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TNR은 진짜 효과가 있을까?앱에서 작성

치즈망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22 17:55:01
조회 21953 추천 418 댓글 284

모든 문제의 원인은
근본적 이유는 무지성 사료싸기에 의한
폭발적인 개체수 증가임


이 얘기하면
네 그래서 TNR하거든요~ 공부좀하시죠ㅎ
이렇게 반응할게 불보듯 뻔하니
이참에 TNR이 과연 얼마나 효과적인지
한번 되짚어보겠음




자 일단 TNR이 정확하게 뭐냐 하면은


T: trap
N: neuter
R: return

포획 거세 복귀
즉 납치해서 부랄적출하고 다시 길에 돌려보내는것

중성화를 통해 번식을 불가능하게하여
개체수 증가를 막을수 있다


그렇다면 이 TNR이 과연 효과적일까?

TNR이 무조건 이러이러하다 라고 할 결론은 없음
변수가 너무많기 때문에
단정짓는것이 불가능

그러나
TNR의 성공사례는 단 한건도 발표되지 않았고
TNR로 인해 개체수가 줄어 급식소를 폐쇄한적도 없음


74e48970b58a6ff738e986e741826a3710cc2cb6fd061a10c328ef4f96

2011년 Campbell 등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학술대회집에서 전세계의 도서 지역 길고양이 정화 활동 분석 자료를 토대로 효과적인 고양이 개체수 조절 방법을 평가하였다.
길고양이를 한 마리도 남김 없이 근절시키는 것은 약 78% 정도의 성공률을 보였다.
TNR은 그 방법의 지지자들은 효과가 있다고 강력히 주장하나 TNR은 어느 섬에서도 길고양이 박멸에 실패하였다.

큰 섬에서 길고양이를 한 마리도 남김없이 근절시킨 모든 성공 사례들은 모두 독극물을 동원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큰 섬 다섯 곳에서 길고양이 박멸에 실패한 시도(7건)들은 모두 독극물을 사용하지 않았다.

독극물을 놓는 것은 시궁쥐나 토끼 같은 다른 외래종들을 통한 2차 중독을 일으키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토끼에 의한 2차 중독 효과는 시궁쥐와 비교할 때 개체수 감소에 미미하다(약 21%).

새로 개발된 방제 방법은 길고양이가 숨는 굴에 독가스를 주입하는 것이다. 고양이는 포스핀 가스에 매우 취약하며 포스핀 가스는 80ppm에서도 30분이면 길고양이를 죽이지만 토끼는 2400ppm이나 필요로 한다
독극물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한 큐에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제 방법은 아니다.

50%가 넘는 길고양이 멸종 작전의 성공은 면적이 작은 섬에서 일어났다.

50%가 넘는 길고양이 멸종의 실패 또한 면적이 작은 섬에서 일어났다.
실패 원인은 행정의 지원 부족, 잘못된 방법의 선택, 잘못된 시기의 선택이었다.



Analysis of the impact of trap-neuter-return programs on populations of feral cats(필드 조사, 모형 분석)
2005년  P Foley, J E. Foley, J K. Levy, T Paik은 1992년~2003년 사이 캘리포니아 San Diego 카운티와, 그리고 1998년~2004년 사이 플로리다 Alachua 카운티에서 행해진 대규모 TNR 사례를 고전적인 로지스틱 개체군 성장 모형으로 가정하여 분석한 논문을 미국수의협회 저널에 게재하였다. 이 연구는 TNR이 급식소가 아닌 지역 단위로 시행되었을 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현재까지 미국 내 행해진 TNR의 분석으로서 최대 규모이다.

이 모형은 환경수용력을 고려하며, 개체군의 밀도가 증가하면 증가율이 감소한다.
두 카운티 모두 길고양이의 수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최소치를 구하였다.

San Diego 카운티는 2000년을 기준으로 최소 240,690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San Diego 카운티에서는 1992년부터 2003년까지 11년 동안 Feral Cat Coalition#이라는 캣맘 단체에서 14,129마리를 수술하였다.

Rm이 1보다 작아야 감소하고, 1보다 크면 증가하는데 1.57이 나왔다. Rm이 1보다 작아야 하는 조건으로부터 개체 수가 감소하기 위해 전체 무리의 최소 71%를 중성화 시켜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매년 14%를 중성화 수술을 하면 가능하며, 마지막 해에 1514마리를 수술(0.63%) 했다.

Alachua 카운티는 1999년을 기준으로 최소 36,398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Alachua 카운티에서는 1998년부터 2004년까지 6년 동안 Operation Catnip#이라는 캣맘 단체에서 11,564마리를 수술하였다.

Rm은 4.1이 나왔으며, 개체 수가 감소 하려면 전체 무리의 94%를 중성화 시켜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매년 19%를 중성화 수술을 하면 가능하며, 마지막 해에 2213마리를 수술(9.6%)했다.

저자들은 평가 결과가 이전예측과 일치하고 있음을 밝혔다.
저자들은 길고양이 수가 감소하였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하였다.



74e48970b58a6ff738e986e741846a377e444dbcf3c2f9e693a67ea39b

74e48970b58a6ff738e986e741876a37c99931ed7d609128e07883700d

74e48970b58a6ff738e986e741866a37a1b82dc160ccb9005156b0194e

74e48970b58a6ff738e986e741896a37e5f1219c88dab03b3879714a5b

74e48970b58a6ff738e986e741886a37ad5c5b3f4bbef4a9e4a62d72ec

74e48970b58a6ff738e986e74e816a3761bd26eb31f6d15a5eaf10ce58

74e48970b58a6ff738e986e74e806a37a45aa087336ba187469714ff13



TNR이 효과를 보기위해선 매우 까다롭고
현실적으로 어려운 조건을 요구함


캣맘들이 선진국이라고 본받아야한다는
미국 정부는 TNR에 매우 회의적임

미 내무부(DOI) 산하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USFWS)은 TNR 성공 사례가 없고 야생동물에 위협이 되며 국내법인 멸종위기종법안(ESA)이나 국제법인 국제철새조약(MBTA)에 위배될 가능성이 있음을 들어 TNR에 반대하였다

미 농무부(USDA) 산하 야생동물과(WS)는 각 주에 보낸 포유동물 피해 대책 공문들[5]에서, TNR의 성공 수준이 기대에 못 미치며, 자연 파괴와 전염병의 위험이 있고, 개체 수 감소에 너무 오랜 기간이 걸리는 등의 이유로 TNR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미 내무부(DOI)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NPS)은 2014년 어느 한 지역 부지 내 TNR 급식소를 찾아내어 폐쇄하면서, 연방정부 소유지(federal property)에서 포획과 방사는 금지(prohibit)되어 있으며, 시한부로 이곳에 차린 길고양이 군락지는 없어질 것임을 밝혔다. 한 캣맘이 이곳에 쥐만 들끓는데 쥐와 고양이 말고 무슨 생태계가 있느냐고 위와 같이 항의했지만, 묵살되었으며, NPS를 규탄하는 캣맘들이 유명 인터넷 청원 사이트에 올린 청원 활동도 있었지만, 미 정부는 굽히지 않았고, 결국 캣맘들은 남아있는 길고양이를 전부 다 끌고 갔다.


2016년, NPS 공식 홈페이지의 질문 창구에서 답하는 실명을 밝힌 NPS 직원의 답변에 따르면 TNR이 1970년대에 골든게이트 국립공원에서 허용된 사례가 있었는데 TNR이 불법이냐는 질문에 대해, 사람에 전염병 위험과 지역 생물들에 모두 심각한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옛날에 잠깐 허용했던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곳을 포함,모든 NPS 관할 부지에서는 TNR은 금지된다고 답하였다.
2002년 쥐, 몽구스, 길고양이의 환경 영향 조사 공문에서 야생동물학회(TWS: The Wildlife Society, 2001)의 엄격한 고양이 사육법과 TNR에 반대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10개조 선언을 인용하면서 우리는 전적으로 이 견해를 지지한다(40쪽)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의 내용은 TNR은 단 한 사례도 길고양이를 없애지 못하였고, 5와 10 등 최근 연구들은 TNR의 개체수 감소 주장을 부정하고 있는데다, 먹이 주는 행위는 다른 개체수 조절 대상 동물인 쥐와 몽구스 그외 스컹크, 여우, 들개 등에게도 유리하게 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TNR은 제안되었으나 채택되지 않은 대책으로 이름을 올렸다(24쪽).


TNR은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구제대상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고 발표함


변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수는 있어도
TNR이 효과적이라는 결과는 사실상 나오지 않음


결론적으로
캣맘들이 항상 얘기하는 TNR은 효과가 미비하며
개체수 조절에 별다른 도움이 안됨
기껏해야 겨우 현상 유지하는중인데

연구를 위해 모든 개체수를 조사하고
적시에 확실하게 제대로 포획및 중성화를 해도
현상유지에 그치는 판에

캣맘들처럼
아이가 상태가 안좋아보여서
잡기가 힘들어서
경계심이 많아서 등
별 여러 이유로 TNR을 천천히 한다면

개체수가 유지라도 될지 의문임

dccon.php?no=62b5df2be09d3ca567b1c5bc12d46b394aa3b1058c6e4d0ca41648b651eb216e0b191960025fcb9d6eda814309d7a0a5a85a99bf2a7562904d4fb638affb971d2826d7aba5d942cd



그 결



74e48970b58a6ff738e986e74e876a3772a46ee2eeaab01318533c2e4b34

74e48970b58a6ff738e986e74e866a3743c675eb77ce97d878ead914e6

74e48970b58a6ff738e986e74e896a37202c39245b0678159bb989d746

이런 말도안되는 개체수와 밀집도를 만듬

결론
TNR=이론만 그럴싸함


출처: 야옹이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18

고정닉 66

1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03364
썸네일
[국갤] [1보]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 임무 궤도 진입 성공
[158]
삼색냥집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8985 177
101160
썸네일
[싱갤] 2026 FIFA 월드컵 유나이티드 개최 경기장 리스트
[141]
윾식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17408 114
97476
썸네일
[카연] 80년대 찐따의 삶 (플로리다 바캉스 1)
[418]
브루탈리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4 47239 891
9555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국의 맹방기 논란에 대해서 알아보자.araboja
[214]
ㅇㅇ(106.163) 22.11.26 29781 226
썸네일
[냥갤] TNR은 진짜 효과가 있을까?
[284]
치즈망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2 21953 418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