(121.168) 05.24 26200 231
233763
썸네일
[중갤] 국힘 심각하네.. 표단속 간담회 31명 중 9명만 참석
[250]
EUREC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6308 144
23376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IT업계의 최첨단 데이터전송 신기술
[2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2163 309
233759
썸네일
[기갤] 박서준, 10살 연하 미국인과 열애설 터졌다...'절친' 최우식도
[589]
ㅇㅇ(223.39) 05.24 40748 252
233758
썸네일
[필갤] 아그파울트라100진짜듣보잡같은데이거좋은거임??
[17]
2100k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4663 24
233757
썸네일
[싱갤] 우울우울 모 개임 신규 케릭터 근황
[2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9219 411
233755
썸네일
[새갤] [단독] "업무추진비로 과일값 지급.. 李 결재" 김혜경 법카 유용 의혹
[174]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2165 202
233754
썸네일
[기갤] 조단위 검증비용?) 해외직구 규제 오늘 발표가 의심스런 이유
[322]
247핑프추노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5633 219
233753
썸네일
[여갤] 미스코리아 지우와 특전사 해원
[220]
고라파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4371 213
233751
썸네일
[상갤] 퓨리오사 안야 테일러 조이가 최고 좋았다고 말한 한국인과의 인터뷰
[287]
ㅇㅇ(211.234) 05.24 20784 77
233750
썸네일
[야갤] 모델에서 배우로 전향했을 때 힘들었던 썰 푼 '변우석'.jpg
[2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544 33
233747
썸네일
[싱갤] KC인증 직구금지 시즌 2: PB규제
[562]
초능력화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220 363
233746
썸네일
[등갤] 설악산...공룡능선을 다녀왔습니다...@.@...
[50]
투어(223.62) 05.24 8711 72
233745
썸네일
[이갤] 외모 악플을 많이 받는다는 기자들...jpg
[586]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7748 94
233743
썸네일
[기갤] 커뮤에서 난리난 와플 크림 논란
[659]
긷갤러(172.86) 05.24 34506 267
233742
썸네일
[중갤] [속보] 중앙일보 한동훈 팬덤 저격
[245]
스쁠쁠쁠쁠쁠쁠쁠쁠쁠쁠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3789 161
233741
썸네일
[해갤] 개념글) 야구 빵사건 전말 jpg
[215]
ㅇㅇ(121.140) 05.24 24803 465
233739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엊그제 나체로 자전거 타던 흑인 유학생
[513]
IronFelix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7878 257
233738
썸네일
[미갤] 조세호 용산 신혼집 공개.jpg
[29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7286 53
233737
썸네일
[새갤] [단독] 정부 "전문의·의사 시험 '年 1회'서 수시로 확대 추진"
[398]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6207 83
233735
썸네일
[코갤] 요즘 여중생 취미
[632]
바지를내리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52359 524
23373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대형사고 날뻔한 독산역
[2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7883 304
233731
썸네일
[자갤] 음주사고후 일부러 맥주 벌컥 ‘꼼수’… 檢 ‘김호중 방지법’ 추진
[158]
ㅇㅇ(112.145) 05.24 18891 103
233730
썸네일
[야갤] god 박준형 손호영이 정산받고 제일 먼저한 거.jpg
[15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208 146
233729
썸네일
[싱갤] 으악으악 불륜 낙태강요 논란된 일본 성우 수준
[30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3348 201
2337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혼란한 블라인드에서도 한마음 한뜻인 의견
[33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3697 423
233726
썸네일
[주갤] 속보) 여성시대 N번방 9시뉴스 나왔다ㅋㅋㅋㅋㅋ + 내사 착수
[466]
한녀성범죄자(14.47) 05.24 36379 1129
233725
썸네일
[페갤] "직구 한 번이라도 해봤나" 분통 터진 직구족들
[589]
나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806 131
233723
썸네일
[국갤] 특종! 김일성 기념비 먹물.............gif
[319]
ㅇㅇ(211.184) 05.24 21495 330
233722
썸네일
[야갤] 결혼할 생각없던 비가 결혼을 결심한 이유.jpg
[44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8153 269
233721
썸네일
[싱갤] 속보) 중국, 6월 대만 침공할 것이라 경고
[990]
ㅇㅇ(58.143) 05.24 53527 336
233717
썸네일
[디갤] 13년 된 올림푸스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
[42]
디붕이(112.164) 05.24 6922 1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